KR20060068860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860A
KR20060068860A KR1020040107788A KR20040107788A KR20060068860A KR 20060068860 A KR20060068860 A KR 20060068860A KR 1020040107788 A KR1020040107788 A KR 1020040107788A KR 20040107788 A KR20040107788 A KR 20040107788A KR 20060068860 A KR20060068860 A KR 2006006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dial
list
screen
ke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860A/ko
Publication of KR2006006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시간 이상 단축키가 입력되면,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축 다이얼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특수번호 키가 입력되면, 발신 횟수에 따른 최근 발신 번호를 조회하여 해당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특수번호 키가 재 입력되면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다시 표시한다. 본 발명은, 단축키를 이용하여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편리하게 표시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이동통신단말기, 단축 다이얼, 편집, 발신 번호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Method for displaying and editing speed dial button list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표시하고, 이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의 (a)는 단축 다이얼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의 (b)는 최근 발신 시도 횟수가 많은 번호별로 재구성된 리스트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축키를 이용하여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면, 표시된 화면에 따라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단축 다이얼이나 편집하고자 하는 다이얼을 손쉽게 찾고, 편집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 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는 단순히 전화를 걸고 받는 기능 뿐만아니라, 알람 기능, 시계 기능, 스케쥴 관리 기능, 위치 탐지 기능, 카메라 기능, 인터넷 기능 등의 여러가지 부가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여 주고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모두 기억하기 힘든 친구들 또는 직장동료들의 전화번호를 단말기에 저장하여두고 단축 다이얼을 입력해 놓으면 해당 단축 다이얼만 눌러도 편리하게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화 연결이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화를 발신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단축 다이얼이나 전화번호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일일히 전화번호부 메뉴에 들어가 리스트를 검색하여 편집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소요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주 사용하지 않는 단축 다이얼의 경우에는 단축 다이얼이 기억이 나지 않아 단축 다이얼을 등록해 놓았어도 다시 검색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최근 발신 시도 횟수에 따라 많이 사용하는 전화번호의 단축 다이얼을 기억하기 쉬운 단축 다이얼로 손쉽게 변경하는 기능이 없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단축키를 일정시간 이상 길게 누르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있는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일일히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볼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된 단축 다이얼 리스트에서 특수 키가 입력되면 최근 발신 시도 횟수에 따른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발신 횟수에 따른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편리하게 편집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시간 이상 단축키가 입력되면,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단축 다이얼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특수번호 키가 입력되면, 발신 횟수에 따른 최근 발신 번호를 조회하여 해당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특수번호 키가 재 입력되면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다시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특수번호 키는 별표키와 샵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특수번호 키는 화살표 좌/우 방향키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축 다이얼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단축 다이얼을 편집할 것이라면, 리스트에 나열된 번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 단축 다이얼을 편집하고, 편집이 완료되면 편집된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과 이동교환국 및 단문메시지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변조기(Modulator)와 송신 증폭기를 포함한 송신기와 수신 증폭기와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가지는 RF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 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03)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송신부는 제어부(103)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된다.
표시부(10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문자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106)는 키패드(Key pa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단축 다이얼 리스트 표시를 위한 단축키를 구비하고 있다.
오디오 변환부(118)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 을 수행한다.
저장부(112)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ROM) 및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부의 단축 다이얼 리스트 및 최근 발신 횟수에 따른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03)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 통신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력부(106)의 단축키가 눌려지면,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되어있는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읽어들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특수 기능키, 즉 샵키 또는 별표키나 화살표 방향키등을 입력하면 상기 저장부(112)에 저장되어있는 최근 발신 시도 횟수에 따른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읽어들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검색하고 이를 편집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표시하고, 이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의 (a)는 단축 다이얼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의 (b)는 최근 발신 시도 횟수가 많은 번호별로 재구 성된 리스트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축 다이얼 리스트의 표시를 위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거나 단말기에 미리 제공되어있는 특정 단축키를 일정시간 이상 길게 누르면(단계 203),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검색하여(단계 206)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209). 이때 해당 리스트에 속하는 전화번호는 단축 다이얼 번호 순서대로 1번부터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a)에서와 같이 등록된 이름의 가나다 순에 상관없이 단축 다이얼 번호에 따라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표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화면 303). 또한, 사용자가 특정 사람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해당 사람에게 발신한 기록 또는 해당 사람으로 부터 사용자의 단말기로 수신된 기록등을 표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화면 306). 한편, 단축키를 일정시간 이상 길게 누르는 단계는 대기상태(idle state)에서만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화번호부 편집상태나 문자메시지 작성상태 등에서도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보여진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편집할 것이라면(단계 212의 '예'), 단축 다이얼 리스트에 표시된 전화번호들 중 편집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해당 단축 다이얼 번호를 변경하고(단계 215) 편집된 리스트를 저장한다(단계 218).
또한 사용자가 특수 키를 누르면, 최근 발신 시도 횟수가 높은 순서대로 리스트를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주며(화면 309), 이때 사용자가 많이 사용한 발신 번호대로 단축 번호를 편집하여 저장하려 한다면, 나열된 리스트의 전화번호들 중에 편집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화면 312) 해당 단축 다이얼 번호를 변 경하고 편집된 리스트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화면 315). 여기서 특수키는 샵키 또는 별표키, 화살표 방향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b)에서와 같이 특수키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최근 가장 많이 발신한 순서대로 리스트가 나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수키를 입력하면 최근 4번 정도의 횟수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발신이 가장 많이된 '박미예'라는 사람이 리스트의 가장 첫번째에 위치하고, 3번의 횟수로 사용자가 발신을 두번째로 많이 한 사용자 '김사랑'이라는 사람은 두번째에 위치하게 된다(화면 309).
즉, 사용자가 '박미예'라는 사람에게 최근 가장 전화통화를 많이 했다면, '박미예'라는 사용자를 가장 첫번째 순서로 리스트에 표시하며, 사용자는 가장 많이 발신을 시도한 '박미예'라는 사용자의 단축 다이얼 번호를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번호나 자주 사용하는 번호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박미예'라는 사용자의 단축 다이얼 번호를 '1'번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박미예'라는 사용자를 선택 하면, 해당 사용자의 단축 다이얼 및 전화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단축 다이얼을 편집 가능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을 '1'번으로 변경하여 미리 제공되어있는 '확인'버튼을 누르면 원래 '1'번에 저장되어있던 '홍길동'이라는 사람은 자동으로 단축 다이얼 '3'번으로 편집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변경되어 편집된 단축 다이얼 리스트는 다시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변경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화면 318).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단축키를 일정시간 이상 길게 누르면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있는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일일히 전화번호부를 검색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볼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상기 표시된 단축 다이얼 리스트에서 특수 키가 입력되면 최근 발신 시도 횟수에 따른 전화번호 리스트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발신 횟수에 따른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편리하게 편집 가능하게 한 것이다.

Claims (5)

  1. 일정시간 이상 단축키가 입력되면,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단축 다이얼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특수번호 키가 입력되면, 발신 횟수에 따른 최근 발신 번호를 조회하여 해당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특수번호 키가 재 입력되면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다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번호 키는 별표키와 샵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번호 키는 화살표 좌/우 방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단축 다이얼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단축 다이얼을 편집할 것이라면, 리스트에 나열된 번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관한 단축 다이얼을 편집하는 단계,
    편집이 완료되면, 편집된 단축 다이얼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KR1020040107788A 2004-12-17 2004-12-17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KR20060068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788A KR20060068860A (ko) 2004-12-17 2004-12-17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788A KR20060068860A (ko) 2004-12-17 2004-12-17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860A true KR20060068860A (ko) 2006-06-21

Family

ID=3716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788A KR20060068860A (ko) 2004-12-17 2004-12-17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8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140A (ko) * 2010-04-13 2011-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3024115A (zh) * 2012-11-27 2013-04-03 周万荣 一种通过拨号键进行快速通信操作的方法和移动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140A (ko) * 2010-04-13 2011-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3024115A (zh) * 2012-11-27 2013-04-03 周万荣 一种通过拨号键进行快速通信操作的方法和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4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발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28295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KR10045096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 작성 방법
JP2001243243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表示方法及び該表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1053843A (ja) 電話装置
KR2006006886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KR20030045893A (ko)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KR10042626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사이드키를 이용한 전화걸기 방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100215726B1 (ko) 모드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006099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개선된 통화정보 조회 기능 제공방법
KR100660119B1 (ko) 발신자 정보의 음성출력 선택 기능이 구비된 전화기 및시스템
KR2006012417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별 통화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0595667B1 (ko) 휴대폰의 전화번호부 정보 입력방법
KR19990052950A (ko)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KR2006001715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예약 통화 방법
KR100245625B1 (ko)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JPH04368027A (ja) 携帯電話機
KR2006002244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및 모닝콜 원격 제어 방법
KR200400583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처리방법
KR2005006194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그룹정보를 이용한 착신거부 방법
KR100865278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자 고유번호 입력방법
KR10060460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알람 방법
JP4980512B2 (ja) 移動通信端末
KR200325756Y1 (ko) 축소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