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958B1 -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958B1
KR100282958B1 KR1019990001678A KR19990001678A KR100282958B1 KR 100282958 B1 KR100282958 B1 KR 100282958B1 KR 1019990001678 A KR1019990001678 A KR 1019990001678A KR 19990001678 A KR19990001678 A KR 19990001678A KR 100282958 B1 KR100282958 B1 KR 10028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untry
code
current time
area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317A (ko
Inventor
오해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958B1/ko
Priority to US09/488,652 priority patent/US6751483B1/en
Publication of KR20000051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11Service processing based on information specified by a party before or during a call, e.g. information, tone or routing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은, (a) 사용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요구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b)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피호자측의 현재 시간과 국가명을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c) 상기 (b)과정후 사용자의 통화요구키 재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THE CURRENT TIME OF CALLED PARTY IN PORTALBE MOBILE TE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많이 보급되면서 사용자는 통화의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아무때나 울리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벨소리는 소음공해를 초래하고 있어, 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통화예절에 관련된 기능들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착신을 알리는 모드를 벨 및 진동모드로 구분을 해 놓는 통화예절 기능은 휴대폰에 있었서는 이미 보편화된 기능이다.
한편 타국에 있는 상대방측으로 한밤중에 전화를 걸게 되면 상대방측에게 통화예절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행동이 될 수 있다. 긴급하거나 타국에 있는 상대방측이 충분히 이해를 하는 전화라면 괜챦겠지만 무심코 한밤중에 타국의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게 되면 상대방이 불쾌하게 느낄 수도 있다.
만약 타국의 상대방에게 휴대폰을 이용해 전화를 걸 경우 휴대폰에 타국의 현재시간이 표시된다면 사용자는 이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타국에 있는 피호자측의 현재시간을 통화형성 전에 미리 표시하여 주어 사용자가 예절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요구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b)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피호자측의 현재 시간과 국가명을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c) 상기 (b)과정후 사용자의 통화요구키 재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의 현재시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시차 및 국가명을 도 1의 메모리(20)에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도,
도 4a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피호자측의 국가명 및 현재시간,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의 104단계에서 수행하는 검색 서브루틴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의 현재시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20)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 Read Only Memory)과 상기 동작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으로 구성된다. 키입력부(30)는 다수의 숫자키와 전원키(PWR)와 저장키(STO)와 통화키(SEND)와 종료키(END)와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키(FCN) 등을 가지며, 사용자의 키 누름에 따른 키데이터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표시부(40)는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 출력된 키데이터를 제어부(10)를 통해 입력받아 표시하고,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송수신분리부(50)는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분리한다. 송신부(6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에 실어 송수신 분리부(50)와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한다. 수신부(70)는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송수신 분리부(50)를 통해 입력받아 중간주파수의 신호로 변환 및 데이터로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도 1의 구성에는 마이크(microphone)와 스피커(speaker) 관련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메모리(20)의 이이피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시차 및 국가명을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0)의 이이피롬에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사용자 국가에 있는 국제전화 사업자의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의 현재시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타국에 있는 피호자측의 현재시간을 통화형성 전에 미리 표시하여 주는 제어동작으로 요약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휴대용 무선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입력부(30)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SEND) 또는 상대방 시간확인키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0)는 도 2의 100단계 및 102단계에서 이를 판단한다. 상기 상대방 시간확인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새롭게 구현될 수 있는데, 기능키의 조합 또는 새로운 버튼의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통화키 또는 상대방 시간확인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도 2의 104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country code)와 지역번호(area code)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도 5에서는 도 2의 104단계에서 수행하는 검색 서브루틴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104단계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입력된 전화번호의 전체 자리수. (2) GSM(Groupe Special Mobile or 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방식에서는 국가코드의 첫 자리가 '+'로 시작하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는 국가코드의 첫 자리가 '0'으로 시작한다. (3) 이미 저장되어 있는 국제전화 사업자번호를 이용한다. 국제전화 사업자번호는 전세계적으로 시작번호가 '0'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의 국제전화번호 사업자번호의 일예로는, '1', '2', '314', '344', '345', '700' 등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0)는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 두자리가 '0'으로 시작되는가를 도 5의 200단계에서 판단하고 첫 두자리가 '0'으로 시작되면 국제전화 사업자번호에 관련된 것으로 인식하여 202단계로 진행한다. 202단계에서는 메모리(20)에 미리 저장된 국제전화 사업자번호를 서치한다.
그후 204단계에서는 해당 국제전화 사업자번호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만약 해당 국제전화 사업자번호가 존재하면 206단계로 진행한다. 206단계에서는 입력된 전화번호중 해당 국제전화 사업자 번호 이후의 자리상태 및 전체 자리수에 의거해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를 찾는다. 이때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를 찾을 때는 상기 판단 근거의 (1) 및 (2)의 항목을 이용한다.
한편 도 5의 200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중 첫 두자리가 '0'으로 시작하지 않거나 또는 204단계에서 메모리(20)에 해당 국제전화 사업자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의 208단계와 같이 입력된 전화번호에는 국가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5와 같은 서브루틴 수행으로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와 지역번호가 있는가를 도 2의 104단계에서 검색한 후, 제어부(10)는 도 2의 106단계에서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면 제어부(10)는 도 2의 108단계로 진행하여, 국가코드에 대응된 국가명과,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현재시간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이용해서 구하고 도 1의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한다.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은, 휴대용 무선단말기 에서의 현재시간과, 도 3의 테이블에 있는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한 국가 및 지역에서의 시차가 이용되어서 계산된다.
도 4b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피호자측의 국가명 및 현재시간,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에서는 GSM방식을 사용하는 국가에 있는 호출자가 한국으로 전화를 걸기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한 일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제어부(10)의 도 2의 108단계와 같은 제어에 의해서 국가명 'Korea'와 그 국가 및 지역에서의 현재시간 'PM 09:20'이 표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a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표시부에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b와는 달리 국가명과 그 국가 및 지역에서의 현재시간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있다.
사용자는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피호자측의 현재시간을 보고, 전화를 해도 실례가 되지 않겠다고 판단하면 통화키를 다시 누르게 된다. 그에 따라 제어부(10)는 도 2의 110단계에서 이를 검출하고 112단계로 진행한다. 112단계에서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한다. 그렇지만 도 2의 110단계에서 통화키를 입력하지 않으면 입력된 전화번호는 전송되지 않고 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제어부(10)는 도 2의 106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중에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112단계로 바로 진행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의 현재 시간 표시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상기한 도 2와는 조금 다르게 그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에서는 통화키 또는 상대방 시간확인키의 키입력 듀레이션에 따라 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자동 전송유무를 결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무선단말기 사용자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입력부(30)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SEND) 또는 상대방 시간확인키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0)는 도 6의 300단계 및 302단계에서 이를 판단한다.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통화키 또는 상대방 시간확인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도 6의 303단계로 진행하여 302단계에서 입력된 키의 키입력 듀레이션(duration)을 체크해 놓는다. 그후 3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4단계에서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country code)와 지역번호(area code)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와 함께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304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country code)와 지역번호(area code)가 존재하면 제어부(10)는 도 6의 30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도 6의 308단계에서 국가코드에 대응된 국가명과,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현재시간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을 이용해서 구하고 도 1의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한다.
그후 제어부(10)는 도 6의 309단계로 진행한다. 309단계에서는 상기 303단계에서 체크한 키입력 듀레이션이 미리 설정한 시간값 T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통화키 또는 상대방 시간확인키를 길게 눌렸는지 짧게 눌렸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키 입력듀레이션이 미리 설정한 시간값 T보다 작게되면(키를 짧게 누른경 우) 3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통화키를 누르게되면 310단계에서 이를 검출하고, 312단계로 진행한다. 312단계에서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도 6의 309단계에서 키 입력듀레이션이 미리 설정한 시간값 T보다 크게되면(키를 길게 누른경우) 314단계로 진행하여 일정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거부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거부에 대한 키를 일정시간내에 누르면 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일정시간동안 거부에 대한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통화키 재차 입력이 없어도 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한다(도 6의 316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타국에 있는 피호자측의 현재시간을 통화형성 전에 미리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피호자에 대한 예의를 갖출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10)

  1.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요구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b)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피호자측의 현재 시간과 국가명을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c) 상기 (b)과정후 사용자의 통화요구키 재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과정에서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 존재유무에 대한 판단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국제전화 사업자번호와 입력된 전화번호의 비교, 입력된 전화번호 전체 자리수 및 국가코드의 첫 자리 상태를 이용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과정에서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현재시간과,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국가 및 지역의 시차를 이용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과정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서 국제전화번호 사업자번호의 공통적인 디지트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공통적인 디지트가 있으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국제전화 사업자번호와 일치되는 번호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일치되는 번호가 있으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서 해당 국제전하 사업자번호 이후의 자리 상태 및 전체 자리수에 의거하여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를 확인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6.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피호자측 현재시간 확인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b)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피호자측의 현재 시간과 국가명을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과정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서 국제전화번호 사업자번호의 공통적인 디지트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공통적인 디지트가 있으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국제전화 사업자번호와 일치되는 번호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일치되는 번호가 있으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서 해당 국제전화 사업자번호 이후의 자리 상태 및 전체 자리수에 의거하여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를 확인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8.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요구키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b) 상기 통화요구키 입력 듀레이션을 체크하는 과정과,
    (c)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국가코드 및 지역번호에 대응된 피호자측의 현재 시간과 국가명을 표시부로 표시하는 과정과,
    (d) 상기 (c)과정후 상기 통화요구키의 입력 듀레이션 상태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과정은
    상기 통화요구키의 입력 듀레이션이 미리 설정된 시간값보다 크면 일정시간 후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요구키의 입력 듀레이션이 미리 설정된 시간값보다 적으면 통화요구키 재차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내 거부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른 호 전송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KR1019990001678A 1999-01-20 1999-01-20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KR10028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678A KR100282958B1 (ko) 1999-01-20 1999-01-20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US09/488,652 US6751483B1 (en) 1999-01-20 2000-01-20 Method of displaying a local time of a called party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678A KR100282958B1 (ko) 1999-01-20 1999-01-20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317A KR20000051317A (ko) 2000-08-16
KR100282958B1 true KR100282958B1 (ko) 2001-02-15

Family

ID=1957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678A KR100282958B1 (ko) 1999-01-20 1999-01-20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51483B1 (ko)
KR (1) KR100282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5106B1 (en) * 2001-04-26 2009-07-21 Sprint Spectrum L.P. Wireless signal repeater with temperature and time display
JP3937752B2 (ja) * 2001-05-10 2007-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電話機および基地局
KR100438546B1 (ko) * 2001-10-26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시간설정 방법
JP3820981B2 (ja) * 2001-12-20 2006-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発信側携帯端末における相手先携帯端末の時刻識別方法
GB2385234A (en) * 2002-02-08 2003-08-13 Francis Cagney Telephone number modification
JP3756460B2 (ja) * 2002-03-28 2006-03-1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
US20040204002A1 (en) * 2002-07-29 2004-10-14 Yu-Bin Chen Communic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obtaining recipient's local time and method thereof
KR20040037690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상에서 국외 전화번호를 저장/이용하는방법
US7336949B2 (en) * 2002-12-09 2008-02-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national dialing for wireless networks
US20050148343A1 (en) * 2003-12-31 2005-07-07 Perlmutter S. M. System and apparatus for time zone interrupt for world wide mobile telephone users
US7474744B2 (en) * 2004-02-05 2009-01-06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cal time of far end on telephone systems
KR20060018358A (ko) * 2004-08-24 200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지역의 현지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715829B2 (en) * 2004-12-13 2010-05-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nhanced international dialing in cellular systems
US20060211453A1 (en) * 2005-03-15 2006-09-21 Schick Andrew N System for dialing a telephone number stored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device is away from its home calling area
US7783318B2 (en) * 2006-09-26 2010-08-24 Wilson Electronics Cellular network amplifier with automated output power control
US8280024B1 (en) 2007-08-02 2012-10-02 Broadsoft,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nding a request to a network for routing a call
US8462929B1 (en) 2007-08-02 2013-06-11 Broadsoft,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oring data associated with origination processing of a call
GB2454651A (en) * 2007-10-31 2009-05-20 Symbian Software Ltd Communication device which calculates the present time at an intended call recipient's location
US20100285780A1 (en) * 2007-11-13 2010-11-11 Collins William H Call time monitoring and warning generation
US9143611B2 (en) * 2008-09-30 2015-09-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calls
US8416933B2 (en) * 2008-10-30 2013-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usted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parties
US8687784B2 (en) 2011-08-01 2014-04-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mining local time in a location of a telephone
US8903363B2 (en) 2011-08-01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rmining an availability status of a contact being called
US9125009B2 (en) * 2011-10-27 2015-09-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etermination and representation of call appropriateness
CA2814303A1 (en) 2013-04-26 2014-10-26 Cellphone-Mat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KR20160042491A (ko) * 2014-10-10 2016-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 표시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1140A (ja) * 1991-05-29 1992-12-04 Sony Corp 電話装置
US5216709A (en) * 1991-12-27 1993-06-01 Inventa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input telephone number
FI97596C (fi) * 1993-12-15 1997-01-10 Nokia Mobile Phones Ltd Puhelun kohdealueen ja vastaanotettavan puhelun alkuperäalueen kellonajan määrittäminen
US5528558A (en) * 1994-01-07 1996-06-18 Mardhekar; Dhananjay V. International time indicating system
MY118477A (en) * 1994-04-20 2004-11-30 Sony Corp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5818920A (en) * 1996-12-04 1998-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s based on local time
US6075992A (en) * 1997-10-22 2000-06-13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handling initiation of a call by a portable intelligent communication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51483B1 (en) 2004-06-15
KR20000051317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95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KR101244809B1 (ko) 가입자 인식 모듈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6785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라스트호관리목록관리방법
KR19990041084A (ko) 휴대폰에서 통화내역 저장 및 표시 방법
KR20060018358A (ko)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지역의 현지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KR1005048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내역 관리 방법
KR200200932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설정방법
US6463297B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onnecting a call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45163A (ko) 특정전화번호의 단문메시지 차단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241776B1 (ko) 휴대폰에서 자기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1006060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전화번호 자동설정방법
KR100272010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스피드 다이얼링 시 지역번호 자동삭제 및 추가 방법
KR100251678B1 (ko) 무선호출기일체형차세대디지털무선전화기의전화번호편집방법
KR100318712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자동발신방법
KR100607257B1 (ko) 관련자 전화번호 목록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JP2001111658A (ja) 通信端末
KR100319270B1 (ko) 전화단말기에서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KR100539873B1 (ko) 이동단말기의미확인수신단문메시지검색방법
KR100493728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무료통화서비스 방법
KR10098439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KR20020056987A (ko)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KR100662298B1 (ko) 수신 거부번호 알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