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625B1 -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625B1
KR100245625B1 KR1019970026898A KR19970026898A KR100245625B1 KR 100245625 B1 KR100245625 B1 KR 100245625B1 KR 1019970026898 A KR1019970026898 A KR 1019970026898A KR 19970026898 A KR19970026898 A KR 19970026898A KR 100245625 B1 KR100245625 B1 KR 100245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lephone
unit
displayed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096A (ko
Inventor
조희호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2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6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 다이얼링 하기 위해 입력한 번호를 저장하여 대기상태로 있다가 나중에 다시 그 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작상태를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의 입력 및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여 대기상태로 있도록 하는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입력데이터저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후 대기상태 기능키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를 입력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이후 대기상태 기능키가 재입력되게 되면 상기 입력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단계,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표시된 번호의 저장 대기를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키 입력단계, 저장 대기 기능키의 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표시된 번호를 입력데이터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기능키의 재입력이 있게 되면 입력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출력제어단계를 통해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을 실현하게 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 다이얼링 하기 위해 입력한 번호를 저장하여 대기상태로 있다가 나중에 다시 그 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 및 회사를 비롯하여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기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한 현대인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바, 최근에는 이러한 역할에 걸맞게 종래 제공되던 단순한 통화장치로서의 전화기 기능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전화기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상술된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을 할당받아 통신을 행하는 휴대용 전화기이고, 11은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12는 이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NA:Low Noise Amplifier)등으로 구성된 저잡음증폭부, 13은 이 저잡음증폭부(12)를 통해서 입력된 주파수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4는 상기 복조부(13)와 이후에 설명할 변조부(19)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GSM 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코딩(Block Coding) 및 콘벌루션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는 베이스밴드처리부(Base Band Circuit), 15는 기지국과 LAPDm 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게 되는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LAPDm 처리부이다.
또한, 16은 상대국 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가청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고, 17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입력하는 마이크로폰, 18은 이 마이크로폰(17)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처리부(14)를 통해서 인가된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6)로 출력하는 등의 음성처리를 실행하는 음성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9는 상기 베이스밴드처리부(14)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이고, 20은 이 변조부(19)에서 변조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1은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이고, 22는 전화기의 각종 동작상태나 조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 등의 표시부, 23은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동작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21)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24는 이 제어부(23)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메모리, 25는 상기 제어부(23)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처리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26은 상기 복조부(13)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디지탈 변환하여 수신 전력레벨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상기 제어부(23)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서, 이는 전화기의 기지국 선택이나 핸드오버(Hand over)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휴대용 전화기(10)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전화기(10)의 전원을 온 시키게 되면 제어부(23)는 복조부(13)의 복조주파수를 순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안테나(1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캐리어를 검색함과 더불어 A/D변환기(26)를 통해 입력되는 각 복조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신이 소속되는 기지국을 파악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3)는 복조부(1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와 그에 따라 A/D변환기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데이터의 레벨값을 데이터메모리(25)에 저장한 후 가장 그 레벨값이 큰 수신주파수를 근거로 복조부(13)의 복조주파수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상기 복조부(14)에서 수신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방송채널을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의 정보를 파악한 후, 베이스밴드처리부(15) 및 변조부(19)를 통해 자신의 정보를 해당 기지국으로 송출함으로써 등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에서는 전화기(10)로부터 전화기정보가 수신되게 되면 이를 기지국제어기(도시되지 않음)로 송출하게 되고, 기지국제어기는 그 단말기 정보를 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인증센터(도시되지 않음)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전화기(10)가 적법하게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당 전화기(10)가 정상적으로 등록되어 있으면, 기지국제어기는 기지국을 통해 전화기(10)로 암호화코드 등을 송출함으로써 해당 전화기(10)를 사용가능상태로 등록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화기(10)가 사용가능상태로 되면 상기 표시부(22)를 통해 표시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측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버튼을 상기 키입력부(21)를 통해 입력하게 되면 그 입력된 전화번호는 상기 표시부(22)에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22)에 표시된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키입력부(21)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SEND키를 누르게 됨으로써 제어부(23)는 입력한 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다이얼링을 하기 위해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측의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버튼을 입력한 후, SEND키를 누르기 전 갑자기 이러한 행위를 중지하고 다른 볼 일이나 급한 사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21)에 구비된 온/오프 버튼을 눌러 오프시킴으로써 그 행위를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급한 볼 일이나 급한 사태를 처리한 후 다시 상기 전화기(10)를 사용하게 될 경우, 다시 상기 키입력부(21)의 번호 버튼을 누르게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 다이얼링 하기 위해 입력한 번호를 저장하여 대기상태로 있다가 나중에 다시 그 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입력번호 대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용전화기 11 : 안테나
12 : 저잡음증폭부 13 : 복조부
14 : 베이스밴드처리부 15 : LAPDm처리부
16 : 스피커 17 : 마이크로폰
18 : 음성처리부 19 : 변조부
20 : 증폭부 21 : 키입력부
22 : 표시부 23, 33 : 제어부
24 : 프로그램메모리 25 : 데이터메모리
31 : 키입력부 31a : 기능키
32 : 입력데이터메모리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단계,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표시된 번호의 저장 대기를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키 입력단계, 저장 대기의 기능키 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표시된 번호를 입력데이터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기능키의 재입력이 있게 되면 입력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입력데이터 대기장치는 동작상태를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의 입력 및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여 대기상태로 있도록 하는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입력데이터저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후 대기상태의 기능키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를 입력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이후 대기상태의 기능키가 재입력되게 되면 상기 입력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위해 번호를 입력한 후 전화기를 오프시키게 되더라도, 이후에 다시 전원을 온 시켜 대기상태 기능키를 입력하게 되면 전에 입력한 전화번호가 표시부를 통해 다시 표시되게 되어 그 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시 번호를 입력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입력데이터 대기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31은 전화번호의 입력 및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여 대기상태로 있도록 하는 기능키(31a)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이고, 32는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입력데이터메모리, 33은 상기 키입력부(31)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상기 표시부(22)를 통해 표시된 후 대기상태 기능키(31a)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표시부(22)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를 입력데이터메모리(32)에 저장하고, 이후 대기상태 기능키(31a)가 재입력되게 되면 상기 입력데이터메모리(32)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22)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와 도 3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ST1 단계),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31)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ST2 단계), 제어부(33)는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표시부(22)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ST3 단계).
이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31a)를 입력하지 않고(ST4 단계) 상기 키입력부(31)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SEND키를 입력하게 되면(ST5 단계), 제어부(33)는 상기 표시부(22)에 표시된 번호 데이터에 대응되는 다이얼링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T6 단계).
이후, 제어부(33)는 상기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한 후 통화에 관련된 통상적인 제어처리를 수행한 후 종료하게 된다(ST7 단계).
한편, 상기 키입력부(31)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표시부(22)를 통해 표시된 후,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31)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31a)를 입력하게 되면(ST4 단계), 제어부(33)는 상기 표시부(22)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메모리(32)에 저장하게 된다(ST8 단계).
이후, 사용자가 다른 급한 볼 일 등을 보기 위해 전원 온/오프키를 통해 오프시키게 되는 이유 등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게 되면 전화기의 모든 기능이 종료되게 된다(ST9 단계).
한편, 상기 ST2 단계에서 전화기가 온 되어 전화번호의 키입력이 없고 곧바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키(31a)이 입력이 있게 되면(ST10 단계), 제어부(33)는 입력데이터메모리(32)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부(22)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ST11 단계).
그리고, 상기 ST5 단계로 복귀하여 다이얼링에 관한 기능 등을 수행하는 통상적인 제어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대기 상태로 설정해 놓게 되면 나중에 다시 그 전화번호를 재입력하지 않고 기능키 하나만의 입력으로 그 번호를 재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 실시하였으나 이동전화단말기나 그밖에 다른 전화기 등에도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얼링 하기 위해 입력한 번호를 저장하여 대기상태로 있다가 나중에 다시 그 번호로 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단계,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표시된 번호의 저장 대기를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키 입력단계,
    저장 대기의 기능키 입력이 있게 되면 상기 표시된 번호를 입력데이터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기능키의 재입력이 있게 되면 입력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표시부를 통해 표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2. 동작상태를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의 입력 및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여 대기상태로 있도록 하는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입력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입력데이터저장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후 대기상태 기능키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를 입력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이후 대기상태 기능키가 재입력되게 되면 상기 입력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입력데이터 대기장치.
KR1019970026898A 1997-06-24 1997-06-24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KR100245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898A KR100245625B1 (ko) 1997-06-24 1997-06-24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898A KR100245625B1 (ko) 1997-06-24 1997-06-24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96A KR19990003096A (ko) 1999-01-15
KR100245625B1 true KR100245625B1 (ko) 2000-02-15

Family

ID=1951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898A KR100245625B1 (ko) 1997-06-24 1997-06-24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6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96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942B1 (en) Telephone apparatus adaptable to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JP2606142B2 (ja) ディジタル携帯電話機
JPH04345349A (ja) 無線電話装置
US5893032A (en)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answering machine
KR100245625B1 (ko)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KR0171440B1 (ko) 통화중 통화 메세지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 무선전화기 및 그의 메세지 저장 방법
KR20000020178A (ko) 이동단말기의 통화곤란시 메시지 전송방법 및 그 장치
KR100215726B1 (ko) 모드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9980059169A (ko) Gsm단말기를 이용한 차량도난경보방법 및 장치
KR100240058B1 (ko) 특수서비스 메뉴 실행 기능을 갖는 전화단말기 및 그 실행 방법
KR19990001251U (ko) 설정번호 부가 다이얼링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19980053596A (ko) 전화단말기의 차순번호 자동다이얼링 방법 및 장치
KR19980075312A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단말기
KR100226222B1 (ko) 이어-마이크 접속 감지를 통한 자동 착신전환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9990025785A (ko)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JP2001028617A (ja) 通信端末装置
KR19980075311A (ko) 미니 다이얼식 휴대용 전화단말기
KR100227331B1 (ko) 휴대폰에서의 발신방법
KR19990062272A (ko) 착신음 소거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2006006886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KR19980059141A (ko) 이동전화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메모방법
KR19990048225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시각장애자를 위한 음성안내장치 및 그 방법
KR100705506B1 (ko) 헤드폰용 이동 단말기
KR100217225B1 (ko)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JP2003115920A (ja) 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