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785A -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785A
KR19990025785A KR1019970047563A KR19970047563A KR19990025785A KR 19990025785 A KR19990025785 A KR 19990025785A KR 1019970047563 A KR1019970047563 A KR 1019970047563A KR 19970047563 A KR19970047563 A KR 19970047563A KR 19990025785 A KR19990025785 A KR 1999002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key input
input unit
function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형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4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785A/ko
Publication of KR1999002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785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들에 대해서는 지역번호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지역번호를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된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은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메모리가 갖추어진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설정되는 번호 데이터를 메모리에 등록시켜 두었다가 다이얼링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기능의 실행명령이 입력되게 되면, 상기 등록설정된 번호 가운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이얼링 번호 데이터와 일치되는 번호를 색인하여 일치되는 번호로서 확인된 전화번호를 일련번호에 대응시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 가운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의 일련번호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호접속이 실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되어있는 전화번호들에 대해서는 지역번호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지역번호를 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된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휴대형 통신단말기가 개발되어 일반화되고 있다.
휴대형 통신단말기는 그 기기의 특성상 사무실이나 옥내에서 보다는 외부에서 주로 사용되게 되고, 특히 차량을 운전하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조작방법을 가능한 단순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사안을 고려하여 최근의 일부 통신단말기에 있어서는 특정 지역의 지역번호를 통신단말기에 등록시켜 두고 등록된 지역번호에 속한 가입자를 호출할 경우에 한하여 지역번호를 누르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된 통신단말기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통신단말기에 있어서는 현재 등록설정된 지역번호에 대해서만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이 적용되게 되므로 타지역으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는 자주 사용하는 번호임에도 불구하고 사용할 때마다 지역번호를 눌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호출가입자가 피호출가입자와 동일 지역번호의 구역내에서 전화를 걸 때에도 매번 지역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에 많은 부족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고, 이를 근거로 메모리에 등록된 전화번호들에 대해서는 지역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번호만을 입력하여도 지역번호를 포함하여 다이얼링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된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2는 도1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챠트.
도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2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저잡음증폭부,
3 : 복조부, 4 : 베이스밴드처리부,
5 : LAPDm처리부, 6 : 스피커,
7 : 마이크로폰, 8 : 음성처리부,
9 : 변조부, 10 : 증폭부,
11 : 키입력부, 12 : 표시부,
13 : 프로그램메모리, 14 : 데이터메모리,
15 : 전화번호저장부, 16,26 : 제어부,
17 : 안내메시지 저장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은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메모리가 갖추어진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설정되는 번호 데이터를 메모리에 등록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단계와, 다이얼링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기능의 실행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키 입력 확인단계, 상기 자동 다이얼링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게 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단계에서 등록설정된 번호 가운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이얼링 번호 데이터와 일치되는 번호를 색인하는 전화번호 색인단계, 일치되는 번호로서 확인된 전화번호를 일련번호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표시단계,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 가운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의 일련번호를 선택하도록 하는 전화번호 선택 안내단계, 및 이 전화번호 선택 안내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호접속을 실행하는 호접속 실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기능 통신단말기는 다수의 숫자키와 이 숫자키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근거로 기지국측으로 호접속요구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출키 및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이 키입력부를 통한 데이터 입력 및 장치전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등록설정한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부, 다이얼링시 상기 키입력부에 구비된 기능키가 선택되게 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번호데이터 가운데 다이얼링 된 번호데이터와 일치되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 가운데 하나가 선택되게 되면 그 선택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근거로 호접속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전에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하여 두고, 다이얼링시 이를 근거로 기등록된 전화번호를 색인함으로써 기등록된 번호에 한하여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할때마다 매번 지역번호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로서, 예컨대 본 발명을 GSM 방식에 따른 통신단말기에 적용한 경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이고, 2는 이 안테나(1)로부터 송신되어 온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ow Noise Amplifier)등으로 구성된 저잡음증폭부, 3은 이 저잡음증폭부(2)를 통해서 입력된 주파수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4는 상기 복조부(3)와 이후에 설명할 변조부(9)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GSM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코딩(Block Coding) 및 콘벌루션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 5는 기지국과 LAPDm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게 되는 제어데이터를 처리하는 LAPDm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6은 상대국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고, 7은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서 변환입력하는 마이크로폰, 8은 상기 마이크로폰(7)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4)를 통해서 인가된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6)로 출력하는 등의 음성처리를 실행하는 음성처리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9는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4)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이고, 참조번호 10은 이 변조부(9)에서 변조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1은 통상의 통신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10-키와, 입력한 전화번호를 기지국에 대해 송신하기 위한 송출키(Send Key) 등을 구비함과 더불어,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모드전환기능키 및 전화번호 등록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이고, 12는 상기 키입력부(11)에 의한 장치의 조작상태 및 장치전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3은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16)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이고, 14는 상기 제어부(16)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처리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 15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지역번호 포함)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전화번호저장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6은 장치전반의 동작을 제어함과 더불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동작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도2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위하여 자주 통화하게 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등록시켜 두게 되는 바,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에 구비된 전화번호 등록키(도시되지 않음)를 선택한 후, 10-키를 조작하여 지역번호를 포함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전화번호등록키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6)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번호데이터를 상기 전화번호저장부(15)에 저장함으로써 해당번호를 등록시켜 두게 된다.
상기한 절차를 반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이용하는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저장부(15)에 등록시켜둘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그 수효는 메모리의 용량이 허용되는 범위까지 가능하며,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는 개수의 번호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최초 등록된 번호부터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정을 통한 전화번호 등록 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후 사용자가 단말기의 통화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6)는 기지국에 대해 통상의 등록절차를 수행하여 임의의 상대 통화자와 상호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화가능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ST1).
상기 통화가능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 통화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ST2), 제어부(16)는 이후 사용자가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를 입력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T3).
판단결과,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6)는 입력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전화번호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들을 끝자리번호부터 스캐닝(Scanning)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와 비교하게 된다(ST4).
비교결과, 전화번호저장부(15)에 사용자 입력번호의 끝자리번호와 일치하는 전화번호의 존재유무를 확인하고(ST5),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표시부(12)를 통해 '일치하는 번호가 없습니다. 다시 확인하시고 입력하여 주십시오.' 등의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ST6).
한편, 상기 ST5단계에서 일치하는 번호가 존재하게 되면, 제어부(16)는 일치하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고 표시부(12)를 통해 일치하는 번호 앞에 일련번호를 부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T7)
이후, 일치되는 전화번호의 갯수를 확인하게 되는 바(ST8), 일치되는 전화번호가 1개이면 일치되는 번호에 대한 호출신호를 기지국측으로 송출함으로써 호설정동작을 실행하고, 일치하는 번호가 2개 이상이면 사용자가 표시부(12)에 표시된 전화번호 가운데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번호의 일련번호를 선택하게 하여(ST9), 선택된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하고(ST10), 해당 번호에 대한 호출신호를 기지국측으로 송출함으로써 호설정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ST11).
상기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통상의 전화통화를 하게 되는 바(ST12), 제어부(16)는 통화가 종료되면 장치전반을 초기화시키고 대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ST3단계에서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6)는 통상의 호접속 실행시와 마찬가지로 송출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ST13), 송출키가 입력되었으면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송출하여 통상의 전화통화를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실시예에 의하면 전화번호 입력시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둔 지역번호를 포함한 전화번호를 일일이 다이얼링 하지 않고도 송출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로서는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15)에 새롭게 등록시켜 두어야 할 번호가 있을 때마다, 상기한 전화번호 등록동작을 일일이 실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바, 제때에 저장하지 않은 이유로 전화번호를 잊어버리거나 혹은 메모된 전화번호를 분실하게 될 우려가 있게 된다.
이에, 2실시예는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일일이 등록시키지 않더라도 새롭게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된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의 통신단말기에는 새롭게 입력된 전화번호의 자동 등록기능을 위한 안내메시지 저장부(17)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어, 도4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도3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기능키를 선택함으로써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26)가 상기 전화번호저장부(15)에 저장된 번호 가운데 입력된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번호가 존재할 경우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은 상기 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전화번호저장부(15)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의 존재 유무판단단계(ST5)에서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6)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1)를 통해 입력한 전화번호를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입력된 전화번호에 지역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ST60).
이때, 지역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게 되면(ST61), 제어부(16)는 상기 안내메시지 저장부(17)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표시부(12)를 통해 지역번호 입력요구 메시지를 출력하게 되고(ST62), 이후 사용자가 지역번호를 입력하게 되면(ST63), 그 입력된 지역번호를 상기 ST60단계에서 표시된 전화번호 앞에 부가하여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표시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저장부(15)에 등록저장하게 된다(ST64).
이후, 송출키가 입력되게 되면, 통상의 호설정 동작이 실행되게 되며, 통화가 종료되면 제어부(16)는 장치전반을 초기화함과 더불어 대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아래 표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번호 전화번호
1 02-3456-1234
2 032-3456-1234
3 02-1234-1234
4 0348-124-3578
5 02-678-3690
6 02-3779-0114
... ...
우선, 첫 번째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124-3578'이 입력되고 이어 기능키가 선택되게 되면, 제어부(26)는 전화번호저장부(15)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뒷자리부터 비교하게 된다. 즉, 8-7-5-3-4-2-1의 순으로 비교하고, 이 경우 4번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하므로 자동으로 '0348-124-3578'을 표시부(12)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두 번째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3456-1234'이 입력된 상태에서 기능키가 눌려지게 되면, 제어부(26)는 전화번호저장부(15)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저장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두 가지이므로 두가지 모두 표시부(12)에 출력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만 다시 표시부(12)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한다. 즉, 1 : 02-3456-1234, 2 : 032-3456-1234를 표시부(12)에 출력하여 만일 사용자에 의해 '2'가 선택 입력되게 되면, '032-3456-1234'를 표시부(12)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세 번째 예는 사용자에 의해 '1234'가 입력된 상태에서 기능키가 선택된 경우인 바, 제어부(16)는 뒷자리부터 전화번호저장부(15)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저장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세 가지이므로 세가지 모두 표시부(12)에 출력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만 다시 표시부(12)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하도록 한다. 즉, 1 : 02-3456-1234, 2 : 032-3456-1234, 3 : 02-1234-1234과 같이 표시하게 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만 표시부(12)를 통해 다시 출력하게 된다.
또한, 네 번째 예는 사용자에 의해 '0346-1234-1234'가 입력되고 기능키가 눌려진 경우이다. 이때에는 전화번호저장부(15)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없으므로 제어부(26)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번호만 표시부(12)에 표시하고 이를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15)에 신규번호로서 등록저장하게 된다.
즉, 상기 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15)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번호가 입력되게 되면, 이를 자동으로 신규번호로서 등록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신규번호를 일일이 등록설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시 지역번호를 누르게 되는 불편함을 덜 수 있도록 된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메모리가 갖추어진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설정되는 번호 데이터를 메모리에 등록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단계와,
    다이얼링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기능의 실행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키 입력 확인단계,
    상기 자동 다이얼링기능 실행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게 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단계에서 등록설정된 번호 가운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다이얼링 번호 데이터와 일치되는 번호를 색인하는 전화번호 색인단계,
    일치되는 번호로서 확인된 전화번호를 일련번호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표시단계,
    상기 표시된 전화번호 가운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의 일련번호를 선택하도록 하는 전화번호 선택 안내단계, 및
    이 전화번호 선택 안내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호접속을 실행하는 호접속 실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색인단계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지역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지역번호를 포함한 전화번호가 입력되게 되면 해당 번호를 메모리에 신규번호로서 등록저장하는 전화번호 자동 등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3. 다수의 숫자키와 이 숫자키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근거로 기지국측으로 호접속요구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출키 및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가 구비된 키입력부와,
    이 키입력부를 통한 데이터 입력 및 장치전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등록설정한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부,
    다이얼링시 상기 키입력부에 구비된 기능키가 선택되게 되면 상기 전화번호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는 번호데이터 가운데 다이얼링 된 번호데이터와 일치되는 번호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표시된 전화번호 가운데 하나가 선택되게 되면 그 선택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근거로 호접속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KR1019970047563A 1997-09-18 1997-09-18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KR19990025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563A KR19990025785A (ko) 1997-09-18 1997-09-18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563A KR19990025785A (ko) 1997-09-18 1997-09-18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785A true KR19990025785A (ko) 1999-04-06

Family

ID=6604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563A KR19990025785A (ko) 1997-09-18 1997-09-18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7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304A (ko) * 2000-09-05 2002-03-12 윤종용 전화 단말장치의 지역번호 자동변환방법
KR20030043419A (ko) * 2001-11-28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자동 지역 번호 설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304A (ko) * 2000-09-05 2002-03-12 윤종용 전화 단말장치의 지역번호 자동변환방법
KR20030043419A (ko) * 2001-11-28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자동 지역 번호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10005A1 (en) Method for performing voice dialing through ear-microphone in a mobile terminal
KR19990025785A (ko)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346226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 자동 문자 메시지 응답 방법
KR100240058B1 (ko) 특수서비스 메뉴 실행 기능을 갖는 전화단말기 및 그 실행 방법
JP3229803B2 (ja) 携帯電話機
KR20000020178A (ko) 이동단말기의 통화곤란시 메시지 전송방법 및 그 장치
KR100245625B1 (ko) 전화기의 입력번호 다이얼 대기방법 및 그 장치
KR100215726B1 (ko) 모드설정에 의한 자동 착신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00667352B1 (ko)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198210B1 (ko) 발신자 번호 기록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01251U (ko) 설정번호 부가 다이얼링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KR19980053596A (ko) 전화단말기의 차순번호 자동다이얼링 방법 및 장치
KR1006060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전화번호 자동설정방법
KR100227331B1 (ko) 휴대폰에서의 발신방법
JP3163574B2 (ja) 無線呼出受信機
KR100272010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스피드 다이얼링 시 지역번호 자동삭제 및 추가 방법
KR100259270B1 (ko) 지역번호 자동 선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방법
KR100258688B1 (ko) 이동단말기의 파워 온시 네트워크 서비스상태 표시장치 및 그표시방법
KR100217225B1 (ko)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9980075311A (ko) 미니 다이얼식 휴대용 전화단말기
JPH09154175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00015421U (ko) 단순구조의 키패드를 갖춘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6886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표시 및 편집 방법
KR19990062272A (ko) 착신음 소거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