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21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216B1
KR100638216B1 KR1020050017674A KR20050017674A KR100638216B1 KR 100638216 B1 KR100638216 B1 KR 100638216B1 KR 1020050017674 A KR1020050017674 A KR 1020050017674A KR 20050017674 A KR20050017674 A KR 20050017674A KR 100638216 B1 KR100638216 B1 KR 100638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input
phone number
mobile communication
shor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526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216B1/ko
Priority to CNA2006100034696A priority patent/CN1829249A/zh
Publication of KR2006009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번호를 단축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단축된 전화번호 인지 판단하는 제 1단계와, 단축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전화번호의 첫자리에 '0'을 자동 삽입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연결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서, 전화번호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앞자리 '0'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단축된 전화번호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0'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하지 않더라도 전화통화가 가능하여 번호 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단축번호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Dial numb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마이컴 11: 전화번호 식별부
12: 통화 처리부 20: 메모리
21: 전화번호부 30: 통신모듈
40: 키입력부 50: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상기 전화번호가 단축되어 입력되더라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그에 상응하여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도록 구현된 이동 단말기기는 전화번호를 손쉽게 다이얼링 할 수 있도록 단축 다이얼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축 다이얼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 외에도 일반 유선 전화기에서도 구현되며, 0 내지 9까지의 숫자 버튼 또는 0 내지 99 까지의 숫자버튼 각각에 대응하여 전화번호 메모리하여 설정함으로서 상기 0 내지 99의 숫자 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원터치 다이얼'이라는 방식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숫자 버튼을 1초이상 길게 입력하고 있으면 상기 입력된 숫자 버튼에 대응하여 저장된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다이얼링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단축버튼을 설정하는 경우에만 사용가능하며, 통상적인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누르고,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 통화를 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해야만 통화가 가능하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번호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앞자리의 '0'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전화번호에 '0'이 자동 삽입되도록 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단축된 전화번호 인지 판단하는 제 1단계와, 단축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전화번호의 첫자리에 '0'을 자동 삽입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연결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30)과, 키버튼 조작을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키입력부(40)와, 상기 키입력부(40)에 의한 입력상태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50)와, 다수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메모리(20)와, 상기 키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에 대해 단축된 전화번호 인지 판단하여 상기 통신모듈(30)을 통해 통화가 수행되도록 하는 마이컴(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40)는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어, 각 키버튼 조작에 따라 일정 신호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인가함으로서 문자 또는 숫자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통신모듈(30)은 상기 키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의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마이컴(10)에 의해 호처리되는 음성통화에 대해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서 이동통신 망을 통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 및 기능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특히 다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화번호부(21)는 다수의 전화번호 외에도, '1588', '1544'등과 같은 전국대표번호 또는 '114'등과 같은 긴급통화번호 등을 예외번호목록으로 별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예외번호목록은 전화번호에 특정 국번이 없거나, 전화번호가 '0' 으로 시작되지 않는 특수번호가 예외로 설정되어 별도로 저장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추가, 수정, 삭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키입력부(4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그에 따른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키입력부(40)에 의해 입력되는 전화번호에 대하여 상기 입력된 전환번호가 단축된 전화번호인지 판단하는 전화번호 식별부(11)와, 상기 단축된 전화번호에 따른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화처리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11)는 상기 키입력부(40)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데이터를 판독하고, 숫자로 구성되는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자리가 '0'인지 판단한다.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11)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0'으로 시작되는 경우에는 일반 전화번호로 판단하여 상기 통화처리부(12)로 전달하며,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0'이외의 숫자로 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단축된 전화번호로 판단한다.
상기 통화처리부(12)는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11)의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에 따른 통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통신모듈(20)을 통해 신호가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화처리부(12)는 상기 전화번호 식별부(11)에 의해 단축된 전화 번호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부(21)에 기 저장된 예외번호목록을 검색한다.
상기 통화처리부(11)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앞자리 일부만을 상기 예외번호목록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예외 설정된 전화번호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통화처리부(11)는 예외 설정된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통신모듈(30)로 전달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그대로 통화가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화처리부(11)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15881212'인 경우에는 앞자리 '1588'을 상기 예외번호 목록으로부터 검색하여 검색결과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라 통화가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화처리부(11)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0'이외의 숫자로 시작되며, 또한 상기 예외번호목록에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단축된 전화번호로 판단하여, 상기 전화번호의 앞자리에 숫자 '0'이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통화처리부(11)는 상기와 같이 단축된 전화번호에 '0'을 삽입하여 상기 통신모듈(30)로 전달하여 통화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화처리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40)를 통해 '1912341234'라는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를 단축된 전화번호로 판단하여 앞에 '0'이 자동 삽입되도록 하고, '01912341234'에 대하여 통화가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사업자 식별번호, 지역번호 등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앞자리 '0'을 입력하지 않고도 입력된 전화번호를 판별하여 자동으로 앞자리에 '0'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키버튼 조작에 따라 일정 자릿수의 전화번호가 입력된다. (S1)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연결을 수행하기 전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단축된 전화번호 인지 판단한다. (S2, S3)
이때,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 앞자리의 숫자가'0'인지 '0'이외의 숫자인지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단축된 전화번호인지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화번호가 '1912341234' 또는 '15881234'등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 자리가 '0'이외의 숫자로 시작되므로 단축된 전화번호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앞자리가 '0'으로 시작되는 경우에는 일반 전화번호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따라 상대방과의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단축된 전화번호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 의 앞자리 중 일정자리 예를 들어, 3 내지 4 자리의 수에 대하여 메모리에 기 저장된 예외번호목록을 검색한다. (S4)
이때, 상기 전화번호의 앞자리가 상기 예외번호목록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를 예이 설정된 전화번호로 판단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따른 통화연결이 수행되도록 한다. (S5)
또한,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예외번호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화번호를 단축된 전화번호로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앞자리에 숫자'0'이 자동으로 삽입된다. (S6)
이때, 상기 예외번호목록은 전국대표전화 등과 같이 전화번호가 '0'으로 시작되지 않는 전화번호이며, 예를 들어 '1588', '1542' 등의 전국대표번호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업자에 따른 고객센터로 전화 연결을 위한 '114'등과 같은 전화번호가 예외 설정되는 전화번호 이다.
즉, 상기 '15881234'는 전국대표전화이므로 상기 예외번호 검색을 통해 예외 설정된 전화번호로 판단되어 별도의 숫자 삽입없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대로 통화가 수행되게 된다.
또한, 상기 '1912341234'는 '0'이외의 숫자로 시작되며, 상기 예외번호목록에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단축된 전화번호로 판단되고, 상기 전화번호의 앞자리에 숫자 '0'이 자동으로 삽입되어 '01912341234'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된 전화번호에 '0'이 삽입되어 변환돈 전화번에 따라 상대방과의 통화 연결이 수행된다.
따라서, 전화번호의 앞자리 '0'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와 같이 단축된 전화번호인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0'이 자동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화통화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은 전화번호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앞자리 '0'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단축된 전화번호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0'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하지 않더라도 전화통화가 가능하여 번호 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단축된 전화번호 인지 판단하는 제 1단계와;
    단축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전화번호의 첫자리에 '0'을 자동 삽입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통화연결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첫 자리가 '0'이 아닌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단축된 전화번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단축된 전화번호 인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예외번호목록을 검색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전화번호가 예외 설정된 번호인지 판단하는 제 2과정과;
    예외 설정된 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전화번호 앞자리에 '0'을 삽입하고, 예외 설정된 번호인 경우 별도의 번호 삽입 없이 상기 제 3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설정된 번호는 전국대표번호 등과 같이 전화번호가 '0'으로 시작되지 않는 번호로서 상기 메모리의 예외번호목록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KR1020050017674A 2005-03-03 2005-03-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KR100638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74A KR100638216B1 (ko) 2005-03-03 2005-03-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CNA2006100034696A CN1829249A (zh) 2005-03-03 2006-02-10 移动通信终端的电话号码输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74A KR100638216B1 (ko) 2005-03-03 2005-03-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26A KR20060098526A (ko) 2006-09-19
KR100638216B1 true KR100638216B1 (ko) 2006-10-26

Family

ID=3694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674A KR100638216B1 (ko) 2005-03-03 2005-03-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8216B1 (ko)
CN (1) CN18292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33A (ja) 1996-07-26 1998-02-13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電話機における局番自動入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2033A (ja) 1996-07-26 1998-02-13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電話機における局番自動入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26A (ko) 2006-09-19
CN1829249A (zh)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2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JP2933058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238705B1 (ko) 전화기에서 국제 전화번호 다이얼링 방법
KR100696095B1 (ko) 전화번호들 선택 개선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703390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및 장치
US20040047457A1 (en) Dialing apparatus for international prepaid phone card
KR19990031009A (ko) 전화기에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JPH0376356A (ja) 人声認識携帯電話機
KR100608828B1 (ko) 단축다이얼 전화번호 등록방법
KR10066961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화번호 종류 분류 방법
KR100700289B1 (ko) 핸드폰의 전화 걸기 방법
AU4612999A (en)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KR10070267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및 시스템
KR100247041B1 (ko) 전화번호의 특정 자릿수 탐색에 의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KR20060058498A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526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100247239B1 (ko) 전화번호 저장이 가능한 전화기, 그 전화번호의 저장방법 및 그 저장된 전화번호로 피호출자의 호출방법
KR100629206B1 (ko) 이니셜 입력에 의한 자동 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H1024307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携帯端末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KR100585787B1 (ko)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KR100724409B1 (ko) 통신 단말의 단축 키 등록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이용한통신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
KR19980085645A (ko) 이동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다이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