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914B1 -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권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914B1
KR100369914B1 KR10-1998-0022850A KR19980022850A KR100369914B1 KR 100369914 B1 KR100369914 B1 KR 100369914B1 KR 19980022850 A KR19980022850 A KR 19980022850A KR 100369914 B1 KR100369914 B1 KR 100369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wire rod
winding
nozzl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431A (ko
Inventor
겐 사루타
Original Assignee
니토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1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 H01J2209/2366Machines therefor, e.g. winding, forming, weld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선재를 권선 틀의 소정의 권선 위치에 정확히 안내할 수 있고, 코일(편향 요크)의 형상 및 특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권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해결 수단으로서, 이동 장치(15)에 의해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선재 공급 장치(20)의 선단에 노즐(21)을 지지하는 노즐 지지부(23)를 회전 가능하게 핀결합하여, 정상 상태에서는 회전을 자유롭게해 둠과 동시에, 이 노즐 지지부(23)의 기단에 설치된 톱니 바퀴(25)에 착탈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부재(26)를 구비하여, 노즐 지지부(23)의 회전 각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권선 틀(1)의 작은 직경 개구부(3)부근에서의 권선 작업에 있어서, 선재(9)를 걸어 안내하는 하측 훅크장치(50)의 훅크(51) 양측에 판 부재(55)를 회전 가능하게 감기게 하고, 훅크(51)로부터의 선재(9)의 릴리스시에는, 회전하는 판부재(55)로써 선재(9)를 밀어내도록 한다.

Description

권선 장치
본 발명은 편향 요크(yoke) 권선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선재를 권선 틀의 소정의 권선 위치에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편향 요크를 제조하는 권선 장치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평 6-325963호 공보, 특개평 7-220636호 공보, 특개평 5-258669호 공보 등에 제안이 되어 있다.
이러한 권선 장치로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큰 직경 개구부(2)와 작은 직경 개구부(3)를 각각 구비한 깔때기 형상(나팔 모양)의 권선틀(편향 요크틀)(1)에, 도시되지 않은 이동 가능한 노즐로부터 풀려지는 선재를 감아 편향 요크를 형성한다. 이 경우, 이동 가능한 노즐이 큰 직경 개구부(2)로부터 도입되어 작은 직경 개구부(3)를 뚫고 나갈 때까지 하강함에 따라서, 이 이동식 노즐로부터 풀려진 선재는 권선 틀(1)의 내주(內周)를 종방향으로 종단하여 형성된 복수의 슬릿홈(4)의 한개를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이 선재는 작은 직경 개구부(3)에 설치된 복수의 빗모양 걸기 부재(5) 사이와, 작은 직경 개구부(3)의 개구단(테두리) 외주를 따라 형성된 원주홈(6)에 이음 장치(훅크장치)를 사용해 감겨진다. 계속해서, 이동식 노즐은, 작은 직경 개구부(3)측에서 큰 직경 개구부(2)측으로 상승하고, 선재는 슬릿홈(4)으로부터 큰 직경 개구부(2)에 설치된 걸기 부재(7)사이와, 큰 직경 개구부(2)의 개구단 외주를 따라 형성된 원주홈(8)에 걸어 감긴다. 이러한 권선 작업을 순차적으로 되풀이 하여 행함으로써,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향 코일이 형성된다.
도 20, 도 2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구부(2, 3) (특히 하측에 배치되는 작은 직경 개구부(3))에 있어서의 이음 작업에 쓰이는 이음 장치(훅크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훅크장치(100, 102)에서는, 갈고리부(101, 103)에서 선재(9)를 걸어 안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훅크장치(100, 102)는 이 갈고리부(101, 103)로부터 선재(9) 를 떼는 기구를 특히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음 작업 종료후에는 갈고리부(101, 103)자체를 각각 원호 운동 또는 원 운동시킴으로써, 선재(9)를 릴리스하고, 그 릴리스 위치로부터 슬릿홈(4)으로 선재(9)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릴리스 작업에서는 아무리 해도 갈고리부(101, 103)가 선재(9)를 끌게되는 결과, 선재(9)의 릴리스 위치는 불안정해져서, 슬릿홈(4)으로 안내를 정확히 할 수 없을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편향 요크의 형상 및 특성이 이 부정확만큼 불안정하게 되었다.
또한, 상술의 종래의 권선 장치에서는, 선재를 푸는 노즐은 선재가 감겨질 장소를 이동하기 때문에, 편향 요크(10)의 형상을 따라 대략 사각형 모양의 움직임을 한다. 이 경우, 노즐로부터 풀려지는 선재에는 장력(tension)이 가해지지만, 선재의 권선이 정확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 장력이 대략 소정의 크기로 안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권선 장치에서는, 권선 작업중에 노즐의 선재의 풀어냄 끝은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선재풀기 끝이 아래 쪽을 향하고 있으면, 노즐이 하강하여 갈 때에 선재는 선재풀기 끝으로부터 약 180도 꺾어지는 형태로 풀려지고, 선재와 노즐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선재에 걸리는 장력이 증대하고 만다. 이와 같이 종래의 권선 장치에서는, 선재에 걸리는 장력이 권선 위치에 의해 변하며, 이것도 편향 요크 형상 및 특성의 불안정의 원인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선재를 권선 틀의 소정의 권선 위치에 정확히 안내할 수 있고, 코일(편향 요크)의 형상 및 특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권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재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권선 틀에의 권선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지지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편향 요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권선 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종래의 훅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종래의 훅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권선 틀 2: 큰 직경 개구부
3: 작은 직경 개구부 4: 슬릿홈
5, 7: 걸기 부재 6, 8: 원주홈
9: 선재 10: 편향 요크
11: 장력 장치 12: 권선 틀 지지부
제 1의 발명은,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선재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이 선재 공급 장치에 지지된 노즐로부터 풀려진 선재를 권선 틀에 감는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 공급 장치에 상기 노즐을 정상 상태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이 노즐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제 2 발명은,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노즐과, 이 노즐로부터 풀려진 선재를 걸어 권선 틀의 소정 위치에 안내하는 훅크장치를 구비한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장치는 선재를 건 갈고리의 선단부를 갖는 훅크과, 이 훅크의 측부를 따라 회전 가능한 판부재와, 이 판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훅크로부터 선재를 릴리스할 때에는 상기 판부재를 회전시켜 선재를 밀어낸다.
제 3 발명은,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노즐과, 이 노즐로부터 풀려진 선재를 걸어 권선 틀의 소정 위치에 안내하는 훅크장치를 구비한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장치는 선재를 거는 갈고리형 선단부를 갖는 훅크와, 이 훅크의 측부를 따라 배치된 판부재와, 이 판부재에 대하여 상기 훅크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훅크로부터 선재를 럴리스할 때에는 상기 훅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판부재에 닿는 선재가 상기 훅크로부터 떼어지도록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노즐은 선재 공급 장치와 함께 제조되는 코일 형상을 따라 이동하지만, 노즐은 선재 공급 장치에 대하여 정상 상태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은 자연스럽게 저항이 적은 쪽으로 선재 풀기 끝이 향하는 결과, 노즐과 선재 사이에 쓸데없는 마찰이 생기는 일은 없다. 따라서, 노즐로부터 풀려지는 선재에는 권선 작업중에 장력이 쓸데없이 높아지거나 하는 일 없이, 권선이 정확히 행하여지는 결과, 권선 형상 및 특성이 향상된다.
제 2 발명에서는, 권선 작업의 소정의 공정에서, 선재는 훅크장치의 훅크에 걸려져 안내되지만, 이 훅크장치에 의한 안내 공정이 종료하였을 때에는, 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훅크로부터 선재가 밀려 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선재의 훅크장치로부터의 릴리스 위치는 소정 위치에 안정되고, 권선 작업은 이 정확한 릴리스 위치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훅크장치로부터의 릴리스때에 선재의 권선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권선이 정확히 행하여지는 결과, 코일의 형상 및 특성이 향상된다.
제 3 발명에서는, 권선 작업 소정의 공정에서 선재는 훅크장치의 훅크에 걸려 안내되지만, 이 훅크장치에 의한 안내 공정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훅크의 회전에 의해 판부재에 닿는 선재가 훅크로부터 떼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선재의 훅크장치로부터의 릴리스 위치는 소정 위치에 안정되고, 권선 작업은 이 정확한 릴리스 위치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훅크장치로부터의 릴리스때에 선재의 권선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권선이 정확히 행하여지는 결과, 코일의 형상 및 특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 권선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되지 않은 스푸울(spool)에서 풀려진 선재(9)는 장력 장치(11)에 있어서 소정의 장력을 가한 후, 이 장력 장치(11) 아래 쪽의 선재 공급 장치(20)로 유도된다. 이 선재 공급 장치(20)는 권선 장치의 하우징에 설치된 책상 모양의 권선 틀지지부(12) 윗쪽에 배치되어 있고, 선재 공급 장치(20) 선단의 노즐(21)로부터 풀려진 선재(9)는, 권선틀 지지부(12)의 회전 부재(12A)에 개구된 구멍에 작은 직경 개구부(3)측으로부터 끼워 넣어 큰 직경 개구부(2)측을 지지하는 권선 틀(편향 요크 틀)(1)에 도입된다. 여기에서, 권선 틀(1)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이다. 그리고, 이 권선 틀(1)이 지지되는 회전 부재(12A)의 외주에는 벨트(13)가 걸려지고, 권선 틀(1)은 모터(14) 구동에 의한 벨트(13) 순환에 의해, 회전 부재(12A)와 함께 중심축 주위에서 자전하도록 되어 있다.
선재 공급 장치(20)는 이동 장치(15)에 의해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권선 틀(1)의 중심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이동 장치(15)는 권선 틀(1) 윗쪽에 거의 동축적으로 배치된 원통형상의 회전 부재(16)를 구비한다. 이 회전 부재(16)는 모터(17)에 의해 회전축(16A) 주위에서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축(16A)에 아암 형상의 선재 공급 장치(20)가 소정의 길이로 편심하여 고정됨으로써, 회전 부재(16)의 회전과 함께, 선재 공급 장치(20) 선단의 노즐(21)이 권선 틀(1)의 중심축 주위를 공전한다. 또한, 권선 틀(1)에 감기는 선재(9)는 이 회전 부재(16)의 회전축(16A)를 관통하여 선재 공급 장치(20)측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이동 장치(15)는 4개의 구성부(15A, 15B, 15C, 15D)로 이루어지며, 이 구성부(15A, 15B)는 볼 나사(18A)이고, 구성부(15B, 15C)는 볼 나사(18B)이며, 구성부(15C, 15D)는 볼 나사(18C)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3쌍의 볼 나사(18A, 18B, 18C)는 서로 직교하는 3축 방향에 연장 설치되어 있어, 각각모터(19A, 19B, 19C)로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 구동에 의해, 구성부(15B)는 볼 나사(18A)를 따라 구성부(15A)에 대하여, 또한 구성부(15C)는 볼 나사(18B)를 따라 구성부(15B)에 대하여, 또한 구성부(15D)는 볼 나사(18C)를 따라 구성부(15C)에 대하여, 각각 다른 3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술한 회전 부재(16)는 구성부(15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부재(16)에 지지된 선재 공급 장치(20)는 모터(19A, 19B, 19C)의 회전 구동 조합에 의해 임의의 3차원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동 장치(15)의 하방에서, 또한 권선 틀 지지 구멍(12)에 수용된 권선 틀(1) 측방에는, 척(chuck) 장치(39), 상측 훅크장치(40) 및 하측 훅크장치(50)를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30)가 설치되고, 이 지지 유니트(30)의 측방에는 지지유니트(30)를 3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31)가 배치된다. 이 이동 장치(31)는 상술의 이동 장치(15)와 같이, 3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에 의해 각 구성 부분을 연결하며, 이 볼 나사를 모터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구성 부분을 상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권선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된 구성 부분으로부터 가장 먼 구성 부분인 지지 유니트(30)를 임의의 3차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는 선재 공급 장치(20)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 공급 장치(20)의 본체(20A)는 중공의 아암 형상의 부재이고, 회전 부재(16)를 관통하여 유도된 선재(9)는, 이 선재 공급 장치의 본체(20A)에 부착된 복수의 풀리(22)로 안내됨으로써, 선재 공급 장치의 본체(20A)내부의 중공부를 빠져 나가, 노즐(21)로 안내된다.
이 노즐(21)을 지지하는 노즐 지지부(23)는, 선재 공급 장치 본체(20A) 선단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브래킷(24) 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핀 결합 되어 있다. 이 노즐 지지부(23)의 회전은 정상 상태에서는 자유롭고, 노즐(21)의 풀기끝 방향은 이 노즐 지지부(23)의 회전과 함께 자유롭게 각도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경우, 선재(9)는 선재 공급 장치 본체(20A)와 노즐 지지부(23)측 사이에서, 예컨대 풀리에 의해, 충분히 완만하게 만곡되어 (충분한 R를 갖고) 유도되며, 과대한 마찰이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노즐 지지부(23)의 기단측에는 노즐 지지부(23)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톱니 바퀴(25)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선재 공급 장치 본체(20A)측에서 신장되는 걸어맞춤 부재(26)가 톱니 바퀴(25)의 톱니 사이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노즐 지지부(23)의 회전 각도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부재(26)는 선재 공급 장치(20)의 기단부(基端部)에 설치된 실린더(27)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써, 이 실린더(27)의 선재 공급 장치 본체(20A)내부에 수용된 도시되지 않은 로드 선단에 연결된 것이다.
또한, 이 선재 공급 장치(20)에는 도시되지 않은 선재 유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선재(9)가 선재 공급 장치(20)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3에는 지지 유니트(30)를 상세히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지지 유니트(30)에는, 상측 훅크장치(40)와, 하측 훅크장치(50)가 서로 상하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지지되어 있다. 이 상측 훅크장치(40)와 하측 훅크장치(50)의 간격은 권선 틀(1)의 크기에 대응하여 정해지고, 상측 훅크장치(40) 또는 하측 훅크장치(50)의 한쪽이 권선 틀(1)의 큰 직경 개구부(2)측 또는 작은 직경 개구부(3)측으로 선재(9)를 안내할 때에, 다른 쪽이 권선 틀(1)을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측 훅크장치(40)는 선단이 대략 T자형의 훅크(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훅크(41)는 이동 장치(31)의 구동으로 지지 유니트(30)와 함께 임의의 3차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훅크(41) 기단의 축(42)에 고정된 풀리(43)가 모터(32)에 의해 풀리(33), 벨트(34)를 거쳐서 회전 구동됨으로써 회전하고, 선단의 T자형부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훅크(41)의 중심축과 축(42)은 편심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훅크(41)의 자전 방향을 권선의 진행 방향에 대응시키면, 훅크(41)는 자전과 함께, 중심축과 축(42)의 편심량만큼 권선 틀(1)을 따라 이동하며, 권선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상측 훅크장치(40)는 이러한 3차원 방향의 이동과 회전을 조합한 움직임에 의해, 권선 틀(1)의 큰 직경 개구부(2)측에서 걸기 부재(7)의 사이나 원주홈(8)에의 권선할 때에, T자형 선단부에 선재(9)를 걸어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측 훅크장치(50)는 선단부(51A)가 갈고리형으로 구부러진 훅크(51)을 구비한다. 이 훅크(51)도 상측 훅크장치(40)의 훅크(41)와 같이, 이동 장치(31)의 구동으로 3차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훅크(51)가 고정된 훅크 고정부(52)는 축(53)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이 축(53)에 고정된 풀리(43)가 벨트(34), 풀리(33)를 거쳐서 모터(32)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선단 갈고리형부의 각도를 바꿀 수 있다. 하측 훅크장치(50)는 이 3차원 방향의 이동과 회전을 조합한 움직임에 의해, 권선 틀(1)의 작은 직경 개구부(3)측에서 걸기 부재(5)사이나 원주홈(6)에 권선할 때에, 갈고리형 선단부에 선재(9)를 걸어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훅크(51)에는 양측으로 감도록 판부재(55)가 설치되고, 이 판부재(55)는 훅크(51)의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훅크(51)에 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판부재(55)의 기단에는 링크(56) 및 연결 부재(57)를 거쳐서 축(53)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축(53)이 모터(32)로 회전되면, 훅크(51)와 함께 판부재(55)도 회전한다.
또한, 축(53)은 훅크 고정부(52)에 대해서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축(53)은 모터(58)에 의해 링크(59)를 거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면, 연결 부재(57)가 밀려나고, 링크(56)를 거쳐 판부재(55)가 소정의 방향 (선단부(51A)의 갈고리형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훅크(51)의 선단부(51A)에 걸려 있던 선재(9)는 회전된 판부재(54)에 의해 상방에 밀려 나고, 훅크(51)와의 걸어맞춤에서 해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성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측 훅크장치(40)와 하측 훅크장치(50)는 연결되어 움직이게 되어 있지만, 상측 훅크장치(40)와 하측 훅크장치(50)의 구동 기구를 각각 설치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부재(55)는 훅크(51)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판부재를 훅크(51)쪽에만 배치해도 좋다. 결국, 판부재는 회전에 의해 선재(9)를 밀어낼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작용을 설명한다.
권선 작업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선재 공급 장치(20) 선단의 노즐(21)로부터 풀려진 선재(9)의 끝부를 척 장치(39)에 의해 잡아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재 공급 장치(20)를 권선 틀(1)의 큰 직경 개구부(2)로부터 도입하여 하강시키고, 권선 틀(1) 내주면의 슬릿홈(4)에 선재 공급 장치(20) 선단의 노즐(21)로부터 풀리는 선재(9)를 감아간다.
이 경우, 노즐 지지부(23)의 회전은 자유롭게 둔다. 이에 의해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21)의 풀기 끝은 자연스럽게 상방을 향하고, 선재(9)는 선재 공급 장치(20)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22)에 의해, 선재 공급 장치 본체(20A)에서 노즐 지지부(23)에 걸쳐, 완만한 커브를 그리면서 안내되며, 거의 180도 각도를 바꿔 노즐(21)의 풀기 끝부터 저항없이 풀려진다. 따라서, 선재(9)와 노즐(21)의 풀기 끝 사이에는 과대한 마찰력이 생기지 않고, 선재(9)의 장력이 과대하게 높아지지 않는다.
또한, 선재(9)는 선재 공급 장치(20)내에서는 풀리(22)에 의해 완만히 만곡이 가해지면서 유도되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해 선재(9)의 장력이 높아지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21)이 작은 직경 개구부(3)를 통과하는 위치까지 유도된다면, 걸어맞춤 부재(26)를 노즐 지지부(23)기단의 톱니 바퀴(25)에 걸어 맞추고, 노즐 지지부(23)의 각도를 그 때의 각도로 고정한다. 그리고, 하측 훅크장치(50)의 훅크(51)를 이동시키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크(51)의 갈고리형 선단부(51A)를 선재(9)에 건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크(51)을 상승시키고 선재(9)를 걸기 부재(5)사이를 통과시켜, 원주홈(6)쪽으로 유도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바와 같이, 권선 틀(1)을 자전시킴으로써, 원주홈(6)을 따라 권선을 행하고, 다음에 선재(9)가 통과되는 걸기 부재(5) 사이의 윗쪽까지 훅크(51)를 이동시킨다. 또한, 이 때 훅크(51)는 선단부(51A)의 갈고리형 권선 틀(1)의 자전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훅크(51)에서 선재(9)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원주홈(60)상에서 선재(9)를 유도한 후,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크(51)를 회전시켜 선단부(51A)의 갈고리형을 윗쪽으로 향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부재(55)를 회전시킴으로써 선재(9)를 윗쪽으로 밀어서 훅크(51)와 선재(9)의 걸림을 푼다. 이와 같이 선재(9)를 릴리스함으로써, 선재(9)는 훅크(51)에 끌리지 않고, 릴리스 위치 아래 쪽의 걸기 부재(5) 사이에 정확히 유도된다.
이렇게 하여 작은 직경 개구부(2)쪽에서의 권선이 종료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시 선재 공급 장치(20)를 큰 직경 개구부(2)쪽으로 상승시켜 가면서, 선재(9)를 슬릿홈(4)에 권선시킨다. 이 경우, 노즐 지지부(23)의 회전은 다시 자유롭게 해 둔다. 이것에 의해, 노즐 지지부(23)는 자연스럽게 아래 쪽을 향하고,선재(9)는 노즐(21)로부터 원활하게 풀려져 쓸데없는 장력이 걸리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21)이 큰 직경 개구부(2)의 윗쪽에 도달하면, 그 상태에서 노즐 지지부(23)의 각도를 고정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훅크(41)에 의해 선재(9)를 걸어 안내하며, 선재(9)를 걸기 부재(7)사이로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선 틀(1)를 자전시키면, 선재(9)는 원주홈(8)을 따라서 권선되고, 다음에 선재(9)가 통과될 걸기 부재(7) 사이까지 유도된다. 이 때, 선재(9)보다 윗쪽에 있는 훅크(41)로부터는 선재(9)가 자연스럽게 릴리스된다. 그 후,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재 공급 장치(20)를 다시 권선 틀(1)의 내주 쪽으로 유도하여, 도 4∼도 15에 도시한 권선 순서를 되풀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재(9)를 슬릿홈(4)에 감을 때에는, 노즐(21)의 풀기 끝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21)은 자연히 가장 저항이 없는 각도로 기울고, 노즐(21)과 선재(9)사이에 마찰력이 과대한 생기지 않으므로, 선재(9)에는 권선의 특정 개소에서 과대한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노즐(21)의 풀기 끝의 각도는 톱니 바퀴(25) 및 걸어맞춤 부재를 거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 틀(1)의 큰 직경 개구부(2) 또는 작은 직경 개구부(3)에 있어서, 걸기 부재(5 또는 7) 사이 및 원주홈(6 또는 8)에 감을 때에는, 노즐(21)로부터의 선재 풀기가 불안정하지 않고, 정확한 권선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직경 개구부(3)에 있어서 권선 작업을 하는 훅크(51)측방에는 회전 가능한 판부재(55)가 설치되고, 훅크(51)에 걸린 선재(9)를 밀어내어 릴리스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선재(9)는 릴리스때에 훅크(51)에 끌려간 위치가 어긋나는 일없이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릴리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선재(9)는 권선 틀(1)의 소정 권선 위치에 정확히 감기고, 완성한 편향 요크의 형상 및 특성은 정밀도가 높아진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비교하여 하측 훅크장치(60)의 구성만이 다르다. 즉, 이 하측 훅크장치(60)에 있어서는 훅크(62A) 양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판부재(61a, 61b)가 판부재 고정부(65)에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판부재(61a, 61b)에 대하여 훅크(6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훅크(62)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갈고리형 선단부(62A)에 도달하는 부분에는, 판부재 고정부(65)에 고정의 판부재(61a, 61b)가 양측을 따르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훅크(62)는 그 중앙 부근에 설치된 회전 지점의 주위에서 판부재(6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훅크(62)의 기단측은 링크(63) 및 연결 부재(64)를 거쳐 축부(53)와 연결되어 있고, 축부(53)의 축방향 움직임에 의해 연결 부재(54)가 밀려 나면, 링크(63)의 회전과 함께, 훅크(62)의 선단부(62A)가 판부재(61a, 61b) 하측으로 나가듯이, 훅크(62)가 회전한다. 이 경우, 선단부(62A)에 걸려 있던 선재(9)는판부재(61a, 61b)에 닿음으로써 판부재(61a, 61b)의 하측으로 가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판부재(61a, 61b)의 하측으로 가는 선단부(62A)와 분리되어, 선단부(62A)와의 걸어 맞춤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하측 훅크장치(60)의 훅크(62), 링크(63), 연결부재(64), 판부재(61), 판부재 고정부(65)는 축부(53)와 함께 회전가능하고, 훅크 선단부(62A)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훅크(62)는 하측 훅크장치(60)와 함께 3차원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같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부재를 훅크(62) 양측에 있는 한 쌍의 판부재(61a, 61b)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판부재는 도 17의 판부재(61a, 61b)가 선단측(훅크선단부(62A)쪽)에서 이어진 형상 한개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17의 판부재(61a, 61b) 어느 것인가 한쪽만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판부재는 훅크(62)가 이동한 때에 선재(9)에 닿는 훅크(62)과 선재(9)를 떼어 놓을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상관없다.
제 1 발명에서는, 노즐은 선재 공급 장치와 함께 제조되는 코일 형상을 따라 이동하지만, 노즐은 선재 공급 장치에 대하여 정상 상태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은 자연스럽게 저항이 작은 쪽으로 선재 풀기 끝이 향하는 결과, 노즐과 선재 사이에 쓸데없는 마찰이 생기는 일은 없다. 따라서, 노즐로부터풀려지는 선재에는 권선 작업중에 장력이 쓸데없이 높아지거나 하는 일 없이, 권선이 정확히 행하여지는 결과, 권선 형상 및 특성이 향상된다.
제 2 발명에서는, 권선 작업 소정의 공정에서, 선재는 훅크장치의 훅크에 걸려져 안내되지만, 이 훅크장치에 의한 안내 공정이 종료하였을 때에는, 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훅크로부터 선재가 밀려 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선재의 훅크장치로 부터의 릴리스 위치는 소정 위치에 안정되고, 권선 작업은 이 정확한 릴리스 위치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훅크장치로부터의 릴리스때에 선재의 권선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권선이 정확히 행하여지는 결과, 코일의 형상 및 특성이 향상된다.
제 3 발명에서는, 권선 작업 소정의 공정에서 선재는 훅크장치의 훅크에 걸려 안내되지만, 이 훅크장치에 의한 안내 공정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훅크의 회전에 의해 판부재에 닿는 선재가 훅크로부터 떼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선재의 훅크장치로부터의 릴리스 위치는 소정 위치에 안정되고, 권선 작업은 이 정확한 릴리스 위치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훅크장치로부터의 릴리스때에 선재의 권선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권선이 정확히 행하여지는 결과, 코일의 형상 및 특성이 향상된다.

Claims (5)

  1.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선재 공급 장치를 구비하며, 이 선재 공급 장치에 지지된 노즐로부터 풀려진 선재를 권선 틀에 감는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 공급 장치에, 권선시에 선재로부터 작용하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노즐 선단의 방향이 변화하도록 상기 노즐을 요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노즐의 요동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2.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노즐과, 이 노즐로부터 풀려진 선재를 걸어 권선 틀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훅크장치를 구비한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장치는 선재를 거는 갈고리형 선단부를 갖는 훅크와, 이 훅크의 측부를 따라 회전 가능한 판부재와, 이 판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훅크로부터 선재를 릴리스(release)할 때에는 상기 판부재를 회전시켜 선재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장치.
  3.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노즐과, 이 노즐로부터 풀어진 선재를 걸어 권선 틀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훅크장치를 구비한 권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장치는 선재를 거는 갈고리형 선단부를 갖는 훅크과, 이 훅크의 측부를 따라 배치된 판부재와, 이 판부재에 대하여 상기 훅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훅크로부터 선재를 릴리스할 때에는 상기 훅크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판부재에 닿을 선재가 상기 훅크로부터 떼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 풀려진 선재를 걸어서 권선틀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훅크 장치를 구비하고, 이 훅크 장치는 선재를 거는 갈고리형의 선단부를 가지는 훅크와, 이 훅크의 측부에 따라서 회전가능한 판부재와, 이 판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훅크로부터 선재를 릴리스할 때에는 상기 판부재를 회전시켜서 선재를 밀어내는 권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로부터 풀려진 선재를 걸어서 권선틀의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훅크 장치를 구비하고, 이 훅크 장치는 선재를 거는 갈고리형의 선단부를 가지는 훅크와, 이 훅크의 측부에 따라서 배치된 판부재와, 이 판부재에 대하여 상기 훅크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훅크로부터 선재를 릴리스할 때에는 상기 훅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판부재에 닿는 선재가 훅크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권선 장치.
KR10-1998-0022850A 1997-07-10 1998-06-18 권선장치 KR100369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85040 1997-07-10
JP18504097 199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31A KR19990013431A (ko) 1999-02-25
KR100369914B1 true KR100369914B1 (ko) 2003-04-10

Family

ID=1616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850A KR100369914B1 (ko) 1997-07-10 1998-06-18 권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69914B1 (ko)
CN (2) CN1516218A (ko)
TW (1) TW367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65B1 (ko) * 2001-12-13 2004-07-30 엘지전선 주식회사 배럴을 이용한 전선 권취장치 및 전선 권취용 배럴
ES2251323B1 (es) * 2004-10-08 2007-02-01 Asea Brown Boveri, S.A. Sistema semi-automatico para la fabricacion de bobinas de induccion electrica.
JP5737799B2 (ja) * 2010-10-06 2015-06-17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イル巻線装置及びコイル巻線方法
CN103646781B (zh) * 2013-11-05 2016-06-01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超导磁体绕制顶紧装置
JP6642524B2 (ja) * 2017-06-23 2020-02-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及び巻線装置
CN110942910B (zh) * 2019-12-18 2021-07-16 江苏立讯机器人有限公司 一种绕线装置
CN113690571A (zh) * 2021-08-27 2021-11-23 杭州中芯微电子有限公司 一种rfid卡天线线圈绕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636A (ja) * 1994-02-04 1995-08-18 Nittoku Eng Co Ltd 偏向ヨークの巻線方法、および、同巻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8669A (ja) * 1992-03-13 1993-10-08 Taga Seisakusho:Kk ボビン一体型水平偏向ヨーク巻線機および巻線用ノズル装置ならびにボビン一体型水平偏向ヨーク巻線方法
JP3489132B2 (ja) * 1993-05-12 2004-01-19 ソニー株式会社 巻線装置及び巻線装置ワークの巻回方法
JPH0920636A (ja) * 1995-07-04 1997-01-21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636A (ja) * 1994-02-04 1995-08-18 Nittoku Eng Co Ltd 偏向ヨークの巻線方法、および、同巻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022C (zh) 2003-04-16
KR19990013431A (ko) 1999-02-25
CN1205528A (zh) 1999-01-20
CN1516218A (zh) 2004-07-28
TW367511B (en) 199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9914B1 (ko) 권선장치
US5025997A (en) Multi-phase synchronous automatic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tor stators
US7488011B2 (en) Button wrapping and knot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866585B1 (ko) 미싱
JP3544854B2 (ja) 巻線装置
JPH0724173A (ja) ミシンのカートリッジ
US20210317603A1 (en) Embroidery accessory with interchangeable guide
JP2000243642A (ja) トロイダルコアの巻線方法及び自動巻線装置
SU5893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р дки прокладчиков уточной нитью в ткацких станках с волнообразно-подвижным зевом
KR100596282B1 (ko)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JP2005073446A (ja) 巻線装置
JPS60143935A (ja) 円筒形の構造体を繊維で補強された合成物質を巻取ることにより形成するための巻取り機
US2991021A (en) Stator winding machine
JP2802933B2 (ja) かせ処理装置
GB2093382A (en) Skeining device
JPH0246230B2 (ja) Mishinnoshitaitomakitorisochi
JP2022176639A (ja) テープ巻付機
JPS6320369B2 (ko)
JPH0678877A (ja) 内視鏡チャンネルチューブのコイル巻き付け装置
KR0177795B1 (ko) 트렌스코일결선방법 및 장치
JPS61266050A (ja) 巻線機
JP2005160591A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H06237890A (ja) 内視鏡チャンネルチューブコイル巻き装置
JP2686227B2 (ja) ボビンの残糸除去装置
JPS5911736Y2 (ja) ミシンの糸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629

Effective date: 2002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