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061B1 -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061B1
KR100369061B1 KR10-2000-0084433A KR20000084433A KR100369061B1 KR 100369061 B1 KR100369061 B1 KR 100369061B1 KR 20000084433 A KR20000084433 A KR 20000084433A KR 100369061 B1 KR100369061 B1 KR 10036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lutch
chamber
chamber hous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079A (ko
Inventor
김문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0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에 관한 것으로, 챔버하우징(21)과, 이 챔버하우징(21)의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제1격판부재(22) 및 제2격판부재(23)와, 상기 챔버하우징(21)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제1포트(24)와, 이 제1포트(24)와 챔버하우징(21)을 통해 연통되면서 릴리스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제2포트(25)와, 상기 제1,2포트(24,25)와 반대되는 챔버하우징(21)에 형성되어 파워스티어링의 펌프라인과 연결되는 제3포트(26)와, 이 제3포트(26)와 챔버하우징(21)을 통해 연통되면서 파워스티어링의 오일리저버탱크와 연결되는 제4포트(27)와, 상기 제3포트(26)와 제4포트(27)상에 각각 설치되어 클러치페달(28)의 작동시 ECU(29)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3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2)가 구비되어져, 엔진의 폭발진동이 클러치페달(28)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운전자의 클러치페달(28) 조작감이 향상되면서 실내소음이 감소됨은 물론, 클러치의 작동유압이 손실됨이 없이 릴리스실린더쪽으로 모두 전달됨으로써 전체적인 클러치의 작동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oil chamber for clutch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러치페달의 작동시 릴리스실린더쪽으로 공급되는 작동효율의 감소를 방지하여 클러치의 작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회전력을 구동바퀴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장치로서, 엔진의 시동시 무부하 상태로 하고, 자동차의 관성 운전을 위해서 엔진의 동력을 일시 차단하여야 하며, 변속시 동력을 차단하여 변속을 쉽게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클러치는 작동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될 수 있으나, 버스와 같은 대형차량에는 오일의 압력을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유압식 클러치가 사용된다.
상기 유압식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운전석측에 설치된 클러치페달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클러치페달을 밟게 되면 일측에 설치된 마스터실린더에서 유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유압은 유압라인을 통하여 릴리스실린더로 전달되게 되며, 상기 릴리스포크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푸시로드를 당기거나 밀어서 엔진의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유압식 클러치는, 엔진의 폭발진동이 변속기 →릴리스실린더 →유압라인 →마스터실린더를 통해 클러치페달로 전달되게 되며, 이러한 진동에 의해 운전자의 조작감이 나빠지게 됨은 물론 실내소음도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릴리스실린더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챔버(10)가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오일챔버(10)는, 상기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유입포트(11a)및 릴리스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유출포트(11b)가 구비된 챔버하우징(11)과, 이 챔버하우징(11)내에 설치되면서 챔버하우징(11)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이원화시키는 스틸(steel)재질의 격판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챔버하우징(11)의 내부는 격판부재(12)에 의해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는데, 상기 유입포트(11a)와 유출포트(11b)를 서로 연통시키면서 오일이 충진되는 제1압력실(13) 및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제2압력실(14)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의 폭발진동이 변속기 →릴리스실린더 →유출포트(11b)를 통해 오일챔버(10)의 내부를 경유하여 유입포트(11a) →유압라인 →마스터실린더 →클러치페달로 전달되게 되는데, 상기 유출포트(11b)를 통해 오일챔버(10)의 내부로 유입된 엔진의 폭발진동이 격판부재(12)와 접촉하면서 제2압력실(14)에 충진된 압축공기에 의해 최대한 흡수된 상태로 클러치페달쪽으로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클러치페달 조작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실내소음도 감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일챔버(10)에 의하면, 클러치페달의 작동시 상기 유입포트(11a)를 통해 제1압력실(13)로 유입된 유압은 격판부재(12)와 접촉하면서 압축공기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 후 유출포트(11b)를 통해 릴리스실린더쪽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격판부재(12)에 유압이 가해지게 되면 이 유압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기 격판부재(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압력실(14)쪽으로 체적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격판부재(12)의 변화된 체적만큼 클러치의 작동효율이 릴리스실린더쪽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전체적인 클러치의 기능이 그만큼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러치페달의 작동시 작동오일과 접촉되는 격판부재의 체적변화를 방지하여 클러치의 작동효율이 손실됨이 없이 릴리스실린더쪽으로 모두 전달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클러치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일챔버는, 챔버하우징과, 이 챔버하우징의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제1격판부재 및 제2격판부재와, 상기 챔버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제1포트와, 이 제1포트와 챔버하우징을 통해 연통되면서 릴리스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제2포트와, 상기 제1,2포트와 반대되는 챔버하우징에 형성되어 파워스티어링의 펌프라인과 연결되는 제3포트와, 이 제3포트와 챔버하우징을 통해 연통되면서 파워스티어링의 오일리저버탱크와 연결되는 제4포트와, 상기 제3포트와 제4포트상에 각각 설치되어 클러치페달의 작동시 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오일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챔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오일챔버 21 - 챔버하우징
22 - 제1격판부재 23 - 제2격판부재
24 - 제1포트 25 - 제2포트
26 - 제3포트 27 - 제4포트
28 - 클러치페달 29 - ECU(전자제어유니트)
31 - 제1솔레노이드밸브 32 - 제2솔레노이드밸브
33 - 제1스위치 34 - 제2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챔버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오일챔버(20)는 소정의 챔버하우징(21)과, 이 챔버하우징(21)의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제1격판부재(22) 및 제2격판부재(23)와, 상기챔버하우징(21)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제1포트(24)와, 이 제1포트(24)와 챔버하우징(21)을 통해 연통되면서 릴리스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제2포트(25)와, 상기 제1,2포트(24,25)와 반대되는 챔버하우징(21)에 형성되어 파워스티어링의 펌프라인과 연결되는 제3포트(26)와, 이 제3포트(26)와 챔버하우징(21)을 통해 연통되면서 파워스티어링의 오일리저버탱크(27a)와 연결되는 제4포트(27)와, 상기 제3포트(26)와 제4포트(27)상에 각각 설치되어 클러치페달(28)의 작동시 ECU(29;전자제어유니트)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3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ECU(29;전자제어유니트)는, 상기 클러치페달(28)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제1스위치(33) 및 제2스위치(34)와 전기적인 회로구성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챔버하우징(21)은, 상기 제1격판부재(22)에 의해 제1포트(24)와 제2포트(25)가 서로 연통되면서 그 내부에는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오일이 충진되도록 된 제1압력실(21a)과, 상기 제2격판부재(23)에 의해 제3포트(26)와 제4포트(27)가 서로 연통되면서 그 내부에는 파워스티어링을 작동시키는 오일이 충진되도록 된 제2압력실(21b)과, 상기 제1압력실(21a)과 제2압력실(21b)사이에 형성되면서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도록 된 제3압력실(21c)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ECU(29)는, 상기 클러치페달(28)의 초기 작동시 온(on)되는 제1스위치(33)의 신호를 인가받아 제1솔레노이드밸브(31)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ECU(29)는, 상기 클러치페달(28)의 말기 작동시 제1스위치(32)를 오프(off)시켜 제1솔레노이드밸브(31)를 밀폐시킴과 더불어 온(on)되는 제2스위치(34)의 신호를 인가받아 제2솔레노이드밸브(32)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러치페달(28)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ECU(29)는 오프(off)되는 제2스위치(34)의 신호를 인가받아 제2솔레노이드밸브(32)를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클러치페달(28)을 밟아주게 되면 클러치의 작동유압은 마스터실린더 →오일챔버(10) →유압라인 →릴리스실린더를 통해 클러치로 전달되어 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클러치페달(28)을 밟아주게 되면, 클러치의 작동유압이 마스터실린더를 경유하여 오일챔버(20)의 제1압력실(21a)로 유입되게 되는데, 상기 클러치페달(28)의 초기작동에 의해 제1스위치(33)가 온(on)되면 제1솔레노이드밸브(31)가 개방되면서 파워스티어링 펌프라인의 오일이 제3포트(26)를 통해 제2압력실(21b)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러치페달(28)의 작동에 의해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오일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트(24)를 통해 제1압력실(21a)로 유입되면서, 파워스티어링을 작동시키는 오일이 제3포트(26)를 통해 제2압력실(21b)로 동시에 유입되면, 상기 제2격판부재(23)가 제3포트(26)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제1격판부재(22)쪽으로 체적변화를 일으키게 되고, 이로인해 제3압력실(21C)에 충진된 압축공기가 제1격판부재(22)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포트(24)를 통해 클러치의 작동유압이 제1압력실(21a)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제1격판부재(22)는 제2압력실(21b)로 유입되는 파워스티어링 작동유압에 의해 제2격판부재(23)쪽으로 체적변화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고, 이로인해 클러치의 작동유압은 손실됨이 없이 제2포트(25)를 통해 릴리스실린더쪽으로 모두 전달되게 된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일챔버(20)는 엔진의 폭발진동이 클러치페달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클러치페달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실내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아울러 클러치의 작동유압이 손실됨이 없이 릴리스실린더쪽으로 모두 전달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클러치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폭발진동이 클러치페달쪽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운전자의 클러치페달 조작감이 향상되면서 실내소음이 감소됨은 물론, 클러치의 작동유압이 손실됨이 없이 릴리스실린더쪽으로 모두 전달됨으로써 전체적인 클러치의 작동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챔버하우징(21)과, 이 챔버하우징(21)의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제1격판부재(22) 및 제2격판부재(23)와, 상기 챔버하우징(21)의 일측에 형성되어 마스터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제1포트(24)와, 이 제1포트(24)와 챔버하우징(21)을 통해 연통되면서 릴리스실린더쪽으로 연결되는 제2포트(25)와, 상기 제1,2포트(24,25)와 반대되는 챔버하우징(21)에 형성되어 파워스티어링의 펌프라인과 연결되는 제3포트(26)와, 이 제3포트(26)와 챔버하우징(21)을 통해 연통되면서 파워스티어링의 오일리저버탱크와 연결되는 제4포트(27)와, 상기 제3포트(26)와 제4포트(27)상에 각각 설치되어 클러치페달(28)의 작동시 ECU(29)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3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2)가 구비된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하우징(21)이, 제1격판부재(22) 및 제2격판부재(23)중 어느 한 개의 격판부재(22)에 의해 제1포트(24)와 제2포트(25)를 서로 연통시키면서 그 내부에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오일이 충진되도록 된 제1압력실(21a)과, 상기 격판부재(22,23)중 나머지 한 개의 격판부재(23)에 의해 제3포트(26)와 제4포트(27)를 서로 연통시키면서 그 내부에 파워스티어링을 작동시키는 오일이 충진되도록 된 제2압력실(21b)과, 상기 제1압력실(21a)과 제2압력실(21b)사이에 형성되면서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제3압력실(21c)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CU(29)가, 상기 클러치페달(28)의 초기 작동시 온(on)되는 제1스위치(33)의 신호를 인가받아 제1솔레노이드밸브(31)를 개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CU(29)가, 상기 클러치페달(28)의 말기 작동시 제1스위치(32)를 오프(off)시켜 제1솔레노이드밸브(31)를 밀폐시킴과 더불어 온(on)되는 제2스위치(34)의 신호를 인가받아 제2솔레노이드밸브(32)를 개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페달(28)의 작동이 완료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32)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KR10-2000-0084433A 2000-12-28 2000-12-28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KR10036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433A KR100369061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433A KR100369061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079A KR20020055079A (ko) 2002-07-08
KR100369061B1 true KR100369061B1 (ko) 2003-01-24

Family

ID=2768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433A KR100369061B1 (ko) 2000-12-28 2000-12-28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0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079A (ko) 200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08205A (ja) 油圧ドライブシステム及びその改良されたフィルタサブシステム
JP4203044B2 (ja) ブレーキ制御ユニット
KR100369061B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JP2005255168A6 (ja) ブレーキ制御ユニット
JP4283756B2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0452484B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KR970061675A (ko) 자동차용 동력 조향 장치
JP2004175166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0356861B1 (ko) 차량용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통합형 조작장치
KR100391669B1 (ko) 자동차용 클러치부스터의 공기배출구 구조
KR100351123B1 (ko) 차량용 클러치 조작기구
KR200178178Y1 (ko) 오토매틱 차량의 클러치 쇼크방지 밸브장치
JPH0925949A (ja) クラッチ断続装置
JP3888081B2 (ja) クラッチ操作装置
KR10035403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456880B1 (ko) 자동차의 에어 브리딩 장치
JP3567554B2 (ja) クラッチ断続装置
KR200222859Y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JPH09112583A (ja) クラッチ断続装置
KR200347919Y1 (ko) 자동차용 클러치의 오일챔버
JP2022538413A (ja) 車両の液圧式ブレーキシステム用ブレーキ装置
KR20200060955A (ko) 체크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JPH0524861Y2 (ko)
KR100380486B1 (ko) 진공배력식 동력조향장치
KR19980031630U (ko) 자동차의 자동클러치용 유압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