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660B1 -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660B1
KR100368660B1 KR10-1999-0068531A KR19990068531A KR100368660B1 KR 100368660 B1 KR100368660 B1 KR 100368660B1 KR 19990068531 A KR19990068531 A KR 19990068531A KR 100368660 B1 KR100368660 B1 KR 10036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control
insertion groove
protrusion
contro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652A (ko
Inventor
김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6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 레버에 의해 직선 이동되거나 회전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고 끝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콘트롤 핑거와, 복수개의 시프트 레일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 시프트 죠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죠는 상기 삽입 홈의 외측으로 이웃하는 삽입 홈을 향해 일정 정도 돌출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가 양측의 가이드에 동시에 접촉될 때 일측의 삽입 홈으로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돌출부가 이동되도록 콘트롤 샤프트와의 접촉면이 삽입 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기어 변속시 시프트 죠와 콘트롤 핑거 사이의 간섭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변속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Shift control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콘트롤 샤프트의 조작을 통해 시프트 레일을 이동시키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트롤 샤프트와 시프트 레일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콘트롤 핑거와 시프트 죠의 결합 작동 구조를 변경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이 상세하게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변속기(1)의 케이스(2)내에는 기어 변속을 위해 다수의 각 변속단 기어와 동기 장치(35)들이 구비되어 있는 바, 각 변속단의 기어 치합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동기 장치(35)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변속 조작장치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의 변속 조작 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변속 레버(10)와, 변속기 케이스(2) 내부에서 상기 변속 레버(10)의 끝단에 연결되어 변속 레버(10)의 조작에 따라 직선 이동되거나 회전되면서 선택작동(selecting)과 변속작동(shifting)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트롤 샤프트(13)와, 상기 콘트롤 샤프트(13)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콘트롤 샤프트(13)의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는 콘트롤 핑거(15)와, 각 변속단의 동기 장치(35)에 결합된 시프트 포크(30)가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변속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시프트 레일(25)과, 상기 시프트 레일(25)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 핑거(15)에 결합되는 다수의 시프트 죠(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변속 조작 장치는 상기 변속 레버(10)를 통해 선택작동(selecting)을 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샤프트(13)가 회전하면서 콘트롤 핑거(15)가 3개의 시프트 죠(20) 중 하나의 삽입 홈(20a)에 위치된다.
이후, 변속 레버(10)를 통해 변속작동(shifting)을 하게 되면, 콘트롤 샤프트(13) 및 콘트롤 핑거(15)가 직선 이동하면서 시프트 죠(20) 중 선택된 하나를 직선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시프트 죠(20)의 직선 이동에 따라 시프트 레일(25)이 직선 이동되면서 시프트 포크(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동기 장치(35)의 슬리브가 축방향 이동을 하면서 변속 기어를 회전축에 직결시킴에 따라 기어 변속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변속 조작 장치는 콘트롤 핑거(15)와 시프트 죠(20)의 결합부가 도 3에서와 같이 사각 모양의 돌출부(15a)와 삽입 홈(20a)으로 이루어져 결합되기 때문에 도 3a와 같이 콘트롤 핑거(15)의 돌출부(15a)가 시프트 죠(20)의 삽입 홈(20a)에 정확히 위치될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작동되나, 도 3b와 같이 콘트롤 핑거(15)의 돌출부(15a)가 시프트 죠(20)의 삽입 홈(20a)에 정확히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변속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와 시프트 죠의 삽입 홈의 형상 변경하여 기어 변속시 콘트롤 핑거가 두 개의 시프트 죠에 동시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변속 조작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변속 조작장치가 구비된 수동 변속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변속 조작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변속 조작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장치가 도시된 일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변속 조작 장치의 일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조작장치가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콘트롤 샤프트 55 : 콘트롤 핑거
55a : 돌출부 60 : 시프트 레일
65 : 시프트 죠 65a : 삽입 홈
65b : 가이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 레버에 의해 직선 이동되거나 회전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고 끝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콘트롤 핑거와, 복수개의 시프트 레일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 시프트 죠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죠는 상기 삽입 홈의 외측으로 이웃하는 삽입 홈을 향해 일정 정도 돌출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가 양측의 가이드에 동시에 접촉될 때 일측의 삽입 홈으로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돌출부가 이동되도록 돌출부와의 접촉면이 삽입 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가 도시된 일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변속 레버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 레버 조작에 따라 직선 이동되거나 회전되면서 선택작동(selecting)과 변속작동(shifting)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트롤 샤프트(50)와, 상기 콘트롤 샤프트(50)의 단부에 설치되어 콘트롤 샤프트(50)의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이동되고 끝단부에 돌출부(55a)가 형성된 콘트롤 핑거(55)와, 각 변속단의 동기 장치에 결합된 시프트 포크가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변속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시프트 레일(60)과, 상기 시프트 레일(60)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 핑거(55)가 결합되는 다수의 시프트 죠(65)로 구성된다.
상기 시프트 죠(65)는 상기 콘트롤 핑거(55)의 돌출부(55a)가 삽입되는 삽입 홈(65a)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 홈(65a)의 외측으로는 이웃하는 삽입 홈(65a)을 향해 일정 정도 돌출된 가이드(65b)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65b)는 콘트롤 핑거(55)의 돌출부(55a)가 양측의 가이드(65b)에 동시에 접촉될 때 일측의 삽입 홈(65a)으로 돌출부(55a)가 이동되도록 돌출부(55a)와의 접촉면이 삽입 홈(65a)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물론,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죠(65)의 삽입 홈(65a) 및 가이드(65b)의 내측면이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트롤 핑거(55)의 돌출부(55a)도 상기 삽입 홈(65a) 및 가이드(65b)의 내측면과 미끄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콘트롤 핑거(55)의 돌출부(55a)가 양쪽의 시프트 죠(65)에 동시에 접촉될 때 돌출부(55a)는 상기 가이드(65b)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져 어느 한쪽 시프트 죠(65)의 삽입 홈(65a) 내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속 레버를 통해 선택작동(selecting)을 하게 되면 콘트롤 샤프트(50)가 회전하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 핑거(55)의 돌출부(55a)가 3개의 시프트 죠(65) 중 하나의 삽입 홈(65a) 내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콘트롤 핑거(55)의 돌출부(55a)도 도 5a와 같이 3개의 시프트 죠(65) 중 두 개의 삽입 홈(65a)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으나, 종래와는 달리 구면상의 돌출부(55a)가 곡면상의 가이드(65b)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미끄러져 도 5b와 같이 선택을 원하는 시프트 죠(65)의 삽입 홈(65a) 내로 이동하게 된다.
변속 레버를 통해 변속작동(shifting)을 하게 되면, 콘트롤 샤프트(50) 및 콘트롤 핑거(55)가 직선 이동하면서 시프트 죠(65) 중 선택된 하나를 직선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시프트 죠(65)의 직선 이동에 따라 시프트 레일(60)이 직선 이동되면서 시프트 포크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변속 조작이 완료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가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즉, 상기한 실시 예에서 시프트 죠의 가이드 및 삽입 홈의 내측면이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가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끄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반면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6과 같이 시프트 죠(65')의 가이드(65b') 및 삽입 홈(65a')의 내측면이 연속된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55a') 역시 상기 삽입 홈(65a') 및 가이드(65b')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55a')는 육각 모양으로 형성되며, 돌출부(55a')의 측부면이 상기 삽입 홈(65a') 및 가이드(65b')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시프트 죠의 삽입 홈에 위치되는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가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선택하고자 하는 시프트 죠의 삽입 홈 내로 이동하게 되므로 기어 변속시 시프트 죠와 콘트롤 핑거 사이의 간섭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변속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변속 레버에 의해 직선 이동되거나 회전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고 끝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콘트롤 핑거와, 복수개의 시프트 레일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된 시프트 죠가 포함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죠는 상기 삽입 홈의 외측으로 이웃하는 삽입 홈을 향해 일정 정도 돌출된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가 양측의 가이드에 동시에 접촉될 때 일측의 삽입 홈으로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돌출부가 이동되도록 콘트롤 샤프트와의 접촉면이 삽입 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죠의 삽입 홈 및 가이드의 내측면은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는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죠의 삽입 홈 및 가이드의 내측면은 연속된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 핑거의 돌출부는 상기 삽입홈 및 가이드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1999-0068531A 1999-12-31 1999-12-31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36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531A KR100368660B1 (ko) 1999-12-31 1999-12-31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531A KR100368660B1 (ko) 1999-12-31 1999-12-31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652A KR20010066652A (ko) 2001-07-11
KR100368660B1 true KR100368660B1 (ko) 2003-01-24

Family

ID=1963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531A KR100368660B1 (ko) 1999-12-31 1999-12-31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7399B2 (ja) * 2006-08-28 2012-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652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0194B2 (ja) 変速機における切換装置
JPH05280638A (ja) 自動車の変速機用切換装置
JP2009197940A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4015113B2 (ja) 自動車手動変速機のためのシングルロッド・ギヤシフト装置
KR100368660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1637693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장치
KR20190076699A (ko) 변속기용 인터락 장치
KR20050055447A (ko) 수동 변속기용 콘트롤 기구의 인터록 장치
KR100402077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KR101645709B1 (ko) 듀얼클러치 변속장치
EP3249265B1 (en) Shift fork module
KR100514894B1 (ko) 자동변속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KR10151924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KR10064254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224357B1 (ko) 변속기의 변속조작구조
KR100476260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JP2009121656A (ja) 複数のインナーレバーを有する変速機のインターロック構造
KR100289149B1 (ko) 슬라이드식 변속기구
KR20060058487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620816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0360641B1 (ko) 수동변속기용 이중물림 방지기구
KR100360652B1 (ko) 수동변속기 조작기구
KR20050121026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62081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걸림 방지 장치
JPH04351373A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