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242B1 -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242B1
KR101519242B1 KR1020130143980A KR20130143980A KR101519242B1 KR 101519242 B1 KR101519242 B1 KR 101519242B1 KR 1020130143980 A KR1020130143980 A KR 1020130143980A KR 20130143980 A KR20130143980 A KR 20130143980A KR 101519242 B1 KR101519242 B1 KR 10151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ink
rail
transmission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83Shift finger arrangements, e.g. shape or attachment of shift fingers

Abstract

변속기 케이스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하단부에 결합된 슬리브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포크; 및 일단이 변속레버측의 시프트핑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시프트핑거에 의한 후방이동시 상기 시프트포크의 상단부에 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하도록 타단에 제1돌출부가 마련되는 제1시프트레일와 상기 시프트핑거에 의한 전방이동시 상기 시프트포크의 상단부에 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도록 타단에 제2돌출부가 마련되는 제2시프트레일;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Shifting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하나의 슬리브 만으로 변속패턴 상의 셀렉트 위치가 상이하게 위치된 수동변속기의 변속을 가능하게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동변속기는 운전자의 의지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차량 변속기의 기어단을 지정하는 방식으로써 운전자가 통상 운전석의 우측에 위치한 변속레버를 미리 마련된 변속패턴에 따라 변속레버를 이동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는 이러한 운전자의 변속레버 이동에 대해 기계적인 물림 및 연계작용을 통해 변속단의 변경을 수행하게 되는것으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변속레버(10)와 연결되는 시프트핑거(미도시), 상기 시프트핑거와 결합되는 시프트러그(미도시), 상기 시프트러그(미도시)가 일단에 고정되는 시프트레일(20), 상기 시프트레일(20)의 타단에 고정되어 기어의 결합을 변경하는 슬리브(미도시)와 결합되는 시프트포크(30)로 구성된다. 하나의 시프트레일(20)에는 하나의 시프트러그(미도시)와 하나의 시프트포크(30)만이 구비되며 변속레버(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리브(미도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의 (b)는 이러한 변속장치에 의한 5단 수동변속기의 변속패턴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기 변속레버(10)를 1단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시프트레일(20)과 슬리브(미도시)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1단 변속이 이루어지고, 변속레버(10)를 2단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시프트레일(20)과 슬리브(미도시)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2단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방식이다. 나머지 3,4,5,R단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따라서 변속레버(10)의 전후방향 이동경로의 개수에 따라 상기 시프트레일(20)과 시프트포크(30) 및 슬리브(미도시)의 개수가 정해지게 되며, 도 1의 (b)와 같은 변속패턴에서는 변속레버(10)의 전후방향 이동경로의 개수가 3개이므로 각각 3개의 시프트레일(20)과 시프트포크(30) 및 슬리브(미도시)만 구비되면 모든 변속단의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도 1의 (b)와 같은 변속패턴이 아닌 도 2와 같은 변속패턴, 즉 7단 수동변속기에서 R단과 7단이 별도의 전후방향 이동경로로써 분할된 변속패턴을 이루는 경우에는 R단과 7단이 서로 동일한 전후방향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별도로 분리된 경우이므로 R단과 7단에 있어서 각각의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 및 슬리브가 구성되어야 하였다. 이는 하나의 변속단을 위하여 별도의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 및 슬리브를 구성해야 하는 것이므로 비용 및 중량의 증대를 야기하여 왔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2-0050955 A(2002.06.2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속패턴 상에 독립적으로 별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변속단들이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 및 슬리브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 및 슬리브를 이용하여 2개 변속단의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는 변속기 케이스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하단부에 결합된 슬리브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포크; 및 일단이 변속레버측의 시프트핑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시프트핑거에 의한 후방이동시 상기 시프트포크의 상단부에 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하도록 타단에 제1돌출부가 마련되는 제1시프트레일와 상기 시프트핑거에 의한 전방이동시 상기 시프트포크의 상단부에 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도록 타단에 제2돌출부가 마련되는 제2시프트레일;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시프트레일의 타단에는 상기 제1돌출부의 후방으로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시프트레일의 타단에는 상기 제2돌출부의 전방으로 제2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걸림홈의 전방측 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걸림홈의 후방측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시프트포크에는 일단이 상기 시프트포크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돌출부 및 제1걸림홈에 걸리는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시프트포크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돌출부 및 제2걸림홈에 걸리는 제2링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는 일단이 함께 상기 시프트포크의 일측에 고정되고, 각 링크의 타단으로 갈 수록 점점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타단은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1시프트레일의 후방이동시 상기 제1돌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걸림홈에 삽입되며,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 까지 상기 제1시프트레일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2시프트레일의 전방이동시 상기 제2돌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걸림홈에 삽입되며,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 까지 상기 제2시프트레일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시프트포크는 양측면의 중단부가 각각 변속기 케이스에 힌지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에 따르면, 변속패턴 상에 독립적으로 별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변속단들이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 및 슬리브를 각각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 및 슬리브를 이용하여 변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용 및 무게 절감이 가능하고 수동변속기의 전장 감소 또한 가능하게 되어 차량 내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동변속기 변속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7단 수동변속기의 변속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장치의 제1시프트레일이 후방이동 할 때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장치의 제2시프트레일이 전방이동 할 때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변속패턴 상에 독립적으로 별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변속단들이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 및 슬리브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 및 슬리브를 이용하여 2개 변속단의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변속기가 도 2의 7단 변속패턴을 가지는 경우일 때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5단 변속패턴을 가지되 R단과 5단이 변속패턴 상에 별도의 이동경로를 가지도록 구성된 수동변속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장치의 구성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변속기 내부에서 변속기 케이스(미도시)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하단부에 결합된 슬리브(미도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포크(100); 및 일단이 변속레버측의 시프트핑거(43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시프트핑거(430)에 의한 후방이동시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상단부에 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하도록 타단에 제1돌출부(250)가 마련되는 제1시프트레일(200)과 상기 시프트핑거(430)에 의한 전방이동시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상단부에 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도록 타단에 제2돌출부(350)가 마련되는 제2시프트레일(300);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과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의 일단에는 각각 상기 시프트핑거(430)와 대면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시프트러그(210)와 제2시프트러그(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시프트러그(210) 및 상기 제2시프트러그(310)는 도 2의 변속패턴에 따라 1,2단 변속라인용 시프트러그(401)와 3,4단 변속라인용 시프트러그(402) 및 5,6단 변속라인용 시프트러그(403)와 함께 일렬로 배치되되 시프트러그들의 양 끝에 각각 위치되어 R단 또는 7단 변속시 해당되는 제1시프트러그(210) 및 제2시프트러그(310)와 각 시프트러그에 해당되는 제1시프트레일(200) 및 제2시프트레일(300)이 이동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7단 변속시 제1시프트레일(200)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R단 변속시 제2시프트레일(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일 때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반드시 제1시프트레일(200)이 7단 변속시에만 이동하고, 제2시프트레일(300)이 R단 변속시에만 이동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각 시프트레일에 대응되는 변속단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회전축은 힌지핀(도면부호 미표시)으로써, 상기 시프트포크(100)는 양측부의 중단부가 각각 변속기 케이스(미도시)에 힌지핀(도면부호 미표시) 결합되어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 및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프트포크(100)가 변속기 케이스에(미도시)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 및 제2시프트레일(300)과 고정되게 결합될 필요가 없으며, 이로인해 상기 시프트포크(100)를 전후방으로 회전시킴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인 움직임을 보임이는 복수개의 시프트레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프트포크(100)가 상기 힌지핀(도면부호 미표시)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슬리브(미도시)는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일측부에는 일단이 함께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일측부에 고정되고 타단으로 갈 수록 점점 이격되는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3)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3)는 서로 V자 형상이 되도록 일단이 상기 시프트포크(100)에 고정되 되 상기 힌지핀(도면부호 미표시)이 결합되는 위치에 고정됨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3)가 상기 힌지핀(도면부호 미표시)이 결합되는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회전시 상기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3)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는 또한 상기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3)가 회전할 시 상기 시프트포크(100)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3)가 이루는 형상은 반드시 V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며 타단이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상방 뿐만 아니라 하방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링크(111)와 제2링크(113)는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일측부에 함께 고정되지 않고 제1링크(111)는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일측부에, 제2링크(113)는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타측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3)가 구비되고 상기 시프트포크(100)가 상기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3)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됨에 따라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크기와 무관하게 상기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3)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회전반경 및 슬리브(미도시)의 이동거리의 조절이 가능하고,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3)의 타단과 결합되는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 및 제2시프트레일(300)의 타단을 더욱 컴팩트하게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의 타단에는 상기 제1돌출부(250)의 후방으로 제1걸림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의 타단에는 상기 제2돌출부(350)의 전방으로 제2걸림홈(330)이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250)는 상기 제1걸림홈(230)의 전방측 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2돌출부(350)는 상기 제2걸림홈(330)의 후방측 벽을 형성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은 상기 제1걸림홈(230)과 대면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돌출부(250) 및 제1걸림홈(230)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은 상기 제2걸림홈(330)과 대면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2돌출부(350) 및 제2걸림홈(33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이 후방이동하거나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이 전방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3)가 회전하여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상단부에 후방 또는 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하게 됨으로서 상기 시프트포크(100)가 상기 슬리브(미도시)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과 제2시프트레일(300)이 상기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3)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제1걸림홈(230)과 제2걸림홈(330)이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시프트포크(100)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링크(111) 및 제2링크(113)의 타단은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걸림홈(230) 및 제2걸림홈(330)에 각각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걸림홈(230) 및 제2걸림홈(33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는데, 이탈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의 전방으로는 상기 제1돌출부(250)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의 후방으로는 상기 제2돌출부(350)가 위치되어 있어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의 후방이동시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은 상기 제1돌출부(25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면서 가이드되어 상기 제1걸림홈(230)에 삽입되며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의 전방이동시에는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이 상기 제2돌출부(350)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면서 가이드되어 상기 제2걸림홈(330)에 삽입되며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자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장치의 제1시프트레일(200)이 후방이동 할 때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4의 (a)는 상기 변속레버가 도 2의 변속패턴상에서 R단에 위치하게 될 때, 즉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써, 이 경우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돌출부(250)에 의해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이 가이드되어 상기 제1걸림홈(230)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과 함께 상기 제1링크(111)가 후방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상단부도 후방으로 회전하고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하단부는 반대로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슬리브(미도시)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링크(111)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링크(113)도 함께 회전하게 되지만 제2링크(113)의 타단은 상기 제2걸림홈(330)에서 이탈된 상태이며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은 사기 제2시프트레일(300)과 독립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이 상기 제2걸림홈(330) 및 상기 제2돌출부(350)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상기 제1링크(111)와 함께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후 변속레버를 다시 중립위치에 놓게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은 상기 제1걸림홈(230)에 걸린상태이므로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다시 초기위치, 즉 중립상태 일때의 위치로 복귀할 때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이 초기위치로 완전히 복귀하게 될 때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은 상기 제1걸림홈(23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도 4의 (c)는 제1시프트레일(200)이 초기위치를 지나 전방으로 더 이동하는 경우로써, 이 경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도 2의 변속패턴상에서 R단에서 중립 방향으로 레버를 이동시키다가 중립 위치를 지나 더 이동시키는 오조작을 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오조작하는 경우라 할 지라도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은 초기위치를 지날 때 이미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이 상기 제1걸림홈(23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의 후방으로는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을 상기 제1걸림홈(230)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링크(111)의 타단은 상기 제1걸림홈(230)에 삽입되어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포크(100)는 계속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돌출부(250)를 상기 제1걸림홈(230)의 전방에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변속레버의 오조작시에도 변속되는 일이 없게 됨에 따라 슬리브(미도시) 및 변속기어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변속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장치의 제2시프트레일(300)이 전방이동 할 때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이때도 상기 제1시프트레일(200)이 후방이동할 때와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이동과정을 거쳐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5의 (a)는 운전자가 도 2의 변속패턴 상에서 7단 변속을 수행하여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로써 제2링크(113)의 타단은 상기 제2걸림홈(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걸림홈(330)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113)와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상단부는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시프트포크(100)의 하단부는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슬리브(미도시)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다시 변속레버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면 도 5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은 제2걸림홈(330)으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이는 상기 도 4의 (b)의 경우와 동일하다.
부가적으로 도 5의 (c)는 제2시프트레일(300)이 초기위치를 지나 후방으로 더 이동하는 경우로써, 이 경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도 2의 변속패턴상에서 7단에서 중립 방향으로 레버를 이동시키다가 중립 위치를 지나 더 이동시키는 오조작을 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오조작하는 경우라 할 지라도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은 초기위치를 지날 때 이미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이 상기 제2걸림홈(330)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의 전방으로는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을 상기 제2걸림홈(330)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링크(113)의 타단은 상기 제2걸림홈(330)에 삽입되어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는 일 없이 상기 제2시프트레일(300)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프트포크(100)는 계속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돌출부(350)를 상기 제2걸림홈(330)의 후방에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 의한 변속레버의 오조작시에도 변속되는 일이 없게 됨에 따라 슬리브(미도시) 및 변속기어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변속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에 따르면, 변속패턴 상에 독립적으로 별도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변속단들이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100) 및 슬리브(미도시)를 각각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시프트레일과 시프트포크(100) 및 슬리브(미도시)를 이용하여 변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용 및 무게 절감이 가능하고 수동변속기의 전장 감소 또한 가능하게 되어 차량 내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변속레버의 오조작시 발생할 수 있는 슬리브(미도시) 및 변속기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변속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시프트포크 111 : 제1링크
113 : 제2링크 200 : 제1시프트레일
210 : 제1시프트러그 230 : 제1걸림홈
250 : 제1돌출부 300 : 제2시프트레일
310 : 제2시프트러그 330 : 제2걸림홈
350 : 제2돌출부 430 : 시프트핑거

Claims (9)

  1. 변속기 케이스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시 하단부에 결합된 슬리브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포크; 및
    일단이 변속레버측의 시프트핑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핑거에 의한 후방이동시 상기 시프트포크의 상단부에 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하도록 타단에 제1돌출부가 마련되는 제1시프트레일과;
    일단이 변속레버측의 시프트핑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핑거에 의한 전방이동시 상기 시프트포크의 상단부에 전방으로의 회전력을 가하도록 타단에 제2돌출부가 마련되는 제2시프트레일;를 포함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시프트레일의 타단에는 상기 제1돌출부의 후방으로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시프트레일의 타단에는 상기 제2돌출부의 전방으로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걸림홈의 전방측 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걸림홈의 후방측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포크에는 일단이 상기 시프트포크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돌출부 및 제1걸림홈에 걸리는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시프트포크의 일측 또는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돌출부 및 제2걸림홈에 걸리는 제2링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는 일단이 함께 상기 시프트포크의 일측에 고정되고, 각 링크의 타단으로 갈 수록 점점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타단은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1시프트레일의 후방이동시 상기 제1돌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걸림홈에 삽입되며,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 까지 상기 제1시프트레일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은 상기 제2시프트레일의 전방이동시 상기 제2돌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2걸림홈에 삽입되며, 변속레버가 중립단에 위치할 때 까지 상기 제2시프트레일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포크는 양측면의 중단부가 각각 변속기 케이스에 힌지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KR1020130143980A 2013-11-25 2013-11-25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KR10151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980A KR101519242B1 (ko) 2013-11-25 2013-11-25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980A KR101519242B1 (ko) 2013-11-25 2013-11-25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242B1 true KR101519242B1 (ko) 2015-05-11

Family

ID=5339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980A KR101519242B1 (ko) 2013-11-25 2013-11-25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169B1 (ko) 2014-08-01 2015-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시프트 포크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9818U (ko) * 1980-04-28 1981-11-28
JP2002120807A (ja) * 2000-10-16 2002-04-23 Ishida Co Ltd 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および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の除去方法
WO2007048476A1 (de) * 2005-10-27 2007-05-03 Zf Friedrichshafen Ag Schaltschwingenanordnung für ein schaltgetriebe
KR20090132367A (ko) * 2008-06-20 2009-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9818U (ko) * 1980-04-28 1981-11-28
JP2002120807A (ja) * 2000-10-16 2002-04-23 Ishida Co Ltd 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およびストレッチフィルム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の除去方法
WO2007048476A1 (de) * 2005-10-27 2007-05-03 Zf Friedrichshafen Ag Schaltschwingenanordnung für ein schaltgetriebe
KR20090132367A (ko) * 2008-06-20 2009-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169B1 (ko) 2014-08-01 2015-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시프트 포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JP4235847B2 (ja) 変速装置
US7654170B2 (en) Centering spring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shift control mechanism
JP4285580B1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CN101509551B (zh) 自动变速器的变速控制系统
CA2604302A1 (en) Vehicular transmission
CN103562601A (zh) 车辆用手动变速器的操作机构
KR101519242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JP2008303973A (ja) 変速装置
CN104870869A (zh) 手动变速器
US3495473A (en) Vehicle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KR101637693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장치
JP5796486B2 (ja) 副変速機構付き変速機
US20190211926A1 (en) Manual transmission
CN103851177A (zh) 选挡换挡组件及具有其的车辆
KR101543169B1 (ko) 이중 시프트 포크 구조
JP2014047881A (ja) 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EP3249265B1 (en) Shift fork module
KR101134283B1 (ko) 핀 형태의 수동변속기 가이드 구조
KR20140080264A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액츄에이터
KR101693890B1 (ko) 차량의 amt 셀렉터 레버 작동구조
JPS6213222B2 (ko)
KR100746964B1 (ko) 수동 변속기 컨트롤 샤프트의 컨트롤 핑거
KR100569415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946505B1 (ko)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앗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