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067B1 -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067B1
KR100367067B1 KR10-2000-0028013A KR20000028013A KR100367067B1 KR 100367067 B1 KR100367067 B1 KR 100367067B1 KR 20000028013 A KR20000028013 A KR 20000028013A KR 100367067 B1 KR100367067 B1 KR 10036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ilding
building panel
pair
d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739A (ko
Inventor
시게또미 구몬
Original Assignee
구몬 빌딩 컨스트럭티스 오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몬 빌딩 컨스트럭티스 오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구몬 빌딩 컨스트럭티스 오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2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5/00Manufacture of veneer ; Preparatory processing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601/00 - B29K2709/00,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11/14Wood, e.g. woodboard or fibre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의 분말재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가 압출되어 패널로 성형되는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패널은 압출 방향으로 연장된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의 압출 방향의 양 측면부에, 압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과; 상기 도어 패널의 중앙부에서 압출 방향으로 형성된 패널 스트립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패널, 한쌍의 세로 프레임, 및 패널 스트립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 패널 및 패널 스트립은 상부 및 하부 단부가 절단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각 상하 단부는 모두 상기 도어 패널 및 패널 스트립의 절단 단부를 넘게 연장되어 긴 부분(standing-out portions)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패널 {BUILDING PANEL}
본 발명은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패널구조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용 패널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 3,000,627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 12는 대나무(bamboo)로 제조된 건축용 패널(C)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패널(C)은 씨팅 보드(sheathing board, 101), 프레임(102), 가로대(crosspiece, 103)로 구성된다. 대나무의 조각 및 접착제의 혼합물이 주형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건축용 패널(C)의 각 부재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2)에는 건축용 패널(C)의 다수 부품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구멍(10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건축용 패널(C)은 경량이며 저렴하고, 설치가 쉬우며, 우수한 강도를 갖는다.
그러나, 건축용 패널(C)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씨팅 보드(101), 프레임(102), 가로대(103)들을 분리하여 제조하고, 이들 부재들은 배치 공정에 의해서 건축용 패널(C)속으로 프레스에 의해 조립된다. 따라서, 제조 효율이 낮게된다.
또한, 간벌재(間伐材)나 제재 등의 자르고 남은 건축 폐목재 및 농업용 비닐막이나 비닐하우스 등으로서 사용된 폐 비닐 필름이 대량으로 폐기되고 있어 심각한 쓰레기 문제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건축 폐기물이나 폐 비닐 필름을 재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건축 폐목재나 폐 비닐 필름을 재이용하여,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저렴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연속 제조할 수 있는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나무의 분말재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가 압출되어 패널로 성형되는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대나무의 분말재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가 압출되어 패널로 성형되는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나무 및 대나무의 분말재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가 압출되어 패널로 성형되는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1, 2, 3의 목적에 따른 건축용 패널이, 압출 방향으로 연장된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의 압출 방향의 양 측면부에, 압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과, 상기 도어 패널의 중앙부에 압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널 스트립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 패널과, 한쌍의 세로 프레임과, 패널 스트립들은 압출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 패널 및 패널 스트립은 상부 및 하부 단부가 절단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각 상하 단부는 모두 상기 도어 패널 및 패널 스트립의 절단 단부를 넘어 연장되어 긴 부분(standing-out portions)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상기 제 4의 목적에 따라 상기 세로 프레임 각각에 복수의 고정용 구멍이 제공된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용 구멍들은 그 압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상기 제 4 또는 제 5의 목적에 띠라 상기 도어 패널에 발포 단열재가 층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목적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6의 목적에 따른 건축용 패널이,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레임 및 패널 스트립이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그 압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판 부착용 홈과, 상기 한 쌍의 판 부착용 홈에 삽입된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과 도어 패널사이를 채우기 위해 형성되는 발포 단열재의 층을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부착용 홈중의 한 홈은 프레임에 형성되고, 다른 홈은 스트립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8 목적은, 제 1 내지 제 7 목적에 따라 상기 분말재가 폐기되는 건축용 폐목재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재가 폐기되는 폐 비닐 필름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용 패널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의 단면도로서, (A)는 패널의 배면도, (B)는 패널의 평면도, (C)는 패널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패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1의 건축용 패널의 압출 성형 공정에서 이용되는 압출 다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압출 성형 공정의 설명도.
도 6는 도 1의 건축용 패널의 패널 본체의 단면도로서, (A)는 패널 본체의 배면도, (B)는 패널 본체의 평면도, (C)는 패널 본체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패널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빔(beam)에 부착된 도 1의 건축용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상부 빔 및 하부 빔이 조립되기 이전의 도 1의 건축용 패널의 부품에 대한 배면도.
도 10은 설치된 이후의 도 1의 건축용 패널의 배면도.
도 11은 설치된 이후의 도 1의 건축용 패널의 정면도.
도 12는 종래의 대나무로 제조된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축용 패널 11 : 도어 패널
12 : 세로 프레임 13: 패널 스트립
14 : 고정용 구멍 A : 분말재
B : 결합재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건축용 패널(1)은 패널 본체(10), 한쌍의 보강판(20) 및 한쌍의 발포 단열재(30)로 구성된다.
우선, 패널 본체(1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널 본체(10)는 도어 패널(11),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12) 및 패널 스트립(13)으로 구성된다. 도어 패널(11),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12) 및 패널 스트립(13)은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무 및(또는) 대나무의 분말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가 압출되어 성형된 것으로서, 이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패널 본체(10)를 구성하는 도어 패널(11)은, 압출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의 평판 부분이다.
상기 도어 패널(11)의 양 측면부에는,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12)이 도어 패널(11)의 압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 프레임(12)의 내측에는, 그 압출 방향을 따라 판 부착용 홈(12h)이 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 프레임(12)의 외측에는, 그 압출 방향을 따라 패킹용 홈(12g)이 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 프레임(12)에는, 그 압출 방향을 따라 폭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고정용 구멍(1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 패널(11)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그 압출 방향을 따라 패널 스트립(13)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 스트립(13)의 좌우 양측에는, 그 압출 방향을 따라 한 쌍의 판 부착용 홈(13h, 13h)이 형성되어 있다. 각 홈(13h)은 상기 홈(12h)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도어 패널(11) 및 패널 스트립(13)의 폭방향의 양 단부는 절단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의 상하 단부가 모두 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보강판(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패널 스트립(13)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각 세로 프레임(12)의 판 부착용 홈(12h)과 패널 스트립(13)의 판 부착용 홈(13h)간에는, 좌우 한 쌍의 보강판(20,20)이 각각 끼워져 있다. 각 보강판(20)으로는 이른바 베니어판 등의 합판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발포 단열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강판(20)과 도어 패널(11)간의 공간에는, 발포 단열재가 층형상으로 충전되어 있다. 이 발포 단열재(30)의 소재로는, 비 탄화 플루오르계 발포 단열재나 발포 우레탄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열성에서 우수하다. 또, 발포 단열재(30)는 발포재이므로 방음성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부호 A, B는 각각 분말재 및 결합재를 나타낸다.
분말재(A)는 이미 폐기되었거나 폐기될 건축 폐기재, 간벌재, 자르고 남은 제재 등의 나무 및(또는) 대나무를 1.0 ∼ 5.0mm로 미세하게 분쇄한 분말이다.
결합재(B)는 이미 폐기되었거나 폐기될 염화 비닐 등의 농업용 폐 비닐을 펠릿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의 소재는 폐기되는 건축 폐목재 및 폐비닐 필름이므로 이들 폐기물을 재이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쓰레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둔다.
또한, 결합재(B)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를 채택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방재(防災)효과가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우선, 혼합 공정(1P)을 설명한다.
상기 분말재(A) 및 결합재(B)를 6 : 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재를 만든다.
다음으로 압출 성형 공정(2P)을 설명한다.
도 4는 압출 다이(5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출 다이(50)는, 다이 본체(51)에 출구(52)가 형성된 것이다. 압출 다이(50)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재를 압출 성형한다.
도 5는 압출 성형 공정(2P)의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 다이(50)로부터 혼합재를 압출하면, 압출 다이(50)의 출구(52)로부터 연속적으로 혼합재가 압출된다.
다음으로 절단 공정(3P)을 설명한다.
도 6은 패널 본체(10)의 단체도로서, (A)는 배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된 혼합재를 커터나 전동톱 등에 의해 절단한다.
도 7은 패널 본체(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직후의 패널 본체(10)에 있어서 도어 패널(11), 좌우 한 쌍의 세로프레임(12) 및 패널 스트립(13)은 압출방향에서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다. 각 세로 프레임(12)의 내측에는, 그 압출 방향을 따라 판 부착용 홈(12h)이 형성되어 있다. 각 세로 프레임(12)의 외측에는, 그 압출방향을 따라 패킹용 홈(12g)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 패널(11) 및 패널 스트립(13)의 폭방향의 양 단부를 가령 둥근 톱에 의해 절삭한다. 이리하면,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의 각 상하 단부가 모두 긴 부분으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령 드릴에 의해 각 세로 프레임(12)에, 그 압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고정용 구멍(14)을 형성하면, 도 1 및 2에 나타낸 패널 본체(1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10)는 도어 패널(11),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12,12) 및 패널 스트립(13)이 일체로 압출 성형된 것이므로, 효율적으로 연속 제조할 수 있으며, 강도면에서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부착 공정(4P)을 설명한다.
각 세로 프레임(12)의 판 부착용 홈(12h)과 패널 스트립(13)의 부착용 홈(13h)간에는, 좌우 한 쌍의 보강판(20,20)이 각각 끼워져 부착된다. 한 쌍의 보강판(20,20)에 의해 건축용 패널(1)의 강도가 증대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분무 공정(5P)을 설명한다.
각 보강판(20)과 도어 패널(11)간의 공간을 향하여 발포 단열재를 분무하여 충전하면, 도어 패널(11)에 발포 단열재(30)를 층형상으로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빔(TA)에 부착된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시공되기 이전의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의 배면도이다. 도 8 및 9에서 부호 TA, TB는 수평 빔을 나타내며, 각 빔(TA, TB)에는 모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하를 관통하는 복수의 장붓구멍(T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빔(TA, TB)에 형성되어 있는 장붓구멍(Th)은, 상하를 관통할 필요는 없고 도중까지만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복수의 건축용 패널(1,1)은, 그 세로 프레임(12)이 수직이 되도록 세워서 인접하는 양쪽 세로 프레임(12,12)의 패킹용 홈(12g, 12g)간에, 가령 고무제의 패킹을 끼워 넣어 폭방향으로 겹친다. 또, 인접하는 건축용 패널(1,1)이 겹쳐진 양쪽 세로 프레임(12,12)을 빔(TA)의 장붓구멍(Th)에 끼우면, 건축용 패널(1)을 세운 상태에서 빔(TA)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둔다.
또한, 인접하는 양쪽 세로 프레임(12,12)의 모든 고정용 구멍(14)에, 워셔(42)를 통해 볼트(41)를 통과시켜 너트(43)로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인접하는 건축용 패널(1,1)들을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둔다.
그리고, 인접하는 건축용 패널(1,1)의 양쪽 세로 프레임(12,12)의 상부를,빔(TB)의 장붓구멍(Th)에 끼우면, 건축용 패널(1)을 상하 한 쌍의 빔(TA,TB)간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시공된 이후의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시공된 이후의 본 실시 형태의 건축용 패널(1)의 정면도이다. 도 10 및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용 패널(1)의 전면 하부에는 쇠붙이(L)에 의해 빔(TA)의 전면 상부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2, 3 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건축용 패널의 소재가 대나무 및(또는) 나무의 분말재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이므로, 건축용 패널은 가벼우며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연속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건축용 패널의 도어 패널,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 및 패널 스트립이 일체로 압출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강도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각 상하 단부가 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긴 부분을 수평 빔의 장붓구멍(mortises)속에 끼우면 건축용 패널을 상부 및 하부 빔 사이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건축용 패널의 복수의 부품들이 서로 나란히 정렬되어, 겹쳐진 양쪽 세로 프레임의 고정용 구멍에 볼트를 통과시키고, 이 볼트를 너트로 조여 붙이면, 인접하는 건축용 패널들을 폭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건축용 패널이 발포 단열재의 층을 구비하므로,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방음효과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한쌍의 보강판이 건축용 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도어 패널과 보강판사이의 공간에 발포 단열재를 충전하므로서 발포 단열재의 층을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목적에 따라 이루어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건축용 패널의 소재가 폐기되는 건축 폐목재 및 폐 비닐 필름으로 구성되므로, 이들 폐기물을 재이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쓰레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Claims (8)

  1. 압출 방향으로 연장된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의 압출 방향의 양측면에, 압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과,
    상기 도어 패널의 중앙부에 압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널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패널과, 세로 프레임과, 패널 스트립들은 압출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패널 및 패널 스트립은 상부 및 하부 단부들이 절단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의 각 상부 및 하부 단부들이 모두 상기 도어 패널 및 패널 스트립의 상부 및 하부 단부를 넘게 연장되는 긴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패널은 나무의 분말재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가 압출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패널은 대나무의 분말재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가 압출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패널은 나무 및 대나무의 분말재에 결합재를 섞은 혼합재가 압출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에, 그 길이 방향에서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고, 폭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고정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발포 단열재의 층이 상기 도어 패널과 보강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스트립과 세로 프레임이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 한 쌍의 판 부착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부착용 홈중의 하나가 패널 스트립의 한 측면에 형성되며, 부착용 홈중의 다른 하나는 세로 프레임의 한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판 부착용 홈에 보강판이 삽입되며,
    상기 보강판과 도어 패널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재가 폐기 나무 또는 대나무로 구성되거나, 나무 및 대나무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재가 폐기되는 폐 비닐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패널.
KR10-2000-0028013A 1999-09-30 2000-05-24 건축용 패널 KR100367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77877 1999-09-30
JP27787799A JP3791885B2 (ja) 1999-09-30 1999-09-30 建築用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739A KR20010029739A (ko) 2001-04-16
KR100367067B1 true KR100367067B1 (ko) 2003-01-09

Family

ID=1758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013A KR100367067B1 (ko) 1999-09-30 2000-05-24 건축용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13292B2 (ko)
JP (1) JP3791885B2 (ko)
KR (1) KR100367067B1 (ko)
CN (1) CN1114018C (ko)
CA (1) CA230499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796B1 (ko) * 2002-04-26 2005-04-14 강병재 2개의 슬릿홈이 형성된 찻상 테두리부재와 이를 이용한찻상판 제조방법
US20080032147A1 (en) * 2005-08-26 2008-02-07 Thomas Neel Medium density fibreboard
US20070049661A1 (en) * 2005-08-26 2007-03-01 Premomcne, Llc Agricultural stalk strandboard
WO2007025292A2 (en) * 2005-08-26 2007-03-01 Premomcne, L.L.C. Medium density fibreboard
US20070044890A1 (en) * 2005-08-26 2007-03-01 Premomcne, Llc Machine for conditioning soybean straw
US20070187025A1 (en) * 2006-02-13 2007-08-16 Newcore, L.P. Bamboo beam
US7147745B1 (en) 2006-02-13 2006-12-12 Newcore, L.P. Bamboo beam and process
KR100843719B1 (ko) * 2007-01-24 2008-07-04 김융식 건축용 발포 패널
BE1018382A3 (nl) * 2008-12-22 2010-09-07 Wybo Carlos Bekledingspaneel.
US7681858B1 (en) * 2008-12-30 2010-03-23 Hiwin Mikrosystem Corp. Preloading and flex resistant support board for a mechanical machine
IT1395927B1 (it) * 2009-09-25 2012-11-02 Stella Sistema a strutture modulari componibili e relativi manufatti
JP4688234B1 (ja) * 2010-03-16 2011-05-25 株式会社 構造材料研究会 長方形金属平板の角管補強構造
US8997933B2 (en) * 2010-10-04 2015-04-07 Ardisam, Inc. Load-bearing platform
US8794383B2 (en) 2012-01-09 2014-08-05 Rivers Edge Tree Stands, Inc. Ladder stand
JP2014008617A (ja) * 2012-06-28 2014-01-20 Okura Ind Co Ltd パーティクルボード
CN103341897A (zh) * 2013-06-18 2013-10-09 泗阳蓝阳托盘设备科技有限公司 内设纵筋的植物纤维挤出制品及挤出机和生产方法
CN103522381B (zh) * 2013-10-18 2015-04-01 巫溪县迪纳木业有限公司 建筑模板制作工艺
US10882048B2 (en) 2016-07-11 2021-01-05 Resource Fiber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ing bamboo or vegetable cane fiber
US11175116B2 (en) 2017-04-12 2021-11-16 Resource Fiber LLC Bamboo and/or vegetable cane fiber ballistic impact panel and process
CN108252414A (zh) * 2017-12-01 2018-07-06 太原双鼎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
US10597863B2 (en) 2018-01-19 2020-03-24 Resource Fiber LLC Laminated bamboo platform and concrete composite slab system
CN108908572B (zh) * 2018-06-28 2023-12-12 江苏德重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竹制品加工用模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5449A (en) * 1923-07-05 1924-03-04 Harry F Baloun Partition
DE2325926C2 (de) * 1973-05-22 1990-08-02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gnozellulosehaltigen Werkstoffen
US3888060A (en) * 1973-12-17 1975-06-10 Juan Haener Construction assembly and method including interlocking blocks
US5017319A (en) * 1984-03-30 1991-05-21 Shen Kuo C Method of making composite products from lignocellulosic materials
JPH03627A (ja) 1989-05-29 1991-01-07 Komatsu Ltd 密封容器の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US5761865A (en) * 1996-08-30 1998-06-09 Tapco International Component shutter panel assembly
JPH10259308A (ja) 1997-03-21 1998-09-29 Eco Polymer Kk 樹脂混合物と木粉を含む組成物
US5946878A (en) * 1997-05-27 1999-09-07 Grund; Richard A. Composite structural panel
US6054207A (en) * 1998-01-21 2000-04-25 Andersen Corporation Foamed thermoplastic polymer and wood fiber profile and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00240A1 (en) 2002-08-01
JP2001096515A (ja) 2001-04-10
CA2304993A1 (en) 2001-03-30
JP3791885B2 (ja) 2006-06-28
CN1114018C (zh) 2003-07-09
CN1290796A (zh) 2001-04-11
US6513292B2 (en) 2003-02-04
CA2304993C (en) 2004-11-02
KR20010029739A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067B1 (ko) 건축용 패널
US5279089A (en) Insulated wall system
JP3627053B2 (ja) 熱可塑性構造部品及びそれによって形成された構造物
US20020069600A1 (en) Composite structural building panels and systems and method for erecting a structure using such panels
US5373674A (en) Prefabricated building panel
US8938882B2 (en)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and frame structures
US20110045250A1 (en) Extrusion process and product
US3898779A (en) Modular building panels and enclosures
US4304080A (en) Construction beam
US20110047908A1 (en) High-strength insulated building panel with internal stud members
US20120247038A1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interlocking panels
JP2003528232A (ja) 複合建築材
EP0381000B1 (en) Prefabricated concrete panel with thermally insulating or lightening layer
US5339522A (en) Method for constructing modular doors
EP1007322B1 (en) Continuous extrusion process using organic waste materials
EP3971356A1 (en) Sandwich panel and building module
DE3307634A1 (de) Waermedaemmelement fuer innen- und aussenverkleidungen
DE102004011775A1 (de) Leichte Kunststoff-Verbund-Hartplat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12058745A1 (en) Extrusion process and product
CN2358133Y (zh) 新型活动房屋
AU2021221635A1 (en) Sandwich panel and building module
JPH0913526A (ja) 断熱パネル
JPH0718828U (ja) 金属材補強を施した合成木材
CA2631567A1 (en) Mounting method for a roof
JP2000282756A (ja) 断熱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