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736B1 -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736B1
KR100366736B1 KR10-1999-0013746A KR19990013746A KR100366736B1 KR 100366736 B1 KR100366736 B1 KR 100366736B1 KR 19990013746 A KR19990013746 A KR 19990013746A KR 100366736 B1 KR100366736 B1 KR 10036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sealing material
crystal display
light shielding
shiel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241A (ko
Inventor
모리이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1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Abstract

광경화형 밀봉재를 사용하여 고개구율화, 택트 타임(tact time)의 단축을 달성한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밀봉재의 경화불량이 없고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액정표시소자를 형성하고, 적어도 1층은 차광막을 갖는 2장의 전극 기판에 있어서, 2장의 기판을 부착시키는 밀봉재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있는 차광막의 폭을 한정함으로써 광경화형 밀봉재의 경화 불량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개구율이 높고,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ING DEVICE}
본 발명은 2장의 기판(TFT 기판 및 대향기판) 주변을 밀봉재로 부착하고, 이들 2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액정표시소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경화형 밀봉재를 적용하고, 위치맞춤 마진을 적게 설계하며, 개구율을 향상시키는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는 CRT의 대체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노트북형 PC나 전자시스템 수첩 등의 휴대용 단말은 최근에 현저하게 보급되어 왔다. 상기 설명한 용도에 액정표시소자를 사용할 때, 저소비전력화가 필요하게 된다. 저소비전력화를 달성하기 위해, 액정표시소자의 개구율의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통상적인 열경화형 밀봉재는 내습성 및 접착강도의 면에서 다른 밀봉재보다우수하기 때문에, 많은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재료의 경화에 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향하는 2장의 기판 사이에 온도차가 생겼을 때, 유리기판의 열팽창에 의해 위치 편차가 생긴다. 이러한 위치 편차에 대처하기 위해, 현재의 액정표시소자의 화소 설계에는 위치 편차의 마진을 사용한다. 이러한 설계 마진은 액정 패널의 개구율(전체에 대한 액티브 영역의 비율)을 낮춘다. 설계마진을 적게 하여, 개구율이 높은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는 기술로서는 광경화형 밀봉재의 적용이 주목되고 있다. 광경화형 밀봉재를 적용함으로써 위치 편차 마진은 1/3 정도로 설계될 수 있어, 액정표시소자의 고개구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의 설계에서는, 밀봉재에 빛을 조사하는 개념은 채택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열경화형 밀봉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에 광경화형 밀봉재를 사용하였을 때, 빛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에 밀봉재의 경화불량이 생겼다. 미경화된 광경화형 밀봉재는 액정의 내부에 불순물로서 용해되어, 표시불량으로 된다. 또한, 밀봉재가 미경화이면, 접착제로서의 기능은 효력이 없게 되어, 2장의 기판을 부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광경화형 밀봉재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설계 기준이 필요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열경화형 밀봉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의 구조에 있어서는, 광경화형 밀봉재의 사용은 그것의 설계에서는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광경화형 밀봉재를 사용하였을 때 경화불량이 생겨, 실용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광경화형 밀봉재를 액정표시소자에 사용하는 선행기술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127174/1993, 특개소 112128/1986, 특개평 211396/1996, 특개소 219932/1986, 실개평 076930/1994, 특개평 101395/1996, 특개평 146436/1996, 특개소 093421/1984가 있지만, 전극 기판의 밀봉재가 위치하는 장소에 있는 차광막의 설계기준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기판 상에 광경화형 밀봉재가 위치하는 차광막에 슬릿을 넣음으로써, 광경화형 밀봉재를 경화하는데 필요한 빛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경화형 밀봉재의 경화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고개구율 및 고신뢰성을 갖는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차광막을 사용한 액정표시소자에, 광경화형 밀봉재를 적용하기 위한 신규의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도 2의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구획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광막의 예의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차광막의 또 다른 예의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액정표시소자의 또 다른 예의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극 기판 2 : 전극 기판
4 : 격자형 패턴 5 : 광경화형 밀봉재
6 : 전극 기판 7 : 전극 기판
8 : 차광막 9 : 차광막
10 : 광경화형 밀봉재 11 : 150㎛
12 : 개구부 13 : 빛
101 : 빛 102 : 전극 기판
103 : 100㎛ 폭의 차광막 104 : 차광막
105 : 전극 기판 106 : 광경화형 밀봉재
107 : 800㎛ 폭의 차광막 108 : 광경화형 밀봉재
109 : 영역 110 : 전극 기판
먼저, 전극 기판 사이에 삽입된 광경화형 밀봉재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차광막의 폭은 15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전극 기판 사이에 삽입된 광경화형 밀봉재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차광막의 형상은 기판의 이면 방향(막형성면의 이면측)으로부터의 빛을 투과하도록 격자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격자 형상은, 차광폭은 150㎛ 이하로, 개구부의 폭은 5㎛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2장의 전극 기판 상의 차광막의 형상은 기판의 이면측(막형성면의 이면측)으로부터의 빛을 투과하도록 설계된 격자형상으로, 그것의 대향하는 2장의 기판의 위치관계는 2장의 전극 기판 중 한쪽의 전극 기판의 차광막 부분과 다른 한쪽의 전극 기판의 차광막 부분 사이의 중첩되는 폭을 15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경화형 밀봉재의 종류는 빛에 의해 경화반응을 개시하는 재료계이면 광범위하게 선택될 수 있다. 통상적인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광 양이온성 반응을 사용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빛만으로 경화하는 재료뿐만 아니라, 열경화성을 갖는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격자형 패턴의 예를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격자형 패턴에서 차광막 부분, 즉 빛을 차광하는 부분을 해칭으로 나타내고, 개구 부분, 즉 빛을 투과하는 부분을 백색으로 나타내었다. 백색부의 형상으로서는, 이 이외에 환형, 타원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에서는, 설명을 위해 사각형 패턴 61, 62 및 63의 3종류를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 도 4의 패턴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차광막의 폭이 X로 표시되고, 개구폭이 Y로 표시되면, 도면에서 차광 부분의 폭은 X이고, 개구 부분의 폭은 Y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액정재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TN형 액정표시소자에 사용하고 있는 액정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재료에는 통상의 유리, 석영 등과,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고 있는 기판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1, Cr 등의 금속막 및 그것들의 다층막이 빛을 투과하지 않는 재료이면, 본 발명의 차광막 재료에 이들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을 도 7 및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참조번호 101은 빛, 참조번호 102는 청구항 1에 기술된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전극 기판, 첨조번호 103은 100㎛ 폭의 차광막, 참조번호 104는 차광막, 참조번호 105는 청구항 1에 기술된 기판으로서 기능하는 전극 기판, 참조번호 106은 광경화형 밀봉재, 참조번호 107은 800㎛ 폭의 차광막, 참조번호 108은 광경화형 밀봉재, 참조번호 109는 영역, 참조번호 110은 전극 기판, 참조번호 111은 광경화형 밀봉재(106)를 통과하는 빛을 나타낸다.
도 7은, 100㎛ 폭의 차광막(103)을 형성한 전극 기판(102)과 차광막(104)을 형성한 전극 기판(105) 사이에 배치된 광경화형 밀봉재(106)의 경화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광경화형 밀봉재(106)는 전극 기판(102)에 있어서의 빛(101)의 굴절 및 차광막(104)에서의 반사에 의한 빛(111)으로 완전히 경화된다.
도 8은 800㎛ 폭의 차광막(107)을 형성한 전극 기판(110)과 차광막(104)을 형성한 전극 기판(195) 사이에 배치된 광경화형 밀봉재(108)의 경화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빛(101)의 굴절 또는 반사에 의해, 800㎛ 폭의차광막(107) 하부의 광경화형 밀봉재는 일부 경화되지만, 영역(109)에 있어서는 경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로는, 광경화형 밀봉재가 경화되지 않는 영역(109)의 폭은 이 경우에 650㎛이다. 즉, 차광부의 경화 심도는 75㎛이고, 차광막의 폭은 15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TFT-LCD에서 사용되는 유리기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라인 및 공간(L/S)을 형성하고, 그 기판의 상부에 UV 밀봉재를 도포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재질의 또 다른 유리기판(패턴은 아니다)에 상기 밀봉재를 6㎛의 두께로 압착한다. 그후, 패턴 이면측에서 UV 광을 조사하여, 밀봉재를 경화한다. 밀봉재의 경화 후, 상기 유리기판을 박리하고, 경화된 밀봉재의 경화도를 측정한다. 사용된 분석법은 FT-IR이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L/S의 조합(㎛) 경화도 판단
100/100
150/150
160/160 ×
200/200 ×
160/150 ×
150/50
150/30
150/10
150/5
150/3 ×
주: "○"은 양호를 나타내고, "×"는 불량을 나타낸다.
또한, 밀봉재 경화에 있어서 빛 에너지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광막의 개구부의 폭을 5㎛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차광막 아래의 광경화형 밀봉재를 경화하기 위해서는, 차광막의 폭 X는 150㎛ 이하, 개구부의 폭 Y는 5㎛ 이상으로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차광막 아래의 광경화형 밀봉재의 경화불량을 방지하여, 고개구율 및 고신뢰성의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형성된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는 영역 A로서 도 1에 나타낸 액정표시소자와 차광막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격자형 패턴(4)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전극 기판(1)과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는 전극 기판(2)을 사용하여, 액정표시소자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소자와 종래의 것을 비교하면, 2장의 기판을 부착하는 밀봉재는 광경화형 밀봉재(5)이고, 차광막은 격자형 패턴(4)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격자형 패턴(4)은 차광부의 폭 X를 80㎛으로 하고, 개구부의 폭 Y를 80㎛으로 하였다.
전극 기판(1) 상에 광경화형 밀봉재(5)를 디스펜서법으로 형성한다. 그후, 전극 기판(1)과 전극 기판(2)을 중첩을 행한 후, 전극 기판(1)의 방향으로부터 광조사를 행하여 밀봉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광경화형 밀봉재(5)는 광라디칼(photo radical) 반응을 나타내는 아크릴레이트(acrelate)계 수지이다. 또한, 광조사의 조건은 4kW 출력의 금속 할로겐화물(haride)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파장이 365nm이고, 광강도가 100mW/㎠이며, 조사시간이 30초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프로세스 이외에, 배향막 관련 프로세스, 스페이서 관련 프로세스, 절단 프로세스, 주입 프로세스 등은 종래의 프로세스에 의해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는 밀봉재 경화에 의한 위치 편차를 보상하는 위치 편차 마진을, 종래의 약 1/3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개구율이 높고, 또한 광경화형 밀봉재(5)의 경화불량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높은 개구율에 의해, 빛의 이용 효율이 높아진다. 일정한 밝기를 필요로 할 때, 개구율이 높을수록 백라이트(back light)의 휘도가 저하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도 저하할 수 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및 공정에 의해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한다. 단, 본 비교예에서는, 전극 기판(1)에, 격자형 패턴의 차광막의 폭 X가 200㎛, 개구부의 폭 Y가 200㎛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광조사는 전극 기판(1)측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밀봉재의 경화불량이 생겨,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및 공정에 의해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한다. 단, 본 비교예에서는, 전극 기판(1)에 격자형 패턴이 없는 종래의 전극 기판을 사용한다. 또한, 광조사는 기판의 양면에서 행해진다. 그 결과, 밀봉재의 경화불량이 생겨,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및 공정에 의해 액정표시장치를 제작한다. 단, 본 비교예에서는, 전극 기판(1)에 격자형 패턴의 차광막의 폭 X가 200㎛, 개구부의 폭 Y가 3㎛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광조사는 전극 기판(1)측에서 행해진다. 그 결과, 밀봉재의 경화불량이 생겨,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액정표시소자는 실시예 1에 나타낸 것과 비교하여 특별한 특징, 즉 밀봉재가 배치되어 있는 전극 기판의 바로 위와 바로 아래에 보여진 특징을 갖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타의 구성 및 재료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극 기판(6) 상에 광경화형 밀봉재(10)를 디스펜서법에 의해 형성한다. 그후, 전극 기판(6)과 전극 기판(7)을 중첩한 후, 전극 기판(6)과 전극 기판(7)의 양측에서 빛(13)을 조사하여 그것을 패널화한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차광막(8)과 차광막(9)의 폭 X는 800㎛이고, 개구부(12)의 폭 Y는 500㎛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 기판(6)과 전극 기판(7)을 중첩한 후의 위치관계는 전극 기판(6) 상의 차광막(9)과 전극 기판(7) 상의 차광막(8) 사이의 오버랩 양이 150㎛(11)이다.
이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는, 광경화형 밀봉재(3) 근방에서 액정의 배향 혼란을 일으키지 않고 균일한 배향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액정표시소자는 밀봉재에 의한 표시 상에 결함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는, 광경화형 밀봉재(10)의 경화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액정표시소자는 개구율이 높고, 신뢰성이 높다. 높은 개구율에 의해, 빛의 이용효율이 상승한다. 일정한 밝기를 필요로 할 때, 개구율이 높을수록 백라이트의 휘도가 저하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저하할 수 있다.
표 2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과 효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액정표시소자의 양쪽 2장의 기판은 각각의 전극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2장의 기판 중 한 장의 기판만이 전극을갖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차광막의 적어도 일부는 매트릭스형 전극을 표시하는 기록 루트로서 통상 사용된다.
밀봉재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격자형상의 막 차광막의 폭(㎛) 개구부의 폭(㎛) 광 조사 방향 밀봉 경화 상태
실시예 1 일측 기판 80 80 일면 양호
실시예 2 양측 기판 800 500 양면 양호
비교예 1 일측 기판 200 200 일면 경화 불량
비교예 2 없음 - - 양면 경화 불량
비교예 3 일측 기판 200 3 일면 경화 불량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각각 적어도 1층의 차광막을 갖는 것과 동시에 적어도 한쪽에 전극을 갖는 2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재료를 삽입하는 액정표시소자이다. 이 액정표시소자는 광경화형 밀봉재에 의해 각각의 전극 기판이 대향 배치되도록 부착하고, 광경화형 밀봉재에 빛을 조사하여 제작되었다. 상기 2장의 기판 사이에 삽입된 광경화형 밀봉재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차광막의 폭이 150㎛ 이하이기 때문에, 광경화형 밀봉재의 경화불량을 방지한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2장의 전극 기판 사이에 삽입된 광경화형 밀봉재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존재하는 차광막의 형상을 격자형상으로 함으로써, 광경화형 밀봉재의 경화불량을 향상하여,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경화형 밀봉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차광막의 격자형상은, 차광폭을 150㎛ 이하로, 개구폭을 5㎛ 이상으로 함으로써, 광경화형 밀봉재의 경화불량을 제거하여,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각 적어도 1층의 차광막을 갖는 것과 동시에 적어도 한쪽에 전극을 갖는 2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재료를 삽입하는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이 액정표시소자는 광경화형 밀봉재에 의해 각각의 상기 2장의 기판이 대향 배치되도록 부착하고, 광경화형 밀봉재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제작되고, 상기 2장의 기판 상에 광경화형 밀봉재를 배치하는 부분의 차광막은 격자형상이며, 상기 2장의 기판 중 한 개가 기판 상의 격자 형상의 차광부와 또 다른 기판 상의 차광부와의 중첩량은 150㎛ 이하로 함으로써, 광경화형 밀봉재의 경화 불량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액정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각각 적어도 1층의 차광막을 갖는 동시에 적어도 한쪽에 전극을 갖는 2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재료를 삽입하여 이루어진 액정표시소자로서, 광경화형 밀봉재에 의해 각각의 전극 기판이 대향 배치되도록 부착하고, 광경화형 밀봉재에 빛을 조사하여 형성하는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2장의 기판 사이에 삽입된 광경화형 밀봉재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의 어느 한쪽에 있는 차광막의 폭이 150㎛ 이하, 개구부의 폭은 5㎛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2장의 기판 사이에 삽입된 광경화형 밀봉재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의 어느 한쪽의 차광막의 형상이 격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3. 각각 적어도 1층의 차광막을 갖는 동시에 적어도 한쪽에 전극을 갖는 2장의 기판 사이에 액정재료를 삽입하여 이루어진 액정표시소자로서, 광경화형 밀봉재에 의해 각각의 기판이 대향 배치되도록 부착하고, 광경화형 밀봉재에 빛을 조사하여 형성하는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2장의 기판 상의 상기 광경화형 밀봉재를 배치하고 있는 부분의 차광막은 격자형상이고, 대향하는 위치관계는, 상기 기판 상의 격자형상의 차광부와 대향하는 상기 기판 상의 개구부의 위치가 150㎛ 이하의 중첩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1999-0013746A 1998-07-13 1999-04-19 액정표시소자 KR100366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719998 1998-07-13
JP197199 1998-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41A KR20000011241A (ko) 2000-02-25
KR100366736B1 true KR100366736B1 (ko) 2003-01-06

Family

ID=1637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746A KR100366736B1 (ko) 1998-07-13 1999-04-19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24394B1 (ko)
KR (1) KR100366736B1 (ko)
TW (1) TW5484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8104B1 (en) * 1998-07-28 2003-09-0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Optical device having reverse mode holographic PDLC and front light guide
JP4065609B2 (ja) * 1998-08-07 2008-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222017A (ja) * 1999-05-24 2001-08-17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66319A (ja) * 1999-12-09 2001-06-22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2084252A (ja) * 2000-09-07 2002-03-22 Sony Corp Ofdm変調装置、ofdm復調装置及びofdm送受信システム
US7016667B1 (en) * 2000-09-18 2006-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telephone network edge node providing bridging and privacy
JP3813433B2 (ja) * 2000-10-16 2006-08-23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6542216B2 (en) * 2001-01-09 2003-04-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hin film patterns interspersed with voids to admit light to otherwise shadowed regions
US6882398B2 (en) * 2001-04-17 2005-04-19 Nec Lcd Technologies, Lt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KR100789450B1 (ko) * 2001-07-10 2008-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소자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JP3642304B2 (ja) * 2001-08-09 200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パネル、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7253866B2 (en) * 2001-10-27 2007-08-07 Lg.Philips Lcd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652046B1 (ko) * 2001-12-22 2006-11-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70011B1 (ko) * 2002-07-19 2008-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TWI282475B (en) * 2002-07-26 2007-06-1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0403134C (zh) * 2002-08-02 2008-07-16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
US6885416B2 (en) 2003-07-07 2005-04-26 Au Op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with a non-matrix light shielding structure
JP2005242099A (ja) * 2004-02-27 2005-09-08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
CN1716005A (zh) * 2004-06-28 2006-01-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US7649607B2 (en) * 2004-12-28 2010-01-19 Sharp Kabushiki Kaisha Wiring figure pattern of display panel
WO2006098475A1 (ja) * 2005-03-18 2006-09-21 Sharp Kabushiki Kaisha 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590498C (zh) * 2005-07-11 2010-02-17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4142064B2 (ja) * 2005-08-05 2008-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電気光学装置、プロジェクタ、及びマイクロデバイス
TW200743839A (en) * 2006-05-19 2007-12-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70273821A1 (en) * 2006-05-24 2007-11-29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Displaying System Having a Sealing Structure
JP4494446B2 (ja) * 2007-09-12 2010-06-3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JP2009300555A (ja) * 2008-06-11 200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477851B (zh) * 2012-05-22 2015-03-2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與觸控液晶顯示面板
JP6063706B2 (ja) * 2012-10-19 2017-01-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2160829B1 (ko) * 2012-11-02 2020-09-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 및 밀봉체의 제작 방법
CN104035255B (zh) * 2014-06-05 2017-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制作方法
KR20160046968A (ko) * 2014-10-20 2016-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광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CN104865739B (zh) * 2015-06-17 2018-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触控显示屏及固化装置
KR102348373B1 (ko) * 2015-06-25 2022-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7844004B (zh) * 2017-11-01 2021-02-19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
JP6705469B2 (ja) 2018-05-23 2020-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CN111766979B (zh) * 2020-06-12 2021-07-06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15359722B (zh) * 2022-08-04 2024-03-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9882A (en) * 1991-11-18 1998-04-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CD polymerized column spacer formed on a modified substrate, from an acrylic resin, on a surface hav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ortions, or at regular spacings
JPH09138390A (ja) * 1995-09-14 1997-05-27 Canon Inc 液晶表示装置
JPH0990383A (ja) 1995-09-26 1997-04-04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JP3207136B2 (ja) 1997-07-17 2001-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8492B (en) 2003-08-21
US6424394B1 (en) 2002-07-23
KR20000011241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736B1 (ko) 액정표시소자
US630430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optical shield film
KR10071856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874920B2 (ja) 液晶表示装置
US70198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798812A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ith extending protrusions between gate and source line terminals
KR101663563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960025293A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248593B1 (ko) 액티브매트릭스기판 및 그 제조방법과 액정표시장치
JP4163812B2 (ja) 液晶表示素子
JPH10325951A (ja) 液晶表示装置
KR100437837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283771B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JPH0829792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88763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S60119526A (ja) 液晶表示セルの製造方法
KR102010850B1 (ko) 액정패널의 제조방법
JP2000171805A (ja) 液晶表示装置
JP4269381B2 (ja) 液晶表示装置用マイクロレンズ基板
JPH06331971A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049510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4390B1 (ko) 액정표시장치
US6927017B2 (en) Method for fabricating reflective-type LCD
KR20080027992A (ko) 액정 표시 장치
JP3215745B2 (ja) 液晶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