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671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671B1
KR100366671B1 KR10-1999-7007670A KR19997007670A KR100366671B1 KR 100366671 B1 KR100366671 B1 KR 100366671B1 KR 19997007670 A KR19997007670 A KR 19997007670A KR 100366671 B1 KR100366671 B1 KR 100366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exhaust
suction
pip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609A (ko
Inventor
다케모토리츠오
Original Assignee
도시바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394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1602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599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787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36024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87999A/ja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8Nozzles with means adapted for blo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4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cleaning by blowing-off,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 본체(20)에 내장된 전동송풍기(28)의 흡입측(28a)과 흡입구체(24)가 흡입풍로(61)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28)의 배기측(28b)과 상기 흡입구체(24)가 배기풍로(62)에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24)를 상기 청소기 본체(20)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40,41,42)가 상기 양풍로(61,62)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청소기.

Description

전기청소기{VACUUM-CLEANER}
이 종류의 전기청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도 18(일본 실공소 39-36553호 공보 참조)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이 도 18에 있어서, 1은 청소기 본체, 2는 청소기 본체(1)내에 배열설치된 필터, 3은 필터(2)내에 형성된 집진실, 4는 청소기 본체(1)내에 배열설치되고 동시에 흡입측이 집진실(3)에 연통하는 전동송풍기, 5는 청소기 본체(1)에 설치되고 동시에 집진실(3)에 연통하는 흡입측 접속구, 6은 청소기 본체(1)에 설치되고 동시에 전기청소기(1)의 배기측에 연통하는 배기측 접속구이다. 이 청소기 본체(1)에는, 흡입구체(7)가 호스나 파이프 등의 접속관(8)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흡입구체(7)에는 배기풍을 앞측에서 흡입구(7a)의 하방으로 향하여 불어내보내는 배기풍로(9)와, 흡입구(7a)로부터 빨아들여진 먼지를 빨아들이는 흡입풍로(10)를 갖는다. 또, 접속관(8)은 내관(8a)과 외관(8b)으로 내외 2중으로 형성되고, 내관(8a)내의 흡입풍로(11)가 흡입측 접속구(5)와 흡입풍로(10)로 연통하게 되고, 내관(8a)과 외관(8b) 사이의 배기풍로(12)가 배기측 접속구(6)와 배기풍로(9)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청소기에서는, 흡입구(7a)로부터 에어와 함께 빨아들여진 먼지가 흡입풍로(10, 11)를 통하여 집진실(3)로 빨아들여져 필터(2)에 의하여 포집(捕集)되게 되어 있다. 한편, 이 경우 필터(2)로 청정(淸淨)된 에어는 전동송풍기 (4) 및 배기풍로(12)를 통하여 배기풍로(9)로 안내되어, 이 배기풍로(9)로부터 흡입구(7a)의 하방을 향하여 불어 내보내어져서 청소면(13)의 먼지를 흡입구(7a)측으로 불어 날려버리고, 재차 이 불어 날려버린 먼지를 흡입풍로(10)에 빨아들어지게 하여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9(일본 실개소 50-97269호 공보 참조) 및 도 20(일본 실개소 51-95266호 공보 참조)에 개시된 전기청소기는, 청소기 본체(514)내의 전동송풍기 (515)을 작동시키면, 전동송풍기(515)의 흡인부압이 청소기본체(514)의 집진실 (516) 및 흡입관(517)을 통하여 흡입구체(518)에 작용하여 흡입구체(518)로부터 에어와 함께 먼지가 빨아들여지게 되어 있다. 이 흡입구체(518)로 빨아들여진 먼지는, 흡입관(517)을 통하여 집진실(516)로 빨아들여져서 필터(519)에서 포집되게 된다. 또, 필터(519)에서 청정된 에어는, 전동송풍기(515)로부터 후방의 배기실 (520)로 배기된 후, 배기관(521)을 통하여 흡입구체(518)내로 안내되어, 청소면 (522)의 먼지를 흡입구체(518)내로 날아오르게 하여 빨아들이게 함으로서, 순환(환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도 18에 도시하는 전기청소기에서는, 접속관(8)과 흡입구체(9)의 접속단의 단면 끼리를 맞댄 구조이기 때문에, 이 접속단의 플랜지 끼리를 단면이 C자 형상인 고정구(F)를 통하여 전둘레에 걸쳐 견고하게 고정하여, 접속관(8)과 흡입구체(9)의 접속단의 단면 끼리의 맞댐부의 기밀을 도모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구조로서는, 접속관(8)과 흡입구체(9)의 접속단의 단면의 두께가 작은 것으로 인하여 기밀성을 간이하게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또, 다른 흡입구를 흡입구체(7)에 대신하여 사용하고 싶은 경우나 고장 때문에 교환하고 싶은 경우에, 그의 교환이 가능하지 않았다.
또, 도 18에 도시한 전기청소기로서는, 내외 2중의 접속관(8)내에 흡입풍로 (11)와 배기풍로(12)를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배기풍로(12)를 흡입구체(9)로부터 떼어냄과 동시에 흡입풍로(11)로부터 분리하여 청소면의 먼지를 블로(불어날려버림)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또,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전기청소기는, 흡입관(517)과 배기관(521)을 병렬설치하여 일체로 설치한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관(521)을 흡입관(517) 및 흡입구체(518)로부터 분리하여 청소면의 먼지를 블로(불어날려버림)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또, 도 18에 도시하는 전기청소기는 흡입구체(7)에 배기풍로(12)로부터의 배기에 의하여 회전되는 팬(14)이 설치되고, 팬(14)은 풀리기구를 통하여 브러시(16)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접속관(8)에는 팬(14)이나 전동송풍기(4)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손잡이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른 한편, 종래의 전기청소기에서는, 청소기 본체로부터 나선형상의 요철에 의하여 자유로이 굴곡가능한 호스를 길게 늘리고, 그 호스의 선단부에 전동송풍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손잡이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호스의 끝에는 연장관을 통하여 흡입구체가 접속되어, 흡입구체를 이동시키면서 손잡이 조작부의 버튼 조작에 의하여 전동송풍기의 온·오프, 강약 등이 컨트롤되게 되어 있지만, 청소기 본체로부터 손잡이 조작부까지의 도선 등은 호스 주위의 주름부에 따라 나선형상으로 매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호스를 도 18에 도시하는 전기청소기에 적용하면, 도선이 나선상으로 둘러 감겨져서 호스의 중량이 저감되지 않음과 동시에, 호스의 제조에 수고가 소요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 도선을 흡입풍로(11)에 설치하면, 빨아들인 먼지가 도선에 붙들려져서 도선을 단절시키거나, 빨아들인 먼지가 막히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배기풍을 청소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흡입구체로 되돌려서 순환시키도록 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도 6 전기청소기의 주요부, 즉 도 6의 A-A선에 따른 풍로접속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손잡이 접속관과 연장용 접속관의 주요부를 분리하여 도시한사시도,
도 3은 도 1의 B-B선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기워맞춤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1∼도 5의 구조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전기청소기의 풍로 설명도,
도 8은 제 2 실시예의 전기청소기의 풍로의 개략 설명도,
도 9는 도 8의 전기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도 10은 도 8, 도 9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를 손잡이 파이프로부터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호스 선단의 확대 설명도,
도 12는 도 9의 손잡이 파이프와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와의 접속의 설명도로서, 도 13(a)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a)는 도 12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b)는 도 1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의 유지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제 3 실시예의 호스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제 3 실시예의 순환식의 전기청소기의 흡입경로와 배기경로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제 3 실시예의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1의 목적은, 흡입구체를 청소기 본체 혹은 접속관 등에 대하여 착탈하여, 다른 부속기구를 이용하거나, 흡입구체가 고장났을 때에 간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가요성의 배기호스를 흡입호스로부터 분리하여 먼지의 블로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손잡이 조작부에의 배선을 용이한 것으로 함과 동시에, 2중의 관체의 전선중량을 경감화하고, 아울러 2중의 관체의 제조를 용이한 것으로 하고, 2중의 관체내에 배선을 행한 경우에도 막힘이나 배선의 단절의 염려없이 관체의 만곡에도 자유롭게 추종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서는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과 흡입구체가 흡입풍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과 상기 흡입구체가 배기풍로에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은 안쪽 파이프의 선단부가 바깥쪽 파이프의 선단보다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7에서는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과 흡입구체가 흡입풍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과 상기 흡입구체가 배기풍로에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은 안쪽 파이프의 선단부가 바깥쪽 파이프의 선단보다 돌출하고 있고,상기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한 가요성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로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호스를 분리가능하게 병렬설치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2에서는 전동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흡입구체를 접속하는 관체에, 상기 흡입구체로부터의 흡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내로 이송하는 흡기풍로와,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상기 흡입구체로 순환시키는 배기풍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은 안쪽 파이프의 선단부가 바깥쪽 파이프의 선단보다 돌출하고 있고,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관체의 전동송풍기 제어용의 손잡이 조작부에 이르는 배기풍로에, 상기 손잡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송풍기를 제어하기 위한 도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청구항 1에서는 흡입구체를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입구체를 청소기 본체 혹은 접속관 등에 대하여 착탈할 수가 있고, 이때문에, 다른 부속기구를 이용한다든지, 흡입구체가 고장났을 때에 간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청구항 7에서는,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한 가요성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로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호스를 분리가능하게 병렬설치시킨 것이므로, 가요성의 배기호스를 흡입호스로부터 분리하여 먼지의 블로를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12에서는, 청소기 본체로부터 관체의 전동송풍기 제어용의 손잡이 조작부에 이르는 배기통로에, 손잡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전동송풍기를 제어하기 위한 도선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청소기 본체로부터 손잡이 조작부까지의 관체의 배기풍로에는 집진이 끝난 배기가 흐르므로 인하여, 먼지가 배선에 붙들려서 막히거나, 배선이 단절되거나 하는 등의 염려가 없다. 또 배기풍로내에 설치한 도선을 배기풍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길게 늘리므로서, 도선을 단축할 수 있고, 도선중량을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도선의 배선이 용이하고, 관체의 구성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의 공정·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6에서, 20은 전기청소기의 청소기본체, 21은 청소기본체(20)에 접속된 집진호스(가요성 접속관), 22는 집진호스(21)의 선단부에 고정된 손잡이 접속관(손잡이 파이프), 23, 23'는 손잡이 접속관(22)에 직렬로 접속된 연장용 접속관(연장관 즉 연장파이프), 24는 연장용 접속관(23, 23')을 통하여 손잡이 접속관(22)에 접속된 흡입구체이다.
청소기 본체(20)의 앞부분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25)이 형성되고, 집진실(25)의 후부에는 팬실(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집진실(25)내에는 종이팩필터(27)가 집진필터로서 배열설치되고, 팬실(26)내에는 흡입측(28a)이 집진실(25)에 연통하는 전동송풍기(28)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팬실(26)의 후부는, 전동송풍기(28)의 배기구(배기측)(28b)가 개구되고, 동시에 집진실(25)과 구획된 배기실(26b)로 되어 있다. 또, 청소기 본체(20)내에는 집진호스(21)의 청소기 본체(20)에의 접속부(21a)의 부분까지 연장하는 배기풍로(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집진호스(21)는 주름상자 형상의 내측 가요성호스(30) 및 주름상자 형상의 외측 가요성호스(31)로부터 내외 2중으로 동시에 동심으로 형성되고, 내측 가요성호스(30)내에는 흡입풍로(32)가 형성되고, 가요성호스(30, 31) 사이에는 배기풍로(3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흡입구체(24)는 흡입구 본체(34)와, 흡입구 본체(34)에 장착된 흡입구체측 접속관(접속파이프)(35)를 갖는다. 흡입구 본체(34)내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흡입실(36)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흡입실(36)의 하단부의 흡입구(36a)에 앞측에서 연통하는 배기풍로(37)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체측 접속관(35)은, 안쪽 파이프(35a) 및 바깥쪽 파이프(35b)로 내외 2중으로 동시에 동심으로 형성되고, 안쪽 파이프(35a)내에는 흡입실(36)에 연통하는 흡입풍로(38)가 형성되고, 파이프(35a, 35b) 사이에는 배기풍로(37)에 연통하는 배기풍로(39)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상술의 손잡이 접속관(22)과 연장용 접속관(23)과의 착탈가능한 풍로접속부(40), 연장용 접속관(23, 23') 사이의 착탈가능한 풍로접속부(41), 연장용 접속관(23')과 흡입구체측 접속관(35)과의 착탈가능한 풍로접속부(42) 등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도 1∼도 5를 사용하여 접속부(40)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풍로접속부(41, 42)에 대하여는 그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더욱이, 손잡이 접속관(22)과 연장용 접속관(23)과의 풍로접속부(40)에서는, 손잡이 접속관 (22)이 제 1 접속관으로 되고, 연장용 접속관(23)이 제 2 접속관으로 된다. 또, 연장용 접속관(23, 23') 사이의 풍로접속부(41)에서는 연장용 접속관(23)이 제 1 접속관으로 되고, 연장용 접속관(23')이 제 2 접속관으로 된다. 더욱더, 연장용 접속관(23')과 흡입구체측 접속관(35)과의 풍로접속부(42)에서는, 연장용 접속관(23')이 제 1 접속관으로 되고, 흡입구체측 접속관(35)이 제 2 접속관으로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로접속부(40)에 있어서, 손잡이 접속관(제 1 접속관)(22)은 바깥쪽 파이프(43)내에 안쪽 파이프(44)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2중의 구조로 되어 있고, 파이프(43,4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 (45)로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안쪽 파이프(44)내에는 흡입풍로(46)가 형성되고, 파이프(43, 44) 사이에는 배기풍로(47)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안쪽 파이프(44)는 선단부(44a)가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파이프(43)의 선단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게다가 이 선단부(44a) 내면에는 선단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구멍(48)이 도 1, 도 5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 풍로접속부(40)에 있어서, 연장용 접속관(제 2 접속관)(23)은 바깥쪽 파이프(49)내에 안쪽 파이프(50)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이중의 구조로 되어 있고, 파이프(49, 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51)로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안쪽 파이프(50)내에는 흡입풍로(52)가 형성되고, 파이프(50, 51) 사이에는 배기풍로(53)가 형성되어 있다.
바깥쪽 파이프(49)의 선단부에는 소직경부(49a)가 형성되고, 소직경부(49a)의 기부에는 단차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직경부(49a)에는 외면에 개구하고 동시에 둘레방향으로 고리형상으로 연장하는 고리형상 유지홈(55)이 형성되고, 이 고리형상 유지홈(55)에는 고리형상 시일부재(56)가 끼워부착유지되어 있다. 이 고리형상 시일부재(56)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상 유지홈(55)으로부터 돌출하는 립부(56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안쪽 파이프(50)는 선단부(50a)가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파이프(49)의 선단보다 약간 안쪽으로 위치되어 있다. 게다가, 이 선단부(50a) 외면에는 도 1,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 외면(5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 접속관(제1 접속관)(22)과 연장용 접속관(제2 접속관)(23)은 서로 삽입접속되어 있다.
즉, 안쪽 파이프(50)의 선단부(50a)는 안쪽 파이프(44)의 선단부(44a)내에 삽입접속되어, 선단부(50a)의 테이퍼외면(57)이 선단부(44a)의 테이퍼 구멍(48)에 테이퍼 끼워맞춤되어 있음과 동시에, 바깥쪽 파이프(49)의 소직경부(49a)는 바깥쪽 파이프(43)의 선단부내에 삽입접속되어 있다. 이 바깥쪽 파이프(49)의 소직경부 (49a)의 외경은 바깥쪽 파이프(43)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어, 소직경부(49a)와 바깥쪽 파이프(43) 사이에는 약간의 클리어런스(5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형상 시일부재(56)의 립부(56a)가 바깥쪽 파이프(43)의 내면에 탄성접촉하여, 소직경부(49a)와 바깥쪽 파이프(43)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파이프(43, 44, 49, 50)의 내·외경에 다소의 치수분산이 있다하더라도, 안쪽 파이프(44, 50) 끼리 및 바깥쪽 파이프(43, 50) 끼리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접속시의 기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결과, 접속관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는 바깥쪽 파이프(43, 49)의 외면이 직평면으로 되어 외관상 우수하다.
또, 바깥쪽 파이프(43, 49)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59)와 안쪽 파이프(44,50)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6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방향으로 약간 어긋나서 겹쳐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바깥쪽 파이프(43, 49) 끼리 및 안쪽 파이프(44, 50)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접속부)(59, 60)의 끝이 겹쳐지는 일 없이, 삽입끼워맞춤부(50, 60)에 굽힘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안쪽 파이프(44, 50)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60)에 있어서 한쪽의 안쪽 파이프(44)(또는 50)의 끝에서부터 다른쪽의 안쪽 파이프(50)(또는 40)로 작용하는 전단력을 바깥쪽 파이프(43, 49)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접속부)(59)에서 보강할 수 있고, 동시에 바깥쪽 파이프(43, 49)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접속부)(59)에 있어서 한쪽의 바깥쪽 파이프(43)(또는 49)의 끝에서 다른쪽의 바깥쪽 파이프(49)(또는 43)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안쪽 파이프(44, 50)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접속부)(60)로 보강할 수 있다.
이 결과,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바깥쪽 파이프(43, 49) 끼리의 접속부를 단차없이 외관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하여, 한쪽의 바깥쪽 파이프(49)의 단부에 소직경부(49a)를 설치하여 단차부(54)를 갖게 하였을 때, 이 단차부(54)에 굽힘(bending)에 의한 전단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안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부에서 보강할 수 있으므로, 바깥쪽 파이프가 단차부에서 파단하는 경우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풍로접속부(40)에 있어서 접속작업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손잡이 접속관(22)과 연장용 접속관(23)의 접속은 안쪽 파이프(44, 50) 끼리 행해지고, 다음에 바깥쪽 파이프(43, 49) 끼리 행해진다. 즉, 손잡이 접속관(22)과 연장용 접속관(23)의 접속에 있어서는, 손잡이 접속관(22)의 안쪽 파이프(44)를 연장관용 접속관(23)의 바깥쪽 파이프(49)와 안쪽 파이프(50)와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서, 연장용 접속관(23)의 안쪽 파이프(50)를 손잡이 접속관(22)의 안쪽 파이프 (44)내에 삽입한다. 이 삽입에 있어서는 안쪽 파이프(44, 50)는 보이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안쪽 파이프(44, 50) 끼리의 삽입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 삽입접속이 어느 정도 행해지면, 다음에 바깥쪽 파이프(49)의 선단부의 소직경부(49a)가 바깥쪽 파이프(43)의 선단부내에 삽입되어, 최종적으로는 안쪽 파이프(44)의 테이퍼 구멍(48)에 안쪽 파이프(50)의 테이퍼외면(57)이 대략 밀착하였을 때, 단차부(54)의 단면(54a)과 바깥쪽 파이프(43)의 선단 사이에 대략 간극이 없는 상태로 된다. 이 바깥쪽 파이프(43, 49) 끼리의 접속은, 안쪽 파이프(44, 50) 끼리의 결합이 개시된 후에 행해지고, 동시에, 바깥쪽 파이프(43), 소직경부 (49a)는 이들 사이에는 다소의 클리어런스가 생기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직경부(49a)를 바깥쪽 파이프(43)에 용이하게 삽입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삽입접속상태에서는, 소직경부(49a)의 고리형상 시일부재(56)가 바깥쪽 파이프(43)의 내면에 탄성접촉하여, 바깥쪽 파이프(43), 소직경부(49a)간의 기밀한 시일이 행해지는 것으로 됨과 동시에 바깥쪽 파이프(43, 49)의 외면이 거의 직평면으로 되어, 외관이 우수한 상태로 된다.
또, 손잡이 접속관(제 1 접속관)(22)과 연장용 접속관(제 2 접속관)(23)의 분리는 상술한 것과는 역으로 접속관(22, 23)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떼어놓으므로서 용이하게 행해진다.
이와 같은 풍로접속부(40)에 있어서 접속 및 분리는 풍로접속부(41, 42)에서도 동일하게 행해지므로, 흡입구체(24)를 청소기 본체(20) 혹은 접속관(23') 등에 대하여 관절적으로 혹은 직접으로 간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 흡입구체(24)를 청소기 본체(1) 혹은 접속관(23') 등에 대하여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착탈하여, 기타의 부속기구를 이용하거나 흡입구체(24)가 고장났을 때에 간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풍로접속부(41, 42)에서 상술의 접속관(22, 23)의 풍로접속부(40)와 동일한 접속이 행해진 상태에서는, 접속관(22, 23)의 흡입풍로(46, 52), 접속관(23')내의 도시하지 않은 흡입풍로, 집진호스(21)내의 흡입풍로(32) 및 흡입구체(24)의 흡입풍로(38) 등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청소기 본체(20)의 집진실(25)과 흡입구체(24)의 흡입실(36)을 연통시키는 흡입풍로(62)를 구성하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접속관(22, 23)의 배기풍로(47, 53), 접속관(23')내의 도시하지 않는 배기풍로, 집진호스(21)내의 배기풍로(33) 청소기 본체(20)내의 배기풍로(29) 및 흡입구체(24)의 배기풍로(37) 등이 청소본체(20)의 배기실(26b)과 흡입구체(24)의 흡입실(36)를 연통시키는 일련의 배기풍로(63)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속상태에 있어서, 전동송풍기(28)를 작동시키면, 전동송풍기 (28)는 집진실(25)내의 에어를 흡인하여 집진실(25)내에 흡인부압을 작용시켜 이 흡인부압을 흡인풍로(62)를 통하여 흡입구체(24)의 흡입실(36)에 작용시킨다. 이로서, 흡입구체(24)내에 에어와 함께 빨아들여진 먼지는 흡입풍로(62)를 통하여 집진실(25)의 종이팩필터(27)에 흡입되어 포집되어 청정된 후, 청정된 에어는 전동송풍기(28)에 흡입되어 배기구(28b)로부터 배기실(26b)내로 토출된다. 이 배기실 (26b)에 토출된 에어는 배기풍로(63)를 통하여 흡입구체(24)로 안내되어, 배기풍로 (63)의 일부인 흡입구체(24)내의 배기풍로(37)로부터 흡입실(36)의 흡입구(36a)에 앞측에서 후방을 향하여 불어내보내지고 흡입실(36)에 흡인된 먼지와 함께 흡입풍로(62)를 통하여 집진실(25)로 흡인되어 순환한다.
이와 같은 에어의 순환에 있어서, 풍로접속부(40)에 있어서, 흡입풍로(46, 52)내에는 흡기부압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안쪽 파이프(44, 50)의 삽입접속이 깊어지는 방향으로 흡기부압이 작용하여, 안쪽 파이프(44)의 테이퍼 구멍(48)과 안쪽 파이프(50)의 테이퍼외면(57)이 밀착되게 된다. 이 결과, 안쪽 파이프(44, 50)의 삽입끼워맞춤부(60)의 기밀성을 시일없이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120은 전기청소기의 청소기 본체, 121은 청소기 본체(120)의 앞부분내에 형성된 집진실, 122는 집진실(121)의 개폐를 행하는 덮개체(집진실 개폐덮개), 123은 덮개체(122)에 형성된 호스접속구, 124는 집진실(121)내에 배열설치된 종이팩필터(집진필터)이다.
또, 125는 청소기본체(120)의 후부에 형성된 팬실, 126은 팬실(125)내에 배열설치된 전동송풍기이다. 이 전동송풍기(126)의 흡입구(흡입측)(126a)가 집진실 (121)에 연통되어 있다. 또, 팬실(125)의 후부는 집진실(121)과는 구획된 배기실(127)로 되어 있다. 이 배기실(127)에는 전동송풍기(126)의 배기구(배기측)(126b)가 개구하고 있다. 게다가 청소기 본체(120)의 후상부에는 배기실(127)에 연통하는 배기통로(배기풍로)(128)가 형성되고, 덮개체(123)에는 배기통로(128)에 연통하고 동시에 호스접속구(123) 근방까지 연장하는 배기통로(배기풍로)(129)가 형성되어 있다. 129a는 배기통로(129)의 호스접속구이다.
130은 가요성의 흡입호스(가요성호스), 131은 가요성의 배기호스(가요성호스)이다. 이 흡입호스(130)는 주름상자형상으로 신축가능한 호스(130a)와, 호스 (130a)의 기단(일단)에 일체로 설치된 접속파이프(130b)와, 호스(130a)의 타단(선단, 자유단)에 일체로 설치된 접속파이프(130c)를 갖는다. 또, 배기호스 (131)는 주름상자형상으로 신축가능한 호스(131a)와 호스(131a)의 기단(일단)에 일체로 설치된 접속파이프(131b)와, 호스(131a)의 타단(선단, 자유단)에 일체로 설치된 접속파이프(131c)를 갖는다.
그리고, 흡입호스(130)의 접속파이프(130b)는, 호스접속구(123)에 삽입접속되어, 집진실(121)내의 종이팩필터(124)에 연통되어 있다. 또, 배기호스(131)의 접속파이프부(131b)는 호스접속구(129a)에 접속되어 배기통로(129)에 연통하고 있다.
이 흡입호스(130) 및 배기호스(131)는 비틀면서 나선상으로 둘러 감겨져 있다. 게다가, 이 상태에서 호스(130, 131)의 접속파이프(130c, 131c)는 도 8∼도 11에 도시한 결합부재(132)의 C자형상의 탄성유지부(132a, 132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끼워맞춤되어, 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호스(130, 131)는 분리하는 일없이 나선상(새끼형상)으로 둘러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풀리는 일은없다.
이 접속파이프(130c,131c)에는, 손잡이 접속관(손잡이 파이프)(133)의 기단(일단)에 돌출설치한 접속파이프부(133a, 133b)가 삽입접속되어 있다. 이 손잡이 접속관(133)내에는, 흡입풍로(134)와 배기풍로(135)가 내외2중 형성되고, 이 흡입풍로(134)에는 접속파이프부(133a)내의 흡입풍로(133a')가 연통하고, 배기풍로 (135)에는 접속파이프부(133b)내의 배기풍로(133b')가 연통하고 있다.
또, 이 손잡이 접속관(133)의 타단부에는, 연장관(136)을 통하여 흡입구체 (137)가 접속되어 있다. 이 연장관(136)에는 흡입풍로(138)와 배기풍로 (139)가 내외2중으로 형성되고, 흡입구체(137)에는 흡입실(140)과 배기풍로(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풍로(141)는, 선단이 흡입실(140)의 하단에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연장관(136)의 흡입풍로(138)는 손잡이 접속관(133)의 흡입풍로(134) 및 흡입구체(137)의 흡입실(140)에 연통(접속)되고, 연장관(136)의 배기풍로(139)는 손잡이 접속관(133)의 배기풍로(135) 및 흡입구체(137)의 배기풍로(141)에 연통(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전기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동송풍기(126)를 작동시키면, 전동송풍기(126)의 흡인부압이 집진실(121), 흡입호스(130)내의 흡입풍로(130d), 손잡이 접속관 (133)의 흡입풍로(133a', 134), 연장관(136)의 흡입풍로(138) 등을 통하여 흡입구체(137)의 흡입실(140)에 작용한다. 이로서, 에어 및 먼지가 흡입실(140)로 빨아들여진다. 그리고, 흡입실(140)에 에어와 함께 빨아들여진 먼지는, 연장관 (136)의 흡입풍로(138), 손잡이 접속관(133)의 흡입풍로(133a', 134) 및 흡입호스 (130)내의 흡입풍로(130d)를 통하여 집진실(121)내로 안내되어 종이팩필터(124)에 포집된다.
이 경우, 종이팩필터(124)에 빨아들여진 에어는, 종이팩필터(124)로 청정되어 흡입구(126a)로부터 전동송풍기(126)내로 빨아들여진 후, 전동송풍기(126)의 배기구(126b)로부터 배기실(127)로 배기된다. 이 배기실(127)에 배기된 배기풍은, 배기통로(128, 129), 배기호스(131)의 배기풍로(131d), 손잡이 접속관(133)의 배기풍로(133b', 135) 및 연장관(136)의 배기풍로(139)를 통하여 흡입구체(137)의 배기풍로(141)에 안내된 후, 배기풍로(141)로부터 흡입실(140)의 하부를 향하여 동시에 후방을 향하여 불어 내보내어져서, 청소면의 먼지를 흡입실(140)내로 날아오르게 하여 순환(환류)된다.
또, 배기호스(131)를 청소면의 먼지의 블로(불어날려버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 접속관(133)의 접속파이프부(133a, 133b)로부터 호스(130, 131)의 접속파이프부(130c, 131c)를 빼내서 분리하고, 더욱더 결합부재(132)의 C자형상의 탄성유지부(132a, 132b)로부터 접속파이프부(130c, 131c)를 빼내는 것으로, 호스 (130, 131)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풀 수가 있다. 이 분리상태에서, 배기호스(131)의 접속파이프부(131c)를 청소면에 접근시킴으로써, 접속파이프부(131c)로부터 불어 내보내지는 배기풍으로 청소면의 먼지를 불어 날려보낼 수가 있다.
더욱이,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흡입호스(130)와 배기호스(131)를 나선형상으로 유지시킨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으로 병렬설치하여, 흡입호스(130)와 배기호스(131)의 복수 개소를 복수의 결합부재(132)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배기호스 (131)를 청소면의 먼지의 블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기호스(131)를 흡입호스 (130)로부터 분리하도록 하여도 괜찮다. 또 연장관(136)은 제1 실시예의 연장관 (23, 23')이라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호스(230)는, 배기호스(233)내에 흡입호스 (234)를 장치한 2중구조로 되어 있고, 호스(230)를 청소기 본체(20)의 접속구(225)에 접속하면 흡입호스(234)가 집진실(25)에 연통하고, 배기호스(233)가 배기실 (266)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배기호스(233)와 흡입호스(234)와의 사이의 공간은 배기풍로(233A)로 되고, 흡입호스(234)내는 흡기풍로(234A)로 된다. 배기풍로(233A)에는, 전기청소기 본체 (20)로부터 손잡이 조작관(222)까지 연장한 도선(L)이 배선되어 있다. 이 도선(L)의 전기청소기 본체(20)의 단부에는, 접속구(225)의 도통(導通)소켓(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는 도통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도선(L)의 손잡이 조작관측(235)의 단부는 손잡이 조작관의 조작스위치 기반(基盤)(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도선(L)은 호스(230)의 굴곡에 대하여 자유로이 추종할 수 있도록 배선되고, 배기풍로(233A)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접속구(225)의 소켓에는 전동송풍기(28)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에 접속되는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도선(L)은 배기풍로(233A)에 배선되므로서, 전동송풍기(28)로부터의 배기로 바래지지만, 전동송풍기(28)로부터의 배기는 집진필터(27) 및 집진필터(27)와 전동송풍기(28)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여과필터(도시생략)에 의하여 분진도 대폭으로 여과되므로 도선(L)에 먼지가 얽히거나, 배기의 막힘을 일으키거나, 단선하거나 할 염려는 없다.
호스(230)의 타단에는 손잡이 조작관(222)이 설치되어 있고, 이 손잡이 조작관(222)에는 착탈자유로이 연장관(23)이 접속되고, 연장관(23)에 접속된 연장관 (23')의 선단부에는 흡입구체(24)의 접속관(35)이 착탈자유로이 접속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관(222)에는 손잡이부(235A)와 조작부(235B)가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235B)에는 전동송풍기(28)의 온·오프 동작이나 출력을 설정하는 조작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조작관(222)은, 호스(230)와 마찬가지로 배기관부(236) 내부에 흡입관부(237)가 배열설치되고, 배기관부(236)와 배기호스(233)가 접속되고 흡입관부 (237)와 흡입호스(234)가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부(236)의 내경이 흡입관부(237)의 내경의 1.6배로 설정되고, 호스(230)의 배기호스(233)의 내경이 흡입호스(234)의 내경의 1.6배로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연장관(23)의 바깥쪽 파이프(49)의 내경은 안쪽 파이프(50)의 내경의 1.6배로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연장관(23, 23')은 2중구조가 아니고 분리하여도 괜찮다. 또, 호스(230)도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하여 배기호스(31)내에 도선을 배선한다.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입구체(24)내에는 모터나 센서 혹은 발광소자 등의 전기적 수단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의 전기적 수단을 흡입구체(24)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접속관(35)의 바깥쪽 파이프(35b)와 안쪽 파이프(35a) 사이의 배기풍로(38)내에 도선을 배선하고, 이 도선을 손잡이 조작관(222)의 조작스위치 기반 혹은 호스(230)내의 도선(L)에 접속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서는,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과 흡입구체가 흡입풍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과 상기 흡입구체가 배기풍로에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흡입구체를 청소기 본체 혹은 접속관 등에 대하여 착탈할 수가 있고, 이 때문에 다른 부속기구를 이용하거나 흡입구체가 고장났을때에 간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내에 안쪽 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와의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부(접속부)가 각각 오버랩하는 것으로 되고, 흡입구체를 청소기 본체 혹은 접속관 등에 대하여 간이하게 착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 1, 제 2 접속관의 접속부의 시일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3에서는, 제 1, 제 2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은 안쪽 파이프의 선단부가 바깥쪽파이프의 선단보다 돌출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 1, 제 2 접속관을 접속하는 경우, 제 1, 제 2의 접속관의 안쪽 파이프 끼리가 보이는 상태에서 최초로 삽입접속된 후,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를 보이는 상태에서 삽입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제 1, 제 2 접속관 끼리의 접속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서는,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와 상기 제 1 , 제 2 접속관의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는 축선방향으로 어긋나서 겹쳐지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 1, 제 2 접속관의 안쪽 파이프 끼리 및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부의 끝이 겹쳐지는 일 없이, 제 1, 제 2 접속관의 접속부에 굽힘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제 1, 제 2 접속관의 안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부에 있어서 한쪽의 안쪽 파이프의 끝에서 다른쪽의 안쪽 파이프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부에서 보강할 수 있고, 동시에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부에 있어서 한쪽의 바깥쪽 파이프의 끝에서 다른쪽의 바깥쪽 파이프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안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부에서 보강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부를 단차없이 외관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하여, 한쪽의 바깥쪽 파이프의 단부를 소직경으로 형성하여 단차를 갖게 하였을때, 이 단차부에 굽힘에 의한 전단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안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부에서 보강할 수 있으므로, 바깥쪽 파이프가 단차부에서 절단하는 것은 회피될 수 있다.
청구항 5에서는, 상기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와 상기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의 한쪽은 테이퍼끼워맞춤되고, 상기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와 상기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의 다른쪽은 클리어런스를 갖게 한 끼워맞춤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클리어런스를 갖게 한 끼워맞춤부에는 시일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이들의 파이프의 내외경에 다소의 치수분산이 있다하더라도 안쪽 파이프 끼리 및 바깥쪽 파이프 끼리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접속시의 기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결과, 접속관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6에서는,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흡입풍로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를 테이퍼끼워맞춤으로 하였고, 이 삽입끼워맞춤부에 안쪽 파이프 안에 작용하는 흡인압력으로 안쪽 파이프 끼리의 접속이 깊어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삽입끼워맞춤부의 기밀성을 시일없이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7에서는,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과 흡입구체가 흡입풍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과 상기 흡입구체가 배기풍로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한 가요성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로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호스를 분리가능하게 병렬설치유지시킨 것이므로, 가요성의 배기호스를 흡입호스로부터 분리하여 먼지의 블로를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에서는, 2개의 호스는 상호 나선상태로 비틀면서 감겨져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를 병렬설치하더라도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로이 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서는, 2개의 호스는 선단부가 결합부재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흡입호스와 배기호스의 선단부의 한군데만을 결합부재로 유지할 뿐이므로, 양호스가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병렬설치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양호스를 유지하는 부재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 양호스의 선단부로부터 결합부재를 떼어냄으로서, 가요성의 배기호스를 흡입호스로부터 간이하게 분리하여 먼지의 블로를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10에서는,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청소기 본체에 접속한 가요성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로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2개의 호스를 분리가능하게 병렬설치 유지시킨 것이므로, 가요성의 배기호스를 흡입호스로부터 분리하여 먼지의 블로를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11에서는,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청소기 본체에 접속한 가요성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로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2개의 호스를 분리가능하게 병렬설치 유지시킨 것이므로, 가요성의 배기호스를 흡입호스로부터 분리하여 먼지의 블로를 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12에서는, 전동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흡입구체를 접속하는 관체에, 상기 흡입구체로부터의 흡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내로 이송하는 흡기풍로와,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상기 흡입구체로 순환시키는 배기풍로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관체의 전동송풍기 제어용의 손잡이 조작부에 이르는 배기풍로에, 상기 손잡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송풍기를 제어하기 위한 도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청소기 본체로부터 손잡이 조작부까지의 관체의 배기풍로에는, 집진이 끝난 배기가 흐르므로서, 먼지가 배선에 붙들려서 막히거나, 배선이 단절되거나 할 염려가 없다. 또, 배기풍로내에 설치한 도선을 배기풍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함으로서, 도선을 단축할 수 있고, 도선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도선의 배선이 용이하고, 관체의 구성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의 공정·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13에서는, 전동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흡입구체를 접속하는 관체에, 상기 청소기 본체내에 에어를 흡인하는 흡기풍로와,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다시 상기 흡입구체에 순환시키는 배기풍로가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흡입구체에 이르는 상기 배기풍로에, 상기 흡입구체에 이르는 도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청소기 본체로부터 흡입구체까지의 배기풍로에는 집진이 끝난 배기가 흐르므로서, 먼지가 배선에 붙들려서 막히거나, 배선이 단절되거나 할 염려가 없다. 또, 배기풍로내에 설치한 도선을 배기풍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함으로서, 도선을 단축할 수 있고, 도선중량을 감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도선의 배선이 용이하고, 관체의 구성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의 공정·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14에서는, 도선은 자유로이 굴곡가능한 상태로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풍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시켜 배선할 수 있고, 배선이 용이함과 동시에, 배선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의 공정·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15에서는, 흡입구체로부터 상기 청소기 본체까지의 관체, 또는, 적어도 손잡이 조작부로부터 청소기 본체에 이르는 관체는, 흡기풍로와 배기풍로를 2중구조로 한 것이므로, 배선을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지 않고 배기풍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시키므로서 배선을 단축할 수 있고, 배선중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배선이 용이하고, 관체의 구성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의 공정·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0에서는, 배기풍로에 도선을 배선한 것이므로, 배기풍로에는 집진이 끝난 배기가 흐르므로서, 먼지가 배선에 붙들려서 막히거나, 배선이 단절되거나 할 염려가 없다. 또, 배기풍로내에 설치한 도선을 배기풍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거의 직선적으로 연장시키므로서, 도선을 단축할 수 있고, 도선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도선의 배선이 용이하고, 관체의 구성도 간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의 공정·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0)

  1.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과 흡입구체가 흡입풍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과 상기 흡입구체가 배기풍로에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은 안쪽 파이프의 선단부가 바깥쪽 파이프의 선단보다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과 흡입구체가 흡입풍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과 상기 흡입구체가 배기풍로에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와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는 축선방향으로 어긋나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과 흡입구체가 흡입풍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과 상기 흡입구체가 배기풍로에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와 상기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의 한쪽은 테이퍼끼워맞춤되고, 상기 바깥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와 상기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의 다른쪽은 클리어런스를 갖게 한 끼워맞춤으로 됨과 동시에, 상기 클리어런스를 갖게 한 끼워맞춤부에는 시일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흡입풍로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 끼리의 삽입끼워맞춤부를 테이퍼끼워맞춤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의 흡입측과 흡입구체가 흡입풍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전동송풍기의 배기측과 상기 흡입구체가 배기풍로에서 접속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은 안쪽 파이프의 선단부가 바깥쪽 파이프의 선단보다 돌출하고 있고,
    상기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한 가요성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로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호스를 분리가능하게 병렬설치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호스는 상호 나선형상으로 비틀면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호스는 선단부가 결합부재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접속한 가요성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로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호스를 분리가능하게 병렬설치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풍로와 배기풍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청소기본체에 접속한 가요성의 흡입호스 및 배기호스로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호스를 분리가능하게 병렬설치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2. 전동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흡입구체를 접속하는 관체에, 상기 흡입구체로부터의 흡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내에 이송하는 흡기풍로와,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상기 흡입구체에 순환시키는 배기풍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은 안쪽 파이프의 선단부가 바깥쪽 파이프의 선단보다 돌출하고 있고,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관체의 전동송풍기 제어용의 손잡이 조작부에 이르는 배기풍로에, 상기 손잡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전동송풍기를 제어하기 위한 도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3. 전동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흡입구체를 접속하는 관체에, 상기 청소기 본체내에 공기를 흡인하는 흡기풍로와, 상기 전동송풍기로부터의 배기를 다시 상기 흡입구체로 순환시키는 배기풍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체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풍로접속부가 상기 흡입풍로와 상기 배기풍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풍로접속부는 바깥쪽 파이프 내부에 안쪽파이프를 동심으로 배열설치한 내외 2중의 제 1, 제 2 접속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쪽 파이프 내부가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어느 한쪽으로 되고 동시에 상기 안쪽 파이프와 바깥쪽 파이프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기풍로와 흡입풍로의 다른쪽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바깥쪽 파이프 끼리 및 안쪽 파이프 끼리가 각각 서로 삽입접속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제 2 접속관의 적어도 한쪽은 안쪽 파이프의 선단부가 바깥쪽 파이프의 선단보다 돌출하고 있고,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상기 흡입구체에 이르는 상기 배기풍로에, 흡입구체에 이르는 도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은 자유로이 굴곡가능한 상태로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로부터 상기 청소기 본체까지의 관체, 또는 적어도 상기 손잡이 조작부로부터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이르는 관체는, 상기 흡기풍로와 상기 배기풍로를 2중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6. 제 1 항, 제 4 항,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풍로에 도선을 배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풍로에 도선을 배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8.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풍로에 도선을 배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풍로에 도선을 배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풍로에 도선을 배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1999-7007670A 1997-12-24 1998-12-24 전기청소기 KR100366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394297A JP3160239B2 (ja) 1997-12-24 1997-12-24 電気掃除機
JP97-353942 1997-12-24
JP35599397A JPH11178752A (ja) 1997-12-25 1997-12-25 電気掃除機
JP97-355993 1997-12-25
JP97-360245 1997-12-26
JP36024597A JPH11187999A (ja) 1997-12-26 1997-12-26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609A KR20000075609A (ko) 2000-12-26
KR100366671B1 true KR100366671B1 (ko) 2003-01-14

Family

ID=2734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670A KR100366671B1 (ko) 1997-12-24 1998-12-24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24722B1 (ko)
EP (1) EP0985372B1 (ko)
KR (1) KR100366671B1 (ko)
CN (1) CN100398046C (ko)
CA (1) CA2282826C (ko)
DE (1) DE69842064D1 (ko)
HK (1) HK1027731A1 (ko)
SG (1) SG87149A1 (ko)
TW (1) TW475414U (ko)
WO (1) WO1999033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915B1 (en) * 1999-03-15 2001-06-12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US6957472B2 (en) * 1999-05-21 2005-10-25 Vortex Hc, Llc Cannister and upright vortex vacuum cleaners
JP2001169980A (ja) * 1999-12-15 2001-06-2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198056A (ja) * 2000-01-20 2001-07-2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US6517640B2 (en) * 2000-05-15 2003-02-11 David Deng Vacuum cleaner apparatus and return system for use with the same
US7757340B2 (en) 2005-03-25 2010-07-20 S.C. Johnson & Son, Inc. Soft-surface remedi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DE102005015479A1 (de) * 2005-04-05 2006-10-12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gasnachbehandlung eines Verbrennungsmotors
KR100660391B1 (ko) * 2005-11-03 2006-12-22 동우기연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7882600B2 (en) * 2006-01-10 2011-02-08 Judd Brian T Cable organizer
RU2502458C2 (ru) * 2009-08-10 2013-12-27 Георгий Васильевич Кучеренко МУСОРОУБОРОЧНЫЙ АГРЕГАТ С ЗАМКНУТЫМ КРУГОВОРОТОМ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рабочее название "Бивинд")
JP2012005734A (ja) * 2010-06-28 2012-01-12 Panasonic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DE102013017075A1 (de) * 2013-10-15 2015-04-16 Festool Gmbh Saugschlauch für einen Staubsauger und damit ausgestattetes System
JP6349072B2 (ja) * 2013-11-11 2018-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US9801510B2 (en) 2014-10-03 2017-10-31 Anthony Weiburg Vacuum system and device
DE102016104558B4 (de) * 2016-03-12 2022-07-07 Fischer Rohrtechnik Gmbh Rohrsystem
DE102017115653A1 (de) 2017-07-12 2019-01-17 Festool Gmbh Saugschlauch für einen Staubsauger
US11793373B2 (en) 2019-08-08 2023-10-24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with air jet assembly
CN115227137B (zh) * 2021-04-23 2023-06-16 苏州爱普电器有限公司 真空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8541A (en) * 1940-03-20 1941-04-15 Spagnolo Vincent Cleaning and massaging device
US3694848A (en) * 1970-10-28 1972-10-03 Frank Alcala Vacuum and pressure pickup device for home and commercial vacuum cleaners
SE363941B (ko) * 1971-12-28 1974-02-04 Electrolux Ab
BE794510A (fr) * 1972-01-28 1973-05-16 World Inventions Ltd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aspirateurs
CA972510A (en) * 1973-03-16 1975-08-12 Henry Loetkeman Hygienic vacuum cleaner with a circulating air flow
DE3603041A1 (de) * 1985-04-11 1986-10-30 Zöll, Dieter, Selzach Flaechenreinigungsgeraet
DE3518013A1 (de) * 1985-05-18 1986-11-20 Festo KG, 7300 Esslingen Flexibler schlauch
US4884315A (en) * 1987-12-10 1989-12-05 Ehnert Richard E Vacuum cleaner having circuitous flow
JPH01201224A (ja) * 1988-02-04 1989-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4837899A (en) * 1988-07-05 1989-06-13 Emerson Electric Co. Hose clip for flexible hose
JPH0441348U (ko) * 1990-07-28 1992-04-08
JPH08672U (ja) * 1993-12-27 1996-04-23 さえ子 大野 空気循環式低排気型電気掃除機
US5553347A (en) * 1994-04-19 1996-09-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pright vacuum cleaner
JPH09135795A (ja) * 1995-11-14 1997-05-27 Kazuichi Tsukamoto 電気掃除機
JPH09285426A (ja) * 1996-04-24 1997-11-04 Yasuo Abe 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2826A1 (en) 1999-07-08
CN1248152A (zh) 2000-03-22
US6324722B1 (en) 2001-12-04
EP0985372A4 (en) 2004-06-02
EP0985372B1 (en) 2010-12-22
KR20000075609A (ko) 2000-12-26
SG87149A1 (en) 2002-03-19
TW475414U (en) 2002-02-01
WO1999033385A1 (fr) 1999-07-08
EP0985372A1 (en) 2000-03-15
DE69842064D1 (de) 2011-02-03
CA2282826C (en) 2004-04-06
CN100398046C (zh) 2008-07-02
HK1027731A1 (en) 200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671B1 (ko) 전기청소기
US6058561A (en) Vacuum cleaner suction apparatus
CN1286421C (zh) 真空吸尘器
US20040177468A1 (en) Vacuum canister with auxiliary intake valve
JP3160239B2 (ja) 電気掃除機
EP3795049B1 (en) Vacuum cleaner
JP3883767B2 (ja) 集塵フィルターおよびこの集塵フィルター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358816Y1 (ko)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흡입관
KR100359066B1 (ko) 전기 청소기
JPH11178752A (ja) 電気掃除機
JP3831635B2 (ja) 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用ホース
JP7310689B2 (ja) 電気掃除機
KR100507037B1 (ko) 진공청소기용 보조흡입구어셈블리
KR100403504B1 (ko) 진공청소기용 핸들
KR20010046770A (ko) 진공 청소기의 연장관과 흡입구체 결합구조
KR0158395B1 (ko) 진공청소기의 절첩식 연장관
KR100369409B1 (ko) 전기 청소기
KR200157918Y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단자 결합구조
JP3646037B2 (ja) 延長管及び循環式電気掃除機
JP2001299653A (ja) 電気掃除機、電気掃除機用パイプ及び電気掃除機用ホース
KR19990048518A (ko) 진공청소기의 후렉시블 호스 조립구조
JP2001120478A (ja) 電気掃除機
JP2002000521A (ja) 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用ホース
KR19990074969A (ko) 진공청소기용 본체
KR20000039297A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