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409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409B1
KR100369409B1 KR10-2000-0011593A KR20000011593A KR100369409B1 KR 100369409 B1 KR100369409 B1 KR 100369409B1 KR 20000011593 A KR20000011593 A KR 20000011593A KR 100369409 B1 KR100369409 B1 KR 100369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exhaust
pipe
hose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546A (ko
Inventor
나카이고이치
고바야시토시나리
고데라사다키
모리요시히로
후지요시도시유키
니시야마다카히로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배기 환류식의 전동 청소기에 있어서,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가 통하는 관의 경량 슬림화를 도모한다.
관 3 을, 단면이 거의 원형인 흡기 유로 A 를 형성하는 내측 통모양 부 3a 와, 이 내측 통모양 부 3a 와 일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 통모양 부 3a 를 덮듯이 하여 배기 유로 B 를 형성하는 외측 통모양 부 3b 로 구성한다. 또, 관 3 의 배기 유로 B 를 단면이 거의 초생달 모양으로 하고, 관 3 의 외측 통모양 부 3b 를 단면이 거의 원형으로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원 발명은 전기 청소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전동송풍기로 부터의 배기를 호스 및 관을 거쳐서 바닥용 흡입구 등으로 환류 하도록 한배기 환류(순환)식의 전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바닥 이동형 청소기에 있어서는, 청소기 본체에 내장한 전동송풍기로 부터의 배기를 모두 본체 배면 측 등에 형성된 배기구에서 외부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즉, 바닥용 흡입구 등에서 공기와 함께 흡인된 티끌이 관 및 호스를 거쳐서 청소기 본체로 들어가, 종이 팩 등으로 티끌이 제거된 공기가 전동송풍기 모터를 냉각한 후, 배기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나, 전동송풍기에서의 배기가 모두 배출되기 때문에, 상당한 기세로 외부로 불어낸다.
따라서, 이 배기 바람에 의하여 바닥 면이나 융단 상에 침체하는 먼지가 일어나, 방안에 확산하는 불합리함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 바람을 줄이거나, 집진 효과를 올리는 등의 목적으로, 종래부터, 예컨대 일본 실공소 39-36553 호 공보나 일본특개평 9-135795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 관 및 흡입구에, 흡입 유로와 함께 전동송풍기에서의 배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환류하는 배기 유로를 형성하여 되는 전기 청소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의 것에는, 호스와 함께 관도 동심원모양의 이중구조로 구성하여, 내측에 흡기 유로를 형성하고, 외측에 배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기 환류식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관이 동심원모양의이중 구조가 됨과 동시에, 내외의 관을 동심원모양로 보지하기 위한 틈새재(間隙材) 등이 필요하게 되어, 중량 및 굵기가 함께 과대하게 되어, 조작성이 나쁘게 되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려운 과제가 있었다.
더욱이, 일반적인 흡기 전용의 관내를 평판 모양의 격벽으로 이분하여,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도 생각되나, 흡기 유로가 단면이 거의 반원형이 되므로, 통상의 원형에 비하여 티끌이 막히기 쉽게 된다.
또, 상기 종래 기술의 구성에 있어서는, 배기는 이중구조의 외측의 유로를 통하게 되나, 전동송풍기에서 배출되는 배기는 모터를 냉각하여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배기가 이중구조 관의 외측의 배기 유로를 통하면, 관의 외표면 온도가 상승하므로, 사용성의 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되는 것으로, 배기 환류 식인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가 통하는 관의 경량 슬림화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 배기 열에 의한 관 외표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바닥 이동형 청소기에 본원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며, 호스의 도중 부분은 도시의 형편상 생략하고 있다.
도 2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연결 관의 구성도로, (a)는 그 종 단면도, (b)는 상기 (a)의 A - A 단면도, (c)는 측면도, (d)는 상기 (c)의 한쪽 끝 측의 끝면도(端面圖), (e)는 마찬가지로 다른 끝의 끝면도, (f)는 상기 (c)의 B - B 단면도임.
도 3 은 상기 도 1 의 청소기 본체와 호스 조인트부의 확대 단면도임.
도 4 는 상기 호스 조인트부의 접속 관의 구성도로, (a)는 일부를 절결 단면으로 도시한 측면도, (b)는 호스가 접속되는 한쪽 끝 측의 끝면도임.
도 5 는 상기 도 1의 호스 그립 부의 확대 단면임.
도 6 은 상기 손잡이부의 접속 관의 구성도로, (a)는 측면도, (b)는 호스가 접속되는 한쪽 끝 측의 끝면도임.
도 7 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 선단에 의한 청소시의 불합리 해소의 설명도임.
도 8 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연결 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종단면도, (b)는 그 A - A 단면도임.
*부호의 설명*
1 : 청소기 본체 2 : 호스
2a : 콘딧 호스 2b : 1 층 2 선 호스
3 : 연결 관 3a : 내측 통모양 부
3b : 외측 통모양 부 4 : 바닥용 흡입구
5 : 전동송풍기 5a : 모터
6 : 전동기 실 7 : 종이 팩
9 : 집진실 11 : 배기구
20 : 호스 조인트 부 20a, 20b : 접속 관
24 : 호스 그립 부 24a, 24b : 접속 관
27 : 손잡이부 흡입구 28 : 격벽 부분
33 : 관 흡입구 34 : 격벽 부분
37 : 격벽 부분 A : 흡기 유로
B : 배기 유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 관 및 흡입구에, 흡입 유로와 함께 전동송풍기에서의 배기를 환류하는 배기 유로를 형성하여 되는 전기 청소기로서, 상기 관을, 단면이거의 원형의 흡기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통모양부와, 이 내측통모양부와 일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통모양부를 덮듯이 하여 배기 유로를 형성하는 외측통모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상기 관의 배기 유로를 단면을 거의 초생달 모양으로 하고, 상기 관의 외측 통모양 부를 단면을 거의 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관의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칸막는 격벽 부분의 두께를 외벽 부분보다 얇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관의 흡입구 측이나 호스의 그립부 흡입구에 있어서의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칸막는 격벽 부분을 소정 거리만큼 안쪽으로 우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 1 ∼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바닥 이동형의 청소기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 1, 호스 2, 연결 관 3 및 바닥용 흡입구 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기 본체 1 에는, 흡인용 전동송풍기 5 를 수용하는 전동기실 6 및 종이 팩 7 이나 미진 필터 8 을 이용한 집진실 9 가 내장되어있다.
또, 청소기 본체 1 의 배면 측에는, 전동송풍기 5 에서의 배기의 일부를 배기 필터 10을 거쳐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 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 1 의 일부, 호스 2, 연결 관 3 및 바닥용 흡입구 4 는 유로가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흡기 유로 A 와 배기 유로 B 로 나뉘어, 각부간에 연통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청소기 본체 1 의 집진실 9 나 전동기 실 6 의 하부 측에는, 전동송풍기 5 에서의 배기의 일부를 환류하기 위한 배기 유로 B 가 형성되고, 이 배기 유로 B 는 청소기 본체 1 의 호스 의 삽입구 12 에 장착되는 호스 조인트 부 20 의 배기 유로 B 에 연통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호스 조인트 부 20 은, 접속 관 20a, 20b 가 동심원모양의 이중 구조로, 흡기 유로 A 를 형성하는 내측의 접속 관 20a 양단이 돌출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한끝이 종이 팩 7 의 취부 부 7a 에 삽입됨과 동시에, 외측의 접속 관 20b 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기 유로 B 가 상기 본체 1 측의 배기 유로 B 에 연통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 관 20a, 20b 의 다른 끝 측에는 이중 구조의 호스 2 의 한끝이 취부되어 있다. 이 호스 2 는, 내측에 콘딧 호스라고 불리는 세탁기용 배수 호스와 마찬 가지의 가요성 호스 2a 가 쓰이며, 외측에는 1 층 2 선 호스라고 불리는 도선 (신호선 등)과 형상 보지를 위한 코일 선 21 이 내장된 일반적인 전기청소기용의 가요성 호스 2b 가 이용되고 있다. 콘딧 호스 2a 는, 1 층 2 선 호스 2b와 같이 코일 선 21 이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량이며 동시에, 잘못하여 밟혀도 1 층 2 선 호스 2b 와 같이 변형이 남지 않고 복원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호스 2 는, 내 측의 콘딧 호스 2a 를 조인트 부 20 의 내측의 접속 관 20a 의 돌출단에 장착하여 접착한 후, 외측의 1 층 2 선 호스 2b 를, 외측의 접속 관 20b 의 외표면에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식으로 형성된 리브 22 에 나사를 틀어박듯이 하여 장착 고정된다. 이 호스 2 의 취부 부는 통 모양의 보호 커버 23 으로 덮여 있다.
또, 상기 호스 2 의 다른 끝은, 손잡이 조작용 그립부 24 에 접속 관 24a, 24b 를 사이에 두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장착 고정되어 있다. 즉, 내측의 콘딧 호스 2a 를 내측의 접속 관 24a 의 돌출단에 장착하여 접착하고 나서, 외측의 1 층 2 선 호스 2b 를, 외측의 접속 관 24b 의 외표면에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식으로 형성된 리브 25 에 나사로 틀어박듯이 하여 장착 고정한다. 이 호스 2 의 취부부도 통 모양의 보호 커버 26 으로 덮여있다.
또, 상기 손잡이부 24 는, 연결 관 3 이 장착되는 흡입구 27 에 있어서의 흡기 유로 A 와 배기 유로 B 를 칸 막는 격벽 부분 28 이 소정 거리만큼 안으로 우묵하게 만든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흡입구 27 의 상부에는,연결 관 3 을 장착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29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호스 조인트부 20 에 있어서의 내외의 접속 관 20a, 20b 와, 손잡이부 24 에 있어서의 내외의 접속 관 24a, 24b 는, 도시하지 않은 리브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동심원모양의 이중구조로 되어있다.
한편, 연결 관 3, 3 은 각각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거의 원형의 흡기 유로 A 를 형성하는 내측 통모양 부 3a 와, 이 내측 통모양 부 3a 와 상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 통모양 부 3a 를 덮도록 하여 배기 유로 B 를 형성하는 외측 통모양 부 3b 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배기 유로 B 를 통하는 배기는, 청소기 본체 1 의 종이 팩 7 이나미진 필터 8 을 거쳐 티끌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이므로, 내측통모양부 3a 와 같이 티끌이 막히는 것을 고려한 단면이 거의 원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는 점에 착안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기 유로 B 를 단면이 거의 초생달모양으로 하고, 외측통모양부 3b 가 단면이 거의 원형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상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만큼, 경량화가 도모되며 동시에 슬림화도 도모되며, 더구나 내외가 함께 단면이 거의 원형으로 되므로, 강도를 해치는 일 없이 조작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연결 관 3 은 종래의 흡기 만의 것과 비교하여도 위화감이 없고, 거의 마찬가지의 형상 및 조작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된다.
더욱, 상기 연결 관 3 의 상부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케이블이나 연결용 클램프 31 을 덮는 커버 32 가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연결 관 3 에 있어서, 또 한 개의연결 관 3 을 연결하거나, 바닥용 흡입구 4 를 연결하는 흡입구 33 측은, 흡기 유로 A 와 배기 유로 B 를 칸 막는 격벽 부분 (내측 통 모양 부 3a의 내벽 부분) 34 가 소정 거리만큼 안쪽으로 우묵하게 만든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연결 관 3의 다른 끝은, 상기 그립부 24 의 흡입구 27 이나 연결 관 3의 흡입구 33 측에 대응하여, 외측통모양부 3b 가 흡입구 27, 33 측의 내주에 끼워지도록 약간 지름을 작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클램프 29, 31 과 계합하는 돌기 35 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29, 31 과 돌기 35 가 계합하기까지 끼워 넣음으로써, 내측통모양부 3a 의 끝 부가 흡입구 27, 33 측에 우묵하게 형성한 격벽 부분28, 34 의 개구 단 가장자리 28a, 34a 와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용 흡입구 4 의 이음쇠 관 4a, 4b 는 동심원모양의 이중구조로 형성되나, 상기연결 관 3 과의 끼워 맞는 부분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 청소기의 사용 시에는, 전동송풍기 5 의 흡인에 의하여, 바닥용 흡입구 4 에서 빨아들인 티끌이 섞인 공기가연결 관 3 의 흡기 유로 A, 호스 2 의 흡기 유로 A 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 1 내로 거두어 들어간다. 본체 1 내에서는, 종이 팩 7 에서 티끌이 제거되고, 다시 미진 필터 8 을 거쳐서 청정화된 공기가 전동송풍기 5 에 흡인되어, 그 모터 5a 를 냉각한다.
그리고, 전동송풍기 5 의 배기의 일부는 본체 1 의 배기구 11 에서 외부로 배출되고, 기타는 본체 1 의 배기 유로 B 에서 호스 2 의 배기 유로 B,연결 관 3 의 배기 유로 3 을 통하여, 바닥용 흡입구 4 에 환류하고, 이 배기바람 의하여 일어난 티끌과 함께 또다시연결 관 3 의 흡기 유로 A 로 순환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바닥용 이동형 청소기에 있어서는, 통상의 바닥용 흡입구 4 를 이용한 청소 이외에는, 사소한 티끌의 청소 시에 연결 관 3 의 선단으로의 청소나 그립부 24 의 선단으로의 청소를 할 수 있게 되어있다.
배기 환류식 청소기로 상기와 같은 형태로 청소를 행하면, 배기의 취출에 의하여 빨아들여야할 티끌이 역으로 날려버릴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연결 관 3 의 선단(흡입구 33)이나 그립부 24 의 선단(흡입구 27)의 조인트 구성을 고안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불합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연결 관 3 도 그립부 24 도 마찬가지이지만, 도 7 을 이용하여 연결 관 3 의 경우로 설명하면, 배기 유로 B 에서 배출되는 배기류는, 원래. 전동송풍기 5 에서 흡기→배기로 되는 일부를 환류하고 있으므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흡기류 쪽이 파단선 화살표로 나타낸 배기류에 비하여 강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류는 파단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 끼워맞춤부의 거리 L 의 사이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강한 흡기류에 의하여 빨리어 흡기 유로 A 측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원래, 관 끼워 맞춤 때문에 필요한 거리 L 의 사이의 흡기 유로 A 와 배기 유로 B 의 격벽 부분 34 를 우묵하게 함으로써, 배기바람에 의하여 티끌의 비산이 해소된다. 그리고, 상기 거리 L 로는, 관 끼워맞춤과 흡배기 풍속을 고려하여 약 40mm 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배기 환류식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흡기 유로 A 와 배기 유로 B 가 통하는 연결 관 3 의 경량 슬림 화와, 관 3 선단이나 손잡이부 24 의 선단으로 청소시에 내뿜음의 해소가 실현되기 때문에, 배기 환류식의 장점을 실용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즉, 배기의 일부를 환류 시킴으로써, 외부로 뿜어내는 배기바람이 저감되어 약하게 되므로, 청소중 방의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몇 번씩이나 순환하는 공기도 있어서, 그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바람 자체가 종이 팩 7 이나 미진 필터 8 등에 의하여 다시 청정화 된다. 또, 배기구 11 에서 내뿜는 배기바람의 유속도 작게되므로, 배기 필터 10 의 필터 효율이향상되고, 배기 청정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된다. 이것은 근년의 청결 지향성과도 합치한다.
도 8 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연결 관 3 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쓰고 있으며, 또는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통 모양 부 3b 의 내측에 있으며 강도상 별로 중요하지 않은 내측 통모양 부 3a 의 흡기 유로 A 와 배기 유로 B 를 칸 막는 격벽부분 37 의 두께를, 외측 통모양 부 3b 의 외벽 부분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 점 파단선에서 실선과 같이 얇게하여, 배기 유로 B 의 배기열이 흡기 유로 A 측에 전달하기 쉽게 하였다.
이로써, 배기 유로 B 에서 흡기 유로 A 에의 열교환이 촉진되고, 외측통모양부 3b 의 외표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어,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낄 정도의 온도로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성이 향상한다. 또, 흡기 유로 A 와 배기 유로 B 를 칸 막는 격벽 부분 37 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어서, 강도의 저하를 극력 방지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관을, 단면이 거의 원형의 흡기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 통모양 부와, 이 통모양 부와 일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 통모양 부를 덮듯이 하여 배기 유로를 형성하는 외측 통모양 부로 구성함으로써, 티끌이 막힐 우려도 없고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가 통하는 관의 경량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배기 환류식 전기 청소기의 실용화가 용이하게 된다.
또, 관의 배기 유로를 단면이 거의 초생달형으로 하여, 관의 외측 통모양 부를 단면이 거의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흡기만의 것과 비교하여도 위화감이 없고, 거의 마찬가지의 형상 및 조작성을 얻는다.
또, 관의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칸 막는 격벽 부분의 두께를 외벽 부분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배기 유로에서 흡기 유로로 열교환이 촉진되어, 외측 통모양 부의 외표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어서,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낄 정도의 온도로 상승하지 않게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칸 막는 격벽 부분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강도의 저하를 극력 방지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관의 흡입구 측이나 호스의 그립부 흡입구에 있어서의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칸 막는 격벽 부분을 소정 거리만큼 안으로 우묵하게 만듦으로써, 관 선단 으로의 청소나 그립부 선단으로 하는 청소 시에, 배기류가 흡기류에 끌리어서 내뿜게 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형태의 청소도 불편함이 없이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 관 및 흡입구에, 흡기 유로와 함께 전동송풍기로 부터의 배기를 환류하는 배기 유로를 형성하여 되는 전기 청소기로서,
    상기 관을, 단면이 거의 원형인 흡기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통모양부와, 이 내측통모양부와 일부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통모양부를 덮듯이 하여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외측통모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상기 관의 배기 유로를 단면이 거의 초생달모양으로 하고, 상기 관의 외측 통모양 부를 단면이 거의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
  3. 상기 관의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칸 막는 격벽부분의 두께를 외벽부분보다 얇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전기 청소기.
  4. 상기 관의 흡입구 측이나 호스의 그립부 흡입구에 있어서의 흡기 유로와 배기 유로를 칸 막는 격벽 부분을 소정 거리만큼 안쪽으로 우묵하게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또는 청구항 2 에기재된 전기 청소기.
KR10-2000-0011593A 1999-03-15 2000-03-08 전기 청소기 KR100369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67863A JP2000262437A (ja) 1999-03-15 1999-03-15 電気掃除機
JP1999-67863 1999-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46A KR20010014546A (ko) 2001-02-26
KR100369409B1 true KR100369409B1 (ko) 2003-01-24

Family

ID=1335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593A KR100369409B1 (ko) 1999-03-15 2000-03-08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262437A (ko)
KR (1) KR100369409B1 (ko)
CN (1) CN1166340C (ko)
TW (1) TW4180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7910A (ja) *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46A (ko) 2001-02-26
CN1166340C (zh) 2004-09-15
JP2000262437A (ja) 2000-09-26
TW418079B (en) 2001-01-11
CN1266665A (zh) 200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9338B2 (en) Grill assembly of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RU2002116413A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пылесоса
EP1036537B1 (en) Vacuum cleaner
ITTO20000583A1 (it) Aspirapolvere del tipo ad asta, in particolare per la pulizia di zonedifficilmente accessibili.
US7367084B2 (en) Device for sucking up particles to be collected and a floor vacuum cleaner
KR100369409B1 (ko) 전기 청소기
KR100359065B1 (ko) 전기 청소기
JP2002136456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AU2006200912A1 (en) Exhausting apparatus of a motor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359066B1 (ko) 전기 청소기
KR100359067B1 (ko) 전기청소기
JP2001299653A (ja) 電気掃除機、電気掃除機用パイプ及び電気掃除機用ホース
KR100414799B1 (ko) 전기 청소기용 호스 및 전기 청소기
JPH0355020A (ja) 電気掃除機
KR100358964B1 (ko) 전기청소기
KR200144887Y1 (ko) 진공청소기
JP2003190044A (ja) 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用パイプ
KR0148991B1 (ko) 긴 흡음배기관을 갖는 흡음방
JP3916865B2 (ja) 延長管構造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3111694A (ja) 電気掃除機
KR19980061070U (ko) 진공 청소기용 복합형 브러쉬
KR0148923B1 (ko) 배기성이 향상된 흡음방구조
JP3646037B2 (ja) 延長管及び循環式電気掃除機
KR200214600Y1 (ko) 진공청소기용본체의모터소음저감구조
KR9600074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