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589B1 -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589B1
KR100366589B1 KR10-2000-0051182A KR20000051182A KR100366589B1 KR 100366589 B1 KR100366589 B1 KR 100366589B1 KR 20000051182 A KR20000051182 A KR 20000051182A KR 100366589 B1 KR100366589 B1 KR 10036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dehumidification chamber
dehumidification
ligh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691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5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램프 하우징과 렌즈로써 형성되고 벌브가 장착되는 헤드램프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배광챔버와 제습챔버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상기 챔버간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용 호스를 설치하며, 냉각핀을 갖는 공기팽창용 호스를 상기 제습챔버 내에 소정의 각도로 삽입하고 상기 제습챔버의 상측 외면에 냉각핀을 구비하여 상기 제습챔버 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를 응결시킨 후 이를 소정의 응결수 배출수단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헤드램프 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inside of the head lamp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 하우징과 렌즈로써 형성되고 벌브가 장착되는 헤드램프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배광챔버와 제습챔버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상기 챔버간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용 호스를 설치하며, 냉각핀을 갖는 공기팽창용 호스를 상기 제습챔버 내에 소정의 각도로 삽입하고 상기 제습챔버의 상측 외면에 냉각핀을 구비하여 상기 제습챔버 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를 응결시킨 후 이를 소정의 응결수 배출수단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헤드램프 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램프는 차체의 전방 양측으로 배치되어 야간에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전방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양호한 시계확보를 위해 습기 등이 렌즈에 응결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렌즈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의 응결수가 생성된다.
첨부한 도 5는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기 헤드램프(10b)는 습기방지를 위해 근본적으로 렌즈(20)의 장착부와 리플렉터(100) 사이가 시일링되어 있으며, 벌브(90)의 장착부에도 시일링재가 사용된다.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10b)에는 리플렉터(100) 후부 상측에 브리더 홀(102)을 두어 습기제거를 도모한다.
그러나, 상기 브리더 홀(102)을 통해 벌브(90)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 중 습기를 배출하려는 것과는 달리, 램프(10b) 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저온인 렌즈(20)와 접촉하여 습기가 냉각되면서 렌즈(20) 내측면에 응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이 렌즈(20) 내측면에 생성된 물방울 형태의 응결수(1)는 다시 증발하여 일부는 브리더 홀(102)을 통해 배출되나, 상기 브리더 홀(102)을 통해 추가적으로 습기가 유입됨으로 해서 헤드램프(10b) 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데 큰 실효성이 없고, 응결된 습기는 벌브(90)의 조도를 크게 떨어뜨릴 뿐 아니라 외관을 저하시키는 등 품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램프 하우징과 렌즈로써 형성되고 벌브가 장착되는 헤드램프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배광챔버와 제습챔버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상기 챔버간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용 호스를 설치하며, 냉각핀을 갖는 공기팽창용 호스를 상기 제습챔버 내에 소정의 각도로 삽입하고 상기 제습챔버의 상측 외면에 냉각핀을 구비하여 상기 제습챔버 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를 응결시킨 후 이를 소정의 응결수 배출수단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헤드램프 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헤드램프 20 : 렌즈
22 : 공기 흡입구 30 : 제습챔버
32 : 응결수 배출구 34 : 냉각핀
40 : 배광챔버 42 : 격벽
44 : 공기순환 통로 50 : 공기순환용 호스
60 : 공기팽창용 호스 62 : 냉각핀
64 : 힌지수단 70 : 주행센서
72 : 센서판 74 : 개폐기
80 : 리턴 스프링 90 : 벌브
100 : 리플렉터 102 : 브리더 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는 헤드램프(10a)의 내부 공간이 소정의 각도로써 램프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하향 전개되는 격벽(42)에 의해 상측의 제습챔버(30)와 하측의 배광챔버(40)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배광챔버(40)의 내부에서 가열되는 공기가 상승되어 상기 제습챔버(30)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격벽(42) 상단에는 상기 렌즈(20)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공기순환 통로(44)가 형성되며, 일단의 입구(50a)가 상기 제습챔버(30)에 삽입되고 타단의 출구(50b)가 상기 배광챔버(40)에 삽입되는 공기순환용 호스(50)가 장착되어 소정의 공기 응결수단에 의해 제습된 제습챔버(30) 내의 공기가 상기배광챔버(40) 내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헤드램프(10a) 후측에는 소정의 응결수 배출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제습챔버(30) 내에서 생성된 응결수(1)가 상기 배광챔버(40)의 후측으로 상기 제습챔버(30)의 하단에 구비된 응결수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공기 응결수단은 상기 제습챔버(30)의 상측 외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다수의 냉각핀(34)과, 제습챔버(30) 전면의 렌즈(20) 상부에서 주행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기 흡입구(22)와, 상기 공기 흡입구(22)로부터 이어져 상기 제습챔버(30)를 소정의 각도로써 하향 관통하고 외면에 다수의 냉각핀(62)이 구비되며 소정의 위치에서 급격히 확장되는 원형의 단면형태를 갖는 공기팽창용 호스(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결수 배출수단은 상단이 상기 공기팽창용 호스(60)의 내면 상측에서 힌지결합되어 그 하부가 힌지수단(64)을 중심으로 전후이동되고 상기 공기팽창용 호스(60)의 내부에 포함되는 상측의 소정위치에 공기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센서판(72)이 구비되며 상기 제습챔버(30) 하측을 관통하여 하단에 응결수 배출구(32)를 개폐하는 개폐기(74)가 구비된 주행센서(70)와, 상기 제습챔버(30)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센서판(72)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습챔버(30)의 내면 하측에 고정되는 리턴 스프링(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램프(10)는 기본적으로 상기 램프(10)의 내부공간으로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렌즈(20)의 장착부가 시일링되어 결합된다.
도 2에서, 상기 램프(10a)의 내부 공간은 램프(10a)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소정의 각도로써 하향 전개되는 격벽(42)에 의해 제습챔버(30)와 배광챔버(40)가 상하측으로 분리 구성되는데, 상기 격벽(42)은 배광챔버(40)의 하우징과 일체로 구성된다.
공기 응결수단으로서 상기 제습챔버(30)의 상측 외면에는 제습챔버(30) 내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습챔버(30) 상측 내면에 접촉되면서 효과적으로 응결될 수 있도록 상기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냉각핀(34)이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격벽(34)의 상단은 렌즈(20)와 결합되지 않고 횡방항으로 렌즈(20)의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램프(10a)의 내부에서 벌브(90)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상기 제습챔버(30)로 상승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 통로(44)의 역할을 하게 한다.
또한, 도 1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10a) 후면에는 일단의 입구(50a)가 상기 제습챔버(30)에 삽입되고 타단의 출구(50b)가 상기 배광챔버(40)에 삽입되는 공기순환용 호스(50)가 장착되는데, 이는 상기 공기순환 통로(44)를 통해 제습챔버(3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습챔버(30) 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공기 응결수단에 의해 제습된 후 다시 배광챔버(40) 내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광챔버(40) 내에서 벌브(9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그 밀도가 낮아져 상기 공기순환 통로(44)를 통해 제습챔버(30)로 이동하게 되고, 제습챔버(30)를 통과한 공기는 냉각된 상태로 부피는 줄고 밀도는 높아져 상기 공기순환 통로(44)를 통해 배광챔버(40)에서 올라온 공기에 밀려 공기순환용 호스(50)를 통해 배광챔버(40)로 유입되므로 원활한 순환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챔버(30) 전면의 렌즈(20) 상부에는 차량의 주행시 공기가 제습챔버(30)의 전면에서 흡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기 흡입구(22)가 구비된다.
상기 제습챔버(3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22)로부터 이어져 상기 제습챔버(30)를 소정의 각도로써 하향 관통하는 공기팽창용 호스(60)가 삽입되는데, 소정의 위치에서 급격히 확장되는 원형의 단면형태를 갖는다.
이 또한 상기 공기순환 통로(44)를 통해 제습챔버(30)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응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외면에는 다수의 냉각핀(62)이 구비되어 있어 주행시 상기 공기 흡입구(22)를 통해 차가운 공기가 흐르게 되면 제습챔버(30) 내의 공기를 그 표면에 응결시키게 된다.
이때, 공기팽창용 호스(60) 내를 흐르는 공기는 그 확장부를 통과하면서 급격히 팽창되고, 이때 상기 냉각핀(62)을 통해 챔버(30) 내 공기로 부터 열을 빼앗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응결수(1)가 물방울 형태로 맺히게 되는 부분은 제습챔버(30)의 상측 내면과 상기 공기팽창용 호스(60)의 냉각핀(62)이며, 응결수(1)가 격벽(44)의 상면으로 떨어질 수도 있으므로 상기 응결수단에 의해 생성된 물방울이 램프(10a)의 후측으로 잘 흐를 수 있도록 제습챔버(30)의 상측과 공기팽창용 호스(60)와 격벽(44)은 그 전측에서 후측으로 가면서 소정의 각도로써 하향 전개되도록 제작한다.
생성된 응결수(1)는 헤드램프(10a)의 후측에 구성된 응결수 배출수단에 의해 상기 배광챔버(40)의 후측으로 상기 제습챔버(30)의 하단에 구비된 응결수 배출구(32)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응결수 배출수단은 주행센서(70)와 리턴 스프링(8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주행센서(70)는 그 상단이 상기 공기 팽창용 호스(60)의 내면 상측에서 힌지결합된다.
이는 주행시 상기 공기팽창용 호스(6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저항으로 상기 주행센서(70)가 힌지수단(64)을 중심으로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하단에 구비된 개폐기(74)가 상기 응결수 배출구(32)를 열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팽창용 호스(60)의 내부에 포함되는 상측의 소정위치에는 공기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센서판(7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리턴 스프링(80)은 상기 제습챔버(30)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센서판(72)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습챔버(30)의 내면 하측에 고정된다.
고속 주행시 센서판(72)과 흡입 공기 간의 저항에 따라 상기 주행센서(70)는 힌지수단(64)을 중심으로 후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응결수 배출구(32)를 열게 되고, 저속 및 정지시에는 리턴 스프링(80)에 의해 상기 힌지수단(64)을 중심으로 전측으로 이동되면서 응결수 배출구(32)를 막아 추가적인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습챔버 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를 응결시킨 후 이를 소정의 응결수 배출수단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헤드램프 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헤드램프(10a)의 내부 공간이 소정의 각도로써 램프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하향 전개되는 격벽(42)에 의해 상측의 제습챔버(30)와 하측의 배광챔버(40)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배광챔버(40)의 내부에서 가열되는 공기가 상승되어 상기 제습챔버(30)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격벽(42) 상단에는 상기 렌즈(20)와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공기순환 통로(44)가 형성되며, 일단의 입구(50a)가 상기 제습챔버(30)에 삽입되고 타단의 출구(50b)가 상기 배광챔버(40)에 삽입되는 공기순환용 호스(50)가 장착되어 소정의 공기 응결수단에 의해 제습된 제습챔버(30) 내의 공기가 상기 배광챔버(40) 내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헤드램프(10a) 후측에는 소정의 응결수 배출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제습챔버(30) 내에서 생성된 응결수(1)가 상기 배광챔버(40)의 후측으로 상기 제습챔버(30)의 하단에 구비된 응결수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응결수단은 상기 제습챔버(30)의 상측 외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다수의 냉각핀(34)과, 제습챔버(30) 전면의 렌즈(20) 상부에서 주행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공기 흡입구(22)와, 상기 공기 흡입구(22)로부터 이어져 상기 제습챔버(30)를 소정의 각도로써 하향 관통하고 외면에 다수의냉각핀(62)이 구비되며 소정의 위치에서 급격히 확장되는 원형의 단면형태를 갖는 공기팽창용 호스(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수 배출수단은 상단이 상기 공기팽창용 호스(60)의 내면 상측에서 힌지결합되어 그 하부가 힌지수단(64)을 중심으로 전후이동되고 상기 공기팽창용 호스(60)의 내부에 포함되는 상측의 소정위치에 공기의 저항을 받을 수 있도록 센서판(72)이 구비되며 상기 제습챔버(30) 하측을 관통하여 하단에 응결수 배출구(32)를 개폐하는 개폐기(74)가 구비된 주행센서(70)와, 상기 제습챔버(30) 내부에서 일단이 상기 센서판(72)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습챔버(30)의 내면 하측에 고정되는 리턴 스프링(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KR10-2000-0051182A 2000-08-31 2000-08-31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KR10036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82A KR100366589B1 (ko) 2000-08-31 2000-08-31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82A KR100366589B1 (ko) 2000-08-31 2000-08-31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91A KR20020017691A (ko) 2002-03-07
KR100366589B1 true KR100366589B1 (ko) 2003-01-09

Family

ID=1968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182A KR100366589B1 (ko) 2000-08-31 2000-08-31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34B1 (ko) 2011-10-19 2013-03-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90B1 (ko) * 2002-08-12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컨트롤 유닛
KR101438618B1 (ko) * 2013-03-19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상 변화 물질 분사장치를 채용한 헤드 램프 습기 제거유닛
GB2516551B (en) * 2014-06-06 2015-07-01 Narked At 90 Ltd Condensation reduction in vehicle light assembly
US10675945B2 (en) * 2018-03-15 2020-06-09 Waymo Llc Sensor condensation preven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034B1 (ko) 2011-10-19 2013-03-1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91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1000A (en) Vehicle lamp with ram air vent
US20050157514A1 (en) Light structure
JP3284380B2 (ja) 換気と冷却をなしうる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
JP2005263213A (ja) 自動車、特に乗用車
JPH10309977A (ja) ヘッドランプ湿気除去装置
KR100366589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KR0122066Y1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 제거장치
JP2006079881A (ja) 前照灯システム
CN212746310U (zh) 一种防雾汽车车灯
KR100391316B1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전조등의 냉각 및 제습장치
JP2573963Y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くもり防止装置
CN111197731A (zh) 一种用于防止车辆前大灯产生雾气的系统和方法
JPH0573804U (ja) 自動車のヘッドランプ
KR100356209B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습기 제거 구조
KR0121960Y1 (ko) 자동차 전조등의 방습구조
KR200141415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034558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0398129B1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JPS62125963A (ja) 車輌の前照灯カバ−曇り止め装置
JP2573962Y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防曇構造
KR100410874B1 (ko) 자동차 헤드 램프 습기제거구조
KR100199633B1 (ko) 헤드 램프 구조
JPS6335907Y2 (ko)
KR19980044556A (ko) 전조등 환기 시스템
KR0124888Y1 (ko) 자동차 전조등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