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129B1 -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129B1
KR100398129B1 KR10-2001-0033021A KR20010033021A KR100398129B1 KR 100398129 B1 KR100398129 B1 KR 100398129B1 KR 20010033021 A KR20010033021 A KR 20010033021A KR 100398129 B1 KR100398129 B1 KR 10039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dlamp
moisture
forced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669A (ko
Inventor
이양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1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1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램프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가 에어 클리너가 설치된 공기 덕트 내에 형성된 부압에 의하여 상기 공기 덕트 내로 강제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램프의 공기토출구로부터 상기 공기 덕트의 부압형성위치 사이에 공기흡입용 튜브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램프 내부에서 순환된 따뜻한 공기가 공기토출구에 연결된 튜브를 통하여 헤드램프 외부로 강제 흡입ㆍ토출되므로 습기제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내/외부 온도차에 기인한 습기의 응결을 최대한 방지하고, 습기 응결에 따른 헤드램프의 기능 및 성능에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automobile head lamp}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램프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가 에어 클리너가 설치된 공기 덕트 내에 형성된 부압에 의하여 상기 공기 덕트 내로 강제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램프의 공기토출구로부터 상기 공기 덕트의 부압형성위치 사이에 공기흡입용 튜브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램프는 야간에 자동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차체의 전방 좌/우 양측으로 장착되어 램프로부터 나오는 빛을 전방을 향해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양호한 시계확보를 위하여 습기 등이 렌즈에 응결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램프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하여 렌즈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의 응결수가 생성된다.
이는 헤드램프 내부의 공기에 함유된 습기가 상대적으로 저온인 렌즈와 접촉하면서 냉각되어 응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헤드램프에는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신속히 제거하고, 잔존한 습기가 응결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유입시킨 후 이를 순환시켜 다시 외부로 토출시키는 습기제거구조가 구비된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습기제거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4는 종래의 습기제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들을 참조하여 종래의 습기제거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는 공통적으로 램프 하우징(12) 하단부 일측에 공기흡입구(14)가 구비되고, 램프 하우징(12) 상단부 일측에 공기토출구(16)가 구비된다.
즉, 상기 습기제거구조는 상기 공기흡입구(14)를 통하여 차가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고, 통기공 역할의 상기 공기토출구(16)를 통하여 헤드램프(10) 내에서 순환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먼저, 도 3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램프 하우징(12) 상단부 일측의 공기토출구(16)에 장착단(18)을 후방 돌출 형성시키고, 이 공기토출구(16)의 장착단(18)에 전방으로 구부러진 형태의 공기배출용 튜브(20)를 끼우게 되는데, 이 공기배출용 튜브(20) 내측으로는 스폰지 패드(sponge pad)(22)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습기제거구조에서는 공기흡입구(14)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헤드램프(10) 내부에서 자연 순환되도록 되어 있는 바, 외부의 공기가 먼지 등의 이물질과 함께 공기배출용 튜브(20) 및 공기토출구(16)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순환된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램프 하우징(12) 상단부 일측의 공기토출구(16)에 돌출 형성시킨 장착단(18)에 캡(cap)(24)을 씌우고, 상기 장착단(18) 끝에는 캡(24)과의 사이에 방습포(26)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습기제거구조 역시 공기흡입구(14)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헤드램프(10) 내부에서 자연 순환하도록 되어 있고, 순환된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방습포(26)를 통과하여 토출되게 된다.
상기 방습포(26)는 헤드램프(10) 내부에서 공기의 역류로 인하여 공기토출구(16)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과 추가적인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구(14)에는 공통적으로 방습포(28)를 적용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과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과 도 4에 도시한 종래의 습기제거구조에서는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가 자연 순환하여 공기토출구(16)로 빠져나가게 되어 있는 바, 이 내부 공기의 유동은 헤드램프(10) 주변의 환경조건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되어 있다.
즉, 공기의 토출이 자연적인 공기의 유동에 의존하는 구조이므로 공기흡입구(14)를 통한 찬 공기의 유입과 공기토출구(16)를 통한 내부 공기의 토출이 잘 이루어지 않게 되고, 헤드램프(10)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로 인하여 응결수가 쉽게 생성되는 등 품질문제가 자주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공기흡입구를 통한 찬 공기의 유입과 공기토출구를 통한 내부 공기의 토출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헤드램프 내부의 습기를 신속히 제거하고, 내/외부 온도차에 기인한 습기의 응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제거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제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습기제거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습기제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덕트 3 : 에어 클리너(air cleaner)
5 : 엔진 7 : 강제흡입구
10 : 헤드 램프 12 : 램프 하우징
14 : 공기흡입구 16 : 공기토출구
18 : 장착단 20 : 공기배출용 튜브
22 : 스폰지 패드(sponge pad) 24 : 캡(cap)
26, 28 : 방습포 30 : 공기흡입용 튜브
32 : 고정수단 34 : 방습포
P1, P2 : 부압형성위치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램프 하우징(12) 일측에 형성시킨 공기흡입구(14)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헤드램프(10) 내부로 유입시키고, 이 헤드램프(10)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를 상기 램프 하우징(12) 타측에 형성시킨 공기토출구(16)를 통하여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헤드램프(1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램프(10)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가 에어 클리너(3)가 설치된 공기 덕트(1) 내에 형성된 부압에 의하여 상기 공기 덕트(1) 내로 강제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로부터 상기 공기 덕트(1) 사이에 공기흡입용 튜브(3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는 상기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와, 에어 클리너(3)로부터 엔진(5)으로 연결되는 공기 덕트(1)의 일측에 형성시킨 강제흡입구(7)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는 상기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와, 에어 클리너(3)로 연결되는 공기 덕트(1)의 일측에 형성시킨 강제흡입구(7)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서, 특히, 상기 강제흡입구(7)와, 이에 연결된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의 입구 사이에는 방습포(34)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제거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제거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습기제거구조에서는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유동에 있어서, 종래의 자연 순환방식을 배제하고, 외부에서 공기토출구(16)를 통해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강제흡입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공기토출구(16)를 통하여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함으로써,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고, 헤드램프(10) 내/외부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헤드램프(10) 내부에서 습기가 응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습기제거구조를 설명하면, 램프 하우징(12)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각 공기흡입구(14)와 공기토출구(16)가 설치됨은 종래의 습기제거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구(14)에는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방습포(28)가 적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습기제거구조에서는 상기 공기토출구(16)에 공기흡입용 튜브(30)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공기흡입용 튜브(30)의 타단은 에어 클리너(3)가 설치된 공기 덕트(1)에 연결된다.
여기서, 에어 클리너(3)가 설치된 공기 덕트(1)에는 에어 클리너(3)로 향하는 공기와, 이 에어 클리너(3)를 통과하여 엔진(5)으로 향하는 공기의 빠른 유동으로 인하여 부압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부압을 이용하여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ㆍ토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에 일단이 연결된 공기흡입용 튜브(30)는 그 타단이 공기 덕트(1)의 부압형성이 가능한 위치(P1, P2) 일측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내부의 공기가 에어 클리너(3)로부터 엔진(5)으로 흐르도록 연결된 공기 덕트(1)(에어 클리너의 하류측)의 부압형성이 가능한 위치(P1) 일측에 강제흡입구(7)를 형성시키거나, 내부의 공기가 에어 클리너(3)로 흐르도록 연결된 공기 덕트(1)(에어 클리너의 상류측)의 부압형성이 가능한 위치(P2) 일측에 강제흡입구(7)를 형성시키고, 이 강제흡입구(7)에 공기흡입용 튜브(30)의 타단을 연결한다.
즉, 도 1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는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와, 에어 클리너(3)로부터 엔진(5)으로 연결되는 공기 덕트(1)의 강제흡입구(7)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거나, 도 2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와, 에어 클리너(3)로 연결되는 공기 덕트(1)의 강제흡입구(7)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가 에어 클리너(3)로 연결되는 공기 덕트(1)의 강제흡입구(7)에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에어 클리너(3)로 가는 공기 덕트(1) 내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많이 이루어지는 곳이므로 엔진(5)의 시동 오프(off)시 공기흡입용 튜브(30)를 통한 공기의 역류 등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를 통하여 헤드램프(10)의 내부로 이물질과 습기가 유입지 않도록 방습포(34)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방습포(34)는 강제흡입구(7)와, 이에 연결된 공기흡입용 튜브(30)의 타단 입구 사이에 개재되거나,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와, 이에 연결된 공기흡입용 튜브(30)의 일단 입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제흡입구(7)는 헤드램프(10)의 내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공기흡입용 튜브(30) 내에서 빠르게 흐를 수 있도록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공히 최소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를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와 공기 덕트(1)의 강제흡입구(7)에 연결할 시에는 클램프(clamp) 등과 같은 공지된 바의 고정수단(32)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헤드램프(10)의 공기흡입구(14)에서 헤드램프(10) 내부로 유입된 후 따뜻해진 공기는 에어 클리너(3)가 설치된 공기 덕트(1) 내에서의 공기유동에 따른 부압에 의해 공기흡입용 튜브(30)를 통하여 공기 덕트(1)로 강제 흡입ㆍ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강제흡입방식에 의하면 헤드램프(10) 내부의 공기유동량이 많아지므로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신속히 흡입될 수 있고, 내부 공기 및 이에 함유된 습기가 신속히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램프 내부에서 순환된 따뜻한 공기가 공기토출구에 연결된 튜브를 통하여 헤드램프 외부로 강제 흡입ㆍ토출되므로 습기제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내/외부 온도차에 기인한 습기의 응결을 최대한 방지하고, 습기 응결에 따른 헤드램프의 기능 및 성능에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램프 하우징(12) 일측에 형성시킨 공기흡입구(14)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를 헤드램프(10) 내부로 유입시키고, 이 헤드램프(10)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를 상기 램프 하우징(12) 타측에 형성시킨 공기토출구(16)를 통하여 토출시킴으로써, 상기 헤드램프(1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램프(10)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가 에어 클리너(3)가 설치된 공기 덕트(1) 내에 형성된 부압에 의하여 상기 공기 덕트(1) 내로 강제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로부터 상기 공기 덕트(1) 사이에 공기흡입용 튜브(3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는 상기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와, 에어 클리너(3)로부터 엔진(5)으로 연결되는 공기 덕트(1)의 일측에 형성시킨 강제흡입구(7)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는 상기 헤드램프(10)의 공기토출구(16)와, 에어 클리너(3)로 연결되는 공기 덕트(1)의 일측에 형성시킨 강제흡입구(7)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흡입구(7)와, 이에 연결된 상기 공기흡입용 튜브(30)의 입구 사이에는 방습포(34)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KR10-2001-0033021A 2001-06-12 2001-06-12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KR10039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021A KR100398129B1 (ko) 2001-06-12 2001-06-12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021A KR100398129B1 (ko) 2001-06-12 2001-06-12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669A KR20020094669A (ko) 2002-12-18
KR100398129B1 true KR100398129B1 (ko) 2003-09-19

Family

ID=2770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021A KR100398129B1 (ko) 2001-06-12 2001-06-12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1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669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022091A (ja) 自動車照明装置
KR20040019950A (ko) 제어 모듈 및 배터리 냉각용 조립체
KR100398129B1 (ko) 자동차 헤드램프의 습기제거구조
JP2003227426A (ja) 水、塵埃及びこれに類するものを導出するための装置
KR100356209B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습기 제거 구조
JP2017157559A (ja) 交換可能な空気フィルタを備える換気式の自動車用の照明装置
KR100366589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내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
KR101074913B1 (ko) 헤드램프의 습기제거장치
KR20050105685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습기 제거구조
KR200141415Y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JP2011157002A (ja) 車両用空調装置の排水構造
JP2001010403A (ja) 自動車のヘッドランプ
KR19980044556A (ko) 전조등 환기 시스템
KR0117004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장치
KR100513674B1 (ko) 차량 배기열을 이용한 헤드램프 결로제거장치
KR10034558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9980050546U (ko) 엔진 냉각을 위한 공기 흡입 닥트 구조
JP3919371B2 (ja) 自動車用ランプの強制換気構造
KR0128785Y1 (ko) 자동차의 램프용 공기배출구멍
KR200219338Y1 (ko) 모듈화된 보조 후미등을 구비한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air cleaner for a car having modulated center high-mounted stop lamp)
KR100280529B1 (ko) 반도체 노광장비의 덕트연결구조
KR20030084268A (ko) 자동차용 블로우어 모터의 냉각구조
KR100211158B1 (ko) 여과 엘리먼트 회전식 에어크리너
KR20050038959A (ko) 에어 클리너의 흡기유입구조
KR19980012022U (ko) 차량용 공조기의 블로우모터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