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957B1 - 실린더 자물쇠 및 이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 - Google Patents

실린더 자물쇠 및 이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957B1
KR100364957B1 KR1019990047734A KR19990047734A KR100364957B1 KR 100364957 B1 KR100364957 B1 KR 100364957B1 KR 1019990047734 A KR1019990047734 A KR 1019990047734A KR 19990047734 A KR19990047734 A KR 19990047734A KR 100364957 B1 KR100364957 B1 KR 10036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umbler
key
lo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432A (ko
Inventor
오사다슈니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00002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7Tumblers or pins
    • E05B27/0021Tumblers or pins having mov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8Key guides; Key pins ; Keyholes; Keyhole f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07Rot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복제가 곤란하고, 또 부정하게 자물쇠를 여는 조작이 불가능한 실린더 자물쇠 및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플러그 케이스(1)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플러그(2)를 삽입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2)에는 상기 플러그(2)에 삽입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폭이 넓은 면(4)에 대해서 다른 각도로 진퇴하고, 또 축중심선(5a)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상에서 교차하는 텀블러 핀(5)의 쌍을, 플러그(2)가 긴 방향으로 나열한 텀블러군(6)의 2군을 상기 회전중심축(2a) 방향으로 다른 군에 속하는 텀블러 핀(5)이 교대로 나열되도록 각 텀블러 핀(5)에 플러그 케이스(1)측에서 플러그(2)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해 배열하고,
플러그(2)에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가 바로 삽입된 때에 텀블러 핀(5)의 단부를 플러그 케이스(1)와 플러그(2)의 회전경계면(7)에 위치시켜 플러그(2)의 회전을 허용하는 실린더 자물쇠에서,
상기 어느 한 쪽의 텀블러군(6) 내의 하나의 텀블러열은 다른 텀블런군(6)내의 텀블러 쌍(11)의 교차각θ을 분할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 키 삽입홈(8)에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폭이 좁은 면(9)측으로 돌출하여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가이드 레일을 겸하는 V자 형상의 돌출부(1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실린더 자물쇠 및 이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A cylinder locker and a key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ocker used in the cylinder locker}
본 발명은 실린더 자물쇠 및 이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측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에서 코드 형성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은 복제가공기 등을 사용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복제를 곤란하게 하기 위해 유효한 수단이고, 이러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를 사용하는 실린더 자물쇠로는 실개소 62-1495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예에서, 플러그 케이스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된 플러그에 삽입홈의 모퉁이부를 향해 진퇴하는 2열의 텀블러열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예에서는 키 끝 삽입상태에서 텀블러 핀의 선단이 키 삽입홈 내에 개별로 돌출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철사 또는 방패 형상의 공구를 사용하여 부정하게 자물쇠를 여는 조작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결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상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복제가 곤란하고 또 부정하게 자물쇠를 여는 조작이 불가능한 실린더 자물쇠 및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이고, (a)는 텀블러 핀의 배치를 도시한 실린더 자물쇠의 사시도, (b)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린더 자물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A-3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를 바로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5A-5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볼 수용구멍과 볼 접근구멍을 일직선으로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a)는 자물쇠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180°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케이스 2 : 플러그
2a : 회전중심축 3 :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
4 : 폭이 넓은 면 5 : 텀블러 핀
5a : 축중심선 6 : 텀블러군
7 : 회전경계면 8 : 키 삽입홈
9 : 폭이 좁은 면 10 : 돌출부
11 : 텀블러 쌍 12 : 구동 핀
13 : 플로우팅 볼 14 : 종동 핀
15 : 블레이드부 16 : 볼 수용구멍
17 : 볼 접근구멍 θ : 교차각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플러그 케이스(1)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플러그(2)를 삽입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2)에는 상기 플러그(2)에 삽입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폭이 넓은 면(4)에 대해서 다른 각도로 진퇴하고, 또 축중심선(5a)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상에서 교차하는 텀블러(5)의 쌍을 플러그(2)가 긴 방향으로 나열한 텀블러군(6)의 2군을 상기 회전중심축(2a)방향으로 다른 군에 속하는 텀블러 핀(5)이 교대로 나열되도록 각 텀블러 핀(5)에 플러그 케이스(1)측에서 플러그(2)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해 배열하고,
플러그(2)에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가 바로 삽입된 때에 텀블러 핀(5)의 단부를 플러그 케이스(1)와 플러그(2)의 회전경계면(7)에 위치시켜 플러그(2)의 회전을 허용하는 실린더 자물쇠에서,
상기 어느 방향의 텀블러군(6) 내 하나의 텀블러열은 다른 방향의 텀블러군(6) 내의 텀블러 쌍(11)의 교차각(θ)을 분할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키 삽입홈(8)에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폭이 좁을 면(9)측으로 돌출하여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가이드 레일을 겸한 V자형의 돌출부(10)가 설치되는 실린더 자물쇠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플러그(2)에는 플러그(2)가 긴 방향에 다른 텀블러군(6)에 속하는 텀블러 쌍(11)이 교대로 배치된다. 각 텀블러 쌍(11)의 텀블러 핀(5)은 축중심선(5a)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상에서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러그 케이스(1)에 장착된 가이드 핀(18)을 통해 플러그 핀(5)에 부여된 플러그(2)의 중심방향으로 가해진 힘에 의해 선단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상, 또는 그 근방까지 튀어 나와 키 삽입홈(8) 내에 돌출한다. 텀블러 핀(5)의 돌출상태에서, 텀블러 핀(5)의 플러그 케이스(1)측의 단부는 플러그(2)와 플러그 베이스(1)의 회전경계면(7)에 일치되지 않아, 플러그(2)의 회전은 금지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삽입홈(8)에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를 바로 삽입하면, 텀블러 핀(5)의 키 삽입홈(8) 내로의 돌출방향을 향해 개방하는 키코드 형성 오목부(19)에 각 텀블러 핀(5)의 선단이 접촉하고 다른 단부가 플러그(2)와 플러그 케이스(1)의 회전경계면(7)에 위치하여 플러그(2)의 회전이 허용된다. 이러한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는 폭이 넓은 면(4)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키코드형성 오목부(19)를 구비하고, 또 폭이 좁은 면(9)에는 돌출부(10)가 끼워 맞춰지기 위한 가이드 홈을 가지기 때문에, 복제가공기를 사용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복제가 곤란해진다.
또, V자형상의 돌출부(10)는 철사, 또는 방패 형상의 공구 등의 삽입 공간을좁게하고 다른 방향에서 돌출하는 바로 앞측의 텀블러 쌍(11)은 후방의 텀블러 쌍(11)으로의 접근경로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공구 등을 키 삽입홈(8) 내에 끼워 넣어 각각의 텀블러 핀(5)을 조작하여 실린더 자물쇠를 부정하게 열 수 없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플러그 케이스(1)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플러그(2)를 삽입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2)에는 상기 플러그(2)에 삽입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폭이 넓은 면(4)에 대해서 다른 각도로 진퇴하고, 또 축중심선(5a)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상에서 교차하는 텀블러 핀(5)의 쌍을 각 텀블러 핀(5)에 플러그 케이스(1)측에서 플러그(2)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가해 플러그(2)의 긴 방향으로 배열하고,
플러그(2)에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가 바로 삽입된 때에 텀블러 핀(5)의 단부를 플러그 케이스(1)와 플러그(2)의 회전경계면(7)에 위치시켜 플러그(2)의 회전을 허용하는 실린더 자물쇠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텀블러 쌍(11)은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에 유지되고, 상기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플로우팅 볼(13)을 밀어 내는 구동 핀(12)과 플로우팅 볼(13)의 이동에 따라 플로우팅 볼(13)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종동 핀(14)으로 이루어진 실린더 자물쇠이다.
플러그(2)에는 플러그(2) 중심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텀블러 핀(5)이 장착된다. 텀블러 핀(5)은 축중심선(5a)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상에서 교차하는 두 개의 쌍으로 플러그(2)의 긴 방향으로 나열되어, 텀블러군(6)을 구성한다.
키 삽입홈(8)에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를 바로 삽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텀블러 핀(5)의 키 삽입홈(8) 내의 돌출방향을 향해 개방하는 키코드형성 오목부(19)에 각 텀블러 핀(5)의 선단이 접촉하기 때문에, 텀블러 핀(5)은 플러그 케이스(1)측으로 밀려 나와, 다른 단부가 플러그(2)와 플러그 케이스(1)의 회전경계면(7)에 위치하여 플러그(2)의 회전이 허용된다.
본 발명에서, 텀블러군 중의 임의의 텀블러 쌍(11)은,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에 유지된 플로우팅 볼(13)에 대응하여, 플러그(2)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로우팅 볼(13)을 밀어내는 구동 핀(12)과, 플로우팅 볼(13)의 이동에 따라 플러그 케이스(1)측으로 밀려나온 종동 핀(14)으로 구성된다. 구동 핀(12)과 종동 핀(14)의 플러그 케이스(1)측 단부는 플러그 케이스(1)와 플러그(2)의 회전경계면(7)에 일치하고, 플러그(2)의 회전이 허가되는지의 여부는 자물쇠가 열린 상태에서 플로우팅 볼(13)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단체(3)(單體)에서는 플로우팅 볼(13)은 이동이 자유롭게 때문에, 자물쇠가 열린 때의 플로우팅 볼(13)의 위치를 복제가공기 등으로 재현할 수 없어 복제할 수 없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플러그 케이스(1) 내에 복수의 텀블러 핀(5)을 구비한 플러그(2)가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된 실린더 자물쇠로서, 그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에 있어서,
플러그(2)의 키 삽입홈(8)에 삽입된 블레이드부(15)에는 상기 블레이드부(15)의 폭이 넓은 면(4)에 대해서 직교방향으로 개설된 바닥이 있는 볼 수용구멍(16)과,
볼 수용구멍(16)의 개방면에 대해 반대면측에서 폭이 넓은 면(4)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 구멍이 뚫려 볼 수용구멍(16)으로 연통하는 볼 접근구멍(17)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볼 수용구멍(16) 내에는 구 형상의 플로우팅 볼(13)이 이동 자유롭게 사용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로우팅 볼(13)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키의 복제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볼 접근구멍(17)과 볼 수용구멍(16)이 일직선상에 배열되지 않기 때문에 이하의 이점이 있다. 도 6은 볼 접근구멍(17)과 볼 수용구멍(16)을 일직선상에 배열한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플러그 케이스(1)에는 구동 핀(12)과 종래 핀(14)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핀(18)이 장착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가 플러그(2)의 키 삽입홈(8)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 수용구멍(16)은 종래 핀(14)에 대치함과 동시에, 볼 접근구멍(17)은 구동핀(12)에 대치하고 있고, 구동 핀(12)측의 드라이브 핀(18)을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이 종동 핀(14)측보다 강하기 때문에, 드라이브 핀(18)에 의해 플러그 2회전 중심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구동 핀(12)은 볼 접근구멍(17) 내에 진입하여 플로우팅 볼(13)을 반대측으로 밀어낸다. 볼 수용구멍(16)에 진입한 종동 핀(14)을 종동측 드라이브 핀(18)의 가해진 힘에 대항하여 이동시켜 플로우팅 볼(13)을 밀어내기 위해서는 종동핀(14)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핀(18)의 가해진 힘을 구동 핀(12)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핀(18)의 가해진 힘에 비해 약하게 할 필요가 있고, 그 후 플러그(2)를 180°회전시키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접근구멍(17)은 종동 핀(14)에, 볼수용구멍(16)은 구동 핀(12)에 대응한다. 이 상태에서는, 플로우팅 볼(13)은 종동 핀(14)에 의해 눌려져 정규의 위치에 정지할 수 없고, 구동 핀(12)과 종동 핀(14)의 단부는 플러그(2)와 플러그 케이스(1)의 회전경계면(7)에서 어긋나 플러그(2)를 회전시킬 수 없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2)를 180° 또는 그 외의 각도로 회전시켜도 초기 회전위치 이외에서 구동 핀(12) 및 종동 핀(14)은 드라이브 핀(18)에 대치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가해진 힘의 역전이 발생하지 않아 상기 불균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실린더 자물쇠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케이스(1) 내에 플러그(2)를 회전 자유롭게 삽입하여 형성된다. 플러그(2)는 원주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에 플러그(2)의 회전중심방향으로 늘어난 키 삽입홈(8)이 형성된다. 키 삽입홈(8)은 후술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블레이드부(15)의 일반부 단면형상에 일치한 거의 구형 형상 단면을 가지고,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폭이 좁은 면의 대응면(8a, 8a’)에는 V자 형상의 돌출부(10)가 설치된다.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삽입홈(8)은 중심(8b)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에서 오프 셋(offset)량 δ만큼 편심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2)에는 복수의 텀블러 핀(5)이 장착된다. 각 텀블러 핀(5)은 대직경부(5a)와 소직경부(5c)를 가지는 단면 원형의 단부착 핀이고, 소직경부(5c)의 선단에는 절두(截頭)원추 형상의 감지부(5d)를 가진다. 이들 텀블러 핀(5)은, 플러그(2)에 구멍이 뚫린 텀블러 삽입통과구멍(20) 내에 감지부(5d)가 키 삽입홈(8)을 향하는 자세로 이동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축중심선(5a)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 텀블러 삽입통과 구멍(20)은 상기 텀블러 핀(5)의 대직경부(5b)와 소직경부(5c)에 대응하는 단부부착 구멍이고, 텀블러 핀(5)은 대직경부(5b)와 소직경부(5c)의 경계에 형성된 단부를 텀블러 삽입통과 구멍(20)측의 단부에 접촉시킴으로써, 키 삽입홈(8) 내로의 돌출량이 규제된다.
상기 텀블러 핀(5)은 이하에 서술하는 규제에 의해 플러그(2) 내에 배열된다. 먼저, 플러그(2)의 회전중심에 대해 직교하는 임의의 내면에 두 개의 텀블러 핀(5, 5)을 배치한다. 이들 두 개의 텀블러 핀(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축중심선(5a)이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을 통과하고, 또 동일 면내에 속하기 때문에, 축중심선(5a)은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상에서 교차하는 관계가 되고 이들 두 개의 텀블러 핀(5)의 쌍(11)을 소정 피치로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 방향 즉, 플러그(2)의 긴 방향에 피치(p)로 배열하여 텀블러군(6)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텀블러 쌍(11)은 축중심선(5a)의 교차각(θ)이 135°인 한 쌍의 텀블러 핀(5)으로 구성되고, 한 쪽의 텀블러 핀(5)은 키 삽입홈(8)의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폭이 넓은 면의 대응면(8c)의 한 방향에서 직교하여 진퇴하고, 다른 방향의 텀블러 핀(5)은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다른 폭이 넓은 면의 대응면(8c′)에 대해, 키 삽입홈(8)의 플러그(2)의 중심으로 기울어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폭이 좁은 면의 대응면(8a)측에서 45°의 경사각으로 진퇴한다.
본 발명에서 실린더 자물쇠는, 상기 텀블러군(6)의 복수를 플러그(2)에 배치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플러그(2)에는 텀블러 쌍(11)에서 교차각(θ)이 동일하고, 또 텀블러 쌍(11)간의 피치(p)도 동일한 2군의 텀블러군(6)은 키 삽입홈(8)의 폭방향 중심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배치되고, 한 방향의 텀블러군(6)의 텀블러 핀(5)은 다른 방향의 텀블러군(6)의 교차각(θ)을 분할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또, 이들 2군의 텀블러군(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2)의 긴 방향에 반 피치 어긋나 배치됨으로써 플러그(2)의 긴 방향에는 반 피치마다 다른 텀블러군(6)에 속하는 텀블러 쌍(11)이 배열된다. 텀블러군(6)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 2에서 한 방향의 텀블러군(6)에 속하는 텀블러 쌍(11)의 축중심선(5a, 5b)에 의해 잘려진 면을 부호(6A)로, 다른 텀블러군(6)에 속하는 텀블러 쌍(11)의 축중심선(5a, 5b)에 의한 잘려진 면을 부호(6B)로 나타내고, 또, 도 3 이하에 한 방향의 텀블러군(6)에 속하는 텀블러 핀(5)의 축중심선(5a)에 의해 형성된 면을 부호(6A′)로, 다른 방향의 텀블러군(6)에 속하는 텀블러 핀(5)의 축중심선(5a)에 의해 형성된 면을 부호(6B′)로 나타낸다.
한 편, 플러그 케이스(1)에는 상기 플러그(2)의 각 텀블러 삽입통과 구멍(20)에 연통하는 드라이브 핀 삽입통과 구멍(1a)이 형성된다. 드라이브 핀 삽입통과 구멍(1a)과 텀블러 삽입통과 구멍(20)은 서로 대치한 상태에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드라이브 핀 삽통구멍(1a)에 드라이브 핀(18)이 삽입된다. 드라이브 핀(18)은 텀블러(5)의 대직경부(5b)와 거의 동일 직경 칫수를 가지는 원주체이고, 압축 스프링(21)에 의해 플러그(2) 중심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상의 구성 아래, 후술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를 삽입홈(8)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러그(2)내의 텀블러 핀(5)은 플러그 핀(18)에 의해 눌러져 키 삽입홈(8) 내에 돌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상태에서 감지부(5d)의 선단이 서로 플러그(2)의 회전중심축(2a)상에서 접촉하도록 단부의 칫수가 적당히 결정된다. 텀블러 핀(5)의 키 삽입홈(8) 내로의 돌출에 의해 텀블러 핀(18)의 선단은 플러그(2)와 플러그 케이스(1)의 회전경계면(7)을 넘어 플러그(2) 내에 진입하므로 회전경계면(7)은 드라이브 핀(18)에 의해 닫혀져 플러그(2)를 회전시킬 수 없다. 이 상태에서 방패 형상 또는 철사 형상의 공구를 사용하여 각 텀블러 핀(5)을 조작하여, 실린더 자물쇠를 부정하게 열려고 해도 바로 앞 측의 텀블러 핀(5)이 후방의 텀블러 핀(5)으로 접근경로를 폐쇄하는 상태가 되므로, 자물쇠를 여는 조작이 매우 곤란해진다. 또, 플러그(2) 중심으로 기운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키(3)의 폭이 좁은 면의 대응면(8a)에는 V자 형상의 돌출부(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영역에서의 공구의 삽입이 불가능하고, 또 반대 쪽의 영역 즉, 플러그(2) 주변으로 기운 폭이 좁은 면의 대응면(8a′)에서는 한 방향의 텀블러군(6)의 텀블러 쌍(11)간의 교차각(θ)을 분할하는 위치에 있는 텀블러 핀(5)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지그를 사용하여 부정하게 자물쇠를 열 수 없다.
상기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를 도 1(b)에 도시한다.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는 선단에 손잡이부(3a)를 구비한 블레이드부(15)를 가진다. 블레이드부(15)는 구형 형상 단면형상을 가지는 평판 형상 키이고, 폭이 좁은 면(9)에는 플러그(2)의 돌출부(10)가 끼워맞춤이 가능한 V자 형상의 가이드 홈(15a)이 형성된다. 도 1,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15)에는 복수의 키 코드 형성 오목부(19)가 딤플(dimple) 가공에 의해 설치되고, 각 키코드 형성 오목부(19)는 플러그(2)의 키 삽입홈(8)에 삽입된 때에 텀블러 핀(5)의 감지부(5d)단면에 대응하도록 각 텀블러 핀(5)의 축중심선(5a)에 일치한 축중심을 가진다. 블레이드의 폭이 좁은 면(9)에 가이드 홈(15a)을 형성하는 것은 통상적인 정밀도의 복제가공기에서는 곤란한 데다, 블레이드부(15)의 폭이 넓은 면(4)에 대해서 경사방향을 향해 개설된 키코드 형성 오목부(19)를 복제가공기에서 정확히 복제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하기 때문에, 상기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복제작업은 곤란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의 블레이드부(15)를 플러그(2)의 키 삽입홈(8)에 삽입하면, 각 키 코드형성 오목부(19) 내에 텀블러 핀(5)이 끼워 맞추어져, 텀블러 핀(5)은 초기위치에서 키 코드형성 오목부(19)의 깊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플러그 케이스(1)측으로 이동한다. 키 코드 형성 오목부(19)의 깊이가 대응하는 텀블러 핀(5)의 종류에 합치할 때, 즉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키(3)가 바로 삽입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텀블러 핀(5)의 대직경부(5b)의 선단은 플러그(2)와 플러그 케이스(1)의 회전경계면(7)에 위치하여, 플러그(2)의 회전이 허용된다. 한 편, 키 코드 형성 오목부(19)의 깊이가 너무 깊은 경우에는, 드라이브 핀(18)은 회전경계면(7)을 닫고, 키 코드 형성 오목부(19)가 너무 얕은 경우에는 텀블러 핀(5)은 회전경계면(7)을 닫아 플러그(2)의 회전을 금지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부(15)를 표리 반전시킨 상태에서도 사용가능하도록 키코드 형성 오목부(19)는 블레이드부(15)의 폭방향 중심선과 두께 방향중심선의 교점에 대해 점대칭 위치에 동일 형상으로 2개 형성된다.
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15)에는 어느 하나의 텀블러 쌍(11)에 대응하는 볼 수용구멍(16)과 볼 접근구멍(17)이 설치되고, 볼 수용구멍(16) 내에 구형상의 플로우팅 볼(13)이 이동 자유롭게 수용된다. 볼 수용구멍(16)은 블레이드부(15)의 폭이 넓은 면(4)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개설된 원형 구멍이고, 원추로 이루어진 바닥벽(16a)을 구비하고, 개구단을 메워 플로우팅 볼(13)의 탈락이 방지된다. 플로우팅 볼(13)은 블레이드부(15)를 표리반전시킨 상태에서도 사용가능하게 상술한 키코드 형성 오목부(19)와 같이 블레이드부(15)의 폭 방향중심선과 두께 방향중심선의 교점에 대해 점대칭 위치에 2개 배치된다.
한 편, 플러그(2)에는 상술한 볼 수용구멍(16)에 대치하여 종동 핀(14)이, 볼 접근구멍(17)에 대치하여 구동 핀(12)이 각각 배치된다. 이들 종동 핀(14)과 구동 핀(12)은 상술한 텀블러 핀(5)과 같이 대직경부(14a, 12a)와 소직경부(14b, 12b)를 가지는 단부부착 핀이고, 플러그 케이스(1)측의 드라이브 핀(18)을 통해 플러그(2) 중심방향에 힘이 가해진다. 또, 드라이브 핀(18)을 플러그(2)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21)의 스프링력은 구동 핀(12)에 의한 플로우팅 볼(13)의 종동 핀(14)측으로 밀어올린 힘이 종동 핀(14)에 의한 플로우팅 볼(13)의 누르는 힘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구동 핀(12)이 볼 접근구멍(17)에, 종동 핀(14)이 볼 수용구멍(16)에 각각 대치한 상태에서는 항상 플로우팅 볼(13)은 볼수용구멍(16)의 바닥벽(16a)에서 뜬 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플로우팅 볼(13)의 밀려올려진 양의 관리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와 구동 핀(12)측의 어느 한 곳에서 행해질 수 있고,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측에서의 플로우팅 볼(3)의 떠오른량의 관리는 볼 수용구멍(16)의 개구단에 플로우팅 볼(13)이 떠오른량을 규제하는 기준부를 설치하고, 플로우팅 볼(13)은 구동 핀(12)에서 밀어올린 힘을 받으면, 항상 기준부에 접촉하기까지 부상하도록 하여 행해진다. 또, 구동 핀(12)측에서의 관리는 구동 핀(12)의 돌출량을 텀블러 삽입통과 구멍(20)의 단부에 의해 관리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동 핀(12) 및 종동 핀(14)은 드라이브 핀(18)에 의해 플러그(2) 중심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드라이브 핀(18)은 플러그(2)와 플러그 케이스(1)의 회전경계면(7)을 닫기 위해 플러그(2)의 회전이 금지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가 삽입되면 구동 핀(12)은 볼 접근구멍(17)에서 볼 수용구멍(16)내에 진입하여 플로우팅 볼(13)을 소정량 밀어올린다. 이 상태에서 종동 핀(14) 및 구동 핀(12)의 플러그 케이스(1)측 단부는 플러그(2)의 외주면에 일치되어, 플러그(2)와 플러그 케이스(1)의 회전경계면(7)을 열어 플러그(2)의 회전을 허용한다.
볼 수용구멍(16) 내에서 이동하는 플로우팅 볼(13)을 구비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제가공기에 의한 복제가 매우 곤란한 데다, 이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물쇠를 연 상태에서 플로우팅 볼(13)이 블레이드부(15)의 일반면(본 실시예에서는 폭이 넓은 면(4))에서 돌출하도록 설정하면, 자물쇠를 연 상태를 모방하여 복제가공기에 의한 복제를 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3)는 키 삽입홈(8)에서 넣어지지 않기 때문에, 복제가공기에 의한 복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복제 및 부정하게 자물쇠를 여는 조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플러그 케이스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플러그를 삽입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플러그에 삽입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폭이 넓은 면에 대해 다른 각도로 진퇴하고, 또 축중심선은 플러그의 회전중심축상에서 교차하는 텀블러 핀의 쌍을 플러그의 긴 방향으로 나열한 텀블러군의 2군을 플러그의 긴 방향으로 다른 군에 속하는 텀블러 핀이 교대로 나열되도록 각 텀블러 핀에 플러그 케이스측에서 플러그 중심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배열하고,
    플러그에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가 바로 삽입된 때에 플러그 핀의 단부를 플러그 케이스와 플러그의 회전 경계면에 위치시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실린더 자물쇠에서,
    상기 어느 한 방향의 텀블러 군 내의 하나의 텀블러열은 다른 방향의 텀블러군 내의 텀블러 쌍의 교차각을 분할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 키 삽입홈에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폭이 좁은면측으로 돌출하고,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가이드 레일을 겸한 V자형상의 돌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자물쇠.
  2. 플러그 케이스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플러그를 삽입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플러그에 삽입된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폭이 넓은 면에 대해 다른 각도로 진퇴하고 또, 축중심선은 플러그의 회전중심축상에서 교차하는 텀블러 핀의 쌍을 각 텀블러 핀에 플러그 케이스측에서 플러그 중심방향으로 가해진 힘을 주어 플러그의 긴 방향으로 배열하고,
    플러그에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가 바로 삽입된 때에 텀블러 핀의 단부를 플러그 케이스와 플러그의 회전경계면에 위치시켜 플러그의 회전을 허용하는 실린더 자물쇠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텀블러 쌍은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로 유지되고, 상기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플로우팅 볼을 밀어내는 구동 핀과, 플로우팅 볼의 이동에 따라 플로우팅 볼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종동 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자물쇠.
  3. 제 1항에 기재된 실린더 자물쇠에서, 어느 한 방향의 텀블러군의 하나 이상의 텀블러열은 제 2항에 기재된 구동 핀과 종동 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자물쇠.
  4. 플러그 케이스 내에 복수의 텀블러 핀을 구비한 플러그를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한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자물쇠 키에 있어서,
    플러그의 키 삽입홈에 삽입된 블레이드부에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폭이 넓은 면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설치된 바닥이 있는 볼 수용구멍과,
    볼 수용구멍의 개방면에 대해 반대면측에서 폭이 넓은 면에 대해 경사방향으로 구멍이 뚫려 볼 수용구멍에 연통하는 볼 접근구멍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볼 수용구멍 내에는 구 형상의 플로우팅 볼이 이동이 자유롭게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
KR1019990047734A 1998-10-30 1999-10-30 실린더 자물쇠 및 이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 KR100364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10357 1998-10-30
JP31035798A JP3432433B2 (ja) 1998-10-30 1998-10-30 シリンダ錠およびこのシリンダ錠に使用する施解錠キ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32A KR20000029432A (ko) 2000-05-25
KR100364957B1 true KR100364957B1 (ko) 2002-12-16

Family

ID=1800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734A KR100364957B1 (ko) 1998-10-30 1999-10-30 실린더 자물쇠 및 이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32433B2 (ko)
KR (1) KR100364957B1 (ko)
CN (1) CN1200191C (ko)
TW (1) TW513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7715B2 (ja) * 2000-10-16 2010-07-07 堀ロック工業株式会社 シリンダ錠
CN102926589B (zh) * 2012-11-27 2015-04-29 唐君荣 一种防盗锁及其钥匙
JP6343422B2 (ja) * 2013-02-14 2018-06-13 美和ロ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ディスクタンブラー錠
JP6343423B2 (ja) * 2013-02-18 2018-06-13 美和ロック株式会社 シリンダー錠の鍵及びその鍵材
JP6282399B2 (ja) * 2013-02-28 2018-02-21 美和ロ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ディスクタンブラー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32A (ko) 2000-05-25
CN1200191C (zh) 2005-05-04
CN1253219A (zh) 2000-05-17
JP2000136656A (ja) 2000-05-16
JP3432433B2 (ja) 2003-08-04
TW513511B (en)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3542A (en) Rotary cylinder lock
US7207200B2 (en) Key with compound actuator ramps in recessed longitudinal channel
US4393673A (en) Cylinder lock
US6945082B2 (en) Key blank, key and master keying system
US5724841A (en) Key and cylinder lock unit
US7421869B2 (en) Cylinder lock device
US5475998A (en) Lock assembly with locking bar
US5819566A (en) Cylinder lock and key
KR101363678B1 (ko) 디스크 텀블러 디스크 자물쇠, 그의 열쇠 및 이들의 조합
US5685184A (en) Pin tumbler lock
US20050210939A1 (en) Key with actuating nodes in recessed longitudinal channel
PL179490B1 (pl) Urzadzenie zamykajace z zamkiem bebenkowym i plaskim kluczem PL
CA2260994C (en) Lock system with key trapping
KR100364957B1 (ko) 실린더 자물쇠 및 이 실린더 자물쇠에 사용하는 자물쇠를 채우고 여는 키
US20210381275A1 (en) Key blank and key for actuating a disk cylin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key blank and key
JP3789419B2 (ja) シリンダ錠
EP1247926A2 (en) Assembly of revolving cylinder lock and key
JP7278265B2 (ja) ロック装置
JP2002242498A (ja) マグネットシリンダ錠
KR20010033135A (ko) 개량형 실린더 자물쇠 시스템
JP2002213120A (ja) 棒状鍵
JP4522198B2 (ja) シリンダ錠
JP4557643B2 (ja) シリンダ錠装置
JPH09144398A (ja) リバーシブルキー及びその製作方法
JP4167839B2 (ja) ロータリーディスクタンブラー錠におけるコンストラクションキ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