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613B1 - 보호모 - Google Patents
보호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3613B1 KR100363613B1 KR10-1998-0700845A KR19980700845A KR100363613B1 KR 100363613 B1 KR100363613 B1 KR 100363613B1 KR 19980700845 A KR19980700845 A KR 19980700845A KR 100363613 B1 KR100363613 B1 KR 1003636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layer
- inner layer
- vent hole
- hole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42B3/063—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using layered structur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 및 통풍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우천시 방수대책이 있고, 강도에 우수한 보호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모는, 내층과 외층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모자체로서 이루어지며, 이 내층과 외층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내층쪽과 외층쪽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내층이 외층을 향한 쪽에는, 상기 통기공의 주위에 단턱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기공 중심에 또는 통기공에 인접시켜 내,외층에 접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모는, 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모자체로서 이루어지며, 내층의 외층을 향한 쪽에는, 정점으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뻗은 홈과 돌기를 교대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돌기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외층에는 상기 내층의 홈에 대향시켜서 통기공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각종 작업현장이나 공장에서, 작업자는 보호모를 머리에 착용함으로써 물체가 튀거나 낙하하는데 대한 위험을 방지하거나, 혹은, 추락에 의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으나, 그 보호모는, 특히, 하절기 또는 노동량이 심한 작업에서는, 장시간의 착용으로 땀이 발생하기 때문에 머리가 더워지게 된다. 그 결과, 이들 작업이 불쾌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도 저하된다.
보호모에 통기성을 부여하는 시도로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화60년-143736호 공보에는 망 또는 망 형상 다공성재를, 공간부분이 번갈아 배치되도록 다층으로 성형한 보호모가 개시되고 있다. 또,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소화58년-7832호 공보에 기재된 고안도 보호모에 통기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며,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성1년-94430호 공보에도 작업용 헬멧, 차량용 헬멧, 안전화 등의 안전보호구 내부의 공기환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보호모에는 옥외에서 사용할 때의 비에 대한 대책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한편, 일본국 공고실용신안 소화42년-20108호 공보에는, 통기성을 가지며, 비에 대한 대책이 있는 헬멧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 고안은 모자체의 측부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으므로, 날아온 물건 또는 낙하물의 진입 우려가 있음과 동시에 강도적으로도 충분하지 못하며, 머리를 보호한다는 헬멧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없다. 또, 그 헬멧으로는 앞으로 구부린 상태로 작업 등을 할 경우, 헬멧 내부에 빗물이 침입하여, 비 대책으로서도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건설작업, 토목작업, 기타 모든 작업에서 머리부분의 방호를 위하여 착용되는 보호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모자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보호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내층에 뚫어놓은 통기공의 주변 확대도이다.
도 3은 스페이서의 형상을 변형한 실시형태이다.
도 4는 스페이서의 형상과 배치를 변형한 실시형태이다.
도 5는 외층에 뚫은 통기공의 주변 확대도이다.
도 6은 단턱과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방향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모자체를 구성하는 내층과 외층을 상하로 분리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내층에 외층을 부착시킴으로써 구성된 모자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모자체의 종방향단면 측면도이다.
도 10은 모자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요부 종방향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모자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요부 종방향단면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자체(10)와 커버(30)를 상하로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통기성 및 통풍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우천시 등에 있어서의 방수대책이 강구되고, 강도에 뛰어난 보호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모는, 내층과 외층 사이에 간격을 둔 모자체로서 이루어지며, 이 내층과 외층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내층쪽과 외층쪽에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고, 또한, 내층의 외층에 대향하는 쪽에는, 상기 통기공 주위에 단턱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기공의 중심에 또는 통기공에 인접시켜서 내,외층과 접하는 수직벽으로 된 스페이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모는, 내층과 외층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모자체로서 이루어지며, 이 내층과 외층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내층쪽과 외층쪽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내층의 통기공 둘레 전체에는 벽면에 공기의 유통공이 뚫리고 내,외층과 접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모는, 상기 외층의 통기공 중심에 또는 통기공에 인접시켜서, 내,외층과 접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외층의 통기공 주위에 보강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호모는, 내층과 외층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모자체로서 이루어지며, 내층이 외층에 대향하는 쪽에는, 정점으로 부터 방사형상으로 뻗는 홈과 돌기를 교대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돌기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외층에는 상기 내층의 홈과 대향시켜서 통기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내층의 돌기는 부분적으로 외층과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보호모는, 모자체의 정상부에 통기공을 가지는 돌기를 형성하며, 그 돌기를 통기공과 배수공을 가지는 커버에 의하여 간격을 두고 덮혀 있으며, 그 돌기의 통기공과 그 커버의 통기공이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기를 따라 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호모의 바람직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모자체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는 보호모의 측면도이다. 보호모의 주체를 이루는 모자체(10)는, 내층(10A)과 외층(10B)의 2개층으로 구성되며, 양층간에는 간극(12)이 형성되어 있다. 모자체(10)의 재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아보네이트, ABS수지 등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강도를 중시하는 경우에는 철,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기타의 고강도 합금도 사용가능하며, 보호모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는 섬유강화 프라스틱제, 세라믹제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간극(12)의 두께는 모자체(10)의 어느부분에서도 동일하게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간극(12)은, 주로 공기의 유통로로서 기능하는 것이므로 공기가 유통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면 된다. 따라서,간극(12)의 두께는 1∼20mm정도, 특히 3∼10m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10A)과 외층(10B)에는, 다수의 통기공(20A, 20B)이 뚫려 있다. 통기공(20A, 20B)은 각각 내층(10A)과 외층(10B)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며, 또한, 통기공(20A)과 통기공(20B)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통기공(20A)과 통기공(20B)을 겹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은 낙하물, 날라오는 물건 및 빗물등이, 모자체(10)의 외부로 부터 통기공(20A), 간극(12) 및 통기공(20B)을 경유하여 모자체(1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내층(10A)의 내부와 외층(10B)의 외부는, 통기공(20A), 간극(12) 및 통기공(20B)에 의하여 연이어져 통하고 있으므로, 외기는 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자체(10)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유통한다.
통기공(20A,20B)은, 상기 기능을 가지므로 모자체(10)의 전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으며, 혹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특히 상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통기공(20A,20B)의 배치는, 규칙적으로 하여도, 또 불규칙적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통기공(20A,20B)의 크기에 대하여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모자체(10)의 강도를 유지할 수가 있는 정도의 크기면 된다. 한편, 통기공(20A,20B)의 지름을 크게 하는 것이, 그 만큼, 모자체(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통기공(20A,20B)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형에만 한정하지 않고,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하여도 좋다. 또, 통기공(20B)의 크기, 형상 등은 서로 상이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모자체(10)의 내층(10A) 및/또는 외층(10B)을 그물코 구조로 하므로서, 모자체(10)에 통기공(20A)과 통기공(20B)을 형성하여도 좋다. 단, 상기와 같이 통기공(20A)과 통기공(20B)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층(10A)이 외층(10B)을 향한쪽의 내층(10A)의 통기공(20A) 주위에는 단턱(16)이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내층(10A)의 통기공(20A)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동 도면(a)는 외층(10B)을 탈거하였을 때의 평면도이고, 동 도면 (b)는 동 도면 (a)의 b-b선에 의한 종방향단면 측면도이다.
단턱(16)은 빗방울의 침입을 저지할 수가 있을 정도의 높이면 족하므로, 0.1∼20mm정도, 특히 1∼3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턱(16)은 통기공(20A)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단턱(16)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로서, 상기 수직으로 세운 상단부를 더욱 외측으로 굽히거나, 혹은, 통기공(20A)에 대하여 단턱(16) 자체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경사시킨 형상으로 하므로서, 통기공(20A)으로의 빗방울 침입을 차단하여도 좋다.
통기공(20A)의 중심에는, 내층(10A)과 외층(10B)의 양층에 접하는 수직벽(15)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벽(15)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단턱(16)에 걸쳐서 세갈래로 설치하여도 좋고, 도 3과 같이, 단턱(16)에 걸쳐서 +자형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 도 4와 같이, 통기공(20A) 외측에서 단턱(16)에 인접시켜 설치하여도 좋다.
스페이서(14)는, 어떠한 실시형태를 취하건, 내층(10A)과 외층(10B)을 일체로 결합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그 간극(12)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공기의 유통로를 확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페이서(14)의 형상과 배치에 의하여 통기공(20A)을 밀폐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도 4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2개로 접은 수직벽(15)을 대향시켜서, 그 사이에 공기의 유통로(22)를 확보하고 있다. 또, 스페이서(14)는, 외층(10B)에 가하여진 충격을 내층(10A)으로 전달하여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5(a),(b)의 종방향단면 측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층(10B)의 통기공(20B)에 대하여도, 통기공(20A)과 마찬가지로 스페이서(14B)를 설치하므로서, 간극(12)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모자체(10)의 강도를 한층 더 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통기공(20B)에 대하여 설치되는 스페이서(14B)는, 통기공(20B) 중심에, 내층(10A)과 외층(10B) 양층에 접하는 수직벽(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세갈래 형상이나 +자형상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통기공(20B)에 인접시켜서, 1 또는 2 이상의 수직벽(15)을 설치하여도 좋다. 스페이서(14B)는, 통기공(20B)으로 부터 작은 물체가 날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5(a),(b)에서, 통기공(20B) 주위에는 보강링(16B)이 원둘레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5(a)에서는, 수직벽면을 가지는 보강링(16B)이 내층(10A)과 대향하여 형성되며, 모자체(10)의 표면에 돌기물이 나오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한편, 도 5(b)에서는, 보강링(16B)이 외층(10B)의 외부 표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통기공(20B)의 보강과 함께, 빗방울에 대한 단턱작용을 한다. 도 5(b)에서, 보강링(16B)은 경사벽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보호모를 우천시 등에 옥외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빗물은 외층(10B)의 통기공(20B)으로 부터 보호모의 간극(12)으로 침입하여, 내층(10A)의 외부표면에 충돌한 후, 이 외부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 떨어진다. 빗방울은 단턱(16)에 차단되므로 통기공(20A)의 내부로 침입할 수가 없다.
도 6은, 단턱(16)과 스페이서(14)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방향단면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턱(16)과 스페이서(14)를 일체로 형성한 다음, 스페이서(14)를 구성하는 수직벽(15)의 벽면에 복수개의 공기의 유통공(24)을 형성하고 있다. 유통공(24)은 빗물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수직벽(15)의 벽면 상부에 형성한다. 유통공(24)의 형상은, 도 6(a)와 같이, 슬리트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도 6(b)와 같이, 원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모자체(10)는, 통기공(20A)을 이미 뚫어 놓은 내층(10A) 상에, 통기공(20B)을 이미 뚫어 놓은 외층(10B)을 덮어서, 양자를 상술한 스페이서(14)를 개재하여 접합시켜서 일체화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보호모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모자체(10)를 구성하는 내층(10A)과 외층(10B)을 상하로 분리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그 모자체(10)에 의하여 보호모의 주체가 구성된다. 그리고, 본 도면에서, 보호모로서 통상 갖추어지는 탈락방지용의 턱끈이나, 모자체(10)에 가하여진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모자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소위, 장착체나 충격흡수 라이너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내층(10A)의 하부에는 단턱부(11)가 원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층(10A)에 외층(10B)을 부착시켰을 때, 이 단턱부(11)에 외층(10B)의 하단 가장자리가 걸어 멈춤된다. 단턱부(11)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내층(10A)의 표면에는, 정점으로 부터 방사형상으로 뻗는 홈(17)과 돌기(18)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홈(1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빗물의 유로가 되는 것이며, 돌기(1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오목하면 되고, 예로서, U자형이나 V자형의 단면형상 또는 평탄면으로 할 수가 있다. 홈(17) 및 돌기(18)의 개수는 10∼20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돌기(18)의 적당 위치에는, 복수의 통기공(20A)을 뚫는다. 통기공(20A)은 외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것이며, 통기공(20A)을 뚫은 위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통기공(20A)의 수는, 내층(10A) 전체에 수개∼수십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기공(20A)의 수는, 내층(10A) 전체에 수개∼수십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통기공(20A)의 주위에는, 도 2∼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층(10B)에 대향시켜서,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16)을 원둘레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혹은, 통기공(20B) 주위에는, 도 5와 같이, 보강링(16B)을 형성하여도 좋다.
외층(10B)의 크기는 내층(10A)보다 약간 크게 한다. 또, 외층(10B)에도 복수의 통기공(20B)이 뚫려 있다. 통기공(20B)은 내,외층(10A,10B)을 겹쳤을 때, 통기공(20A)과 합치되지 않도록 뚫는다. 이를 위해서는, 통기공(20B)을 내층(10A)의 홈(17)과 대향시켜서 뚫으면 된다. 통기공(20B)의 크기, 개수 및 형상에 관하여는 통기공(20A)과 같이 해당된다.
부호(19)는, 외층(10B)의 원둘레 형상의 하단부에 몇군데 형성된 물배수공이며, 내층(10A)의 홈(17)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을 외층(10B)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내층(10A)에 외층(10B)을 부착시킴으로써 구성된 모자체(10)의 펑면도이며, 동 도면에서, 외층(10B)의 통기공(20B)을 실선으로, 또, 내층(10A)의 통기공(20A)을 점선으로 각각 2줄씩 표시함으로써 양자가 엇갈리게 형성되었음이 표시되고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모자체(10)의 종방향단면 측면도이며, 동 도면에서 좌반부는 내층(10A)의 홈(17)의 위치에서 절단하고, 우반부는 내층(10A)의 돌기(18)의 위치에서 절단한 것이다. 양층(10A,10B) 사이에는 간극(12)이 형성된다. 간극(12)의 두께는 홈(17) 위치에서 3∼30mm 정도, 돌기(18) 위치에서 1∼2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12)에는, 내,외층(10A,10B)의 일체화를 촉진하여 모자체(10)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상기한 스페이서(14,14B)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도 9의 우반부에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내층(10A)의 돌기(18)를 부분적으로 외층(10B)에 닿게 함으로써, 스페이서(14)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보호모를 우천시 등에 옥외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빗물은 외층(10B)의 통기공(20B)으로부터 보호모의 간극(12)으로 침입하고, 내층(10A)의 외부표면에 도달한다. 그후, 이 빗물은 내층(10A)의 홈(17)을 따라 흘러내려서, 외층(10B)의 물배수공(19)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착용된 보호모는, 작업중 빈번하게 기울어지는 것이지만, 내층(10A)에 뚫린 통기공(20A)은 돌기(18) 상에 위치하므로, 빗물이 통기공(20A)으로부터 내층(10A)의 내부까지 침입하는 일은 없다.
또, 예컨대, 자동 2륜차용의 보호모 등과 같이, 전방으로부터의 풍압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보호모에 대하여는, 반드시 홈(17)을 내층(10A)의 정점으로부터 방사형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빗물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스므스하게 배출되는 라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호모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10에 의거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형태는, 모자체(10)의 정상부에 형성하는 돌기(18)를 한 줄만으로 한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10은 이 돌기(18)와 직교하는 수직면에서 절단하여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자체(10)를 내층(10A)과 외층(10B)으로 분할하지 않고, 돌기(18)와 그 양측에 돌기(18)을 따라서 형성된 홈(17,17)을 덮도록 하여, 모자체(10)에 커버(30)를 끼우고, 커버(30)는 초음파 용착 또는 그 밖의 접합방법에 의하여 모자체(10)와 일체화되어 있다. 커버(30)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목적으로, 복수의 통기공(20B)이 형성되고, 통기공(20B)은 돌기(18)에 뚫린 통기공(20A)의 위치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모자체(10)의 돌기(18) 주변과 커버(30) 사이에는 간극(12)이 형성되고, 본 실시형태에 관하여서도 도 7 ∼ 도 9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통기성 대책과 강우대책이 행하여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18)를 모자체(10)의 정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통기공(20B)을 모자체(10)의 좌우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자동 2륜차용의 보호모로서도, 간극(12) 내로의 빗물침입을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돌기(18)의 수는, 반드시 할 줄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모자체(10)의 전후방향으로 여러줄을 병설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모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11 및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모자체(10)와 커버(30)를 상하로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모자체(10)를 돌기(18)와 직교하는 수직면에서 절단하여 도시하는 요부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간극(12) 내에서 홈(17)으로부터 커버(30)의 내벽면에 맞닿는 스페이서(26)를 세운 점에서,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스페이서(26)는 커버(30)와 모자체(10)의 일체화를 촉진하여, 모자체(10)의 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통기공(20A)을 둘러싸듯이 형성하면,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그리하여, 스페이서(26)의 외측에는 홈(17A)이, 내측에는 홈(17B)이 각각 형성되므로, 강우대책이 한층 더 확실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페이서(26)의 상부벽면에는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유통공(28)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간극(12)에는 발포스티롤이나 각종-스폰지 등의 완충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단, 통기성, 통풍성 및 방수성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이나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상술한 모든 보호모에 관하여, 일본에서 정하는 규격(1991년 6월 5일자의 일본국 노동성 고시 제 39 호)에 의한 내관통(耐貫通) 시험(제 6 조 및 제 7 조)과 충격흡수시험(제 8 조)을 행한 바, 각각 해당 조항에서 소정의 성능이 얻어졌다.
본 발명의 보호모는, 통기성 및 통풍성에 뛰어남과 동시에 강우대책도 완전하다. 또, 모자체를 2중 구조로 한 것은, 특히 강도가 높고,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보호모로서의 안전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모는 각종 건설작업이나 토목작업, 중기조작 차량이나 항공기의 운전작업, 건물내외에서의 경비, 경찰, 소방 등의 작업, 나아가서는 미식축구, 아이스하키, 기타의 스포츠 경기에 대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 건축물이나 땜 등의 건설현장, 도로나 터널등 공사현장, 조선소, 제철소, 철공소, 광석 채취장, 기타의 각종 작업현장이나 공장등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2)
- 내층과 외층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모자체로서 이루어지며, 이 내층과 외층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내층쪽과 외층쪽에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고, 내층이 외층을 향한 쪽에는, 상기 통기공의 주위에 단턱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통기공 중심에 또는 통기공에 인접시켜 내,외층에 접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통기공 중심에 또는 통기공에 인접시켜서, 내,외층에 접하는 수직벽으로 된 스페이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통기공 주위에 보강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내층과 외층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모자체로서 이루어지며, 이 내층과 외층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내층쪽과 외층쪽에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고, 상기 내충의 통기공의 전체 둘레에는, 벽면에 공기의 유통공이 뚫리고 내,외층에 접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통기공 중심에, 또는 통기공에 인접시켜서,내,외층에 접하는 수직벽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통기공 주위에 보강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내층과 외층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모자체로서 이루어지며, 내층이 외층을 향한 쪽에는, 정점으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뻗은 홈과 돌기를 교대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돌기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외층에는 상기 내층의 홈에 대향시켜서 통기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통기공 주위에는 단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의 통기공 주위에 보강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돌기가 부분적으로 외층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모자체의 중상부에 통기공을 가지는 돌기를 형성하고, 그 돌기를 통기공과 배수공을 가지는 커버에 의하여 간극을 두어 덮고, 그 돌기의 통기공과 그 커버의 통기공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를 따라서 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227104 | 1995-08-11 | ||
JP22710495 | 1995-08-11 | ||
JP95-338072 | 1995-12-01 | ||
JP33807295 | 1995-12-01 | ||
JP338072 | 1995-12-01 | ||
JP96-130715 | 1996-04-26 | ||
JP13071596 | 1996-04-26 | ||
JP130715 | 1996-04-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6177A KR19990036177A (ko) | 1999-05-25 |
KR100363613B1 true KR100363613B1 (ko) | 2003-02-07 |
Family
ID=2731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0845A KR100363613B1 (ko) | 1995-08-11 | 1996-08-07 | 보호모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5940889A (ko) |
EP (1) | EP0890320B1 (ko) |
JP (1) | JP3503947B2 (ko) |
KR (1) | KR100363613B1 (ko) |
CN (1) | CN1130997C (ko) |
AU (1) | AU6668796A (ko) |
CA (1) | CA2228271C (ko) |
DE (1) | DE69617470T2 (ko) |
WO (1) | WO199700670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5916Y1 (ko) | 2010-01-30 | 2011-09-30 | 서춘미 | 이중 챙 모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51718A (en) * | 1996-11-30 | 2000-11-28 | Builmatel Co., Ltd. | Safety cap |
JP2962700B2 (ja) * | 1998-01-22 | 1999-10-12 | オージーケー販売株式会社 | ヘルメット装置 |
JP4540152B2 (ja) * | 1999-09-22 | 2010-09-08 | 株式会社谷沢製作所 | ヘルメット |
GB2387102B (en) * | 2002-04-04 | 2005-12-07 | Tunnard Mitchell | Modular helmet |
KR20020064701A (ko) * | 2002-06-18 | 2002-08-09 | 김명원 | 반구형 헬멧의 본체에 공기 통풍용의 관통된 작은 구멍이전체 표면에 일정하게 배열되어 다량으로 뚫혀진 구조의안전 헬멧 |
US6766537B1 (en) * | 2002-12-26 | 2004-07-27 | Polaris Industries Inc. | Protective helmet with detachable shell piece |
US6925655B1 (en) * | 2002-12-26 | 2005-08-09 | Polaris Industries Inc. | Protective helmet with selectively covered aperture |
US6904616B1 (en) * | 2002-12-26 | 2005-06-14 | Polaris Industries Inc. | Positive pressure protective helmet |
US6857135B2 (en) * | 2003-06-04 | 2005-02-22 | Yoshiyuki Sumitomo | Helmet |
US20050086727A1 (en) * | 2003-09-26 | 2005-04-28 | Charles Shen | Ball cap shield |
US7975317B2 (en) * | 2005-02-28 | 2011-07-12 | Palmer Rampell | Protective helmet cap with improved ventilation |
US7975320B2 (en) * | 2005-12-20 | 2011-07-12 | Smith Optics, Inc. | Helmet including vent and actuator assembly for moving vent shutter and methods of using same |
KR100953920B1 (ko) * | 2007-12-28 | 2010-04-22 | 허봉락 | 헬멧 |
JP2009275299A (ja) * | 2008-05-12 | 2009-11-26 | Kaishin:Kk | ヘルメット |
CN101822440A (zh) * | 2010-05-10 | 2010-09-08 | 李治中 | 新型高强度可减震通风的安全帽 |
US8966671B2 (en) * | 2010-12-17 | 2015-03-03 | Garry Rumbaugh | Sporting helmet with outer pads |
US8869954B2 (en) | 2011-04-15 | 2014-10-28 | Standard Car Truck Company | Lubricating insert for railroad brake head assembly |
US8869709B2 (en) | 2011-08-10 | 2014-10-28 | Standard Car Truck Company | High friction railroad car components with friction modifying inserts |
WO2013162770A1 (en) * | 2012-04-24 | 2013-10-31 | Bell Sports, Inc. | Protective snow and ski helmet |
US9700095B2 (en) | 2012-04-25 | 2017-07-11 | PSE Technology LLC | Molded gel headgear having impact dispersing properties |
US11464271B2 (en) * | 2012-05-14 | 2022-10-11 | William A. Jacob | Energy dissipating helmet |
US9603408B2 (en) * | 2012-10-05 | 2017-03-28 | Elwood J. B. Simpson |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
US9572390B1 (en) * | 2012-10-05 | 2017-02-21 | Elwood J. B. Simpson |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
ITMI20122224A1 (it) * | 2012-12-21 | 2014-06-22 | Mako Shark Srl | Protezione cranica universale |
ITCO20130049A1 (it) * | 2013-10-15 | 2015-04-16 | Ld Project S R L | "casco di protezione modulare" |
CN105559225B (zh) * | 2015-08-28 | 2018-05-04 | 周丐社 | 施工安全帽 |
KR101676389B1 (ko) * | 2015-12-18 | 2016-11-18 | 김강민 | 환기장치 내장형 모자 |
CN107132654B (zh) * | 2016-02-26 | 2020-01-07 |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 头戴式电子装置及头戴式电子装置软垫 |
US10736371B2 (en) * | 2016-10-01 | 2020-08-11 | Choon Kee Lee | Mechanical-waves attenuating protective headgear |
US20180228240A1 (en) * | 2017-02-13 | 2018-08-16 | Sabina Sood | Headwear system |
US10542788B2 (en) | 2017-05-11 | 2020-01-28 | Safer Sports, LLC | Football helmet having three energy absorbing layers |
US10010126B1 (en) * | 2017-06-29 | 2018-07-03 | Bell Sports, Inc. | Protective helmet with integrated rotational limiter |
US10813403B2 (en) | 2018-11-01 | 2020-10-27 | Kranos Ip Corporation | Football helmet having exceptional impact performance |
USD927073S1 (en) | 2019-04-16 | 2021-08-03 | Safer Sports, LLC | Football helmet |
USD935106S1 (en) | 2019-11-22 | 2021-11-02 | Safer Sports, LLC | Helmet |
KR102341924B1 (ko) * | 2020-02-06 | 2021-12-21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헬멧 |
CN112754091B (zh) * | 2020-12-30 | 2023-02-07 | 河南省斯科赛斯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多功能医用防护隔离服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316C (de) * | G. NIEMANN in Berlin, Admiralstrafse 15 | Ventilationseinrichtung an Kopfbedeckungen | ||
US1977215A (en) * | 1933-08-02 | 1934-10-16 | Albert A Strauss | Safety hat or cap |
US2112383A (en) * | 1936-01-31 | 1938-03-29 | Jesse B Hawley | Hat |
US2144870A (en) * | 1936-02-12 | 1939-01-24 | Bullard Co | Safety hat |
US3496854A (en) * | 1968-03-05 | 1970-02-24 | Ilc Ind Inc | Ventilated helmet |
US3780382A (en) * | 1971-08-02 | 1973-12-25 | O Boden | Hat or cap constructed for air circulation therethrough |
FI53780C (fi) * | 1976-08-18 | 1978-08-10 | Kemira Oy | Stoetskyddsfodring avsedd att anordnas i en hjaelm |
JPS56143223U (ko) * | 1980-03-26 | 1981-10-29 | ||
JPS60143736U (ja) * | 1984-03-05 | 1985-09-24 | 岡島 秀泰 | 全面通風保安ヘルメツト |
DE8426051U1 (de) * | 1984-09-04 | 1985-01-31 | Hauptverband der gewerblichen Berufsgenossenschaften e.V., 5300 Bonn | Natürlich belüfteter Arbeitsschutzhelm |
US4700411A (en) * | 1984-11-16 | 1987-10-20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Helmet |
DE8517547U1 (de) * | 1985-06-15 | 1985-08-01 | Römer GmbH & Co, 7910 Neu-Ulm | Schutzhelm |
US4622700A (en) * | 1985-12-09 | 1986-11-18 | Bell Helmets Inc. | Suction ventilated helmet |
JPH0216972Y2 (ko) * | 1986-08-27 | 1990-05-11 | ||
GB2219728B (en) * | 1988-06-20 | 1992-07-29 | Britax Child Care Prod | Safety helmet |
CA2089102C (en) * | 1992-05-20 | 1996-12-17 | Haruo Tanaka | Ventilated vehicle helmet with modular duct forming lining |
WO1995028101A1 (fr) * | 1994-04-14 | 1995-10-26 | Sea Raise Corporation Co., Ltd. | Casque de securite |
-
1996
- 1996-08-07 US US08/981,712 patent/US5940889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8-07 AU AU66687/96A patent/AU6668796A/en not_active Abandoned
- 1996-08-07 DE DE69617470T patent/DE69617470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07 JP JP50913497A patent/JP3503947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07 EP EP96926577A patent/EP089032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07 CN CN96196098A patent/CN113099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8-07 CA CA002228271A patent/CA222827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8-07 KR KR10-1998-0700845A patent/KR1003636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8-07 WO PCT/JP1996/002221 patent/WO1997006706A1/ja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5916Y1 (ko) | 2010-01-30 | 2011-09-30 | 서춘미 | 이중 챙 모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6668796A (en) | 1997-03-12 |
WO1997006706A1 (en) | 1997-02-27 |
EP0890320A4 (en) | 1999-07-28 |
CN1130997C (zh) | 2003-12-17 |
KR19990036177A (ko) | 1999-05-25 |
US5940889A (en) | 1999-08-24 |
JP3503947B2 (ja) | 2004-03-08 |
CA2228271C (en) | 2005-09-06 |
CN1192659A (zh) | 1998-09-09 |
EP0890320B1 (en) | 2001-11-28 |
DE69617470T2 (de) | 2002-08-14 |
EP0890320A1 (en) | 1999-01-13 |
DE69617470D1 (de) | 2002-01-10 |
CA2228271A1 (en) | 1997-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63613B1 (ko) | 보호모 | |
EP0943249B1 (en) | Safety cap | |
EP1649770B1 (en) | Protective cap | |
JP2000265315A (ja) | ヘルメット | |
WO1995028101A1 (fr) | Casque de securite | |
JPH08209431A (ja) | 保護帽 | |
JPH11124719A (ja) | 保護帽 | |
JPH07278935A (ja) | 保護帽 | |
US6508505B1 (en) | Stiffener bar bezel | |
IT8922035A1 (it) | Struttura di casco sportivo, provvista di uno o piu' elementi di rinforzo, inseriti fra la calotta e l'imbottitura di protezione. | |
JP2000303246A (ja) | 保護帽 | |
KR102342681B1 (ko) | 결로 방지 안전모 | |
KR200292776Y1 (ko) | 통풍 안전모 | |
JP3074285U (ja) | 保護帽 | |
KR200320556Y1 (ko) | 안전 헬멧 | |
JPH0827614A (ja) | 保護帽 | |
JP4038730B2 (ja) | 通気孔付きヘルメット | |
KR200168840Y1 (ko) | 통풍안전모 | |
JP2007084943A (ja) | 保護帽 | |
KR200187556Y1 (ko) | 통풍이 가능한 안전모 | |
JPH10331021A (ja) | ヘルメット | |
KR200231776Y1 (ko) | 낙석 추락 방지용 안전복 | |
KR200231778Y1 (ko) | 낙석 추락 방지용 안전복 | |
JP2000129528A (ja) | 安全帽 | |
JP2000226716A (ja) | 保護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