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924B1 - 휴대용 헬멧 - Google Patents

휴대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924B1
KR102341924B1 KR1020200014178A KR20200014178A KR102341924B1 KR 102341924 B1 KR102341924 B1 KR 102341924B1 KR 1020200014178 A KR1020200014178 A KR 1020200014178A KR 20200014178 A KR20200014178 A KR 20200014178A KR 102341924 B1 KR102341924 B1 KR 10234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coupled
fine powder
ring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333A (ko
Inventor
허창순
허지혜
김민정
백란지
설유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9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1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 A42B3/122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inflatable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머리에 씌워지는 헬멧부, 헬멧부의 일지점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부, 인플레이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실린더부, 인플레이터부와 헬멧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통로부 및 헬멧부에 결합되되, 사람의 턱 부근에 위치되는 조임부를 포함하고, 헬멧부는, 중공부를 지니는 링부, 링부와 결합되되, 링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원단부 및 링부와 결합되는 패킹부를 구비하되, 패킹부는 링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헬멧부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헬멧 {PORTABLE HELMET}
본 발명은 휴대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머리에 씌워지는 헬멧부, 헬멧부의 일지점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부, 인플레이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실린더부, 인플레이터부와 헬멧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통로부 및 헬멧부에 결합되되, 사람의 턱 부근에 위치되는 조임부를 포함하고, 헬멧부는, 중공부를 지니는 링부, 링부와 결합되되, 링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원단부 및 링부와 결합되는 패킹부를 구비하되, 패킹부는 링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헬멧부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헬멧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되나, 기존의 헬멧은 모양이 일정하게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관계로 휴대 및 보관이 쉽지 않고, 가벼운 재질로 제작한다 하여도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상당한 무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벼운 소재인 에어가 주입된 튜브를 이용한 헬멧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튜브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헬멧은 유체 공급부도 함께 구비하여 셀 내부에 작동튜브를 형성하여 유체 및 공기의 주입으로 셀부를 밀폐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셀의 유체 및 공기를 제거하여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 또는 유체를 주입하는 기존의 헬멧은 레프팅 시에 착용을 하도록 한정되거나, 기존의 레프팅용 헬멧을 착용하는 경우 물에 빠졌을 때, 구명조끼 등의 보조 장구를 갖추더라도 머리가 수면에 뜨지 않아 익사사고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유체 또는 공기의 주입이 가능하나, 공기가 자연히 사라짐에 따라 헬멧의 용도를 다하는 일회용성을 지니거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유체 또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있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878653 B1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면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보다 빠르고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사람의 머리에 씌워지는 헬멧부, 헬멧부의 일지점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부, 인플레이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실린더부, 인플레이터부와 헬멧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통로부 및 헬멧부에 결합되되, 사람의 턱 부근에 위치되는 조임부를 포함하고, 헬멧부는, 중공부를 지니는 링부, 링부와 결합되되, 링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원단부 및 링부와 결합되는 패킹부를 구비하되, 패킹부는 링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헬멧은 사람의 머리에 씌워지는 헬멧부; 상기 헬멧부의 일지점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부; 상기 인플레이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실린더부; 상기 인플레이터부와 상기 헬멧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통로부; 및 상기 헬멧부에 결합되되, 사람의 턱 부근에 위치되는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헬멧부는, 중공부를 지니는 링부; 상기 링부와 결합되되, 상기 링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원단부; 및 상기 링부와 결합되는 패킹부;를 구비하되, 상기 패킹부는 상기 링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부는 공기가 저장되되,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결합된 줄을 당길 경우, 상기 실린더부에 저장된 공기가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여 상기 헬멧부로 이동하여 상기 헬멧부가 부풀어 오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링부는,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두께만이 절삭되는 수용 홈;이 구비되되, 상기 수용 홈에 상기 패킹부가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 홈을 따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홀;이 복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패킹부가 상기 수용 홈으로부터 탈거되었을 경우, 복수 개의 상기 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임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플레이터부와 상기 통로부는 나사산 결합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헬멧부에는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로 코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헬멧에 의하면, 인플레이터부가 통로부와 결합될 때,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 형상으로 구비되어 통로부와 결합을 손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공기가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링부는 수용 홈을 따라 원단부를 향해 수직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홀을 구비하여 원단부로부터 공기를 순간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단부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링부를 중심으로 원단부가 압축되므로, 차지하는 보관 공간이 매우 적어 많은 수량을 한정된 공간에 보관할 수 있고, 접히면 부피가 매우 압축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헬멧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플레이터부, 실린더부 및 연결부의 분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의한 헬멧부의 공기 주입의 사용 실시 예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헬멧부의 공기 배출의 사용 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헬멧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헬멧부의 측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에 의한 패킹부의 단면도이다.
도 6(b)은 본 발명에 의한 패킹부의 측면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에 의한 링부의 단면도이다.
도 7(b)은 본 발명에 의한 링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헬멧은 헬멧부(100), 인플레이터부(200), 실린더부(300), 통로부(400) 및 조임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기가 저장된 실린더로부터 헬멧부를 향하여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유도하여 사용 시에만 헬멧의 부피를 부풀여 사용하고, 미 사용시에는 헬멧의 부피를 줄여 휴대성 및 보관성의 용이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헬멧부(100)는 일지점이 개방된 구 형상으로, 중공부를 구비하여 사람의 머리에 씌워질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는, 공지의 헬멧 형상을 포함하고, 제한되지 않으며, 사람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헬멧부(100)의 일지점에는 인플레이터부(200), 실린더부(300) 및 통로부(400)가 결합된다.
먼저, 실린더부(300)는 공기가 저장된 CO2 실린더일 수 있고, 일회용으로 공기가 헬멧부(100)로 이동 시에 분리하여 버려질 수 있다.
인플레이터부(200)는 보빈, 링 및 줄로 구비되어, 일측이 실린더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인플레이터부(200)는 실린더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자동 주입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서, 공지의 인플레이터(Inlfator)를 포함하고, 실린더 격발기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플레이터부(200)의 구비된 줄을 잡아당기는 구조로, 실린더부(300) 내부에 압축되었던 공기를 헬멧부(100)에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인플레이터부(200)는 통로부(400)를 통해 헬멧부(100)의 일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통로부(400)의 일측은 헬멧부(100)의 외측면의 일지점에 결합되고, 타측은 인플레이터부(200)와 결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부(200)에 의해 격발되는 실린더부(300)의 공기가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인플레이터부(200)와 결합되는 통로부의 지점에는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인플레이터부(200)가 통로부(400)와 결합될 때,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 형상으로 구비되어 통로부(400)와 결합을 손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플레이터부(200) 및 통로부(400)의 결합은 나사산 형상으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함에 따라 공기 유입 및 배출 작업의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나사산 형상으로 골이 형성되어 공기가 새어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임부(500)는 도 1과 같이, 사람의 턱 부근에 위치하도록 헬멧부(100)의 하부에서 벨크로(velcro)와 같이 서로 연결 가능한 구성으로 헬멧부(100)가 사람의 머리에 씌워지고,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헬멧부(100)를 머리에 착용하고, 조임부(500)를 이용하여 개인차가 있는 머리 크기에 따라 조여 사용할 수 있어 형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임부(500)는 헬멧부(100)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조임부(500)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휴대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헬멧부(10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여 공기의 주입 및 배출되는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휴대용 헬멧을 사용하기 위해 공기가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휴대용 헬멧을 휴대 또는 보관하기 위해 공기가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헬멧부(100)는 링부(110), 원단부(120), 패킹부(130) 및 필름부(140)로 구비된다.
링부(110)는 중공부를 지니는 링 형상으로, 일부가 함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헬멧부(100)의 측면도로, 링부(110)는 사람의 머리에 씌워질 수 있도록 하부가 절삭된 링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링부(110)를 중심으로 원단부(120)가 대칭되어 결합된다.
즉, 링부(110)는 사람의 머리에 씌워져 형태가 고정되는 본체라면, 원단부(120)는 사람의 머리를 감싸도록 링부(110)를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원단부(120)는 이중으로 내부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즉, 인플레이터부(200)를 통해 공기가 원단부(120)에 주입된다면, 도 3(a)와 같이, 링부(110)를 중심으로 부풀어져 부피가 커져 사람의 머리에 씌워질 수 있고, 링부(110)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었다면, 도 3(b)과 같이, 링부(110)를 중심으로 원단부(120)가 접혀져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이때, 링부(110)는 수용 홈(111)을 구비하여 패킹부(130)를 수용할 수 있고, 수용 홈(111)에는 복수 개의 홀(1111)이 구비되어 공기를 외부를 향하여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7을 참조한다. 도 7(a)은 링부(110)의 단면도이고, 도 7(a)은 링부(110)의 측면도이다.
링부(110)의 상면을 따라 소정의 두께가 함몰되는 수용 홈(111)이 구비된다. 여기서, 링부(110)의 상면이라 함은, 헬멧부(100)가 사람의 머리에 씌워져 있을 때, 헬멧의 외측면을 의미하며, 링부(110)의 하면이라 함은, 사람의 머리와 맞닿는 내측면을 의미한다.
수용 홈(111)의 양 측면에는 원 형상의 홀(1111)이 복수 개로 구비된다. 여기서, 수용 홈(111)의 양 측면이라 함은, 링부(110)를 기준으로 원단부(120)가 대칭으로 결합될 때, 원단부(120)가 결합되는 양 측면과 동일하다.
즉, 수용 홈(111)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홀(1111)로 인해, 원단부(120)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질 수 있다.
이는 공기가 주입되는 종래의 헬멧의 경우에는, 공기의 배출구가 헬멧의 일지점에 소정의 크기로 위치되어 공기의 배출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휴대성이 용이함에 반해, 위급 상황에 즉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소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사전에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 작업을 미리 준비해두지 않는 이상 사용의 횟수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링부(110)는 수용 홈(111)을 따라 원단부(120)를 향해 수직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홀(1111)을 구비하여 원단부(120)로부터 공기를 순간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 작업을 통해 헬멧으로 사용되는 점에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 시간을 최소화하여 인명피해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단부(120)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게 되면, 링부(110)를 중심으로 원단부(120)가 압축되므로, 차지하는 보관 공간이 매우 적어 많은 수량을 한정된 공간에 보관할 수 있고, 접히면 부피가 매우 압축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반대로, 원단부(12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수용 홈(111)에 패킹부(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패킹부(130)는 수용 홈(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용 홈(111)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패킹부(130)의 재질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실리콘 고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테프론, 고어텍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외에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로, 고무 코팅 섬유, 폴리우레탄 코팅 섬유, 네오플렌 등 다양한 재질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는, 탄성을 적절하게 지니는 패킹부(130)를 수용 홈(111)에 결합시킬 때, 사용자로 하여금 적은 힘만을 이용하여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패킹부(130)는 양 측면을 따라 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 끼움부(1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패킹부(130)의 양 측면이라 함은, 링부(110)를 기준으로 원단부(120)가 대칭으로 결합될 때, 원단부(120)가 결합되는 양 측면과 동일하며, 홀(1111)에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 끼움부(13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패킹부(130)가 수용 홈(111)에 끼워지면서, 돌출 끼움부(131)도 각각의 홀(1111)에 삽입되어진다.
이는, 원단부(120)에 공기를 주입할 때, 수용 홈(111)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패킹부(130)를 결합하여 공기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고, 돌출 끼움부(131)를 더 구비하여 공기의 새는 현상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단부(120)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패킹부(130)를 링부(110)의 수용 홈(111)으로부터 탈부착 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세척이 용이하여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헬멧부(100)를 따라 코팅층이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원단부(120)에 코팅층이 구비되고, 원단부(120)는 헬멧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패드일 수 있고, 나일론, 천연 소재, 합성수지 기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헬멧용 패드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은 미분말 šœ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미분말은 볼밀, 제트밀, 기타 분쇄장치 등으로 파쇄하거나 합성과정에서 미분말의 성상을 가지도록 제조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미분말은 평균입경이 100μm 이하인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šœ가이트란, 러시아 Karelia Ladoga호 북부 부근 Shunga에서 원생대 야툴리아 시대(Jatulian)의 작은 흑연 미세 결정이 풍부한 변성도가 낮은 혈암 중에 층(두께 2m에도 달한다)이나 렌즈 모양체로 산출된다. 이는 피치와 같은 흑색, 치밀, 불투명, 금속 광택. 무르다. 경도 2.5. d 1.75~1.80, 불대에서 용융되지 않고 진한 질산에서 석묵산을 만든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일라이트란, 화학조성은 (K,H3O)Al2(Si,Al)4O10(H2O,OH)2이다. 화학성분으로 보아, 백운모에 가까운 것도 있으나 비교적 SiO2, MgO, H2O가 많고, K2O는 적다. 수백운모(水白雲母) 등과 같은 계열의 광물이다. 굳기 1 내지 2, 비중 2.6 내지 2.9이다. 쪼개짐은 완전하며, 조흔색은 백색이며, 토상(土狀)광택이 있다. 화학성분이나 결정구조로 보아 독립된 광물이 아니고,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혼합광물이라는 견해가 있다.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泥質) 또는 응회암질(凝灰岩質)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熱水性)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올라이트는 비석(沸石)이라고도 한다. 종류는 많으나 함수량(含水量)이 많은 점, 결정의 성질, 산상(産狀) 등에 공통성이 있다. 굳기는 6을 넘지 않으며, 비중은 약 2.2이다.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 반투명하다. 취관으로 가열하면 끓어서 팽대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대개의 종류는 염산에 녹아 흔히 아교 모양이 되지만, 소수의 종류는 염산에 녹지 않는다. 주요한 종류로서 방비석, 어안석, 캐버자이트, 소다비석·휼란다이트, 스틸바이트, 로몬타이트, 이네사이트 등이 있다.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때로는 화강암, 편마암 중에 2차광물로서 존재한다. 또한 금광맥 그 밖의 광맥 중에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分子篩)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맥반석은 중국의 한방의학에서 사용한 용어로 알려지고 있으며 지질학적으로 분류하자면 화강암류에 속한다. 석영반암, 장석반암, 화강반암과 같은 것으로서, 암석명으로 석영-몬조나이트와 일치한다. 석영과 장석이 촘촘하게 섞여 있다. 누런 백색, 연한 누런 갈색, 옅은 회색, 짙은 녹색 또는 옅은 녹색 암석에 빨간 점 또는 하얀 점이 고르게 섞여 있는 모습이 보리밥으로 만든 주먹밥과 같다고 하여 맥반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성분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고, 산화제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약석으로 알려진 것은 누런 백색을 띤 맥반석으로 예전에는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나는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그 성질은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한다. 1cm3당 3 내지 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 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찜질방, 식기, 의료기 등 여러 산업 부분에서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벤조나이트는 석영, 장석(長石),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한 것이 많다.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 등을 나타낸다. 진주광택, 납상광택을 가지며 지방감이 있는 치밀한 괴상으로 산출되는데, 물을 흡착하여 팽윤하고, 양이온 교환성이 뚜렷한 것 등 몬모릴로나이트의 성질과 흡사하다. 응회암과 유리질 유문암(流紋岩)이 변질된 것이다. 용도는 매우 넓어 석유정굴진용 이수(石油井掘進用泥水)의 주성분, 주물형(鑄物型)의 결합제, 요업원료의 혼입제, 연고의 기초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명칭은 발견지인 미국 와이오밍주(州)의 지층에서 유래되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규조토는 주로 규산(SiO2)으로 되어 있으며, 백색 또는 회백색을 띤다. 가벼우며 손가락으로 만지면 분말이 묻을 정도로 연하다. 미세한 다공질(多孔質)이기 때문에 흡수성이 강하고, 열의 불량도체이다. 우리 나라에서의 규조토는 제3기 또는 제4기 지층내에서 토상(土狀)으로 산출된다. 우리 나라 고제3기(古第三期)에는 북동 내지 북북동 방향의 단층운동이 일어나서 여러 곳에 지구대(地溝帶) 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영일 분지, 길주와 명천 간 지구대, 서울과 원산 간 지구대, 두만강 분지 등이 형성되었고, 여기에 제3기층이 퇴적되었다. 퇴적층이 형성될 때 곳곳에서 소규모의 얕은 호수 또는 담수분지에 규조가 침적되어 광상을 이루었다. 이들 퇴적분지 가운데에서 영일만에 있는 규조토가 규조토광상에 있어서 규모가 가장 크고, 경상북도 월성과 영일 등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그 밖에도 북한지역에서는 함경남도 안변군 문산면 행현리와 안변군 안변면 남산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남면 부평동과 경성군 주북면 회문광산, 길주군 웅평면 산본광산, 명천군 명천광산, 명천군 서면 백록광산,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 세포리 등의 산지가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서 규조토를 광상으로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1941년 '조선광업령(朝鮮鑛業令)'에 의하여 지정법정광물로 편입되면서부터이다. 이후 국내의 규조토광상이 각지에서 발견되었고, 특히 경상북도 월성군 양북면 이일리에서 산출된 규조토를 원료로 경주시 노동리에서 일본의 아사히 곤로(旭爐) 제조에 긴요히 사용되었다고 한다. 근래에 와서는 내화재용(耐火材用)으로 쓰이며, 강한 흡수성 때문에 대부분 공업용수, 수도, 의약품, 식품 등의 정제를 위한 여과재(濾過材)로 사용된다. 그 밖에 플라스틱과 제지의 충전재(充塡材), 다이너마이트의 흡착제, 지혈제(止血劑), 시멘트의 혼합재 등으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게르마늄은 원소기호 Ge, 원자번호 32, 원자량 72.59±3이다. 1871년 D. I. 멘델레예프에 의해 그 존재가 예언되어 에카규소로 불렸으나 86년에 독일의 화학자 C. A. 빙클러에 의해 황은게르마늄석(Ag GeS) 속에서 발견되어 독일의 라틴명인 「Germania」를 따서 명명되었다. 규소와 유사하므로 지각(地殼) 속의 규산염의 규소와 치환하여 널리 존재하며, 또 구리나 아연 등을 함유한 황화광물이나 석탄 속에 함유되지만 게르마늄을 주체로 하는 광물은 극히 적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백반석은 명반석이라고도 한다. 화학성분은 KAl3(SO4)2(OH)6이다. 육각 판상(板狀) 또는 인상(鱗狀)의 결정으로 나타나는데, 대개는 괴상 또는 입상(粒狀)이다. 굳기 3.5 내지 4, 비중 2.6 내지 2.9이다. 결정형의 것은 밑면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고, 쪼개짐면에 진주광택이 난다. 괴상의 것은 광택이 없다. 백색, 회색이며 때로는 홍색, 황색, 적갈색을 띠기도 한다. 조흔색(條痕色)은 백색이다. 염산에 녹지 않고, 수산화칼륨이나 더운 황산에 녹는다. 열수(熱水) 변질작용을 받은 화산암 지대에서 산출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옥이란, 치밀하고 경질(硬質)이며, 투명하여 아름답게 빛나고, 연마하여 광택이 나는 것을 말한다. 광물학적으로 연옥은 각섬석의 일종이며, 경옥은 알칼리휘석의 일종이다. 연옥은 유백색인 것이 많으며, 녹색 ·황색 ·홍색 등도 있고, 경옥은 녹색, 백색이다. 색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으나, 백옥과 비취(翡翠)가 대표적인 것이다. 고대로부터 동양에서 귀히 여겨 왔으며, 세공하여 장식석, 옥기(玉器)로서 사용되어 왔다. 연옥은 터키 등지에서는 결정편암이나 편마암 속에 맥상(脈狀)으로 산출되고, 중국 동북에서는 화강암의 접촉대(接觸帶)에서 산출된다. 경옥은 미얀마에서는 사문암 중에 맥상을 이루어 산출되고, 중국 윈난(雲南)이나 티베트고원에서도 산출된다. 좁은 뜻의 jade는 비취를 가리키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옥은 상술한 넓은 의미의 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칼슘 이온(Ca2+), 마그네슘 이온(Mg2+)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분말이 상기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되어 열처리 되는 경우 무기분말 자체의 세균(S.mutans 등)에 대한 항균 및 탈취력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무기분말 자체의 항균 및 탈취능력이 가장 높아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 분말은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을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šœ가이트(shungite)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50 내지 100 중량부, 미분말 게르마늄 10 내지 20 중량부, 미분말 황토 10 내지 20 중량부, 미분말 백반석 10 내지 20 중량부 및 미분말 옥(jade) 10 내지 20 주량부가 포함된 것이고,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기 무기분말을 이루는 분말의 상호 작용으로 단순조합 이상으로 항균 및 탈취 효과가 크게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골풀 추출물, 용담 추출물, 영아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골풀(Juncus effusus var. decipiens)은 등심초라고도 하며, 들의 물가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 짧은 마디가 많으며 여기서 원기둥 모양의 밋밋한 녹색 줄기가 나온다. 줄기는 속이 가득 차 있고 잎은 비늘 모양으로 밑동에서 나서 줄기를 감싼다. 꽃은 5∼7월에 줄기 윗부분에서 총상꽃차례로 옆으로 1개씩 달리며 녹갈색이다. 맨 밑에 있는 포는 원기둥 모양이고 곧게 서며 끝이 날카롭고 줄기에 이어서 길이 20cm 정도 자라므로 줄기 끝처럼 보인다. 수술은 3개로 화피조각보다 짧고 꽃밥은 꽃실과 길이가 같다. 열매는 삭과로 세모난 달걀 모양이며 9∼10월에 익는다. 빛깔은 갈색이며 끝이 뭉뚝하고 화피조각과 길이가 같다. 종자는 길이 0.5mm 정도로 매우 작다. 일본에서 많이 재배하는데 다다미 판 위를 덮는 자리 재료로 쓴다. 그 밖에 방석·돗자리 등의 재료로 쓴다. 생약 등심초는 줄기 속을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는 진통·이뇨·지혈 등에 처방한다.
상기 용담(Gentiana scabra Bunge)은 전국의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로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복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에 분포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겉에 가는 줄이 4개 있고, 보통 자줏빛을 띠며, 높이 20-100cm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이다. 잎 가장자리와 잎줄 위에 잔돌기가 있어 까칠까칠하다. 꽃은 8-10월에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1개 또는 몇 개가 달리며,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꽃자루는 없다. 꽃받침은 종 모양,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끝이 5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갈래 사이에 삼각형의 부화관 갈래가 있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삭과이며, 익으면 2갈래로 터진다. 관상용으로 심고 약용으로 쓰인다.
상기 영아자 추출물(Asyneuma japonicum BRIQ)은 굵은 뿌리를 가지고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곧게 서서 60cm 안팎의 높이로 자란다. 줄기의 끝 가까이에서 약간의 가지를 치며 온몸에 거친 털이 산재해 있다. 잎은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고 잎자루를 가진다. 잎의 생김새는 길쭉한 계란 꼴로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날카롭게 생긴 톱니를 가지고 있다. 가지 끝이 꽃대로 변하여 10여 송이의 꽃이 이삭처럼 생긴 꽃차례를 구성하여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피어오른다. 꽃은 다섯 갈래로 깊게 갈라져 있고 갈라진 조각은 비비꼬이면서 뒤로 감긴다. 꽃의 크기는 2.5cm 안팎이고 빛깔은 보라색이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상기 무기분말에 흡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골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담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 및 영아자 추출물 30 내지 5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단순 혼합에 비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기 무기분말을 담체로 무기분말의 기공에 상기 천연 추출물이 포함되어도 항균효과 내지 탈취효과를 잃지 않을 수 있어 오랜 기간 항균활성이 지속되도록 하고, 추가적인 오염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은 헬멧 사용으로 오염된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해당 분야에서 자주 일어나는 오염에 의한 냄새를 탈취하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상기 오염원의 제거를 통하여 보다 위생적인 사용환경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단부(120)를 따라,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 및 배출이 반복되어 사용되는 점에서 상기 오염원의 제거로 청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별도의 세척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원단부(120)에 형성되는 코팅층은 일지점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머리와 직접 맞닿는 내측면 및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분말 šœ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골풀 추출물, 용담 추출물, 영아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에 함침하여 상기 무기분말의 다공질 내부로 상기 천연 추출물이 함침되도록 하는 무기분말 함침단계; 상기 참침단계에 따라 천연 추출물이 함침된 무기분말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 따라 건조된 무기분말을 정제수에 혼합하는 단계; 알코올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조예: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의 제조]
1.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의 제조
미분말 šœ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의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함량을 달리하면서 하기의 [표 1]과 같이 무기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하고 1시간 동안 열처리 한 뒤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제올라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šœ가이트 100 30 30 30 10 20 40 60 80
맥반석 100 - 30 30 10 20 40 60 80
벤토나이트 100 - - 30 10 20 40 60 80
규조토 100 - - - 30 50 75 100 125
게르마늄 100 - - - - 5 10 20 30
황토 100 - - - - 5 10 20 30
백반석 100 - - - - 5 10 20 30
100 - - - - 5 10 20 30
(단위: 중량부)
2. 천연 추출물의 제조
골풀을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물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골풀 추출물(JE)을 제조하였다.
용담 및 영아자의 경우에도 상기 골풀 추출물(JE)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용담 추출물(GE) 및 영아자 추출물(AE)를 제조하였다.
이후, 하기 표 2와 같이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MX1 MX2 MX3 MX4 MX5 MX6
JE 100 100 100 100 100 100
GE 20 30 40 50 60
AE 20 30 40 50 6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효과 실험]
1. 항균 효과 실험
KS 0693 - 1990 시험법에 의거 사람의 피부와 비강표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균주로 하여 106 마리를 면, PET에 대해 접종하고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1 내지 T9)에 대한 직물의 항균도를 측정하였다.
항균 효과는 하기 표 3와 같이 나타내었다.
[평가표]
◎ : 미생물의 양 103이하
○ : 미생물의 양 104이하
△ : 미생물의 양 105이하
T1 T2 T3 T4 T5 T6 T7 T8 T9
항균력
상기 항균력 평가에 따르면, T7 및 T8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피부 자극 발생 실험
피부 자극에 예민한 10세 여성 30명을 선정하여, 6명씩 5개 그룹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1 내지 T9)을 물에 희석시켜 10일 동안 사용하게 한 이후, 피부 자극 발생 여부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전혀 자극이 없음
○: 거의 자극이 없음
△: 약간의 자극이 있어, 민감한 점막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Х: 자극이 심해, 사용이 불가함
T1 T2 T3 T4 T5 T6 T7 T8 T9
1
2
3 Х Х Х
4 Х
5 Х Х Х
상기 표 4에 의하면, T6 내지 T9의 경우에는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된 반면, T1 내지 T4의 경우에는 피부 자극이 발생하였다.
특히, T7 및 T8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3. 탈취 효과 실험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KS M 0062:2004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1 내지 T9)의 탈취 효과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5ℓ의 쳄버(chamber) 안에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1 내지 T9)의 광촉매코팅 시편과 일정량의 암모니아를 주입한 다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잔류 암모니아의 농도를 분석하여 탈취율을 산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조건은 하기와 같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탈취율 60 65 69 74 80 88 97 94 89
(단위: %)
측정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은 생활 악취의 주범인 암모니아를 초기농도에 대하여 60∼90%이상 제거하여 탈취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T7 및 T8에서 90%이상 제거하여 탁월한 탈취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기분말에 대한 효과 실험]
1. 항균 효과 실험
상기 T7에 상기 MX1 내지 MX6의 복합 추출물을 흡착시키고, 이를 정제수에 분산하여 각 혼합물의 항균 효과를 실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항균 효과 실험와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7)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로 비교하여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T7과 비교한 항균 효과를 위해 T7를 지수 5로 놓고, MX1 내지 MX6의 항균 효과를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하였다. 지수가 클수록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T7 MX1 MX2 MX3 MX4 MX5 MX6
항균력 5 5 6 7 8 10 7
(단위: 지수)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7)에 대한 항균력 비교에 따르면, MX4 및 MX5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각 성분간의 복합 작용에 의해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2. 피부 자극 발생 실험
상기 T7에 상기 MX1 내지 MX6의 복합 추출물을 흡착시키고, 이를 정제수에 분산하여 각 혼합물의 피부 자극 발생 정도를 실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피부 자극 발생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7)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로 비교하여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T7과 비교한 피부 자극 발생을 위해 T7를 지수 5로 놓고, MX1 내지 MX6의 피부 자극 발생 정도를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하였다. 지수가 클수록 피부 자극 발생이 적음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T7 MX1 MX2 MX3 MX4 MX5 MX6
피부 자극 발생 정도 5 5 6 6 7 8 6
(단위: 지수)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7)에 대한 피부 자극 발생 비교에 따르면, MX4 및 MX5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각 성분간의 복합 작용에 의해 피부 발생 정도가 적음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3. 탈취 효과 실험
상기 T7에 상기 MX1 내지 MX6의 복합 추출물을 흡착시키고, 이를 정제수에 분산하여 각 혼합물의 탈취 효과를 실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탈취 효과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7)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로 비교하여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상기 T7과 비교한 피부 자극 발생을 위해 T7를 지수 5로 놓고, MX1 내지 MX6의 탈취 효과를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하였다. 지수가 클수록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T7 MX1 MX2 MX3 MX4 MX5 MX6
탈취율 5 5 6 7 8 9 7
(단위: 지수)
측정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T7)에 대한 탈취 효과 비교에 따르면, MX4 및 MX5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각 성분간의 복합 작용에 의해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헬멧부, 110 : 링부,
111 : 수용 홈, 1111 : 홀,
120 : 원단부, 130 : 패킹부,
131 : 돌출 끼움부, 140 : 필름부,
200 : 인플레이터부, 300 : 실린더부,
400 : 통로부, 500 : 조임부.

Claims (7)

  1. 사람의 머리에 씌워지는 헬멧부;
    상기 헬멧부의 일지점에 결합되는 인플레이터부;
    상기 인플레이터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실린더부;
    상기 인플레이터부와 상기 헬멧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통로부; 및
    상기 헬멧부에 결합되되, 사람의 턱 부근에 위치되는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헬멧부는,
    중공부를 지니는 링부;
    상기 링부와 결합되되, 상기 링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원단부; 및
    상기 링부와 결합되는 패킹부;를 구비하되,
    상기 패킹부는 상기 링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공기가 저장되되, 상기 인플레이터부에 결합된 줄을 당길 경우, 상기 실린더부에 저장된 공기가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여 상기 헬멧부로 이동하여 상기 헬멧부가 부풀어 오르고,
    상기 링부는,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두께만이 절삭되는 수용 홈;이 구비되되,
    상기 수용 홈에 상기 패킹부가 끼워지고,
    상기 수용 홈을 따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홀;이 복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패킹부가 상기 수용 홈으로부터 탈거되었을 경우, 복수 개의 상기 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조임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인플레이터부와 상기 통로부는 나사산 결합이고,
    상기 헬멧부에는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로 코팅되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패킹부의 양 측면을 따라 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 끼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 끼움부는 상기 홀에 결합되고,
    상기 원단부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팅층은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코팅 조성물은 무기분말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분말은 미분말 šœ가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및 미분말 옥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이고,
    상기 천연추출물은 골풀 추출물, 용담 추출물 및 영아자 추출물인
    휴대용 헬멧.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14178A 2020-02-06 2020-02-06 휴대용 헬멧 KR10234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78A KR102341924B1 (ko) 2020-02-06 2020-02-06 휴대용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78A KR102341924B1 (ko) 2020-02-06 2020-02-06 휴대용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33A KR20210100333A (ko) 2021-08-17
KR102341924B1 true KR102341924B1 (ko) 2021-12-21

Family

ID=7746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178A KR102341924B1 (ko) 2020-02-06 2020-02-06 휴대용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9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6706A1 (en) * 1995-08-11 1997-02-27 Sea Raise Corporation Co., Ltd. Protective cap
JP2009297375A (ja) * 2008-06-17 2009-12-24 Tadayoshi Sakurai 防災フー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22U (ja) * 1991-07-22 1993-02-09 クラレケミカル株式会社 脱臭剤付ヘルメツト
JPH0545017U (ja) * 1991-11-13 1993-06-18 康雄 三次 風船形傘ハツト
GB2333024B (en) * 1998-06-15 2002-06-26 Man Kwan Wong Inflatable swimming lifecap
KR101878653B1 (ko) 2016-09-08 2018-07-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호 헬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6706A1 (en) * 1995-08-11 1997-02-27 Sea Raise Corporation Co., Ltd. Protective cap
JP2009297375A (ja) * 2008-06-17 2009-12-24 Tadayoshi Sakurai 防災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333A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07009A (ja) 多目的遠赤外放射材料の組成
KR101991826B1 (ko) 세정 및 향균용 섬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08976872A (zh) 一种释放负离子远红外除醛抗菌的贝壳粉水性涂料的制备方法
KR102084759B1 (ko) 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887B1 (ko) 새우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197075B1 (ko) 재사용 및 탈부착이 용이한 아이스팩
KR102341924B1 (ko) 휴대용 헬멧
KR101978348B1 (ko) 세정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8063A (ko) 스마트 안전모
KR101932973B1 (ko) 치수질환 또는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79279B1 (ko)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0981A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KR101933075B1 (ko)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 첨가제
KR102315338B1 (ko) 미세먼지 및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KR101313845B1 (ko) 기능성 황토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2247194B1 (ko) 스마트 안전모
KR101933072B1 (ko) 어류용 사료 조성물
KR102001851B1 (ko) 의치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치세정제
KR20220026022A (ko) 환자용 베드
KR102391666B1 (ko) 휴대용 발열 팩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발열 상자
CN108049032A (zh) 一种具有强负离子释放功能的无纺布的制备方法
KR20220070782A (ko) 음성지원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배변 처리 패드
KR20220026024A (ko) 경피적산소포화도를 이용한 과운동 방지용 스마트 워킹장치
KR20210106744A (ko)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
CN111235880A (zh) 具有抑菌功能的防护帽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