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072B1 - 어류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류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072B1
KR101933072B1 KR1020180079272A KR20180079272A KR101933072B1 KR 101933072 B1 KR101933072 B1 KR 101933072B1 KR 1020180079272 A KR1020180079272 A KR 1020180079272A KR 20180079272 A KR20180079272 A KR 20180079272A KR 101933072 B1 KR101933072 B1 KR 101933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ish
extract
f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충무
윤현서
한창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02A40/818Alternative feeds for fish, e.g. in aquacul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미분말 수운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실뱀장어 즉, 민물장어의 자어에 대한 생존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인공부화로 생산된 실뱀장어의 생존률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류용 사료 조성물{FEED COMPOSITION FISHES}
본 발명은 어류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민물장어를 포함하는 어류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생장성 및 생존률을 향상시킴으로서 수산양식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담수와 해수의 사이에서 회유하는 생태학적 특성을 갖는 민물뱀장어는 양식에 의해 생산량이 비교적 많은 어종이기는 하지만, 현재에도 그 양식을 위한 종묘는 특정의 심해에서 난생부화하여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 등의 담수역으로 소상하기 위해 회유하는 실뱀장어를 포획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민물뱀장어의 양식산업은 실뱀장어(민물장어의 자어)의 어획량에 따라 전체적인 비용의 변동이 심해질 수 밖에 없고, 근래에는 환경의 오염이나 훼손 등에 기인하여 천연 자원의 고갈이 염려되는 상황이다.
즉 뱀장어 양식업은 다른 양식어종과 달리 대부분 자연산 실뱀장어 자원에 의존하기 때문에 자연산 극동산 뱀장어 실뱀장어의 채포량에 의존하므로 채포량 급변에 의한 수급 관리가 어렵고, 채포량 급변에 의한 가격 변동폭 상승은 뱀장어 양식 전반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북아시아 몇몇 국가에서 1960년대부터 실뱀장어 인공종묘 생산기술 확립에 의한 안정적 생산량 확보와 저렴한 가격의 인공 실뱀장어 생산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뱀장어가 고갈 상태이고, 연간 25만 톤(t) 가량을 소비하는 세계 최대 뱀장어 소비국인 일본과 한국(약 1만5천톤)은 물론 중국과 대만에서도 최근 소비가 크게 증가하면서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동아시아 4개국의 소비를 위해 필요한 연간 실뱀장어 양식 수요는 270톤 가량으로, 무게가 0.2g밖에 안 되는 실뱀장어 한 마리가 최근 6 내지 8천 원까지 급등한 것을 고려하면 10조원에 육박하는 큰 시장이지만 정작 극동산 실뱀장어의 생산은 최근 100톤에도 못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과 4 내지 5년 전만 해도 10톤 넘게 잡히기도 했으나 지난해에는 겨우 2.5톤이 잡혀 실뱀장어 자어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동아시아 4개국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필요한 실뱀장어 종묘량이 약 250톤(약 13억마리) 정도로 가정하면 약 9조원의 천문학적인 시장규모를 유지, 각국 간에 인공종묘생산 등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극동산 뱀장어의 인공종묘생산을 통한 수급이 가장 타당성이 있는 종묘 수급방법이다.
실뱀장어 생산을 위한 연구는 1960년대 일본에서부터 시작되어 성성숙 관련 호르몬 처리에 의해 수정란을 생산하는데 성공하여 부화 후 약 2주간 약 7mm의 부화자어(프레렙토세팔루스)까지 사육하는데 이후 부화자어 생산에는 성공하였으나 먹이생물 혹은 사료 개발의 어려움에 직면하여 1990년대까지 뚜렷한 연구성과를 얻지 못했다. 또한 해산 종묘생산의 먹이생물로써 이용되는 로티퍼 Brachionus plicatilis sp.을 먹이생물로써 섭취하였다고 보고되었으나 성장 및 생존기간 연장에는 실패하였다. 한편 국내에서는 인위적 성숙 유도법에 의해 난 발생 및 프레렙토세팔루스까지의 생산에는 성공하였으나 초기 사료 혹은 먹이생물의 개발 부재로 렙토세팔루스 생산에 실패하였다.
그 때문에, 민물장어의 친어로부터 인공적으로 채란 및 부화시켜 유생기(렙토세팔루스)를 거쳐 자어로 변태시키고 그 자어를 성어로 성장시키기 위한 완전한 양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는 상황으로, 천연에서 채취한 자어로부터 친어의 육성, 인공산란, 인공부화까지는 성공한 상태이지만 인공부화 후의 자어가 자어기(稚魚期)로 되기까지의 사이에 상당 수가 사멸되어버리기 때문에 민물뱀장어 양식사업에 커다란 장애로 되고 있다.
또한, 자연에서의 렙토세팔루스는 해양수층에 존재하는 동물플랑크톤 혹은 식물플랑크톤 등의 사채가 부패하여 만들어지는 유기물 덩어리인 마린스노우를 먹고 성장한다고 보고하였으나 인공적인 환경에서 자연과 같은 먹이를 이용한 인공종묘 생산기술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인공적인 산란 및 부화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자어 또는 천연에서 포획된 자어에 대해서는 양식 중에 유발가능한 질병에 대해서도 보다 개선된 면역력을 갖도록 하면서도 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양호한 품질의 친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우리나라 국립수산과학원에서도 곱상어(Squalus acanthias) 알의 난황 성분을 기본으로 하는 슬러지 형태(slurry type)의 사료를 개발하여 극동산 민물장어 완전양식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실뱀장어의 대량생산 기술은 확립되지 않아 인공종묘생산에 의한 뱀장어양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대량생산 기술이 확립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요인은 아직까지 민물장어의 자어에 대한 완벽한 먹이가 개발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개발하여 사용되고 있는 먹이로는 부화 후 30일째 자어의 생존율은 약 2% 전후에 불과하다. 따라서 인공수정에 의한 민물장어의 완전양식을 대량생산화 함으로서 경제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향후 20% 정도까지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먹이를 개발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이다.
KR 10-2014-0140458 A KR 10-2014-0140450 A
본 발명의 목적은 뱀장어를 포함하는 어류에 대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어류의 생존률과 생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산양식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어류에 대한 사료조성물은 뱀장어 및 실뱀장어 대한 생존률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사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인공부화 된 실뱀장어의 생존률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 민물장어에 대한 완전 양식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분야에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류용 사료 조성물은 미분말 수운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5 내지 30μ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지렁이, 개구리, 새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백질 원료 및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수크로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수화물 원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은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은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용 사료 조성물은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정제수에 혼합 및 분산시키는 수분산 무기물을 제조하는 분산 혼합단계;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2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열처리를 가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이온처리 단계 이후에 상기 무기분말 분산액에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혼합시키는 제1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어류용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어류는 민물장어를 포함하며, 어류종의 성어 및 치아(또는 자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어류는 민물장어로서, 본 발명의 어류용 사료 조성물은 민물장어용 사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더 바람직한 범위로 본 발명을 개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미분말 수운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5 내지 30μ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지렁이, 개구리, 새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백질 원료 및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수크로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수화물 원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민물장어 자어는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정제수에 혼합 및 분산시키는 수분산 무기물을 제조하는 분산 혼합단계;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2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열처리를 가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이온처리 단계 이후에 상기 무기분말 분산액에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혼합시키는 제1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미분말 수운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미분말은 볼밀, 제트밀, 기타 분쇄장치 등으로 파쇄하거나 합성과정에서 미분말의 성상을 가지도록 제조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미분말은 평균입경이 100μm 이하인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운가이트란, 러시아 Karelia Ladoga호 북부의 Suojδrvi 부근 Shunga에서 원생대 야툴리아 시대(Jatulian)의 작은 흑연 미세 결정이 풍부한 변성도가 낮은 혈암 중에 층(두께 2m에도 달한다)이나 렌즈 모양체로 산출된다. 이는 피치와 같은 흑색, 치밀, 불투명, 금속 광택. 무르다. 경도 2.5. d 1.75~1.80, 불대에서 용융되지 않고 진한 질산에서 석묵산을 만든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일라이트란, 화학조성은 (K,H3O)Al2(Si,Al)4O10(H2O,OH)2이다. 화학성분으로 보아, 백운모에 가까운 것도 있으나 비교적 SiO2, MgO, H2O가 많고, K2O는 적다. 수백운모(水白雲母) 등과 같은 계열의 광물이다. 굳기 1 내지 2, 비중 2.6 내지 2.9이다. 쪼개짐은 [001]로 완전하며, 조흔색은 백색이며, 토상(土狀)광택이 있다. 화학성분이나 결정구조로 보아 독립된 광물이 아니고,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혼합광물이라는 견해가 있다.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泥質) 또는 응회암질(凝灰岩質)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熱水性)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올라이트는 비석(沸石)이라고도 한다. 종류는 많으나 함수량(含水量)이 많은 점, 결정의 성질, 산상(産狀) 등에 공통성이 있다. 굳기는 6을 넘지 않으며, 비중은 약 2.2이다.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 반투명하다. 취관으로 가열하면 끓어서 팽대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대개의 종류는 염산에 녹아 흔히 아교 모양이 되지만, 소수의 종류는 염산에 녹지 않는다. 주요한 종류로서 방비석, 어안석, 캐버자이트, 소다비석·휼란다이트, 스틸바이트, 로몬타이트, 이네사이트 등이 있다.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때로는 화강암, 편마암 중에 2차광물로서 존재한다. 또한 금광맥 그 밖의 광맥 중에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分子篩)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맥반석은 중국의 한방의학에서 사용한 용어로 알려지고 있으며 지질학적으로 분류하자면 화강암류에 속한다. 석영반암, 장석반암, 화강반암과 같은 것으로서, 암석명으로 석영-몬조나이트와 일치한다. 석영과 장석이 촘촘하게 섞여 있다. 누런 백색, 연한 누런 갈색, 옅은 회색, 짙은 녹색 또는 옅은 녹색 암석에 빨간 점 또는 하얀 점이 고르게 섞여 있는 모습이 보리밥으로 만든 주먹밥과 같다고 하여 맥반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성분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고, 산화제2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약석으로 알려진 것은 누런 백색을 띤 맥반석으로 예전에는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나는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그 성질은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한다. 1cm3당 3 내지 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찜질방, 식기, 의료기 등 여러 산업 부분에서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벤조나이트는 석영, 장석(長石),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한 것이 많다.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 등을 나타낸다. 진주광택, 납상광택을 가지며 지방감이 있는 치밀한 괴상으로 산출되는데, 물을 흡착하여 팽윤하고, 양이온 교환성이 뚜렷한 것 등 몬모릴로나이트의 성질과 흡사하다. 응회암과 유리질 유문암(流紋岩)이 변질된 것이다. 용도는 매우 넓어 석유정굴진용 이수(石油井掘進用泥水)의 주성분, 주물형(鑄物型)의 결합제, 요업원료의 혼입제, 연고의 기초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명칭은 발견지인 미국 와이오밍주(州)의 지층에서 유래되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규조토는 주로 규산(SiO2)으로 되어 있으며, 백색 또는 회백색을 띤다. 가벼우며 손가락으로 만지면 분말이 묻을 정도로 연하다. 미세한 다공질(多孔質)이기 때문에 흡수성이 강하고, 열의 불량도체이다. 우리 나라에서의 규조토는 제3기 또는 제4기 지층내에서 토상(土狀)으로 산출된다. 우리 나라 고제3기(古第三期)에는 북동 내지 북북동 방향의 단층운동이 일어나서 여러 곳에 지구대(地溝帶) 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영일 분지, 길주와 명천 간 지구대, 서울과 원산 간 지구대, 두만강 분지 등이 형성되었고, 여기에 제3기층이 퇴적되었다. 퇴적층이 형성될 때 곳곳에서 소규모의 얕은 호수 또는 담수분지에 규조가 침적되어 광상을 이루었다. 이들 퇴적분지 가운데에서 영일만에 있는 규조토가 규조토광상에 있어서 규모가 가장 크고, 경상북도 월성과 영일 등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그 밖에도 북한지역에서는 함경남도 안변군 문산면 행현리와 안변군 안변면 남산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남면 부평동과 경성군 주북면 회문광산, 길주군 웅평면 산본광산, 명천군 명천광산, 명천군 서면 백록광산,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 세포리 등의 산지가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서 규조토를 광상으로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1941년 '조선광업령(朝鮮鑛業令)'에 의하여 지정법정광물로 편입되면서부터이다. 이후 국내의 규조토광상이 각지에서 발견되었고, 특히 경상북도 월성군 양북면 이일리에서 산출된 규조토를 원료로 경주시 노동리에서 일본의 아사히 곤로(旭爐) 제조에 긴요히 사용되었다고 한다. 근래에 와서는 내화재용(耐火材用)으로 쓰이며, 강한 흡수성 때문에 대부분 공업용수, 수도, 의약품, 식품 등의 정제를 위한 여과재(濾過材)로 사용된다. 그 밖에 플라스틱과 제지의 충전재(充塡材), 다이너마이트의 흡착제, 지혈제(止血劑), 시멘트의 혼합재 등으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게르마늄은 원소기호 Ge, 원자번호 32, 원자량 72.59±3이다. 1871년 D. I. 멘델레예프에 의해 그 존재가 예언되어 에카규소로 불렸으나 86년에 독일의 화학자 C. A. 빙클러에 의해 황은게르마늄석(Ag GeS) 속에서 발견되어 독일의 라틴명인 「Germania」를 따서 명명되었다. 규소와 유사하므로 지각(地殼) 속의 규산염의 규소와 치환하여 널리 존재하며, 또 구리나 아연 등을 함유한 황화광물이나 석탄 속에 함유되지만 게르마늄을 주체로 하는 광물은 극히 적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맥반석은 명반석이라고도 한다. 화학성분은 KAl3(SO4)2(OH)6이다. 육각 판상(板狀) 또는 인상(鱗狀)의 결정으로 나타나는데, 대개는 괴상 또는 입상(粒狀)이다. 굳기 3.5 내지 4, 비중 2.6 내지 2.9이다. 결정형의 것은 밑면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고, 쪼개짐면에 진주광택이 난다. 괴상의 것은 광택이 없다. 백색, 회색이며 때로는 홍색, 황색, 적갈색을 띠기도 한다. 조흔색(條痕色)은 백색이다. 염산에 녹지 않고, 수산화칼륨이나 더운 황산에 녹는다. 열수(熱水) 변질작용을 받은 화산암 지대에서 산출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옥이란, 치밀하고 경질(硬質)이며, 투명하여 아름답게 빛나고, 연마하여 광택이 나는 것을 말한다. 광물학적으로 연옥은 각섬석의 일종이며, 경옥은 알칼리휘석의 일종이다. 연옥은 유백색인 것이 많으며, 녹색 ·황색 ·홍색 등도 있고, 경옥은 녹색, 백색이다. 색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으나, 백옥과 비취(翡翠)가 대표적인 것이다. 고대로부터 동양에서 귀히 여겨 왔으며, 세공하여 장식석, 옥기(玉器)로서 사용되어 왔다. 연옥은 터키 등지에서는 결정편암이나 편마암 속에 맥상(脈狀)으로 산출되고, 중국 동북에서는 화강암의 접촉대(接觸帶)에서 산출된다. 경옥은 미얀마에서는 사문암 중에 맥상을 이루어 산출되고, 중국 윈난(雲南)이나 티베트고원에서도 산출된다. 좁은 뜻의 jade는 비취를 가리키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옥은 상술한 넓은 의미의 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5 내지 30μm인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기분말은 다양한 제품에서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즉, 연마재의 역할을 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분말에 비하여 평균 입경의 크기를 크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 분말은 수질을 조절하고, 민물장어가 섭취하여 민물장어의 자어 즉, 실뱀장어의 생육활성을 높임으로서 그 생존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민물장어의 자어는 알에서 갖 부화한 단계를 말하며, 실뱀장어라도고 부른다. 현재 거의 대부분의 민물장어 양식은 실뱀장어를 수집하여 약 1년 이상 양식하여 성어로 성숙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나, 현재 90년대를 기점으로, 매년 실뱀장어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유럽 등 일부 국가에서는 실뱀장어의 어획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어획이 허용되는 국가에서도 어획량이 매우 급격히 감소하여 kg 당 황금 보다 비싼 시세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민물장어를 완전양식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과 한국은 민물장어의 인공수정에 성공한바 있는데, 3 내지 4년생의 암컷이 될 민물장어 개체를 따로 선별하여 양식하고, 상기 민물장어에 배란유도제를 주입하여 배란시킨 뒤 인공수정을 하는 방식으로 민물장어의 인공수정에 성공한 바 있다.
그러나 자연수정된 민물장어의 자어와 달리 인공수정에 의해 생산된 민물장어 자어는 그 생존률이 극히 낮은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공수정에 의해 생산된 실뱀장어는 20 내지 45일 내 거의 대부분이 폐사하며, 2% 이상의 생존률을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자연산 실뱀장어와 달리 인공수정 및 부화된 실뱀장어의 생존률이 극히 낮은 원인에 대한 여러 가설이 제기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수질 조건 및 인공수정된 민물장어의 면역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무기분말 및 천연추출물을 활용하여 일정한 세정효과 및 빛의 산란, ph 조절 기타 수질의 물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인공수정된 민물장어 자어의 체내에 흡수되어 면역활성 및 환경저항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일정 조건 하에서는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실뱀장어의 생존률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5μm 미만인 경우 무기분말이 다시 불규칙하게 뭉쳐지기 때문에 분산력이 저하되고, 각 무기입장의 상호작용에 의한 세정효과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무기분말의 평균입경이 30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수조 안에서 무기 분말이 가라 앉아 세정 효과 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민물장어의 자어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 분말은 평균 입경이 0.01 내지 5μ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분산성이 우수하고, 유효성분의 담체로서 효과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무기분말이 가진 세정효과, 빛의 산란 및 pH 범위 등 상기 민물장어의 자어가 생존하기 유리한 수질 물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사료에 포함되어 민물장어 자어의 체내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생존률을 높이는 활성을 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지렁이, 개구리, 새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백질 원료 및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수크로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수화물 원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원료 및 탄수화물 원료는 민물장어 자어에 제공하기 위한 필수영양 성분이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민물장어 자어의 생장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비타민 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칼슘 이온(Ca2+), 마그네슘 이온(Mg2+)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분말이 상기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되어 열처리 되는 경우 무기분말의 자체의 세정력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민물장어 자어에 상기 무기분말이 흡수되면서 상기 이온 및 기타 작용으로 민물장어 자어에 생존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민물장어의 자어, 특히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의 자어에 대한 생존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 분말은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을 포함하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수운가이트(shungite)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50 내지 100 중량부, 미분말 게르마늄 1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이고,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기 무기분말을 이루는 분말의 상호 작용으로 단순조합 이상으로 세정효과 등 민물장어 자어가 생존하기 적합한 수질의 물성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함께 민물장어에 미네랄 공급 및 향균활성으로 자어 체내에서 직접 작용하여 그 생존률을 크게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은 살구나무 추추출물 포함하고 상기 살구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나무 30 내지 80 중량부, 목화나무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민들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단순 혼합에 비해 높은 향균활성을 나타내며, 민물장어 자어에 대한 면역력을 높여 민물장어 자어에 대한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은 상기 무기분말에 흡착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무기 분말에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을 함침시키는 경우 제1 식물 추출물 사용에 따른 향균성 및 민물장어 자어의 면역력 증가 효과에 대한 지속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은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마름(Trapa japonica)은 연못이나 소택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진흙 속에 박고 줄기가 길게 자라서 물 위에 뜬다. 잎은 뭉쳐난 것처럼 보이며 잎자루에 굵은 부분이 있는데 이는 공기 주머니로서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해준다. 잎몸은 마름모꼴 비슷한 삼각형이며 잔 톱니가 있다. 물 속 원줄기의 마디에서 깃 같은 뿌리가 내린다. 7 또는 8월에 흰빛 또는 다소 붉은빛이 도는 꽃이 잎 겨드랑이에 피는데 지름 1cm 정도로서 꽃잎은 4개이다. 화편은 짧고 위를 향하지만 열매가 커짐에 따라서 밑으로 굽으며 길이 2 내지 4cm이다. 꽃받침잎은 털이 있고,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딱딱하고 역삼각형이며 양 끝에 꽃받침조각이 변한 가시가 있고 중앙부가 두드러진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강활은 강호리라고도 한다. 산골짜기 계곡에서 자란다. 높이는 약 2m로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를 가지며 3장의 작은잎이 2회 깃꼴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게 패인 톱니가 있다. 작은 잎자루는 올라가면서 짧아지고 잎자루 밑부분이 넓어져 잎집이 된다. 8 또는 9월에 흰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겹산형꽃차례로 피는데, 10 내지 30개의 작은꽃대로 갈라져서 많은 꽃이 달린다. 총포는 1 또는 2개로 바소꼴이고 작은총포는 6개이다. 열매는 분과로 10월에 익으며 타원형이고 날개가 있다. 향이 나며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은 세정효과를 추가적으로 향상시키고 사료 사용에 따른 2차 오염을 예방하고 민물장어 자어의 체내에 작용하여 환경저항성을 높임으로서 그 생존률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식물 추출물은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마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활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민물장어의 생존률이 가장 높아지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에서 상기 민물장어 자어는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의 자어는 그 생존률이 극히 낮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자연산 민물장어 자어에 사용되는 사료 또는 사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 자어의 생존률을 높이는데 활용할 수 없다.
즉, 자연산 민물장어 자어의 경우 필수 영양분의 공급 및 환경조건에 따라 생육이 원활하지만, 이를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에 그대로 반영하는 경우 거의 전부가 폐사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자연산 민물장어 자어에 사용되는 사료조성물은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에 대한 생존률을 높이는데 사용될 수 없으며, 생존률에 미치는 환경 및 생체조건의 원리도 근본적으로 다르다.
본 발명은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와 관련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사료 조성물의 각 구성은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장어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하여 그에 대한 환경조건 및 생체특성을 감안하여 가설에 따른 반복적 실험으로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정제수에 혼합 및 분산시키는 수분산 무기물을 제조하는 분산 혼합단계;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2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열처리를 가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칼슘 이온(Ca2+), 마그네슘 이온(Mg2+)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고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이온화 단계는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인공수정에 의해 생산된 민물장어 자어에 대한 생존률을 크게 높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론튬 이온(Sr2+), 칼슘 이온(Ca2+), 마그네슘 이온(Mg2+)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의 제조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이온처리 단계 이후에 상기 무기분말 분산액에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혼합시키는 제1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에 함침하여 상기 무기분말의 다공질 내부로 상기 제1 식물추출물이 함침되도록 하는 무기분말 함침단계; 상기 참침단계에 따라 제1 식물추출물이 함침된 무기분말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 따라 건조된 무기분말을 정제수에 혼합하고, 분산시키는 분산 혼합단계 및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무기분말 및 정제수 혼합물에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민물장어 생존률을 높이는 수질환경 및 체내 면역 증강 활성 등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용 사료조성물은 뱀장어를 포함하는 어류에 대한 사료로 사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어류용 사료조성물은 뱀장어 기타 일반적인 어류 의 생존률과 생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산양식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류에 대한 사료조성물은 뱀장어 및 실뱀장어 대한 생존률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사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공부화 된 실뱀장어의 생존률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민물장어 자어용 사료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 민물장어에 대한 완전 양식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분야에서 활용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어류용 사료 조성물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민물장어의 자어에 관한 참고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무기 분말 입경의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이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이 동일한 질량으로 혼합하여 (a) 정제수와 (b) 무기분말의 평균입경으로 조정하여 인공수정된 민물장어 자어가 양식되는 수조에서 채취된 물에 30분간 분산시키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1분 이상 강하게 분산시킨 뒤 분산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평균입경(μm)
S1 0.005
S2 0.01
S3 1.23
S4 5.03
S5 9.41
S6 30.1
S7 51.7
2. 무기 분말의 수 분산성 평가
하기의 [표 1]에 따라 제조된 무기분말의 수분산성을 평가하여 분산성이 지속되는 정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로서, 일반 정제수 분산성 및 지속성을 [표 2], 양식장의 수조에서 채취된 물에 대한 분산성 및 지속성을 [표 3]에 나타내었다. 분산성을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분산성 및 분산 지속성이 우수한 것이다.
실시예 분산성 및 분산지속성
S1 2
S2 3
S3 7
S4 8
S5 8
S6 3
S7 1
실시예 분산성 및 분산지속성
S1 3
S2 8
S3 9
S4 8
S5 4
S6 1
S7 1
상기 [표 2] 및 [표 3]를 참조하면, 민물장어 자어가 양식되는 환경에서는 분산성이 정제수에서 실험한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민물장어 자어가 양식되는 환경에서는 S2 내지 S4에 의하는 경우 분산성 및 그 지속정도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민물장어 자어의 사료에 포함되는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을 0.01 내지 5 ㎛로 유지하는 경우 수분산 제제로서 우수한 분산 및 지속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입경에 의하는 경우 쉽게 혼합될 수 있고, 상당 시간동안 고른 분산과 분산유지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무기분말 사용에 따른 세정효과 및 빛 산란효과를 지속하는데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3.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의 제조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의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함량을 달리하면서 하기의 [표 4]와 같이 무기분말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는 평균입경이 1 내지 5μm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하고 1시간 동안 열처리 한뒤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한편, T1과 대응되도록 무기분말에 이온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을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하여 TX를 제조하였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제올라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수운가이트 100 30 30 30 10 20 40 60 80
맥반석 100 - 30 30 10 20 40 60 80
벤토나이트 100 - - 30 10 20 40 60 80
규조토 100 - - - 30 50 75 100 125
게르마늄 100 - - - 5 10 20 30 40
(단위: 중량부)
4. 세균 억제활성 시험
상기 제조예에 대한 세균 억제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분을 첨가한 배지를 제조한 뒤 각각 T1 내지 T9를 첨가한 후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을 접종한 뒤 23 내지 27℃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배양한 후, 상기 Vibrio fluvialis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억제효과를 T1 내지 T9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로 나타내었으며, 그 수치가 낮을수록 세균 억제활성에 대한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세정력 테스트 및 관응 테스트의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TX
세균억제 89 108 107 91 76 47 52 51 83 142
(단위: 지수, %)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T6 내지 T8에 의하는 경우 해당 범위에서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한편, T5 내지 T9에서 Vibrio fluvialis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TX의 경우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기분발의 배합 및 이온처리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한 세균 증식 억제활성이 증대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뱀장어는 질병에 대하여 비교적 강한 저항성을 가지지만 모든 어류에서와 마찬가지로 알에서 부화되고 렙토세팔루스 유생기를 거쳐 변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선천적 면역능력이 형성된다. 그러나 자연산 실뱀장어를 종묘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자연산 실뱀장어는 이미 이 과정을 지난 개체이기 때문에 이전의 단계에 있어서의 인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다. 나아가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실뱀장어의 경우 자연산 실뱀장어에 비하여 환경저항성 및 면역활성이 낮아아 생존률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조예에 따른 무기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5. 제1 식물추출물이 흡착된 무기분말 분산액
하기의 [표 6]과 같이 구성된 식물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예 T7에 따라 제조된 무기분말을 상기 식물추출물과 혼합하여 상기 무기분말에 상기 식물추출물이 흡착되도록 하였다.
한편, 하기의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나무 추출물 및 민들레 추출물은 각 살구나무, 자두나, 목화나무 및 민들레를 열수에 혼합 추출하고 여과하여 각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C1 C2 C3 C4 C5 C6 C7 C8 C9
살구나무 추출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자두나무 추출물 - 30 - - 20 30 50 80 100
목화나무 추출물 - - 30 - 20 30 50 80 100
민들레 추출물 - - - 30 0.5 1 3 5 7
(단위: 중량부)
6. 제1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무기분말에 대한 세균억제 활성 실험
상기 T7에 상기 C1 내지 C9의 식물추출물을 흡착시키고, 이를 정제수에 분산하여 각 혼합물을 각 배지에 주입하고, 상술한 세균 억제활성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Vibrio fluvialis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C1 C2 C3 C4 C5 C6 C7 C8 C9
세균억제 67 62 52 56 58 41 48 51 66
(단위: 지수, %)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C6 내지 C8에 의하는 경우 함침된 식물추출물에 따라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온 용액에 처리된 무기분발의 세균 증식 억제 활성에 대한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C6 내지 C8에서 각 식물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7. 제2 식물추출물의 제조
상기 무기분말 T7에 식물추출물 C7을 흡착시킨 뒤 물에 분산시키고 이를 하기의 [표 8]과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제2 식물추출물을 혼합하였다. 하기의 마름 추출물 및 강활 추출물은 제1 식물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열수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D1 D2 D3 D4 D5 D6
마름 추출물 100 100 100 100 100 -
강활 추출물 - 10 20 60 100 100
(단위: 중량부)
8. 제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기분말에 대한 세균증식 억제 활성 실험
C7이 흡착된 T7에 상기 D1 내지 D6로 이루어진 식물추출물 혼합하고, 상술한 세균 억제활성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Vibrio fluvialis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9]에 나타내었다.
D1 D2 D3 D4 D5 D6
향균력 45 39 32 21 38 44
(단위: 지수, %)
상기 [표 9]를 참조하면, 제2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대체로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D3 및 D4에 의하는 경우 세균 증식의 억제 활성이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D3 및 D4의 조합범위에서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세균의 증식을 억제는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료에 포함시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실뱀장어가 양식되는 환경에서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9.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 자어에 대한 생존률 평가실험
본 발명에 따른 사료조성물이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의 자어의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0]과 같이 T1, T4, T7, T9, C4, C6, C9, D2, D4, D5를 곱상어 알의 난황 성분을 기본으로 하는 슬러지 형태(slurry type)의 사료로서, 기타 단백질, 탄수화물 및 비타민 성분이 포함된 민물장어 사료에 혼합하여 FM1 내지 FM10을 제조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민물장어 자어 양식에 사용되는 일반사료를 제공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를 각각 양식하면서 상기 제조예에 따른 사료를 제공하였다. 25L의 U-type아크릴 수조를 사용하였으며, 수조의 교환은 1회/일로 하였다. 수온은 23℃, 사육수의 교환은 유속 1L/min로 지속적으로 유지하였으며, 초기 자어의 사육 밀도는 수조 당 300마리로 하였다. 먹이는 아침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매 2시간 간격으로 하루에 5회 공급하였으며, 매회 먹이를 공급한 후 수조를 청소를 하였다. 청소할 때마다 죽은 자어들을 계수하였으며, 포르마린에 고정하였다. 30일 간 양식을 진행하였으며, 그 생존률(%)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Control FM1 FM2 FM3 FM4 FM5 FM6 FM7 FM8 FM9 FM10
첨가제 - T1 T4 T7 T9 C4 C6 C9 D2 D4 D5
부화후 사육일수(day) Control FM1 FM2 FM3 FM4 FM5 FM6 FM7 FM8 FM9 FM10
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5 24.2 40.3 45.8 62 47.6 54.7 60.4 57.2 56.3 67.1 61.4
30 1.8 1.5 0.7 5.1 1.2 4.2 6.6 4.2 4.2 7.2 4.8
(단위: 생존률 %)
상기 [표 11]을 참조하면, FM1, FM2의 경우 15일까지는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 자어의 생존률이 높아지지만 30일을 기준으로는 대조군과 별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M3에 의하는 경우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 자어의 생존률이 확실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C7의 사용에 따라 인공수정된 민물장어 자어에 적합한 미네랄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면역활성 및 환경저항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혼합범위에 의하는 경우 인공수정에 의한 민물장어 자어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한편, FM5, 7, 8 및 10의 경우에는 FM3에 비하여 유의적인 생존률 향상정도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FM6 및 FM9에 의하는 경우 각각 인공수정에 의한 민물장어 자어의 생존률이 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식물추출물이 일정한 범위로 혼합사용되는 경우 향균효과와 함께 민물장어 자어에 대한 향균효과로 그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의 생존률을 높여 대량생산에 기초한 경제성 있는 민물장어의 완전양식에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10.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 자어에 대한 생장성 평가
상기 FM1 내지 FM10 및 대조군을 사용하면서 양식한 민물장어에 대한 체장(mm)을 평가하여 [표 12]에 나타내었다.
부화후 사육일수(day) Control FM1 FM2 FM3 FM4 FM5 FM6 FM7 FM8 FM9 FM10
0 4.47 4.47 4.47 4.47 4.47 4.47 4.47 4.47 4.47 4.47 4.47
15 7.61 7.71 7.83 8.18 7.83 7.92 8.1 8.04 8.1 8.31 8.22
30 9.83 9.63 9.60 10.26 9.81 10.17 10.35 9.9 10.32 10.24 10.14
(단위: 체장 mm)
상기 [표 12]을 참조하면, 생존률이 증가하는 것과 비례하여 FM3에 의하는 경우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 자어의 생장성이 향상된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FM6 및 FM9에 의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생장성 향상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민물장어의 생존률 향상과 함께 그 생장성을 높여 보다 경제성 있는 인공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을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가이트(shungite)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50 내지 100 중량부, 미분말 게르마늄 1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된 무기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이고,
    살구나무 추출물 포함하고 상기 살구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나무 30 내지 80 중량부, 목화나무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민들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된 제1 추출물을 포함하고,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지렁이, 개구리, 새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백질 원료 및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수크로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수화물 원료를 포함하는 것인
    어류용 사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5 내지 30μm인 것인
    어류용 사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마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활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가 포함된 제2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어류용 사료 조성물.
  6.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인공수정으로 생산된 것인
    어류용 사료 조성물.
  7.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을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가이트(shungite)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50 내지 100 중량부, 미분말 게르마늄 1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된 무기분말을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 및 분산시키는 이온처리단계;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이온처리단계를 거친 무기물의 분산액에 열처리를 가하는 열처리 단계 및
    살구나무 추출물 포함하고 상기 살구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나무 30 내지 80 중량부, 목화나무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민들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된 제1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1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어분, 육분, 대두박, 면실박, 지렁이, 개구리, 새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백질 원료 및
    소맥분, 덱스트린, 감자 전분, 수크로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수화물 원료를 포함하는 것인
    어류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80079272A 2018-07-09 2018-07-09 어류용 사료 조성물 KR101933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272A KR101933072B1 (ko) 2018-07-09 2018-07-09 어류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272A KR101933072B1 (ko) 2018-07-09 2018-07-09 어류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072B1 true KR101933072B1 (ko) 2018-12-27

Family

ID=6495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272A KR101933072B1 (ko) 2018-07-09 2018-07-09 어류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881B1 (ko) * 2020-03-09 2021-08-26 김지영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WO2022230238A1 (ja) * 2021-04-30 2022-11-03 クアビット株式会社 飼料製造装置、飼料製造方法および飼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244B1 (ko) * 2000-12-13 2003-11-01 전재학 페그마타이트를 이용한 어류의 질병 예방 및 치료방법
JP2014180270A (ja) * 2013-03-21 2014-09-29 Tokyo Univ Of Marine Science & Technology 飼育魚類の筋肉内脂質含量増加方法及びそのための飼料
JP6344534B1 (ja) * 2016-10-27 2018-06-20 東レ株式会社 水産生物成長促進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244B1 (ko) * 2000-12-13 2003-11-01 전재학 페그마타이트를 이용한 어류의 질병 예방 및 치료방법
JP2014180270A (ja) * 2013-03-21 2014-09-29 Tokyo Univ Of Marine Science & Technology 飼育魚類の筋肉内脂質含量増加方法及びそのための飼料
JP6344534B1 (ja) * 2016-10-27 2018-06-20 東レ株式会社 水産生物成長促進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881B1 (ko) * 2020-03-09 2021-08-26 김지영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WO2022230238A1 (ja) * 2021-04-30 2022-11-03 クアビット株式会社 飼料製造装置、飼料製造方法および飼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9097A (zh) 一种鲤鱼的生态养殖方法
CN106259090A (zh) 一种草鱼的生态养殖方法
KR102084759B1 (ko) 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887B1 (ko) 새우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CN104256172A (zh) 沙塘鳢亲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933072B1 (ko) 어류용 사료 조성물
CN105075943A (zh) 一种南美白对虾高产养殖方法
CN110150188A (zh) 一种棕点石斑鱼和蓝身大斑石斑鱼杂交种的人工育苗方法
CN106259096A (zh) 一种草鱼的养殖方法
KR101933075B1 (ko)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 첨가제
CN103315151B (zh) 一种南美白对虾专用饲料添加剂
CN102232364A (zh) 天然沸石制备水产养殖环保中草药缓释剂底质材料的方法
CN104843940A (zh) 一种控制水塘蓝藻生长的方法
CN100372476C (zh) 一种牙鲆鱼用中草药诱食剂
CN106665437A (zh) 一种提高牡蛎亲贝培育成活率的中草药添加剂及其制备使用方法
Redmond et al. Culture of Sargassum in Korea: Techniques and Potential for Culture in the US
CN103005214B (zh) 一种用于刺参稚参饲料的海泥替代物
CN101112187B (zh) 巴马繐唇鲃的养殖方法
CN108450372A (zh) 加州鲈鱼保鲜绿色生态养殖方法
CN100418413C (zh) 一种改良文蛤品种的方法
CN106490399A (zh) 一种水产养殖饲料
CN106698669B (zh) 一种东北高寒地区的人工湖水体处理施工养护方法
CN106745779B (zh) 一种水体处理施工养护方法及人工湖
KR20220160135A (ko) 아쿠아포닉스 기반의 농수산물 복합재배용 사료 조성물
CN106614136A (zh) 一种使用山泉水生态养殖草鱼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