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881B1 -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881B1
KR102294881B1 KR1020200028768A KR20200028768A KR102294881B1 KR 102294881 B1 KR102294881 B1 KR 102294881B1 KR 1020200028768 A KR1020200028768 A KR 1020200028768A KR 20200028768 A KR20200028768 A KR 20200028768A KR 102294881 B1 KR102294881 B1 KR 10229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ry
feed composition
schungit
particl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20002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소맥, 대맥 및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곡류 성분; 소맥피, 대두피, 단백피 및 미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강피류 성분; 대두박, 옥수수글루텐, 옥배아박, 주정박, 호마박 및 채종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박류 성분; 및 첨가제로 구성되는 주원료;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파쇄된 슝기트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입니다. 본 발명의 양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양계는 30일 증체율이 5.1 내지 6.7% 증가되었고, 동시에 폐사율은 1.5 내지 6.5%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Description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FEED COMPOSITION CONTAINING CRUSHED MINERAL ORE}
본 발명은 양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육계의 생체증가율을 향상시키거나, 산란계의 폐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계분야에서 닭의 면역력 개선과 육질의 개선 등을 위한 사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양계분야에서는 항생제니 성장호르몬을 이용하여 닭의 면역성 개선과 육질의 개선 등을 이루고자 하였다.
하지만 항생제나 성장호르몬의 과도한 사용은 닭 체내의 축적을 유발하며, 이에 따라 항생제가 축적된 닭을 섭취한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양계용 사료 조성물에 항생제나 성장호르몬 등을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사료를 섭취하고 사육된 닭에 항생제와 성장호르몬제가 잔류하여 닭을 섭취하는 사람에게까지 항생제와 성장호르몬제의 잔류물이 전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성균에 의한 농장 오염이나 축산물에 내성균 잔류 문제가 발생하여, 농장에서 항생제 등을 더 높은 용량으로 사용하게 되는 악순환이 발생된다.
이에 항생제를 대신하면서도 닭의 면역력 증진하고 증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닭의 면역력 증진과 증체율 증가시키면서, 유해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동시에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닭의 면역력을 증진시켜 폐사율을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증체율을 증기사킬 수 있는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닭의 폐사율을 감소시키고 증체율을 증가시키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납, 불소, 비소, 수은 및 카드뮴 등의 유해 성분을 최소화하는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소맥, 대맥 및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곡류 성분; 소맥피, 대두피, 단백피 및 미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강피류 성분; 대두박, 옥수수글루텐, 옥배아박, 주정박, 호마박 및 채종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박류 성분; 및 첨가제로 구성되는 주원료; 및 슝기트를 파쇄하여 형성된 슝기트 입자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파쇄되기 전의 상기 슝기트에 포함된 성분은 7 ~ 15 wt%의 C, 30 ~ 55 wt%의 SiO2, 8 ~ 14 wt%의 Al2O3, 8~10wt%의 CaO, 및 2~5wt%의 Fe2O3를 포함하고, 납(Pb)이 0.1 ppm 미만, 불소(F)가 0.5 ppm 미만, 비소(As)가 0.1 ppm 미만, 수은(Hg)이 0.1 ppm 미만, 카드뮴(Cd)이 0.1 ppm 미만이고, 상기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함량은 0.2 내지 0.5 wt%이며, 상기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직경은 0.5 내지 1 mm이며, 상기 양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양계는 상기 파쇄된 슝기트 입자가 포함되지 아니한 양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양계에 비해, 30일 증체율이 5.1 내지 6.7% 증가되고, 폐사율은 1.5 내지 6.5%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계용 사료 조성물은 통상의 양계용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쇄된 슝기트 입자를 0.3 내지 0.5 중량부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받은 양계의 30일 증체율이 5.1 내지 6.7% 증가되었고, 동시에 폐사율은 1.5 내지 6.5% 감소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받은 양계의 7일 증체율은 약 33%나 증가하였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계용 사료 조성물에 혼합되는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육계의 주별 체중변화와 비교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육계의 주별 체중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육계의 주별 폐사율과 비교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육계의 주별 폐사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계용 사료 조성물은 통상의 양계용 배합사료를 주원료로 이용한다. 이때, 주원료는 옥수수, 소맥, 대맥 및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곡류 성분; 소맥피, 대두피, 단백피 및 미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강피류 성분; 대두박, 옥수수글루텐, 옥배아박, 주정박, 호마박 및 채종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박류 성분; 및 첨가제로 구성될 수 있다.
곡류 성분, 강피류 성분 및 박류 성분의 합은 주원료의 80 내지 90 wt%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슘, 인 등의 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양계용 사료 조성물은 급여대상 닭의 성장기에 따라 다른 것들을 이용하게 된다. 예컨대, 갓 부화한 병아리의 경우 18.0% 이상의 조단백질, 2.5% 이상의 조지방, 8.0% 이하의 조섬유, 10.0% 이하의 조회분. 1.0% 이상의 칼슘, 1.0% 이하의 인으로 주원료의 각 성분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3주령 ~ 출하전 7일부터 10일 정도의 닭의 경우 15.0% 이상의 조단백질, 3.0% 이상의 조지방, 8.0% 이하의 조섬유, 10.0% 이하의 조회분. 0.8% 이상의 칼슘, 1.0% 이하의 인으로 주원료의 각 성분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양계용 사료 조성물은 급여대상 닭이 육계인지 산란계인지에 따라 주원료의 각 성분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급여대상 닭이 산란계인 경우 14.0% 이상의 조단백질, 2.0% 이상의 조지방, 7.0% 이하의 조섬유, 17.0% 이하의 조회분. 2.8% 이상의 칼슘, 0.9% 이하의 인으로 주원료의 각 성분들을 구성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양계의 생육에 도움이 되는 성분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정제염, 당밀, 소맥분, 인산칼슘, 미생물제, 동물성유지, 완충제, 비타민 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슝기트는 발명에서는 KOKSU 사의 슝키트를 이용하였다. KOKSU 사의 슝기트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성 분 함 량 (wt%)
C 7 ~ 15
SiO2 30 ~ 55
Al2O3 8 ~ 14
CaO 8 ~ 10
Fe2O3 2 ~ 5
본 발명의 슝기트에 포함된 탄소는 대부분 플러렌 형태로 취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양계용 사료 조성물로는 납, 불소, 비소, 수은, 카드뮴의 함량이 낮다.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각지에서 채취한 다양한 샘플들을 사료관리법 제20조에 따라 검정을 하여 납, 불소, 비소, 수은, 카드뮴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성 분 함량(ppm)
샘플 1 샘플 2 샘플 3 샘플 4 샘플 5 샘플 6
납(Pb) 0.09 21.52 13.65 19.34 21.33 19.46
불소(F) 0.41 41.24 34.23 39.71 101.29 41.26
비소(As) 0.03 113.62 40.58 93.01 39.20 81.59
수은(Hg) 0.04 0.02 0.05 0.08 0.14 0.10
카드뮴(Cd) 0.05 0.91 0.00 0.59 0.00 0.89
측정결과 샘플 2 내지 샘플 6의 슝기트의 경우에는 납, 불소, 비소, 수은, 또는 카드뮴의 함량이 너무 높아 양계용 사료 조성물로 이용할 수 없다. 납, 불소, 비소, 수은, 또는 카드뮴이 육계에 축적될 경우 해당 육계를 섭취한 사람에게도 축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계용 사용 조성물은 샘플 1의 슝기트를 파쇄하였다. 샘플 1의 슝기트는 납(Pb)이 0.1 ppm 미만, 불소(F)가 0.5 ppm 미만, 비소(As)가 0.1 ppm 미만, 수은(Hg)이 0.1 ppm 미만, 카드뮴(Cd)이 0.1 ppm 미만으로는 포함되는바, 샘플 2 내지 샘플 6과 같은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계용 사용 조성물은 샘플 1의 슝기트를 입자가 입경이 0.5 내지 1 mm 가 되도록 파쇄하여 파쇄된 슝기트 입자로 사용한다.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입경이 0.5 m 미만인 경우 닭의 구강구조상 급여하기 어려우며, 1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너무 커서 닭이 섭취할 수 없다. 즉, 샘플 1의 슝기트를 입자가 입경이 0.5 내지 1 mm 가 아닐 경우 닭의 섭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계용 사용 조성물은 샘플 1의 슝기트를 입자가 입경이 0.5 내지 1 mm 가 되도록 파쇄함으로써 양계의 섭취율을 향상시켜, 양계의 생장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다만, 슝기트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되는데, 이를 그대로 급여할 경우 사료통에 분진이 붙어 사료통이 오염되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은 파쇄된 슝기트 입자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주원료에 혼합된다. 파쇄된 슝기트 입자에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물을 사용할 경우 파쇄된 슝기트 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플러렌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슝기트 입자를 파쇄한 뒤 입경이 0.5 내지 1 mm을 가지는 입자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슝기트 입자에서 분진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계용 사료 조성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제1농장에서 사육중인 육계(71,240수)를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함량을 달리하여 급여하고,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함량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았다.
주원료로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대한사료를 양계의 성장시기에 따라 이용하였으며, 주원료 100 중량부에 대해 파쇄된 슝기트 입자를 혼합하여 급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계용 사료 조성물 중 주원료 100kg에 대한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함량에 따른 30일 생체증가율과 폐사율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30일 증체율은 파쇄된 슝기트 입자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측정한 것이며, 30일 폐사율은 생육 30일을 기준으로 폐사된 양계의 수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파쇄된
슝기트 입자
함량
30일 생체증가율 30일 폐사율(%)
1 0 kg 0 4.6%
2 0.1 kg 0.1% 4.5%
3 0.2 kg 2.3% 3.7%
4 0.3 kg 5.1% 2.6%
5 0.4 kg 6.4% 2.4%
6 0.5 kg 5.3% 2.4%
7 0.6 kg 5.2% 2.2%
8 0.7 kg 5.3%. 2.3%
표 3을 참조하면, 주원료 100 kg에 대하여 파쇄된 슝기트 입자를 0.3kg 이상 혼합할 경우 30일 셍체증가율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5.1% 이상 증가되었으며, 폐사율도 약 2% 정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주원료 100 kg에 대하여 파쇄된 슝기트 입자를 0.5kg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30일 생체증가율과 30일 폐사율의 증가는 거의 없으며, 오히려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주원료에 비해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가격이 비싼 것을 고려해볼 때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함량은 주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계용 사료 조성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0개의 농장에(제2 농장 내지 제11농장)서 사육중인 육계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제1그룹(실시예)은 주원료에 파쇄된 슝기트를 혼입하여 급여하였으며, 제2그룹(비교예)은 주원료만 급여하였다.
그 중 제10농장(양주시 은현면 소재)의 결과(제1그룹: 38,110수, 제2그룹: 31,930수)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으며, 10개 농장에서의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제2농장 제3농장 제4농장 제5농장 제6농장
30일생체증가율 6.1% 5.5% 6.2% 5.7% 5.8%
30일폐사율 증감분 -2.5% -1.5% -3.5% -2.0% -6.5%
제7농장 제8농장 제9농장 제10농장 제11농장
30일생체증가율 6.5% 5.7% 5.3% 6.0% 5.1%
30일폐사율 증감분 -5.5% -6.2% -3.1% -2.2% -1.8%
먼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경우 30일 생체증가율은 약 6% 정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지 아니한 경우에 비하여 비하여 닭의 증체가 2일 정도의 차이를 보여 더 빨리 출하되거나, 같은날 출하해도 100~200g 정도 더 증체된 상태로 출하할 수 있었다.
뿐만아니라. 7일 체중은 본 발명의 일 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경우 40g으로, 본 발명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지 아니한 경우 30g인 것에 비해 10g 증가된 것으로서 7일 증체율은 약 33%나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4주 동안 급여한 경우 38,110수 중 37,080수가 출하되어 915수의 폐사가 발생하여 폐사율 2.4%를 가지나, 본 발명의 일 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지 아니한 경우 4주를 기준으로 1,930수 중 30,460수가 출하되어 1,470수가 폐사가 발생하여 4.6%의 폐사율을 가졌다. 즉, 본 발명의 일 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경우 폐사율이 2.2% 감소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예의 육계용 사료 조성물을 오랜 기간 급여한 경우 폐사율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다른 농장에서도 동일하게 생체증가율이 5.1 내지 6.7% 증가되었고, 동시에 폐사율은 1.5 내지 6.5% 감소하여, 본 발명이 일 예에 따른 양계용 사료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옥수수, 소맥, 대맥 및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곡류 성분;
    소맥피, 대두피, 단백피 및 미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강피류 성분; 대두박, 옥수수글루텐, 옥배아박, 주정박, 호마박 및 채종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박류 성분; 및 첨가제로 구성되는 주원료; 및
    슝기트를 파쇄하여 형성된 슝기트 입자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파쇄되기 전의 상기 슝기트에 포함된 성분은 7 ~ 15 wt%의 플러렌 C, 30 ~ 55 wt%의 SiO2, 8 ~ 14 wt%의 Al2O3, 8~10wt%의 CaO, 및 2~5wt%의 Fe2O3를 포함하고, 납(Pb)이 0.1 ppm 미만, 불소(F)가 0.5 ppm 미만, 비소(As)가 0.1 ppm 미만, 수은(Hg)이 0.1 ppm 미만, 카드뮴(Cd)이 0.1 ppm 미만이고,
    상기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함량은 0.2 내지 0.5 wt%이며,
    상기 파쇄된 슝기트 입자의 직경은 0.5 내지 1 mm이며,
    상기 양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양계는 상기 파쇄된 슝기트 입자가 포함되지 아니한 양계용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양계에 비해, 30일 증체율이 5.1 내지 6.7% 증가되고, 폐사율은 1.5 내지 6.5%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28768A 2020-03-09 2020-03-09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KR102294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68A KR102294881B1 (ko) 2020-03-09 2020-03-09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68A KR102294881B1 (ko) 2020-03-09 2020-03-09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881B1 true KR102294881B1 (ko) 2021-08-26

Family

ID=7746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768A KR102294881B1 (ko) 2020-03-09 2020-03-09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881B1 (ko)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1Y2 (ja) * 1979-07-05 1984-01-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乾式粉塵分離装置
KR19980071911A (ko) * 1998-07-01 1998-10-26 박창윤 광석분말의 집진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9412A (ko) * 2001-07-13 2001-08-22 구흥회 입자분리 및 세척 건조선별장치
KR20040094518A (ko) * 2003-05-03 2004-11-10 (주) 성원사료 요오드와 마그네슘이 함유된 양계용 배합사료
KR20090089293A (ko) * 2006-11-10 2009-08-21 칼카브 아게 미세 광물 분말 생성물의 제조 방법
KR101107284B1 (ko) *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KR20130000809A (ko) * 2011-06-24 2013-01-03 대한제당 주식회사 산란계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0085B1 (ko) * 2013-11-12 2014-11-11 조재근 영구자석과 세라믹볼을 이용한 동,식물의 물 공급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464276B1 (ko) * 2013-11-04 2014-11-20 조재근 자연친화적 식물영양제의 제조 및 그 이용방법
KR20150086836A (ko) * 2014-01-20 2015-07-29 이춘구 물의 항균성을 높여주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45007A (ko) * 2015-10-16 2017-04-26 송남강 šœ기트를 포함하는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1301A (ko) * 2015-10-29 2017-05-11 (주)에이치아이엠앤드에이코리아 SiOx-플러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용도
WO2017210768A1 (en) * 2016-06-09 2017-12-14 Avalon Alliance Inc.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KR20180046107A (ko) * 2016-10-27 2018-05-08 송남강 šœ기트 및 내추럴 플러렌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기정화필터
KR101933075B1 (ko) * 2018-07-09 2018-12-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 첨가제
KR101933072B1 (ko) * 2018-07-09 2018-12-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용 사료 조성물
RU2680009C1 (ru) * 2018-04-11 2019-02-14 ООО "Карельская инвестиционная компания "РБК"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отрицатель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микотоксинов у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птицы (варианты)
KR102084759B1 (ko) * 2018-09-14 2020-03-04 (주)셀트리랩 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41Y2 (ja) * 1979-07-05 1984-01-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乾式粉塵分離装置
KR19980071911A (ko) * 1998-07-01 1998-10-26 박창윤 광석분말의 집진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9412A (ko) * 2001-07-13 2001-08-22 구흥회 입자분리 및 세척 건조선별장치
KR20040094518A (ko) * 2003-05-03 2004-11-10 (주) 성원사료 요오드와 마그네슘이 함유된 양계용 배합사료
KR20090089293A (ko) * 2006-11-10 2009-08-21 칼카브 아게 미세 광물 분말 생성물의 제조 방법
KR20130000809A (ko) * 2011-06-24 2013-01-03 대한제당 주식회사 산란계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07284B1 (ko) *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KR101464276B1 (ko) * 2013-11-04 2014-11-20 조재근 자연친화적 식물영양제의 제조 및 그 이용방법
KR101460085B1 (ko) * 2013-11-12 2014-11-11 조재근 영구자석과 세라믹볼을 이용한 동,식물의 물 공급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KR20150086836A (ko) * 2014-01-20 2015-07-29 이춘구 물의 항균성을 높여주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45007A (ko) * 2015-10-16 2017-04-26 송남강 šœ기트를 포함하는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1301A (ko) * 2015-10-29 2017-05-11 (주)에이치아이엠앤드에이코리아 SiOx-플러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용도
WO2017210768A1 (en) * 2016-06-09 2017-12-14 Avalon Alliance Inc.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KR20180046107A (ko) * 2016-10-27 2018-05-08 송남강 šœ기트 및 내추럴 플러렌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기정화필터
RU2680009C1 (ru) * 2018-04-11 2019-02-14 ООО "Карельская инвестиционная компания "РБК"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отрицатель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микотоксинов у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птицы (варианты)
KR101933075B1 (ko) * 2018-07-09 2018-12-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 첨가제
KR101933072B1 (ko) * 2018-07-09 2018-12-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용 사료 조성물
KR102084759B1 (ko) * 2018-09-14 2020-03-04 (주)셀트리랩 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다음 블로그 "순지트 워트, 순지트 물"(2017.12.04.)* *
블로그(순지트 워터 . 순지트 물, 2017.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7734T3 (de) Stärkefreie polysaccharide
Akiyama et al. Optimum protein level in a purified diet for young red sea urchin Pseudocentrotus depressus
Mohammadi et al. Effect of supplementing clove essential oil to the diet on microflora population, intestinal morphology, blood parameters and performance of broilers.
CN112087953A (zh) 给动物施用的芽孢杆菌组合
AU4141899A (en) Use of a natural substance containing thymol in the manufacture of animal feed
Yasar et al. Yeast fermented additive enhances broiler growth
CN109258935A (zh) 饲料用促生长抗氧化复合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YİĞİT et al. Effects of canola meal on growth and diges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fry
KR102294881B1 (ko) 슝기트를 포함하는 양계용 사료 조성물
CN1658765A (zh) 用于动物的食物增补剂
CN108651709A (zh) 抗菌抑菌促生长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897488B1 (ko) 적색 셰일 함유 가축사료 조성물
Roy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 of mushroom (Agaricus bisporus) and probiotics (Saccharomyces cerevisiae) on sensory evaluation of broiler meat
CN106260637A (zh) 一种降低断奶仔猪腹泻率的饲料
KR102507295B1 (ko) 건조부추 분말을 이용한 닭 사료 제조방법
KR100879596B1 (ko) 가금류 사료 조성물
CN106721633A (zh) 一种预防夏季肠炎的美洲鳗鲡幼鳗粉状配合饲料
US7910560B2 (en) Method for increasing breast meat yield in poultry
Elangovan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broilers fed diets containing processed meals of Bt, parental non-Bt line or commercial cotton seeds
CN112136977A (zh) 一种促采食、改善健康的鸽用饲料添加剂及其应用
EP304365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orous for use in preventing deformities in triploid fish
Manafi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Mycotoxin binders on broiler breeders induced with Aflatoxin B1: effects on egg quality parameters
KR101618651B1 (ko)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CN113826768A (zh) 一种低铜抗腹泻猪配合料及其制备方法
KR102001810B1 (ko) 메탄저감용 사료 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