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279B1 -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9279B1 KR101979279B1 KR1020180165231A KR20180165231A KR101979279B1 KR 101979279 B1 KR101979279 B1 KR 101979279B1 KR 1020180165231 A KR1020180165231 A KR 1020180165231A KR 20180165231 A KR20180165231 A KR 20180165231A KR 101979279 B1 KR101979279 B1 KR 1019792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antioxidant
- extract
- activity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미분말 ?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체내 유해한 산화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체내 유해한 산화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를 억제하여 피부 세포의 손상 및 노화를 방지하고 체내 유해한 산화물질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등 항산화 활성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저해 함으로서 멜라닌 저해 활성으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자외선, 인스턴트 가공식품, 공해 등의 유해물질,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체내 발생하는 산화물질로 각종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손상은 피부노화, 흑반 등을 일으켜, 미용상으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위축감을 가져와 사회생활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심하게는 피부암과 같은 질환에 이르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사용 이외에도 자외선으로부터 생성되는 산화물질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손상을 억제하고,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차단하는 물질의 사용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한 신규 원료 및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사람의 피부는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와 진피, 그리고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각질층은 표피(epidermis)의 기저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의 분화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죽은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체를 외부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에서의 노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연구되고 있는데, 하나는 "내적 노화"로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피부의 구성단위인 세포의 기능변화에 기인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외적 노화"로서 외부 환경 즉 자외선, 공해, 스트레스 등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피부의 세포는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인간의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끊임없이 일어나는 생화학 반응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지게 되면, 세포 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과 DNA 산화적 손상 및 효소활성을 변화시켜 피부암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노화를 촉진시킨다. 아울러 외적 노화의 원인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서 UV에 지속적인 노출을 통해 피부암 등의 급성 및 만성적인 피부의 상해가 유발된다.
피부 진피층 기질을 이루는 중요한 성분의 하나인 콜라겐의 생합성과 분해는 피부 노화 억제에 핵심이 되고 있는데, 상기 활성산소종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을 촉진하며, 자외선에 의한 콜라게나아제의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는데, 멜라노사이트 내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인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피부 현상 중 직접적인 영향으로 인한 화상 등의 피부손상 이외에도 자외선으로 인해 체내 생성되는 산화물질, 즉 활성산소에 의한 2차적인 현상들이 지속적으로 체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더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피부 내 형성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DNA 손상 및 이에 따른 면역세포의 손상, DNA 복제 및 회복 기능의 손상으로 인한 돌연변이 세포의 발생, 홍반 반응으로 인한 각질세포 변형을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피부 세포의 사멸과 광노화 진행을 발생시킨다. 또한 색소 생성 세포를 자극하여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여 색소 침착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피부 세포 내의 신호 전달 물질의 발현으로 나타나는 멜라닌 형성과정에 있어서, 자외선에 의해 발생된 활성산소에 의해 비정상적인 염증 물질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발현되며, 발현된 염증유발 물질은 멜라닌 생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를 활성화시켜 멜라노좀(Melanosome) 내 멜라닌의 합성을 촉진시킨다(N. Agar, A. R. Young, Mutation research 571, 121-132, 2005).
또한 티로시나제(Tyrosinase) 및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효소와 이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짐에 따라 멜라닌 합성에서 이들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V. del Marmol, F. Beermann, FEBS Letters 381, 165-168, 1996). 따라서 최근의 자외선과 관련되어 피부에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노력들은 이러한 활성산소의 작용을 얼마나 억제시키는가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아직 뚜렷한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현재 미백 화장료로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코직산 등의 경우,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의 활성 억제가 아닌 멜라닌 색소의 생성 억제 또는 제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없을뿐더러, 그 사용에 있어 효능 및 안전성에 문제를 나타내거나, 제품 내에서의 그 효능의 유지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제품 적용 시 제품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피부에 손상을 주는 근본적인 원인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와 미백효과를 두루 가지면서 안전한 신규 원료 및 이를 이용한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화장품 분야에서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피부에 독성이나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하여 천연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부작용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천연 추출물들이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개발 및 상품화 되어 제공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물에 대한 항산화 및 미백 활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기성 원료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활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체내 유해한 산화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나내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 유래의 원료를 사용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미분말 ?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05 내지 30μ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정제수에 혼합 및 분산시키는 수분산 무기물을 제조하는 분산 혼합단계 및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2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미분말 ?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미분말은 볼밀, 제트밀, 기타 분쇄장치 등으로 파쇄하거나 합성과정에서 미분말의 성상을 가지도록 제조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미분말은 평균입경이 100μm 이하인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이트란, 러시아 Karelia Ladoga호 북부의 Suojδrvi 부근 Shunga에서 원생대 야툴리아 시대(Jatulian)의 작은 흑연 미세 결정이 풍부한 변성도가 낮은 혈암 중에 층(두께 2m에도 달한다)이나 렌즈 모양체로 산출된다. 이는 피치와 같은 흑색, 치밀, 불투명, 금속 광택. 무르다. 경도 2.5. d 1.75~1.80, 불대에서 용융되지 않고 진한 질산에서 석묵산을 만든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일라이트란, 화학조성은 (K,H3O)Al2(Si,Al)4O10(H2O,OH)2이다. 화학성분으로 보아, 백운모에 가까운 것도 있으나 비교적 SiO2, MgO, H2O가 많고, K2O는 적다. 수백운모(水白雲母) 등과 같은 계열의 광물이다. 굳기 1 내지 2, 비중 2.6 내지 2.9이다. 쪼개짐은 [001]로 완전하며, 조흔색은 백색이며, 토상(土狀)광택이 있다. 화학성분이나 결정구조로 보아 독립된 광물이 아니고,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혼합광물이라는 견해가 있다.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泥質) 또는 응회암질(凝灰岩質)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熱水性)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올라이트는 비석(沸石)이라고도 한다. 종류는 많으나 함수량(含水量)이 많은 점, 결정의 성질, 산상(産狀) 등에 공통성이 있다. 굳기는 6을 넘지 않으며, 비중은 약 2.2이다.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 반투명하다. 취관으로 가열하면 끓어서 팽대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대개의 종류는 염산에 녹아 흔히 아교 모양이 되지만, 소수의 종류는 염산에 녹지 않는다. 주요한 종류로서 방비석, 어안석, 캐버자이트, 소다비석·휼란다이트, 스틸바이트, 로몬타이트, 이네사이트 등이 있다.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때로는 화강암, 편마암 중에 2차광물로서 존재한다. 또한 금광맥 그 밖의 광맥 중에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分子篩)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맥반석은 중국의 한방의학에서 사용한 용어로 알려지고 있으며 지질학적으로 분류하자면 화강암류에 속한다. 석영반암, 장석반암, 화강반암과 같은 것으로서, 암석명으로 석영-몬조나이트와 일치한다. 석영과 장석이 촘촘하게 섞여 있다. 누런 백색, 연한 누런 갈색, 옅은 회색, 짙은 녹색 또는 옅은 녹색 암석에 빨간 점 또는 하얀 점이 고르게 섞여 있는 모습이 보리밥으로 만든 주먹밥과 같다고 하여 맥반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성분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고, 산화제2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약석으로 알려진 것은 누런 백색을 띤 맥반석으로 예전에는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나는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그 성질은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한다. 1cm3당 3 내지 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찜질방, 식기, 의료기 등 여러 산업 부분에서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벤토나이트는 석영, 장석(長石),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한 것이 많다.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 등을 나타낸다. 진주광택, 납상광택을 가지며 지방감이 있는 치밀한 괴상으로 산출되는데, 물을 흡착하여 팽윤하고, 양이온 교환성이 뚜렷한 것 등 몬모릴로나이트의 성질과 흡사하다. 응회암과 유리질 유문암(流紋岩)이 변질된 것이다. 용도는 매우 넓어 석유정굴진용 이수(石油井掘進用泥水)의 주성분, 주물형(鑄物型)의 결합제, 요업원료의 혼입제, 연고의 기초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명칭은 발견지인 미국 와이오밍주(州)의 지층에서 유래되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규조토는 주로 규산(SiO2)으로 되어 있으며, 백색 또는 회백색을 띤다. 가벼우며 손가락으로 만지면 분말이 묻을 정도로 연하다. 미세한 다공질(多孔質)이기 때문에 흡수성이 강하고, 열의 불량도체이다. 우리 나라에서의 규조토는 제3기 또는 제4기 지층 내에서 토상(土狀)으로 산출된다. 우리 나라 고제3기(古第三期)에는 북동 내지 북북동 방향의 단층운동이 일어나서 여러 곳에 지구대(地溝帶) 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영일 분지, 길주와 명천 간 지구대, 서울과 원산 간 지구대, 두만강 분지 등이 형성되었고, 여기에 제3기층이 퇴적되었다. 퇴적층이 형성될 때 곳곳에서 소규모의 얕은 호수 또는 담수분지에 규조가 침적되어 광상을 이루었다. 이들 퇴적분지 가운데에서 영일만에 있는 규조토가 규조토광상에 있어서 규모가 가장 크고, 경상북도 월성과 영일 등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그 밖에도 북한지역에서는 함경남도 안변군 문산면 행현리와 안변군 안변면 남산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남면 부평동과 경성군 주북면 회문광산, 길주군 웅평면 산본광산, 명천군 명천광산, 명천군 서면 백록광산,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 세포리 등의 산지가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서 규조토를 광상으로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1941년 '조선광업령(朝鮮鑛業令)'에 의하여 지정법정광물로 편입되면서부터이다. 이후 국내의 규조토광상이 각지에서 발견되었고, 특히 경상북도 월성군 양북면 이일리에서 산출된 규조토를 원료로 경주시 노동리에서 일본의 아사히 곤로(旭爐) 제조에 긴요히 사용되었다고 한다. 근래에 와서는 내화재용(耐火材用)으로 쓰이며, 강한 흡수성 때문에 대부분 공업용수, 수도, 의약품, 식품 등의 정제를 위한 여과재(濾過材)로 사용된다. 그 밖에 플라스틱과 제지의 충전재(充塡材), 다이너마이트의 흡착제, 지혈제(止血劑), 시멘트의 혼합재 등으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게르마늄은 원소기호 Ge, 원자번호 32, 원자량 72.59±3이다. 1871년 D. I. 멘델레예프에 의해 그 존재가 예언되어 에카규소로 불렸으나 86년에 독일의 화학자 C. A. 빙클러에 의해 황은게르마늄석(Ag GeS) 속에서 발견되어 독일의 라틴명인 「Germania」를 따서 명명되었다. 규소와 유사하므로 지각(地殼) 속의 규산염의 규소와 치환하여 널리 존재하며, 또 구리나 아연 등을 함유한 황화광물이나 석탄 속에 함유되지만 게르마늄을 주체로 하는 광물은 극히 적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맥반석은 명반석이라고도 한다. 화학성분은 KAl3(SO4)2(OH)6이다. 육각 판상(板狀) 또는 인상(鱗狀)의 결정으로 나타나는데, 대개는 괴상 또는 입상(粒狀)이다. 굳기 3.5 내지 4, 비중 2.6 내지 2.9이다. 결정형의 것은 밑면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고, 쪼개짐면에 진주광택이 난다. 괴상의 것은 광택이 없다. 백색, 회색이며 때로는 홍색, 황색, 적갈색을 띠기도 한다. 조흔색(條痕色)은 백색이다. 염산에 녹지 않고, 수산화칼륨이나 더운 황산에 녹는다. 열수(熱水) 변질작용을 받은 화산암 지대에서 산출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옥이란, 치밀하고 경질(硬質)이며, 투명하여 아름답게 빛나고, 연마하여 광택이 나는 것을 말한다. 광물학적으로 연옥은 각섬석의 일종이며, 경옥은 알칼리휘석의 일종이다. 연옥은 유백색인 것이 많으며, 녹색 ·황색 ·홍색 등도 있고, 경옥은 녹색, 백색이다. 색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으나, 백옥과 비취(翡翠)가 대표적인 것이다. 고대로부터 동양에서 귀히 여겨 왔으며, 세공하여 장식석, 옥기(玉器)로서 사용되어 왔다. 연옥은 터키 등지에서는 결정편암이나 편마암 속에 맥상(脈狀)으로 산출되고, 중국 동북에서는 화강암의 접촉대(接觸帶)에서 산출된다. 경옥은 미얀마에서는 사문암 중에 맥상을 이루어 산출되고, 중국 윈난(雲南)이나 티베트고원에서도 산출된다. 좁은 뜻의 jade는 비취를 가리키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옥은 상술한 넓은 의미의 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05 내지 30μm인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세정제나 기타 화장료에 마사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무기분말 기타 미분말 입자는 피부 표면을 자극하여 마사지 하거나 피부표피에 형성된 오염원을 마찰에 의하여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분말은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피부 마사지 또는 표피 층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특히 피부 마사지 또는 표피 층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미세분말의 경우 그 입장의 크기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무기분말의 평균입경 보다 훨씬 큰 입경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무기분말의 입경은 입자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피부 마사지 또는 표피 층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될 수도 없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분말은 세포조직을 자극하여 항산화 활성을 높이고,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저해시키는 활성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피부 마사지 또는 표피 층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일종의 연마입자에 비하여 훨씬 작은 입경을 가지는 입자로 한정되는 것이다.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05μm 미만인 경우 무기분말이 다시 불규칙하게 뭉쳐지기 때문에 조성물 내에서 분산력이 저하되고, 각 무기입장의 상호작용에 의한 항산화 활성 또는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저해활성에 대한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무기분말의 평균입경이 30μ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단위에 자극을 가하는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항산화 활성 또는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저해활성을 통한 미백 증진 효과를 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 칼슘 이온(Ca2 +), 마그네슘 이온(Mg2 +)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분말이 상기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되어 열처리 되는 경우 상기 무기분말이 세포단위에서 피부조직을 자극하고, 산화물질에 대한 제거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대한 저해활성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미백활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부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 및 칼슘 이온(Ca2 +)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피부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재생활성을 높여 주게 됨으로서 산화물질에 대한 저항력으로 항산화 활성을 높이게 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를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 분말은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을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수운가이트(shungite)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50 내지 100 중량부, 미분말 게르마늄 1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이고,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기 무기분말을 이루는 분말의 상호 작용으로 단순조합 이상으로 세포 단위에서 산화물질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증가하고, 세포의 재생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은 살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살구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나무 30 내지 80 중량부, 목화나무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민들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단순 혼합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은 상기 무기분말에 흡착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무기 분말에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을 함침시켜 흡착시키는 경우 일정한 범위에서 세포자극이 지속되도록 함으로서 제1 식물 추출물 사용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이 지속되는 효과가 높아지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마름(Trapa japonica)은 연못이나 소택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진흙 속에 박고 줄기가 길게 자라서 물 위에 뜬다. 잎은 뭉쳐난 것처럼 보이며 잎자루에 굵은 부분이 있는데 이는 공기 주머니로서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해준다. 잎몸은 마름모꼴 비슷한 삼각형이며 잔 톱니가 있다. 물 속 원줄기의 마디에서 깃 같은 뿌리가 내린다. 7 또는 8월에 흰빛 또는 다소 붉은빛이 도는 꽃이 잎 겨드랑이에 피는데 지름 1cm 정도로서 꽃잎은 4개이다. 화편은 짧고 위를 향하지만 열매가 커짐에 따라서 밑으로 굽으며 길이 2 내지 4cm이다. 꽃받침잎은 털이 있고,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딱딱하고 역삼각형이며 양 끝에 꽃받침조각이 변한 가시가 있고 중앙부가 두드러진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강활은 강호리라고도 한다. 산골짜기 계곡에서 자란다. 높이는 약 2m로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를 가지며 3장의 작은잎이 2회 깃꼴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게 패인 톱니가 있다. 작은 잎자루는 올라가면서 짧아지고 잎자루 밑부분이 넓어져 잎집이 된다. 8 또는 9월에 흰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겹산형꽃차례로 피는데, 10 내지 30개의 작은꽃대로 갈라져서 많은 꽃이 달린다. 총포는 1 또는 2개로 바소꼴이고 작은총포는 6개이다. 열매는 분과로 10월에 익으며 타원형이고 날개가 있다. 향이 나며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이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적은 함량으로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세포독성의 문제가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가 없다.
특히 상기 제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항산화 및 피부 미백효과가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2 식물 추출물은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마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강활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그 지속성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분말 수운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정제수에 혼합 및 분산시키는 수분산 무기물을 제조하는 분산 혼합단계 및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2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산 무기물에 열처리를 가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에 의한 열처리 단계를 진행하는 경우 피부조직을 세포단위에서 자극함으로서 그 항산화 활성과 함께 재생효과를 높이고, 미백 활성도 향상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 칼슘 이온(Ca2 +), 마그네슘 이온(Mg2 +)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고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론튬 이온(Sr2 +), 칼슘 이온(Ca2 +), 마그네슘 이온(Mg2 +)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의 제조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을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가이트(shungite)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50 내지 100 중량부, 미분말 게르마늄 1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된 무기분말을 스트론튬 이온(Sr2 +) 및 칼슘 이온(Ca2 +)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 및 분산시키는 이온처리단계;
상기 분산 혼합단계 이후에 상기 이온처리단계를 거친 무기물의 분산액에 열처리를 가하는 열처리 단계 및
살구나무 추출물 포함하고 상기 살구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
나무 30 내지 80 중량부, 목화나무 추출물 30 내지 80 중량부, 민들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된 제1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1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 이후에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는 제2 식물 추출물 혼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세포의 항산화 활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의 재생효과와 함께 멜라민 합성을 저해하여 미백활성을 높여 줌으로서 피부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에 대한 첨가제 내지 부형제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그 종류와 함량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하여 점증제, pH조절제, 보존제, 가용화제, 또는 보습제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녹용 추출물 2 ~ 6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점증제는 0.005 ~ 0.01 중량부, 상기 pH조절제는 0.002 ~ 0.01 중량부, 상기 보존제는 0.001 ~ 0.005 중량부, 상기 가용화제는 0.01 ~ 0.02 중량부, 및 상기 보습제는 0.005 ~ 0.01 중량부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증제, pH 조절제, 가용화제는 본원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이 스프레이형 타입의 제형으로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구성이다.
상기 점증제는 온도 및 pH 변화에 대한 안정성과 스프레이 후 피부에의 점착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점증제는 카보머(Carbomer), 세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록사머, 잔탄검, 카라기난검, 로커스트콩검, 겔란검, 폴리아크릴릭애시트(Polyacrylic acid), PAA, PAAc, 아크릴솔(Acrysol), 아큐머(Acumer), 알코스퍼스(alcosperse), 아쿠아트리트(Aquatreat), 및 소칼란(Sokalan)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점증제는 카보머(Carbomer)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카보머는 넓은 pH 영역에서도 점증효과를 가지며, 매우 투명하게 점증이 가능하고 적은 농도에서도 점증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미생물에도 안전하며 독성이나 자극성이 전혀 없고 온도에 따른 점도변화가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본원의 상기 점증제는 0.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스프레이 타입에 맞는 점증효과를 가져올 수 없으며, 0.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프레이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녹용과 율무 및 코코넛 추출물 중의 유효 성분의 피부에 대한 흡수력이 약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품의 제형 안정화 및 피부의 자극완화를 위해 사용하고, 상기 카보머와 같은 경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카보머의 산도을 중화시켜 피부 안전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트리에탄올아민),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소듐 하이드록시(sodium hydroxide),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소듐 보레이트(sodium borate), 세바식산(sebacic acid),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potassium hydroxide), 인산(phosphoric acid), 말릭산(malic acid),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magnesiumhydroxide), 마그네슘 카보네이트(magnesium carbonate), 락토바이오산(lactobionic acid), 젖산(lactic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감마 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디타놀아민(diethanolamine), 구연산(citric acid), 보레이트 (borate), 벤토익애씨드(benzoic acid),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아미노메칠프로판올(aminomethyl propanol), 아세트산 (acetic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은 pH의 조절이 용이하고 계면활성제의 역할과 유화제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여 녹용과 율무 및 코코넛 추출물 중의 유효 성분의 피부에 대한 흡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pH 조절제는 0.002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pH 조절능 미비, 수상-유상층의 미혼합, 또는 녹용과 율무 및 코코넛 추출물 중의 유효 성분의 피부에 대한 흡수력 저하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0.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본원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의 변성과 부패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트리클로산(triclosan), 소듐 설파이트(sodiumsulfite), 소듐 살리실레이트(sodium salicylate), 소듐 메타비설파이트(sodium metabisulfite), 소듐 하이드록시메틸글리시네이트(sodium hydroxymethylglycinate), 소듐 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sodium dehydroacetate),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소듐 보레이트(sodium borate), 소듐 벤토에이트(sodium benzoate), 콰테르니움-15(quaternium-15),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피토스핀고신(Phytosphingosine), 파라벤(parabens),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octyldodecyl neopentanoate), 니트로사민(nitrosamines),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메틸이소티아졸리논(methylisothiazolinone), 메틸이브로모 글루타로니트릴(methyldibromoglutaronitrile),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methylchloroisothiazolinone), 이소뷰틸파라벤(Isobutylparaben), 이오도프로피닐 뷰틸카바메이트(iodopropynyl butylcarbamate), 이미다졸리디닐 유레아(imidazolidinyl urea), 디아졸리디닐 유레아(diazolidinyl urea), 클로페네신( chlorphenesin), 클로로펜(chlorophene), 클로헥시딘(chlorhexidine), 부틸파라벤(butylparaben),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벤토익애씨드(benzoic acid), 및 벤잘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은 녹차 등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미생물, 세균 등의 증식을 억제하고 조성물의 부패를 방지하되 독성은 파라벤에 비해 약한 장점이 있다. 상기 보존제는 0.001 ~ 0.0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방부능이 미미할 수 있으며, 0. 00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자극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본원의 조성물의 유상층과 수상층을 섞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스프레이성의 효율성을 위해 사용하며,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는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Glyceryl Caprylate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GlycerylStearate ), 하이드록시스테아릴글루코사이드 ( Hydroxystearyl Glucoside ),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alcohol), 스테아레이트(stearates),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소듐 트리데세트 설페이트(sodium trideceth sulfate), 포타슘 미리스테이트(potassium myristate), 포타슘 세틸인(potassium cetylphosphate),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폴리글리세릴-2 카프레이트(polyglyceryl-2 caprate), 포스파티딜클로린(phosphatidylcholine), 펙틴(pectin), 팜산(almitic acid),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리놀레아미도프로필 PG-디모니움 클로라이드 인(Linoleamidopropyl PG-dimonium chloride phosphate), 이소헥사데케인 (isohexadecane), 하이드록시 레시틴(hydroxylated lecithin),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hydroxyethylcellulose),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glycerylmyristate), 및,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glyceryl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상기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은 피부의 자극완화의 작용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지방산, 지방 알코올 등을 섞어주는 용매제 역할,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고, 무독성인 점에서 장점이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0.01 ~ 0.0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용화제가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본원의 조성물의 유상층과 수상층의 섞임이 미흡할 수 있으며, 스프레이성의 효율성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0.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의 자극, 점착력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에 보습을 더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열의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보습제는 소듐 히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포스파티딜클로린(phosphatidylcholine), 무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 글루코사민 설페이트(glucosaminesulfate), 소듐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Sodium Lauroamphoacetate), 소듐하이드록시메칠글리시네이트(SodiumHydroxymethylglycinate), 피피지-14부틸에텔(PPG-14 Butyl Ether), 피탄트리올(Phytantriol), 및 판테친(Panteth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소듐 히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자체 무게의 약 1,800배에 해당하는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상기 보습제는 0.0028 ~ 0.003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체내 유해한 산화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활성을 향상시켜 미백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원료를 사용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무기 분말 입경의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이 미분말 ?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이 동일한 질량으로 혼합하여 (a) 무기분말의 평균입경으로 조정하여 (b) 정제수에 NaCl 1wt%를 혼합하여 30분간 분산시키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1분 이상 강하게 분산시킨 뒤 분산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 평균입경(μm) |
S1 | 0.005 |
S2 | 0.01 |
S3 | 1.23 |
S4 | 5.03 |
S5 | 9.41 |
S6 | 30.1 |
S7 | 51.7 |
2. 무기 분말의 수 분산성 평가
하기의 [표 1]에 따라 제조된 무기분말의 수분산성을 평가하여 분산성이 지속되는 정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로서, 분산성 및 지속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분산성을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분산성과 분산지속성이 우수한 것이다.
실시예 | 분산성 및 분산지속성 |
S1 | 2 |
S2 | 7 |
S3 | 8 |
S4 | 8 |
S5 | 4 |
S6 | 3 |
S7 | 1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S2 내지 S4에 의하는 경우 분산성 및 그 지속성의 정도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을 0.01 내지 5 ㎛로 유지하는 경우 수분산 제제로서 우수한 분산 및 지속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입경에 의하는 경우 쉽게 혼합될 수 있고, 상당 시간 동안 고른 분산과 분산유지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첨가제 없이도 분상성과 분산유지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형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고른 분산성으로 그 특유의 향균성 및 항염활성을 구강 전역에 고르게 미치도록 할 수 있다.
3.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의 제조
미분말 ?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의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함량을 달리하면서 하기의 [표 3]과 같이 무기분말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미분말 ?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는 평균입경이 1 내지 5μm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하고 1시간 동안 열처리 한 뒤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한편, T1과 비교할 수 있도록 무기분말에 이온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미분말 ?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을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하여 TX를 제조하였다.
T1 | T2 | T3 | T4 | T5 | T6 | T7 | T8 | T9 | |
제올라이트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가이트 | 100 | 30 | 30 | 30 | 10 | 20 | 40 | 60 | 80 |
맥반석 | 100 | - | 30 | 30 | 10 | 20 | 40 | 60 | 80 |
벤토나이트 | 100 | - | - | 30 | 10 | 20 | 40 | 60 | 80 |
규조토 | 100 | - | - | - | 30 | 50 | 75 | 100 | 125 |
게르마늄 | 100 | - | - | - | 5 | 10 | 20 | 30 | 40 |
(단위: 중량부)
4.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항염 및
향균력
평가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향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S. mutans에 대한 향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항염 활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S. mutans에 대한 향균 활성을 관하기 위하여 BHI 액체배지(Brain-Heart Infusion broth: 3.7%)에 각각 T1 내지 T9를 첨가한 후, S. mutans를 접종하여 35 내지 37℃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항온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상기 S. mutans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억제효과를 T1 내지 T9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로 나타내었으며, 그 수치가 낮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항염 활성에 대한 평가는 치주은의 염증 및 결체조직의 파괴와 연관된 인터루킨-1 (IL-1)과 종양 괴사인자(TNF-α) 수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에서 유래된 THP-1을 RPMI 1640에 10% FBS가 첨가된 배양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 뒤에 세포주에 염증유발 물질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popolysaccharide, LPS)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추출물을 동시 처리한 후, 배양액내 TNF-α의 분비량을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향염활성은 정제수를 Conrtol로 하여 그 활성 유무정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T1 | T2 | T3 | T4 | T5 | T6 | T7 | T8 | T9 | TX | |
향균력 | 98 | 111 | 108 | 98 | 89 | 66 | 68 | 63 | 88 | 174 |
함염활성 | O | O | O | O | O | O | O | O | O | X |
(단위: 지수,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T6 내지 T8에 의하는 경우 해당 범위에서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세정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 무기 재료의 상호조합에 따른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T5 내지 T9에서 S. mutans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T6 내지 T8에 의하는 경우 그 효과가 상당히 우수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TX의 경우에는 항염활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향균활성 및 항염활성을 통하여 치수조직에 유해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치수조직의 안정적인 재생활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치수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에 상당한 효과를 낼 수 있다.
5.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항산화 활성 시험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법을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온에서 30 분간 차광상태로 반응시켜 syringe filter를 하여 200 μL씩 분주한 후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율 (%)은 하기의 [계산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계산식 1]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 = 1 -(A/B) × 100
(A : 시험물질의 흡광도, B : 공시료의 흡광도)
각 실험 결과는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내었으며, SPSS 통계 프로그램(Ver. 19.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Levene`s test를 수행한 후, one way ANOVA test를 실시하여, 실험군간 유의성이 확인되면 분산의 동질성 유무에 따라 사후검정(분산이 동질한 경우, Duncan`s 다중검정, 분산이 이질한 경우, Dunnett`s T3)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T1 | T2 | T3 | T4 | T5 | T6 | T7 | T8 | T9 | TX | |
항산화 활성* | 2.8 | 3.1 | 1.4 | -2.1 | -13.4 | -22.8 | -28.5 | -32.1 | -11.5 | 31.4 |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율,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T5 내지 T9에서 유의미한 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T6 내지 T8에 의하는 경우 각 조성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6.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미백 활성
시험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n vitro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220 μL, T1 내지 TX 각 시료 40 μL, tyrosinase 20 μL 및 1.5mM tyrosine 20 μL을 순서대로 혼합하였다. 그 후 준비된 시료액을 37 ℃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49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당 tyrosinase 활성저해율을 하기의 [계산식 2]를 통하여 산출하였다.
[계산식]
tyrosinase 활성저해율 (%) = 100 - [(b-b')/(a-a')] × 100
여기에서 a는 공시료액 반응 후의 흡광도, b는 시료액 반응 후의 흡광도, a' 및 b'는 tyrosinase를 첨가하지 않고 측정한 흡광도이다.
각 실험 결과는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내었으며, SPSS 통계 프로그램(Ver. 19.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T1 | T2 | T3 | T4 | T5 | T6 | T7 | T8 | T9 | TX | |
미백 활성** | -2.2 | 1.7 | 1.4 | 7.1 | 27.4 | 54.6 | 53.3 | 53.6 | 31.2 | -13.5 |
**(Tyrosinase 활성저해율,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T5 내지 T9의 범위에서 Tyrosinase에 대한 활성이 유의미한 정도로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T6 내지 T8에 의하는 경우 Tyrosinase에 대한 저해활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T6 내지 T8의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멜라닌 합성효소인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 활성이 증진되어 높은 미백활성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7. 제1 식물추출물이 흡착된 무기분말 분산액
하기의 [표 7]과 같이 구성된 식물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T7에 따라 제조된 무기분말을 상기 식물추출물과 혼합하여 상기 무기분말에 상기 식물추출물이 흡착되도록 하였다.
한편, 하기의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나무 추출물 및 민들레 추출물은 각 살구나무, 자두나, 목화나무 및 민들레를 열수에 혼합 추출하고 여과하여 각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
살구나무 추출물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자두나무 추출물 | - | 30 | - | - | 20 | 30 | 50 | 80 | 100 |
목화나무 추출물 | - | - | 30 | - | 20 | 30 | 50 | 80 | 100 |
민들레 추출물 | - | - | - | 30 | 0.5 | 1 | 3 | 5 | 7 |
(단위: 중량부)8. 제1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무기분말에 대한 향균력 시험
상기 T7에 상기 C1 내지 C9의 식물추출물을 흡착시키고, 이를 정제수에 분산하여 각 혼합물의 향균력을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향균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
향균력 | 73 | 68 | 59 | 62 | 65 | 46 | 54 | 55 | 70 |
(단위: 지수,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C6 내지 C8에 의하는 경우 사용된 식물추출물에 따라 향균활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온 용액에 처리된 무기분발의 향균력에 대하여 상승효과를 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C6 내지 C8에서 각 식물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9. 제1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무기분말에 대한 항산화 및
미백활성
시험
상기 C1 내지 C9을 사용하여 상기 항산화 효과 및 미백활성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상술한 무기분산액에 대한 실험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9]에 나타내었다.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
항산화 활성* | -27.7 | -25.8 | -27.4 | -26.3 | -29.4 | -33.8 | -31.3 | -34.2 | -25.5 |
미백 활성** | 50.5 | 61.3 | 48.5 | 57.4 | 64.4 | 82.3 | 87.3 | 81.3 | 57.3 |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율, %)**(Tyrosinase 활성저해율, %)
상기 [표 9]를 참조하는 경우 C6 내지 C8의 혼합범위에 의하는 경우 유의미한 정도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yrosinase에 대한 저해활성 크게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기 제1 식물 추출물에 따른 추가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제2 식물추출물의 제조
상기 무기분말 T7에 식물추출물 C7을 흡착시킨 뒤 이를 하기의 [표 10]과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제2 식물추출물을 혼합하였다. 하기의 마름 추출물 및 강활 추출물은 제1 식물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열수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D1 | D2 | D3 | D4 | D5 | D6 | |
마름 추출물 | 100 | 100 | 100 | 100 | 100 | - |
강활 추출물 | - | 10 | 20 | 60 | 100 | 100 |
(단위: 중량부)
11. 제2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무기분말에 대한
향균력
시험
C7이 흡착된 T7에 상기 D1 내지 D6로 이루어진 식물추출물 혼합하고, 이에 대한 향균력을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향균력 시험와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D1 | D2 | D3 | D4 | D5 | D6 | |
향균력 | 45 | 41 | 38 | 28 | 40 | 46 |
(단위: 중량부, %)상기 [표 11]을 참조하면, 제2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대체로 향균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D3 및 D4에 의하는 경우 향균활성이 상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D3 및 D4의 조합범위에서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세정력 및 향균활성이 보다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제2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무기분말에 대한 항산화 및
미백활성
시험
상기 D1 내지 D6를 사용하여 상기 항산화 효과 및 미백활성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상술한 무기분산액에 대한 실험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D1 | D2 | D3 | D4 | D5 | D6 | |
항산화 활성* | -33.2 | -31.5 | -36.4 | -37.1 | -36.4 | -36.8 |
미백 활성** | 86.1 | 92.4 | 91.8 | 94.4 | 84.2 | 83.1 |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율, %)**(Tyrosinase 활성저해율, %)
상기 [표 12]를 참조하는 경우 D3 내지 D6에 의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이 소폭 증가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D2 내지 D4에 의하는 경우 Tyrosinase에 대한 저해활성이 소폭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3 내지 D4에 의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을 동시에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국 상기 범위에 따라 제2 식물 추출물을 활용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 및 미백활성을 더 높이게 됨으로서 보다 적은 함량을 높은 효과를 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조된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제품, 기타 외용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식품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를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가이트(shungite)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20 내지 6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미분말 게르마늄 1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된 무기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인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말은 평균입경이 0.0005 내지 30μm인 것인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살구나무 추출물, 자두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1 식물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제 3항에 있어서,
마름 추출물, 강활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2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231A KR101979279B1 (ko) | 2018-12-19 | 2018-12-19 |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5231A KR101979279B1 (ko) | 2018-12-19 | 2018-12-19 |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9279B1 true KR101979279B1 (ko) | 2019-05-16 |
Family
ID=6667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5231A KR101979279B1 (ko) | 2018-12-19 | 2018-12-19 |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927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3894B1 (ko) * | 2020-01-20 | 2021-05-18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
KR102611124B1 (ko) * | 2023-08-16 | 2023-12-07 | 한국콜마주식회사 | 글루콘산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제거 및 피부결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24Y1 (ko) * | 2005-07-27 | 2005-11-08 | 박성진 |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팩 |
KR20050108746A (ko) * | 2004-05-13 | 2005-11-17 | 학교법인 인제학원 |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KR20110130115A (ko) * | 2010-05-27 | 2011-12-05 |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강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50008609A (ko) * | 2013-07-15 | 2015-01-23 | 주식회사 떠오름 |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1708721B1 (ko) * | 2016-05-18 | 2017-02-21 | 김성현 |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
KR101713310B1 (ko) | 2016-04-07 | 2017-03-0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수내츄럴 | 익모초를 함유하는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을 위한 여성용 건강식품 조성물 |
KR20170058687A (ko) * | 2015-11-19 | 2017-05-29 | 주식회사 가온바이오 | 금 입자가 포함된 에센스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팩 |
KR101787432B1 (ko) | 2017-06-14 | 2017-10-18 | 김인숙 |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
-
2018
- 2018-12-19 KR KR1020180165231A patent/KR1019792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8746A (ko) * | 2004-05-13 | 2005-11-17 | 학교법인 인제학원 |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KR200400424Y1 (ko) * | 2005-07-27 | 2005-11-08 | 박성진 |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팩 |
KR20110130115A (ko) * | 2010-05-27 | 2011-12-05 |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강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50008609A (ko) * | 2013-07-15 | 2015-01-23 | 주식회사 떠오름 |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70058687A (ko) * | 2015-11-19 | 2017-05-29 | 주식회사 가온바이오 | 금 입자가 포함된 에센스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스크 팩 |
KR101713310B1 (ko) | 2016-04-07 | 2017-03-0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수내츄럴 | 익모초를 함유하는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을 위한 여성용 건강식품 조성물 |
KR101708721B1 (ko) * | 2016-05-18 | 2017-02-21 | 김성현 |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
KR101787432B1 (ko) | 2017-06-14 | 2017-10-18 | 김인숙 |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3894B1 (ko) * | 2020-01-20 | 2021-05-18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
KR102611124B1 (ko) * | 2023-08-16 | 2023-12-07 | 한국콜마주식회사 | 글루콘산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제거 및 피부결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2594B1 (ko) | 담수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1971022B (zh) | 组合物用于防止或减缓炎症迹象出现的用途 | |
KR101928386B1 (ko) |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 |
KR101569431B1 (ko) |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일라이트 용출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6 단계로 관리 개선하는 방법 | |
KR102363238B1 (ko) | 해조류 혼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79279B1 (ko) |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55342B1 (ko) | 초정 광천수를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 |
KR101869971B1 (ko) | 천연 추출물 및 천연 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91826B1 (ko) | 세정 및 향균용 섬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84759B1 (ko) | 어류 양식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47833B1 (ko) |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890070B1 (ko) |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 |
KR101405160B1 (ko) | 수용성 규산염과 녹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미용수 제조방법 | |
JP6850732B2 (ja) | 紅藻アクロカエティウム・モニリフォルメ(Acrochaetium moniliforme)の細胞を培養するための方法、そのバイオマスの抽出物を得るための方法および化粧料におけるその使用 | |
KR20160119967A (ko) |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8571B1 (ko) |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 |
KR101777799B1 (ko) | 국화 숙성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 |
KR101978348B1 (ko) | 세정용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33075B1 (ko) | 민물장어 양식용 사료 첨가제 | |
KR102001851B1 (ko) | 의치 세정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치세정제 | |
KR20150116504A (ko) | 티트리 추출물 및 소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253894B1 (ko) | 규조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 |
KR101571384B1 (ko) | 쌀 캘러스 및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크서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CN111936208B (zh) | 组合物用于防止或减缓与过量皮脂的存在相关的不美观迹象出现的用途 | |
KR101991833B1 (ko) | 치과 및 의료기구 세정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