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721B1 -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721B1
KR101708721B1 KR1020160060871A KR20160060871A KR101708721B1 KR 101708721 B1 KR101708721 B1 KR 101708721B1 KR 1020160060871 A KR1020160060871 A KR 1020160060871A KR 20160060871 A KR20160060871 A KR 20160060871A KR 101708721 B1 KR101708721 B1 KR 101708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extract
powder
bath age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김우곤
김정자
Original Assignee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102016006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면서, 인체의 건강에 유용한 원적외선의 방출과, 항균 및 항산화 기능성이 뛰어난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METHOD FOR MANUFACTURING BATH AGENT IMPROVING FAR-INFRARED EMISSION AND ANTIBIOTIC AND THE BATH AGENT MADE THEREFROM}
본 발명은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면서, 인체의 건강에 유용한 원적외선의 방출과, 항균 및 항산화 기능성이 뛰어난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욕용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1-0018010(공개일자 1991.11.3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5-0005299(공개일자 1995.03.20) '목욕제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02327(공개일자 2009.01.29)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늘날 목욕용제는 거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피부에 유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세정제로 인한 하천의 오염 등 이차 피해가 있었다.
이러한 피부 및 환경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근래에 인삼 등의 식물성 원료, 맥반석 등의 광물성 원료 등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목욕용제를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나 역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다기능 목욕용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을 대한민국 특허청에 2000년 09월 16일자에 출원(출원번호 10-2000-0054526)하여 2003년 01월 08일자에 등록(등록번호 10-0368914)받은 바 있다.
본 발명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수요자들의 건강과 미용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원적외선 방출기능, 항균, 항산화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 인체의 건강과 피부미용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1-0018010(공개일자 1991.11.3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5-0005299(공개일자 1995.03.2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02327(공개일자 2009.01.29)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368914(등록일자 2003.01.08)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출 기능성을 갖는 광물질과, 항산화 및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천연 발효추출물과, 항균 및 항산화 기능성이 뛰어난 산수유나무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 기능, 항균 및 항산화기능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맥반석, 운모, 규석, 옥, 게르마늄을 각각 분쇄하여 300~400mesh의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S10)와,
상기 맥반석 10~50wt%와, 운모 10~50wt%와, 규석 10~50wt%와, 옥 10~50wt%와, 게르마늄 10~50wt%를 혼합하여 광물혼합분말을 조성하는 단계(S20)와,
상기 광물혼합분말을 물에 넣고 교반, 건조하여 목욕용제용 파우더를 조성하는 단계(S30)와,
상기 목욕용제용 파우더 70~80wt%와, 무수탄산나트륨 20~30wt%를 300~650℃의 물에 넣어 교반, 용해시켜 액상화물을 조성하는 단계(S40)와,
이전 단계(S10~S40)와 별도의 공정으로서, 항균,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재료를 추출한 후 발효시켜 천연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50)와,
상기 액상화물; 상기 천연 발효추출물; 동백 오일(Camelli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팜 오일(Palm oil); 코코넛 오일(Coconut oil), 시어버터(Shea butter);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정제수(Purified Water); 레몬그라스(Lemongrass); 티트리(Tea tree); 산수유나무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를 혼합한 후 금형기에 주입하여 급냉하고 4~6주 동안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건조하는 단계(S60)를 거쳐 이루어지는 원적외선,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서,
맥반석 10~50wt%와, 운모 10~50wt%와, 규석 10~50wt%와, 옥 10~50wt%와, 게르마늄 10~50wt%를 혼합하여 조성된 광물혼합분말을 조성하고,
상기 조성된 광물혼합분말과 물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건조하여 목욕용제용 파우더를 조성하고,
상기 목욕용제용 파우더 70~80wt%와, 무수탄산나트륨 20~3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액상화물(A)에서 취한 50~80wt%;
약쑥, 황금, 황련, 황백, 어성초, 바위솔, 창출, 반하, 양제근의 식물혼합물을 발효시킨 후 추출한 천연 발효추출물(B) 5~10wt%;
동백 오일(Camellia oil)(C) 0.1~5wt%;
올리브 오일(Olive oil)(D) 0.1~5wt%;
팜 오일(Palm oil)(E) 0.1~5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F) 0.1~5wt%,
시어버터(Shea butter)(G) 0.1~2wt%;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H) 5~10wt%;
정제수(Purified Water)(I) 1~10wt%;
레몬그라스(Lemongrass)(J) 0.01~0.2wt%;
티트리(Tea tree)(K) 0.01~0.2wt%;
산수유나무 추출물(L) 1~3wt%;
사자발쑥 추출물(M) 1~3wt%;
어성초 추출물(N) 1~3wt%;의 혼합(A+B+C+D+E+F+G+H+I+J+K+L+M+N)으로 조성된 원적외선, 항균 기능성을 강화시킨 목욕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욕용제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원적외선에 의한 생체성장의 효과, 피부 조직 내로 원적외선 흡수에 의한 온열효과, 피부 혈류량의 증가, 자율 신경계의 균형 촉진, 뇌파의 안정유지 효과를 줄 수 있어 인체의 건강 및 미용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항균 및 항산화 기능성을 갖는 천연 발효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욕용제는 기본적인 청결 및 세척 기능 외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인체의 건강과 피부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기능성의 목욕용제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은,
맥반석, 운모, 규석, 옥, 게르마늄을 각각 분쇄하여 300~400mesh의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S10)와,
상기 맥반석 10~50wt%와, 운모 10~50wt%와, 규석 10~50wt%와, 옥 10~50wt%와, 게르마늄 10~50wt%를 혼합하여 광물혼합분말을 조성하는 단계(S20)와,
상기 광물혼합분말을 물에 넣고 교반, 건조하여 목욕용제용 파우더를 조성하는 단계(S30)와,
상기 목욕용제용 파우더 70~80wt%와, 무수탄산나트륨 20~30wt%를 300~650℃의 물에 넣어 교반, 용해시켜 액상화물을 조성하는 단계(S40)와,
이전 단계(S10~S40)와 별도의 공정으로서, 항균,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재료를 추출한 후 발효시켜 천연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50)와,
상기 액상화물; 상기 천연 발효추출물; 동백 오일(Camelli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팜 오일(Palm oil); 코코넛 오일(Coconut oil), 시어버터(Shea butter);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정제수(Purified Water); 레몬그라스(Lemongrass); 티트리(Tea tree); 산수유나무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을 혼합한 후 금형기에 주입하여 급냉하고 4~6주 동안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건조하는 목욕용제 완성단계(S60)를 거쳐 이루어진다.
< 광물분말 제조단계( S10 ) >
본 단계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맥반석, 운모, 규석, 옥, 게르마늄을 각각 분쇄하여 300~400mesh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광물의 분쇄는 볼밀에 의해 이루어지며, 광물별로 개별 분쇄과정을 거친다.
상기 분쇄는 구체적인 예로서, 분쇄기 내에 2kg의 볼밀을 1/3로 채운 후, 광물과 물의 비율이 1:1~1.3이 되도록 분쇄한다. 이때 분쇄시간은 광물에 따라 12시간~24시간 범위 내로 한정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규석은 24시간 동안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 후에는 체가름을 하고, 남은 불순물과 잔사분은 제거한 후에 건조한다.
< 광물혼합분말 조성단계( S20 ) >
본 단계는 전단계(S10)에서 제조된 300~400mesh의 광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로서, 맥반석 10~50wt%와, 운모 10~50wt%와, 규석 10~50wt%와, 옥 10~50wt%와, 게르마늄 10~50wt%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광물혼합분말을 조성한다.
상기 광물들은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이때 원적외선이란 파장이 4㎛ 이상인 적외선으로서, 적외선 중 파장이 긴 것을 말한다.
적외선은 가시광선의 적색 영역보다 파장이 길어 열 작용이 큰 전자파의 일종으로, 눈에 보이지 않고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작용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세포를 구성하는 단백질 분자에 닿게 되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 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의 각종 성인병 예방의 효과가 있다.
이 밖에도 발한작용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제거, 숙면, 탈취, 항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어 건축자재, 주방기구, 의류, 침구류, 찜질방 등 여러 분야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맥반석은 원적외선 방출 외에, 흡착작용이 강한 광물로서, Cd, Hg 등의 중금속과 대장균, 방사성 물질을 흡착한다. 또한 맥반석 중에 함유된 Mg, Fe, Mn, Al, Si, Ca 등의 미네랄 성분은 물속에 용출되어 인체에 이롭게 한다. 그 예로서 이뇨작용의 촉진, 간장을 보호한다.
상기 운모(mica)는 라틴어의 micre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Sparkel, Glisten, Glimmer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복잡한 알루미노 규산염 광물의 속명이다. 운모 또한 맥반석과 같은 강한 흡착성을 갖는다.
상기 규석은 이산화규소(SiO2) 성분이 주로 포함된 석영 알갱이 모래이다. 규석(Silicate)의 순도는 99.9%로서 가장 순수한 성분이며 미네랄 함유가 풍부하다. 규석 성분은 안정된 원적외선 육성 광선을 발산한다.
상기 규석은 4~14㎛ 범위 내에서 육성 광선 파장을 일으켜 복사 전자파는 물론 특성 흡수 작용 및 심달 작용으로 인체 내에 유익한 공명을 띄운다.
상기 옥은 인체에 필수 광물인 미네랄(M, Ca, Fe, Al)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특히 마그네슘은 우리 인체의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과 상호 공명증진작용을 하며, 옥에서 나오는 에너지는 혈액순환증진, 혈액의 약 알칼리성, 체내의 유해물질 배설 등에 영향을 미쳐 인체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준다.
상기 게르마늄은 탄소를 함유하지 않은 무기게르마늄과 탄소를 함유하며 생체안에서 생명력에 의하여 만들어진 유기게르마늄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무기 게르마늄은 Ge 및 GeO2가 대표적이며, 유기게르마늄으로는 Ge-132, spirogermanium, proxi-germanium이 대표적이다.
원적외선 방사율 93%의 복사열, 온열작용과 공명 흡수작용으로 인한 생체 활성화 효능이 있다. 또한 주의의 습도 조절을 자연스럽게 조절해준다.
이외에 노폐물 배츨 효능, 중화 및 탈취 효능, 피부미용 효능, 온, 습도 조절 효능이 있다.
상기 광물혼합분말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공통되는 특징 외에, 각기 다른 효능을 갖는 광물들을 혼합함으로써, 목욕용제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켜 준다.
따라서 단독 광물을 사용하는 것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배합비로 혼합조성된 광물혼합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목욕용제용 파우더 제조단계( S30 ) >
본 단계는 전 단계(S20)의 광물혼합분말을 물에 넣고 교반, 건조하여 목욕용제용 파우더를 조성하는 단계(S30)이다.
본 단계는 광물혼합분말과 물을 동 중량비율로 하여, 소성기에 넣고, 150~170℃의 고온에서 1시간~2시간 동안 교반,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이와 같이 수분을 제거한 것을 400~800℃의 건조기에 투입하여 2시간~3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광물로 이루어진 목욕용제용 파우더가 제조된다.
< 액상화물 조성단계( S40 ) >
본 단계는 목욕용제용 파우더 70~80wt%와, 무수탄산나트륨 20~30wt%를 300~650℃의 물에 넣어 교반, 용해시켜 액상화물을 조성한다.
상기 목욕용제용 파우더의 사용량이 70wt% 미만인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출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8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무수탄산나트륨의 양이 줄어들어 세척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목욕용제용 파우더의 사용량은 액상화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70~8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수탄산나트륨의 사용량이 20wt% 미만인 경우에는 세척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목욕용제용 파우더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원적외선 방출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무수탄산나트륨의 사용량은 액상화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20~3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천연 발효추출물 제조 단계( S50 ) >
본 단계는 목욕용제의 항산화기능과 항균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천연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천연 발효추출물은 약쑥, 황금, 황련, 황백, 어성초, 바위솔, 창출, 반하, 양제근의 식물혼합물을 발효시킨 후, 환류추출기에 증류수 1,000㎖와 함께 넣은 뒤 탕액이 끓는 시점으로부터 130~180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필터 페이퍼(filter paper)로 감압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여과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얻은 후, 상기 동결건조물을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식물혼합물은 약쑥 1~80wt%, 황금 1~80wt%, 황련 1~80wt%, 황백 1~80wt%, 어성초 1~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혼합물 20~80wt%;
바위솔 1~80wt%, 창출 1~80wt%, 반하 1~80wt%, 양제근 1~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혼합물 20~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식물혼합물 중 제1혼합물은 약쑥, 황금, 황련, 황백, 어성초의 혼합을 통해 항균 기능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혼합물이며,
상기 식물혼합물 중 제2혼합물은 바위솔, 창출, 반하, 양제근의 혼합을 통해 항산화 기능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혼합물이다.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의 배합비율은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이 적절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시된 배합비를 벗어날 경우에는 항균성 또는 항산화 기능 중 일부의 기능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시된 배합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쑥(Artemisia spp.)은 식물분류학상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약쑥은 활성산소종(ROS)인 superoxide anion(O2), hydroxy radical(OH), hydrogen peroxide(H2O2), nitric oxide(NO) 소거능력이 뛰어나다.
상기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식물분류학상 속씨식물계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꿀풀과 골무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황금의 뿌리에는 baicalein, baicalin, wogonin, acteoside와 같은 flavonoid계와 wogonoside, neobaicalein, oroxylin, oroxylin A, skullcapflavone, dihydrooroxylin A, chrysin, stigmasterol, β-sitosterol 등 생리활성 성분이 있으며, 이들 성분이 free radical 제거 및 항산화 활성 뿐만 아니라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균, 항알레르기, 항염증, 이뇨, 답즙배출, 항경련, 고혈압저하 및 해열작용은 물로 중추신경계와 지질대사 등의 다양한 약리효과를 나타낸다. 황금은 항균작용이 뛰어나, 이를 바탕으로 천연의약품, 천연화장품뿐만 아니라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천연항균제, 친환경농업자재로 이용된다.
상기 황련(Coptis spp.)은 식물분류학상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상록 여러해살이 풀이다. 황련에서 추출한 alkaloid의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은 berberine, coptisine, palmartine 순서로 우수하다. 또한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와 Propionibacterium acnes등에 대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상기 황백은 황벽나무의 나무껍질로서, 황벽나무는 식물분류학상 속씨식물문쌍떡잎식물강 쥐눈이풀목 운향과의 낙엽 교목이다. 황백은 항균활성이 뛰어난 약용식물이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식물분류학상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후추목 삼백초과 약모밀속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주요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유도체인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itrin, reynoutrin, hyperin, rut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에는 decanoyl acetaldehyde, methyl nonylketone, laurinaldehyde, myrcene, caryophyllene, bornyl ace, 알파-pinene, 베타-pinene, limonene 등이 있다.
상기 바위솔(Orostachys japonicus)은 돌나무과(Crass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기와지붕이나 산위의 바위에서 자라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채취를 하며 뿌리를 제거한 전초를 햇볕에 말려 약용으로 사용한다.
상기 창출(Atractylodes rizoma)은 국화과에 속하는 것으로서 삽주의 건조된 근경을 의미한다. 수 및 방사조직 속에는 피부와 같은 기름세포가 있고 유세포 속에는 이눌린의 구정 및 수산칼슘의 침상정이 있다.
상기 반하(Pinellia ternata)는 끼무릇(Pinellia ternia Tenore et Breitenbach)에서 기원, 밭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거담, 진해 등의 효능이 있어 구토, 설사에 사용한다.
상기 양제근(Rumex japonicus)은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Rumex속 식물로 국내에 자생되고 있다.
상기 발효는 식물 발효 전에 유산균, 효모균 등은 4% 알파-herbzyme 효소를 항온수조에서 40℃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여 사용하고,
바실러스균, 곰팡이균 등은 알파-herbzyme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약용식물을 사용한다.
약용식물의 멸균조건은 121℃에서, 20분간 수행한다. 효소를 처리한 후의 발효조건으로 유산균은 37℃, 3일간 정치 배양하며, 효모균은 30℃, 3일간 정치 배양한다.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바실러스균은 37℃, 3일간 100rpm으로 진탕배양하며, 곰팡이균은 30℃, 3일간 정치배양한다.
그리고 발효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추출물 수득 방법으로는,
발효식물 10g을 정확하게 중량을 측정한 뒤 환류추출기에 1차 증류수 1,000㎖와 함께 넣은 뒤 탕액이 끓는 시점으로부터 150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filter paper(Advantec No.2, Japan)로 감압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얻는다. 그리고 이 농축액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분말을 시료로 사용한다.
< 목욕용제 완성단계( S60 ) >
본 단계는 최종적으로 목욕용제를 완성하는 단계로서,
액상화물; 상기 천연 발효추출물; 동백 오일(Camelli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팜 오일(Palm oil); 코코넛 오일(Coconut oil), 시어버터(Shea butter);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정제수(Purified Water); 레몬그라스(Lemongrass); 티트리(Tea tree); 산수유나무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를 혼합한 후 금형기에 주입하여 급냉하고 4~6주 동안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목욕용제를 완성한다.
이때, 목욕용제를 구성하는 성분들의 배합은,
액상화물 50~80wt%;
천연 발효추출물(B) 5~10wt%;
동백 오일(Camellia oil)(C) 0.1~5wt%;
올리브 오일(Olive oil)(D) 0.1~5wt%;
팜 오일(Palm oil)(E) 0.1~5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F) 0.1~5wt%,
시어버터(Shea butter)(G) 0.1~2wt%;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H) 5~10wt%;
정제수(Purified Water)(I) 1~10wt%;
레몬그라스(Lemongrass)(J) 0.01~0.2wt%;
티트리(Tea tree)(K) 0.01~0.2wt%;
산수유나무 추출물(L) 1~3wt%;
사자발쑥 추출물(M) 1~3wt%;
어성초 추출물(N) 1~3wt%;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상화물은 원적외선 방출기능성 및 세척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50wt% 미만인 경우에는 원적외선 방출 및 세척기능성이 떨어지고, 8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항균, 항산화기능성이 떨어지고, 또한 단가의 상승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액상화물의 사용량은 50~8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발효추출물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 항산화 기능성이 떨어지고, 1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항균, 항산화 기능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천연 발효추출물의 사용량은 5~1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백 오일(Camelli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팜 오일(Palm oil), 코코넛 오일(Coconut oil)은 각 오일별로 기능성이 부여된다.
상기 동백 오일은 흡착효과, 수반증발억제 효과, 자외선 방지 효과 등을 부여하고,
상기 올리브 오일의 경우 피부보습에 효과적이며,
상기 팜 오일은 비누 등의 고형의 목욕용제를 제조할 경우 비누를 단단하고 쉽게 무르지 않게 하며, 거품을 풍부하게 발생시키고 지속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코코넛 오일은 pH를 낮추어 피부자극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일 성분들은 이와 같은 기능성 들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상기 제시된 범위 내에서 사용하여 다른 성분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제 기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어버터(Shea butter)는 피부보습제, 연화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0.1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보습 기능이 떨어지고, 2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피부보습 기능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무의미하므로, 상기 시어버터(Shea butter)의 사용량은 0.1~2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은 지방산(ROOCH)과 화학반응으로 비누(RCOONa)와 물(H2O) 두 물질을 생성하고, 부산물로 글리세린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상기 정제수(Purified Water)는 수산화나트튬을 녹이는데 필요한 물로서 지방산과의 반응을 돕기 위해 수산화나트륨을 물에 녹여 Na+와 OH- 이온상태로 해리한다.
상기 수산화나트륨과 정제수는 상기 제시된 범위 내에서 사용하여, 지방산과의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몬그라스(Lemongrass)와 티트리(Tea tree)는 첨가물이다.
상기 레몬그라스는 레몬 향이 나는 허브이다. 향기의 주성분은 레몬과 같은 '시트랄(Citral)'로 정유의 70~80%를 차지한다. 레몬그라스의 정유는 약품, 향수, 비누, 린스, 캔디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티트리는 박테리아성 감염이나 진균감염, 혐기성 세균감염에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은 항균성의 활성은 terpineol-4과 p-cymene에서 기인한다.
상기 레몬그라스와 티트리는 상기 제시된 기능성이 발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시된 배합비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수유 추출물은 꽃:잎:열매를 1:1: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이와 같이 조성된 혼합물을 50배(W/V)의 증류수(D.W.)에 첨가하여 37℃에서 200rpm으로 1~48시간 동안 진탕하여 추출하고,
추출하여 얻어진 용액을 필터(Waterman filter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을 회전증발농축기(Rotavapor R-210, BUCHI Labortechnik AG, Switzerland)로 농축하고, 농축한 것을 동결건조기freezing dryer FD5508, IlshinLabCo. Ltd.,Korea)로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한다.
이때 동결건조 분말은 -20℃ 이하에서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상기 사자발쑥 추출물은 건조한 사자발쑥을 10~15배 부피비의 물에 완전히 현탄시킨 후 100℃에서 환류기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추출과정에서 수득한 증류액을 진공농축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어성초에 10배 중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25℃의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상층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고,
추출하여 얻어진 용액을 필터(Waterman filter No.2)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을 회전증발농축기(Rotavapor R-210, BUCHI Labortechnik AG, Switzerland)로 농축하고, 농축한 것을 동결건조기freezing dryer FD5508, IlshinLabCo. Ltd.,Korea)로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산수유나무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은 항균, 항산화 기능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천연 발효추출물 외에 추가로 첨가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wt%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 항산화 기능성이 떨어지고, 3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비용 대비 항균, 항산화 기능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산수유나무 추출물, 사자발쑥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은 각각 1~3wt%의 배합비의 범위 내에서 사용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목욕용제는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원적외선과 항산화, 항균 기능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피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분쇄기 내에 2kg의 볼밀을 1/3 채운 후, 광물과 물의 비율이 1:1~1.3이 되도록 하여, 맥반석, 운모, 규석, 옥, 게르마늄을 각각 12~24시간 동안 분쇄하여 300~400mesh의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S10)와,
    상기 맥반석 10~50wt%와, 운모 10~50wt%와, 규석 10~50wt%와, 옥 10~50wt%와, 게르마늄 10~50wt%를 혼합하여 광물혼합분말을 조성하는 단계(S20)와,
    상기 광물혼합분말과 물을 1:1 중량비율로 하여, 소성기에 넣고 150~170℃의 고온에서 1시간~2시간 동안 교반,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을 제거한 것을 400~800℃의 건조기에 투입하여 2시간~3시간 동안 건조하여 목욕용제용 파우더를 조성하는 단계(S30)와,
    상기 목욕용제용 파우더 70~80wt%와, 무수탄산나트륨 20~30wt%를 300~650℃의 물에 넣어 교반, 용해시켜 액상화물을 조성하는 단계(S40)와,
    이전 단계(S10~S40)와 별도의 공정으로서, 항균,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재료를 추출한 후 발효시켜 천연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50)와,
    상기 액상화물(A) 50~80wt%; 상기 천연 발효추출물(B) 5~10wt%; 동백 오일(Camellia oil)(C) 0.1~5wt%; 올리브 오일(Olive oil)(D) 0.1~5wt%; 팜 오일(Palm oil)(E) 0.1~5wt%; 코코넛 오일(Coconut oil)(F) 0.1~5wt%; 시어버터(Shea butter)(G) 0.1~2wt%;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H) 5~10wt%; 정제수(Purified Water)(I) 1~10wt%; 레몬그라스(Lemongrass)(J) 0.01~0.2wt%; 티트리(Tea tree)(K) 0.01~0.2wt%; 산수유나무 추출물(L) 1~3wt%; 사자발쑥 추출물(M) 1~3wt%; 어성초 추출물(N) 1~3wt%;을 혼합(A+B+C+D+E+F+G+H+I+J+K+L+M+N)한 후 금형기에 주입하여 급냉하고 4~6주 동안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건조하는 단계(S60)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천연 발효추출물은 약쑥, 황금, 황련, 황백, 어성초, 바위솔, 창출, 반하, 양제근의 식물혼합물을 발효시킨 후, 환류추출기에 증류수 1,000㎖와 함께 넣은 뒤 탕액이 끓는 시점으로부터 130~180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필터 페이퍼(filter paper)로 감압 여과하여 여과액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여과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얻은 후, 상기 동결건조물을 분쇄하여 제조된 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항균 기능성을 강화시킨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식물혼합물은 약쑥 1~80wt%, 황금 1~80wt%, 황련 1~80wt%, 황백 1~80wt%, 어성초 1~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혼합물 20~80wt%;
    바위솔 1~80wt%, 창출 1~80wt%, 반하 1~80wt%, 양제근 1~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혼합물 20~8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항균 기능성을 강화시킨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산수유 추출물은,
    꽃:잎:열매를 1:1:1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이와 같이 조성된 혼합물을 50배(W/V)의 증류수(D.W.)에 첨가하여 37℃에서 200rpm으로 1~48시간 동안 진탕하여 추출하고,
    추출하여 얻어진 용액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을 회전증발농축기로 농축하고,
    농축한 것을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항균 기능성을 강화시킨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60060871A 2016-05-18 2016-05-18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KR101708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871A KR101708721B1 (ko) 2016-05-18 2016-05-18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871A KR101708721B1 (ko) 2016-05-18 2016-05-18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721B1 true KR101708721B1 (ko) 2017-02-21

Family

ID=5831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871A KR101708721B1 (ko) 2016-05-18 2016-05-18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7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79B1 (ko) * 2018-12-19 2019-05-16 성보경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7376A (ko) * 2021-01-25 2022-08-02 (주)더부움 항균, 항염, 항산화 또는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010A (ko) 1990-04-06 1991-11-30 변정욱 목욕용 액상세제 조성물
KR950005299A (ko) 1993-08-20 1995-03-20 안드리아 엘 콜비 목욕제 조성물
JPH092936A (ja) * 1995-06-19 1997-01-07 Tsumura & Co 浴用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368914B1 (ko) 2000-09-16 2003-01-24 김정자 다기능 목욕용재의 제조방법
KR20050046025A (ko) * 2003-11-13 2005-05-18 이경록 자가 발열 피부 활성 화장료 분말 조성물
KR20090002327A (ko) 2007-06-28 2009-01-09 황성규 스프레이 및 거품 분사 가능한 워터리스 목욕제
KR20110096102A (ko) * 2010-02-12 2011-08-2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4097961A (ja) * 2012-11-15 2014-05-29 Kao Corp 粉末状浴用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010A (ko) 1990-04-06 1991-11-30 변정욱 목욕용 액상세제 조성물
KR950005299A (ko) 1993-08-20 1995-03-20 안드리아 엘 콜비 목욕제 조성물
JPH092936A (ja) * 1995-06-19 1997-01-07 Tsumura & Co 浴用剤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368914B1 (ko) 2000-09-16 2003-01-24 김정자 다기능 목욕용재의 제조방법
KR20050046025A (ko) * 2003-11-13 2005-05-18 이경록 자가 발열 피부 활성 화장료 분말 조성물
KR20090002327A (ko) 2007-06-28 2009-01-09 황성규 스프레이 및 거품 분사 가능한 워터리스 목욕제
KR20110096102A (ko) * 2010-02-12 2011-08-2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4097961A (ja) * 2012-11-15 2014-05-29 Kao Corp 粉末状浴用剤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79B1 (ko) * 2018-12-19 2019-05-16 성보경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7376A (ko) * 2021-01-25 2022-08-02 (주)더부움 항균, 항염, 항산화 또는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1720B1 (ko) 2021-01-25 2022-10-11 (주)더부움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675B1 (ko) 황토 지장수가 함유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8026B1 (ko)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CN104586727A (zh) 一种植物与茶油防辐射补水液
CN102578167B (zh) 一种防治烟草青枯病的中药及其制备方法
KR101708721B1 (ko) 원적외선 방출과 항균 기능성이 뛰어난 목욕용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목욕용제
US20110293760A1 (en) Method for extracting substances from soapberry fruit and seed and products made therefrom
CN101347396A (zh) 含有植物提取物的洗面乳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20110062214A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CN106038378A (zh) 一种母婴用压缩干巾及其制备方法
US20130130329A1 (en) Method for extracting substances from soapberry fruit and its seeds
CN104490702A (zh) 以植物提取物为防腐杀菌添加剂的草本面膜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440965A (zh) 一种深层净化洗面奶
CN107494905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制备方法
KR20170117841A (ko) 돌분말과 숯분말로부터 얻은 정제수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11746A (ko) 천연효소 및 미생물이 담지된 광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제
KR102269577B1 (ko)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CN107854644A (zh) 利用红豆杉生产抗菌消毒止血类产品的方法
KR20140136260A (ko) 입욕제 조성물
CN1136776C (zh) 超微粉体植物杀虫剂的制备方法
KR101295405B1 (ko) 세라믹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