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577B1 -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577B1
KR102269577B1 KR1020210058458A KR20210058458A KR102269577B1 KR 102269577 B1 KR102269577 B1 KR 102269577B1 KR 1020210058458 A KR1020210058458 A KR 1020210058458A KR 20210058458 A KR20210058458 A KR 20210058458A KR 102269577 B1 KR102269577 B1 KR 102269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composition
mixture
soa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은택
박미자
Original Assignee
고은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은택 filed Critical 고은택
Priority to KR102021005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08Water-soluble compounds
    • C11D9/10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지방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지방산 혼합물에 가성소다수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 글리세린 및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Functional soap comprising functional complex composition for improving function of anti-bacterial, sterilization and skin soothing, and irradiating far-infrared rays and negative 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을 위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와 함께 항균 효과 강화를 위한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각종 동물성 유지 또는 식물성 유지를 수산화나트륨(즉, 가성소다)으로 비누화 반응(saponification)시켜서 비누 베이스(soap base)를 제조한 후, 필요에 따라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한 향 또는 피부의 보습성, 윤활성을 위한 유연제나 보습제 등의 여러 가지 첨가제를 추가로 배합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와 제조되는 비누는 주로 얼굴이나 몸의 피부에 묻은 오염이나 이물질을 세정하는 역할로 이용되어 왔으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피부미용이 부각되는 최근에는 피부의 청결유지 기능과 더불어 보습, 미백, 항균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기능성 비누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살균 소독을 위해 크레졸을 첨가한 비누액도 판매되고 있으며, 기능성 비누 중 일부는 원적외선의 혈액순환 등의 효과를 첨가한 원적외선 성분을 첨가한 원적외선 비누도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비누들은 모두다 피부의 각종 질환개선에 도움을 주거나 미용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이 있지만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원적외선을 방사한다고 하는 게르마늄 비누 등이 있지만 실제로 게르마늄이나 토르마린을 이용하여 만든 비누는 온도가 37℃ 이상이 되어야만 원적외선이 효과적으로 방사가 되어진다. 그러므로 상온에서는 비누에서의 원적외선의 방사로 인한 각종 효과는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비누의 제조 과정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화학 용제, 예컨대 프로필렌글라이콜(PG), 트리에탄올아민(TEA), 에탄올, 설페이트류 등의 사용으로 인해 피부 자극이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해, 최근 고도의 산업화로 인한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소인 미세먼지에 의한 알레르기나 인스턴트식품의 지나친 섭취로 인한 인체 영양소의 불균형, 콘크리트로 지어진 아파트 내의 인공벽지, 침대, 카펫, 소파 등의 주거공간에 노출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유발시키는 알레르겐(allergen) 물질의 증가로 인한 유전적인 요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 이상 등의 원인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건조증, 피부진균루증 등과 같은 각종 피부질환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피부로부터 생성되는 노폐물과 피부에 잔존하는 화장품 및 각종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세정력의 확보는 물론, 피부질환 예방을 위한 항균 및 살균 기능과 피부 트러블 완화 또는 예방을 위한 피부진정 기능, 그리고 혈액순환촉진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비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169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을 위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은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지방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지방산 혼합물에 가성소다수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 글리세린 및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추출된 미네랄 성분 및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으로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수용액,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추출 혼합물, 및 미네랄 솔트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발효 처리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수득한 기능성 광물 분말, 및 바나듐(V), 팔라듐(Pd), 백금(Pt)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금속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숙성 처리하여 제조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를 포함하는 원료 광물을 소성 분쇄하여 상기 베이스 광물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광물 분말에 정제수,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으로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식물 재료, 및 알코올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베이스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가열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가열 공정이 수행된 베이스 혼합 조성물로부터 상기 기능성 광물 분말 및 상기 기능성 수용액을 각각 수득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수용액에 정제수,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추출 혼합물 및 미네랄 솔트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에 EM 원액을 첨가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혼합 조성물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이 1:0.2~0.4:0.2~0.4:0.1~0.2의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광물 분말 20 내지 30 중량%,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으로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이 1:0.5~1:0.2~0.4: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식물 재료 10 내지 20 중량%, 알코올 10 내지 2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베이스 혼합 조성물의 가열 공정은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기능성 수용액 30 내지 40 중량%,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1:0.5~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추출 혼합물 10 내지 15 중량%, 미네랄 솔트 1 내지 5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혼합물은 상기 기능성 광물 분말 25 내지 40 중량%, 상기 금속 첨가제 3 내지 5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되고, 상기 제2 혼합물의 숙성 처리는 상기 제2 혼합물에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고 40 내지 50 ℃의 온도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은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 포함된 지방산 혼합물 100 중량부당 글리세린 100 내지 150 중량부를 첨가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은 상기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포함된 지방산 혼합물 100 중량부당 상기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능성 비누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추출된 미네랄 성분과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수용액,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추출 혼합물 및 미네랄 솔트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발효 처리하여 제조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함과 더불어, 베이스 광물 분말을 정제하여 수득한 기능성 광물 분말 및 바나듐(V), 팔라듐(Pd), 백금(Pt)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금속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숙성 처리하여 제조된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함에 따라, 피부 진정 및 피부 트러블 예방 효과의 증대는 물론 항균 및 살균 기능이 향상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통한 피부온도 상승, 혈관확장, 혈액순환촉진, 세포활성화 등의 작용, 대사기능 촉진 등의 효과가 강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부로부터 생성되는 노폐물과 피부에 잔존하는 화장품 및 각종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세정력의 확보는 물론, 피부질환 예방을 위한 항균 및 살균 기능과 피부 트러블 완화 또는 예방을 위한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혈액순환촉진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비누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복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은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지방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지방산 혼합물에 가성소다수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비누화 반응이 수행된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 글리세린 및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0),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40) 및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50).
먼저,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지방산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S10).
포화지방산은 스테아릭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및 라우르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화지방산은 비누의 거품발생 및 보습 효과를 위한 것으로, 스테아릭산은 비누의 경화성을 향상시키고, 팔미틱산은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미리스틱산은 잔거품의 발생을 유도하고, 라우릭산은 굵은 거품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불포화 지방산은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포도씨 오일 중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불포화지방산은 피부 세척을 위한 것으로서, 올리브 오일 및 포도씨 오일은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며, 피마자 오일은 우수한 보습 효과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방산 혼합물은 스테아릭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및 라우르산이 1:0.5~1:0.5~1: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포화지방산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포도씨 오일이 1:0.5~1: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불포화 지방산을 혼합하고,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은 1:0.5~0.8의 중량비로 지방산 혼합물에 포함될 수 있다.
지방산 혼합물에 가성소다수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비누화 반응이 수행된 비누 베이스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S20).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혼합물에 가성소다와 정제수가 혼합된 가성소다수를 첨가하면, 포화지방산과 식물성 오일의 불포화지방산 간의 비누화가 진행될 수 있다. 비누화 반응을 위한 교반은 트레이스(trace) 발생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트레이스가 발생하면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산의 비누화가 충분히(예컨대, 90% 이상)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비누화를 위해 필요한 가성소다의 양은 공지된 비누화 값을 이용하여 사용된 오일의 양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 글리세린 및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S30).
글리세린은 글리세롤이라고도 지칭되며, 천연 보습제로서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린은 비누공장에서 대량의 비누를 생산하기 위해 유지를 가수분해하면 지방산과 글리세린이 나오는데 이중 지방산과 나트륨이온이 결합한 것이 비누이며, 염석 과정을 통해 글리세린을 제거한다. 이때 얻어지는 것이 글리세린이다.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기능성 수용액, 천연추출 혼합물 및 미네랄 솔트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발효 처리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의 알칼리를 중화하여 산도를 조절하는 중화제로서 기능함과 더불어, 항균, 항염, 항산화 및/또는 피부진정 효과의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기능성 수용액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추출된 미네랄 성분, 및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으로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천연추출 혼합물은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복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를 포함하는 원료 광물을 소성 분쇄하여 베이스 광물 분말이 수득될 수 있다(S110).
석영안산암은 산성 사장석, 알칼리장석, 석영을 주광물로 하는 화산암으로서 회색, 암회색, 때로는 녹색을 띤다. 또한, 석영안산암은 각섬석, 흑운모, 휘석을 함유하기도 하며, 대개 인회석, 철광류를 미량 함유한다. 석영안산암은 상온에서 별도의 외부인가 에너지 없이도 자연적으로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기 때문에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 방사를 위해 별도의 장치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광물이기 때문에 공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토르말린은 전기석이라고도 부르며 화학성분은 철, 마그네슘, 알칼리금속 등과 알루미늄이 포함되는 복잡한 붕소 규산염 광물이다. 토르말린은 그 자체로도 전하를 갖고 있으며, 미약하지만 영구 전류(0.06㎃)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토르말린은 인간생명의 꼭 필요한 미약전류(0.06mA)와 방사에너지인 원적외선과 토르말린에서 발산하는 파장들이 동일해 사람의 허한 부분에 뜸과 자극효과를 주고 다시 원상회복 시켜주며, 열과 수분을 조절해주면 음이온을 생성, 산성화된 피부와 체액을 약알칼리로 변화시켜 건강한 피부로 만들어 준다. 이러한 토르말린의 원적외선과 방사에너지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을 배출과 자연 치유력을 높여주어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페그마타이트(pegmatite)는 마그마의 분화광상 생성물로서 거정질 화강암이라고도 불리는 광물질로서, 일반 광물질인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등과 특수 광물질인 나트륨, 셀륨, 란타늄, 게르마늄 및 홀뮴 등 알카리성을 띠는 20여종의 성분을 함유하는 광물질이다. 이러한 페그마타이트는 단일 20종의 성분 중 인체에 유리한 9종의 성분을 함유한 광물질인 바, 단독 방사체의 소재로서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탈취 기능을 가지며, 신체 접촉시 체내 세포 활성화와, 혈액 순환 촉진 기능을 하게 된다.
말라카이트(malachite)는 구리 퇴적물의 풍화작용에 의해서 생성된 광석으로서 공작석이라고도 불리며, 수화구리탄산염(hydrated copper carbonate, Cu2(OH)2CO3)을 주성분으로 하고, 기타 성분으로서 망간, 규소, 아연을 포함하고 있어서, 신체 해독, 조직 치료, 에너지 흐름을 원활히 하는 등의 효능이 있으며, 체내 조직이나 기관의 균형과 조화를 위해 사용되거나, 눈이나 얼굴 치료 및 메이크업용으로도 사용된다.
미량 원소라는 것은 인간 체내에서 0.01% 이하의 농도로 발견되는 화학 원소로, 필수 미량 원소와 불필수 미량원소로 나뉘어진다. 일반적으로, 원소 결핍시에 하나 이상의 어떠한 기능 변화를 초래하고, 다시 적당한 섭취를 통해 그 기능이 회복된다면 이 미량 원소는 필수 미량 원소라고 할 수 있으므로, 필수 미량 원소는 생체에서 기본적인 생리적(생물학적) 역할을 담당한다. 15종의 필수 미량 원소인 플루오르화물(fluoride), 요오드(iodine), 셀렌(selenium), 규소(silicon), 크롬(chromium), 코발트(cobalt), 철(iron), 리튬(lithium), 망간(manganese), 몰리브덴(molybdenum), 니켈(nickel), 구리(copper), 주석(tin), 바나듐(vanadium), 아연(zinc) 중에서도 구리, 망간, 규소 및 아연의 4가지 원소가 피부에서 주된 생리적 역할에 기여한다.
말라카이트는 구리, 망간, 규소 및 아연의 4가지 성분을 모두 포함하여, 스트레스 받은 피부를 위한 새로운 미네랄 공급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주성분인 구리는 각질형성세포의 케라틴 합성을 촉진시키고,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라이실옥시다제(lysyl oxid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을 증가시키고, 멜라닌 전구체를 합성함으로써 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광물 분말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를 포함하는 원료 광물을 8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120 내지 180분 동안 제1 소성한 후 500 내지 3000mesh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분쇄하고, 분쇄된 소성 분쇄물을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60 내지 90분 동안 제2 소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베이스 광물 분말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 효과와 함께 항균, 살균 또는 피부진정 효과를 위한 유용 성분(예컨대, 미네랄 성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소성 분쇄 및 제2 소성 과정을 거쳐 제조됨에 따라, 베이스 광물 분말의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베이스 광물 분말에 정제수,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혼합식물 재료 및 알코올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베이스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가열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S120).
본 단계(S120)는 베이스 광물 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 물질을 제거함과 더불어, 베이스 광물 분말 및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유용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다.
예컨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크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로부터 수득된 베이스 광물 분말에는 유해 물질(중금속, 방사성 물질, 예를 들면, 연, 아연, 비소, 카드늄, 석면, 크롬 및 세슘, 라돈 등)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 과정으로서 본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혼합 조성물의 가열 공정 동안,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미네랄 성분과 같은 유용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 공정이 수행된 베이스 혼합 조성물은 칼슘, 칼륨, 마그네슘, 망간, 철, 구리 인, 규소, 아연, 나트륨, 셀륨, 란타늄, 게르마늄 및 홀뮴 중 적어도 하나의 광물질을 포함하는 미네랄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용 성분(즉, 미네랄 성분)은 항균 효과 및 활성 산소에 대한 탁월한 소거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광물 분말 또는 이로부터 추출된 미네랄 성분은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의 활성 성분을 이온화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시켜 피부 전달력 또는 피부 흡수율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조성물의 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광물 분말의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 및 상술한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 증대를 위해 베이스 광물 분말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이 1:0.2~0.4:0.2~0.4:0.1~0.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혼합식물 재료는 베이스 광물 분말에 함유된 중금속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항균, 살균, 항산화 및/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유용 성분을 함유하는 건조식물의 분쇄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혼합식물 재료는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해바라기는 국화과 해바라기속에 속하는 1년 또는 다년초 식물이다. 해바라기는 2m 정도 자라며 줄기에 강모가 나있고, 굵고 곧게 선다. 잎은 크며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노란색 양성화이며 지름은 25 cm정도이고, 개화기는 8~9월이다. 해바라기의 구성성분으로 우선 줄기에는 셀룰로오스, 리그닌, 헤미셀룰로오스, 다당류가 있다. 잎과 꽃에는 쿠마린, 안토시안 등이 있고 열매에는 기름, 단백질, 유기산 등 여러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셀룰로오스는 식물의 1차 세포벽을 구성하며 수천 개 이상의 포도당 분자가 결합된 모양이다. 헤미셀룰로오스는 수많은 당 유도체와 당의 결합으로 형성되었으며 1차 세포벽보다 견고한 2차 세포벽을 구성한다. 또한, 해바라기 씨는 50% 정도의 오일을 함유하고 있는데, 오일에는 리놀렌산, 인지질(phospolipid),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당지질(glycolipid), 세라마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 속에 함유된 당은 단당류에서 삼당류까지 있으며, 구연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과 베타 카로틴이 함유되어 있다. 해바라기 씨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이 많고, 특히 아르기닌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인지질, 베타시토스테롤, 당지질, 세라마이드는 수분 손실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각질세포층의 지질막 성분으로, 피부 배리어를 형성하여 보습작용이 뛰어나며, 피부 유연 효과가 있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상록활엽수로 제주도, 완도, 보길도, 거문도, 해남 등 남ㆍ서해안 및 도서 지역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이다. 황칠나무는 수피에 상처를 내면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 유백색 액체를 분비하는 데 공기 중에서 황금색으로 변한다. 황칠나무 수액에는 안식향, 세르퀴테르펜 등과 같은 생리 활성 물질이 들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여러 가지 항균 효과나 확인되지 않은 약리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방향성분은 주로 세스퀴터펜(sesquiterpene)의 β-cubebene, γ-selinene 및 δ-cardine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성분이 신경계에 대해 진정작용과 강장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황칠나무의 잎이 항암 작용에 효능이 있으며, 또한 항산화 작용 및 신경 안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황칠나무 추출물이 피부의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타이로시나아제를 불활성화하여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모링가(Moringa oleifera)는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 널리 분포하는 십자화목과의 속씨식물 속의 하나이다. 모링가는 올레산이 풍부하여 열매(씨)를 압착하거나 헥산 추출에 의해 얻은 오일을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열매는 녹색일 때 콩처럼 식용하며 성숙된 씨는 약 40% 오일을 함유한다. 모링가에서 획득한 오일은 양질의 조리용 이외에도, 향수, 비누, 화장품 등의 화장료 제조 시에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모링가는 문헌에 따르면 90가지 영양소, 46가지 항산화제, 36가지 항 염증제를 포함하는 539가지의 다양하고 유익한 생화학적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시드는 스테롤들, 지방산, 단백질, 섬유질, 오메가 6, 9, 10, 토코페롤로 구성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시드는 4-(α-L-람노 피라노 실록시)-벤질 글루코 시놀 레이트를 포함한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함유한다. 또한, 모링가 종의 잎 및 시드는 시토키닌, 예를 들면 제아틴, 디히드로 제아틴, 및 이소펜틸 아데닌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나무(Diospyros kaki Thunb)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 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생식하는 시자 이외에도 시엽, 시화, 시체 등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감잎은 주로 차로 이용되어 동의보감에 혈관질환의 예방, 치료와 함께 자반증(혈관염증)에도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감잎에는 비타민 C, 아미노산, 핵산, 페놀성 화합물, 유리당 등 여러 물질들이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감잎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kaempferol의 배당체인 astragalin, myricetin의 배당체인 myricetin의 배당체인 myricitrin, isoquercitrin 등의 배당체 형태가 존재한다. 감잎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0.1 ~ 5.8%로 다른 식물에 비하여 높으며, 우수한 항산화능과 항균성이 확인되었고,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혼합식물 재료는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 각각의 건조된 기관(예컨대, 뿌리, 가지, 줄기, 잎, 씨 또는 꽃)을 이용한 것으로서, 0.1 내지 1cm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분쇄된 것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식물 재료의 입자 크기가 0.1cm 미만이면 분쇄 공정이 복잡해져 공정 효율성이 저하되고, 입자 크기가 1cm를 초과하면 유해 물질의 흡착률이 떨어지거나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베이스 혼합 조성물의 가열 공정은 예컨대,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가열 공정 동안, 베이스 광물 분말에 함유된 중금속 등과 같은 유해 물질은 혼합식물 재료에 흡착될 수 있으며,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항균, 살균, 항산화 및/또는 피부진정 효과를 위한 활성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베이스 혼합 조성물의 가열 온도가 80℃ 미만인 경우 추출 효율성이 저하되고, 100℃를 초과하는 경우 추출된 성분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유해 물질의 흡착률과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의 증대를 위해 혼합식물 재료는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학 처리를 위한 산성 용액은 염산(HCl), 아세트산(CH3COOH), 황산(H2SO4), 아황산(H2SO3), 질산(HNO3), 인산(H3PO4), 포름산(HCOOH), 아스코르브산(C6H8O6), 붕산(H3BO3) 및 규산(H2SiO3)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학 처리를 통해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 각각의 건조된 기관의 표면이 개질됨으로써 중금속 등의 흡착률 및/또는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혼합식물 재료는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이 1:0.5~1:0.2~0.4:0.5~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해 물질의 흡착률의 증대는 물론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 및 추출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정제수는 각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알코올은 베이스 광물 분말 및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C1 내지 C4의 저가 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알코올은 에탄올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혼합 조성물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이 1:0.2~0.4:0.2~0.4:0.1~0.2의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광물 분말 20 내지 30 중량%,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으로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이 1:0.5~1:0.2~0.4: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식물 재료 10 내지 20 중량%, 알코올 10 내지 2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 광물 분말이 20 중량% 미만이면 추출되는 미네랄 성분이 함량이 낮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혼합식물 재료가 10 중량% 미만이면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함량이 적고, 유해 물질의 흡착률이 미비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이 10 중량% 미만이면 추출 효율이 저하되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용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어서,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가열 공정이 수행된 베이스 혼합 조성물로부터 기능성 광물 분말 및 기능성 수용액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S130).
상기 분리 공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먼저 체를 이용하여 베이스 혼합 조성물로부터 혼합식물 재료를 걸러낸 후 여과 또는 원심분리 방법을 통해 고액 분리하여 기능성 광물 분말과 기능성 수용액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기능성 광물 분말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특성이 더욱 향상되고, 정제 과정을 통해 독성이 제거됨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가능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수용액은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추출된 미네랄 성분과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과 같은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을 위한 다양한 유용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기능성 수용액에 정제수, 천연추출 혼합물 및 미네랄 솔트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S140).
천연추출 혼합물은 항균, 살균, 항산화 및/또는 피부진정 효과와 더불어 항염 효과의 강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목단피(Moutan Cortex Radicis)는 작약과(Paeoniaceae) 목단의 뿌리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중국 서부 원산이며 신라시대 선덕여왕의 기록으로 미루어 중국에서 도입된 귀화식물로 추측된다. 생김새는 관상의 껍질조각으로 바깥 면은 어두운 갈색 또는 자색을 띤 갈색이며 가로로 길고 작은 타원형의 곁뿌리 자국과 세로 주름이 있다. 안쪽 면은 엷은 회갈색이나 어두운 자색을 띠고 편평하며 꺾은 면은 거칠다. 안쪽 면 및 꺾은 면에는 때때로 흰색의 결정이 붙어 있다. 성분은 파에오노사이드(paeonoside), 파에오놀라이드(paeonolide)와 파에오놀(paeonol)을 함유하며, 파에오노사이드는 저장중에 분해되어 당과 파에오놀을 생성한다. 파에오니프로린(paeoniflorin), 옥시파에오니프로린 (oxypaeoni florin), 벤조일파에오니프로린(benzoylpaeoniflorin), 파에오놀라이드 탄닌(paeon olide tannin), 프로시아니딘 B1(procyanidin B1). 벤조일옥시파에오니프로린(benzoyloxypaeoniflorin), 파에오닌(paeonin),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 페라고닌(pelargon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은 근피뿐만 아니라 목심부에도 존재함이 조직화학적으로 확인 되었다. 목단피는 혈열로 인한 생리불순, 생리통, 멍들었을 때, 토혈, 코피, 반점이 나타나는 증상, 허열로 인해 뼛골이 쑤시는 증상, 혈압상승, 어혈제거, 타박상, 소염진통, 종기치료, 맹장염초기 등에 사용하며 가슴답답증을 없애준다. 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 항염증, 항혈전, 항알레르기, 위액분비억제, 자궁점막충혈,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카렌둘라(Calendula officinalis)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동양에서는 금잔화 또는 금송화, 서양에서는 마리골드(Marigold)라고도 불리며, 남유럽 원산이다. 대개의 경우 건조된 꽃잎이나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다. 꽃잎의 침출액은 피부 보습효과를 비롯하여 외상, 화상, 가벼운 동상의 습포제롤 사용되고 페이셜 사우나에도 사용된다. 또한, 생리통의 완화 작용이 있어 여성들이 음용, 애용하는 화초로도 알려져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에 효능이 탁월하고, 건성 피부에도 효능이 있으며, 습진, 피부 염증, 상처, 피부 재생, 진정 작용 등에 유효한 성분으로도 알려져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카로틴(carotene), 리코핀(lycopene), 비올라잔틴(violaxanthin), 루비잔틴(rubixanthin), 네오리코핀A(neolycopene A)와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카렌둘라의 추출물은 염증유발인자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의 발현을 억제시켜 피부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쇠비름의 학명은 Portulaca Oleracea이고, 쇠비름과의 1년생 잡초로서 오행초(五行草), 장명채(長命采), 마치채(馬齒菜), 마치현(馬齒)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주로 길가, 텃밭 등에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약 15~30cm 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 위로 비스듬히 퍼진다. 뿌리는 흰색이지만 손으로 훑으면 원줄기와 같이 붉은색으로 변한다. 쇠비름은 양념 등으로 버무려서 식용하거나 약재로도 활용되며, 오메가3 지방산이 많아서 ADHD, 자폐증, 뇌졸증,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며, 강력한 천연항산화제인 비타민A 함량이 매우 높아 피부와 점막 등을 보호하고 돌연변이 세포를 억제해 폐암과 구강암 예방에 탁월하며 위장보호 효과도 인정받은바 있다. 또한 철분과 구리 성분 함유로 인해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손상된 세포를 빠르게 회복시키는 효과도 있다.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겨울철에도 죽지 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 하여 사철쑥 또는 애탕쑥이라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인진, 인진호 또는 추호라 불린다. 이러한 사철쑥은 예로부터 간염, 황달, 및 지방간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에스쿨레틴(esculetin), 스코파론(scoparone) 및 스코폴레틴(scopoletin)과 같은 쿠마린(coumarin) 유도체를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코폴레틴(Scopoletin; 7-hydroxy-6-methoxy-2H-1-bezopyran-2-one), 스큘레틴(Esculetin; 6,7-dihydroxy-2H-1-bezopyran-2-one)은 주요 활성성분으로서,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천연추출 혼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방법 및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추출 혼합물은 상기 추출 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도 천연추출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천연추출 혼합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 혼합물은 각각의 천연물의 껍질, 뿌리, 잎, 꽃, 줄기 또는 열매 등이 될 수 있으며, 추출 부위가 특정의 부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천연추출 혼합물은 그 효능의 상승 효과를 위해,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1:0.5~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분말 혹은 액상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 솔트는 피부 흡수 및 피부진정 기능의 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 솔트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고 있는 등축정계에 속하는 광물이며, 화학성분은 염화나트륨(NaCl)이다. 미네랄 솔트를 구성하는 염화나트륨은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체액에 포함되어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염화나트륨의 구성 성분인 나트륨은 인산과 결합하여 완충물질로서 체액의 산염기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미네랄 솔트는 섭취뿐만 아니라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도 인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바, 피부의 천연보습인자 성분인 요소(urea) 보다도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으며, 각종 피부트러블 완화(피부진정), 피부 노폐물 제거 및 각질제거, 여드름, 주름, 아토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미네랄 솔트는 물과 접촉하면 이온화되어 피부 깊숙히 침투하는 효능이 있어 체내 0.9% 염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혼합물은 기능성 수용액 30 내지 40 중량%,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1:0.5~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추출 혼합물 10 내지 15 중량%, 미네랄 솔트 1 내지 5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EM 원액으로 제1 혼합물을 발효 처리하여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S150).
제1 혼합물의 발효 처리는 예컨대, 제1 혼합물 100 중량부당 EM(Effective Micro-organisms) 원액 20 내지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 내지 10일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처리를 통해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 내의 유용 성분의 활성을 증대 시키고, 체내 흡수율을 증진시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의 효능이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은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 포함된 지방산 혼합물 100 중량부당 글리세린 100 내지 150 중량부를 첨가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균질하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글리세린이 100 중량부 미만이면, 보습 효과의 향상이 미미할 수 있으며, 1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 대비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그 효능이 미미할 수 있고,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S40).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기능성 광물 분말 및 금속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숙성 처리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와 함께 항균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10) 내지 단계(S130)을 통해 수득한 기능성 광물 분말에 정제수 및 금속 첨가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S160).
금속 첨가제는 기능성 광물 분말의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방사, 및 항균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나듐(V), 팔라듐(Pd), 백금(Pt)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광물 분말 25 내지 40 중량%, 금속 첨가제 3 내지 5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이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제조됨에 따라, 앞서 설명한 기능성 광물 분말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거나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2 혼합물을 숙성 처리하여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S170).
예컨대, 제2 혼합물의 숙성 처리는 제2 혼합물에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고 제1 온도에서 제1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바실러스속(Bacillus sp.), 리조비움 속(Rhizobium sp.),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아세토박터속(Acetobacter sp.) 리조비움 속(Rhizobium sp.) 및 리조비움 라디오박터(Rhizobium radiobacter)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효 미생물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이용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 유산균으로 발효 추출한 것으로, 피부에 작용하는 활성 성분이며 세포 형성을 촉진하는 기능과 함께 살균 효과가 있다.
제2 혼합물의 숙성 처리는 예컨대, 40 내지 50 ℃의 온도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미생물은 제2 혼합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숙성 공정을 통해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의 효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으며, 기능성 광물 분말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은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포함된 지방산 혼합물 100 중량부당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그 효능이 미미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S50).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의 경화 단계(S50)는, 성형 용기에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담은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24 내지 4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의 경화 후 성형 용기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능성 비누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추출된 미네랄 성분과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수용액,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추출 혼합물 및 미네랄 솔트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발효 처리하여 제조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함과 더불어, 베이스 광물 분말을 정제하여 수득한 기능성 광물 분말 및 바나듐(V), 팔라듐(Pd), 백금(Pt)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금속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숙성 처리하여 제조된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함에 따라, 피부 진정 및 피부 트러블 예방 효과의 증대는 물론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이 향상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통한 피부온도 상승, 혈관확장, 혈액순환촉진, 세포활성화 등의 작용, 대사기능 촉진 등의 효과가 강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부로부터 생성되는 노폐물과 피부에 잔존하는 화장품 및 각종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세정력의 확보는 물론, 피부질환 예방을 위한 항균 및 살균 기능과 피부 트러블 완화 또는 예방을 위한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더불어 혈액순환촉진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기능성 비누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스테아릭산 220 중량부, 팔미틱산 200 중량부, 미리스틱산 240 중량부 및 라우릭산 240 중량부를 포함한 포화지방산과 올리브 오일 320 중량부, 피마자 오일 180 중량부 및 포도씨 오일 100 중량부를 포함한 식물성 오일을 혼합 후 75℃의 온도로 가열하고 교반하여 제조된 지방산 혼합물에 정제수 540 중량부 및 가성소다 2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가성소다수를 첨가하고 75℃의 온도에서 트레이스가 발생할 때까지 교반하여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베이스 조성물에 글린세린 1500 중량부와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 300 중량부를 첨가하고 80℃의 온도에서 균질하게 교반하여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 150 중량부를 첨가하고 75℃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 및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을 각각 1:0.4:0.4: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원료 광물을 800℃온도에서 120분 동안 1차 소성하였다. 이 후, 원료 광물을 800mesh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한 후 약 1200℃온도에서 90분 동안 2차 소성하여 베이스 광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베이스 광물 분말 40 중량%, 인산(H3PO4)으로 화학처리 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이 1:1:0.4: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식물 재료 20 중량%, 알코올 2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 후 교반하여 베이스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약 9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후, 혼합식물 재료를 건져내고 분리 과정을 거쳐 베이스 광물 분말이 정제 처리된 기능성 광물 분말과,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추출된 미네랄 성분 및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수용액을 각각 수득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기능성 수용액 40 중량%,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추출 혼합물 15 중량%, 미네랄 솔트 5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1 혼합물 100 중량부당 EM(Effective Microorganisms) 원액 20 중량부를 첨가한 후 7일 동안 발효시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득한 기능성 광물 분말 40 중량%, 은(Ag)을 포함하는 금속 첨가제 3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2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첨가하고 4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15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 7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에 1에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 및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기능성 비누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 평가는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비누를 3주간 사용하게 한 후 세정력, 피부자극 완화, 보습력 및 기호도에 관한 느낌을 9점 척도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세정력 피부자극완화 보습력 기호도
실시예 1 8.3 8.2 8.1 8.3
실시예 2 8.1 8.1 7.8 8.1
실시예 3 8.0 8.7 7.4 7.9
비교예 1 7.3 6.6 6.5 6.6
비교예 2 7.1 7.2 6.8 6.9
비교예 3 6.8 6.2 6.1 6.0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세정력, 피부자극 완화, 보습력 및 기호도에 대한 특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 및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포함된 실시예 1의 경우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7)

  1.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지방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지방산 혼합물에 가성소다수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비누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 글리세린 및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을 포함하는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추출된 미네랄 성분 및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으로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수용액,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추출 혼합물, 및 미네랄 솔트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발효 처리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광물 분말로부터 수득한 기능성 광물 분말, 및 바나듐(V), 팔라듐(Pd), 백금(Pt)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금속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숙성 처리하여 제조된 것인,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를 포함하는 원료 광물을 소성 분쇄하여 상기 베이스 광물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광물 분말에 정제수,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으로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을 포함하는 혼합식물 재료, 및 알코올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베이스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가열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분리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가열 공정이 수행된 베이스 혼합 조성물로부터 상기 기능성 광물 분말 및 상기 기능성 수용액을 각각 수득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수용액에 정제수,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추출 혼합물 및 미네랄 솔트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물에 EM 원액을 첨가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혼합 조성물은 석영안산암, 토르말린, 페그마타이트 및 말라카이트의 소성 분쇄물이 1:0.2~0.4:0.2~0.4:0.1~0.2의 중량비로 혼합된 베이스 광물 분말 20 내지 30 중량%, 산성 용액으로 화학처리 된 것으로서, 해바라기, 황칠나무, 모링가 및 감나무의 분쇄물이 1:0.5~1:0.2~0.4: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식물 재료 10 내지 20 중량%, 알코올 10 내지 2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혼합 후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베이스 혼합 조성물의 가열 공정은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는,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물은 상기 기능성 수용액 30 내지 40 중량%, 목단피 추출물, 카렌둘라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및 사철쑥 추출물이 1:0.5~1:0.5~1:1~1.5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추출 혼합물 10 내지 15 중량%, 미네랄 솔트 1 내지 5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되는,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은 상기 기능성 광물 분말 25 내지 40 중량%, 상기 금속 첨가제 3 내지 5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되고,
    상기 제2 혼합물의 숙성 처리는 상기 제2 혼합물에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고 40 내지 50 ℃의 온도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은 상기 비누 베이스 조성물에 포함된 지방산 혼합물 100 중량부당 글리세린 100 내지 150 중량부를 첨가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제1 기능성 복합 조성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제조되고,
    상기 제2 기능성 비누 조성물은 상기 제1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포함된 지방산 혼합물 100 중량부당 상기 제2 기능성 복합 조성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조되는,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KR1020210058458A 2021-05-06 2021-05-06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69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58A KR102269577B1 (ko) 2021-05-06 2021-05-06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58A KR102269577B1 (ko) 2021-05-06 2021-05-06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577B1 true KR102269577B1 (ko) 2021-06-29

Family

ID=7662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58A KR102269577B1 (ko) 2021-05-06 2021-05-06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724A (ko) * 1993-09-28 1995-04-15 최인귀 마늘 쥬스 제조 방법
KR101311692B1 (ko) * 2011-09-19 2013-09-26 김경이 아토피 피부 및 여드름 치료용 비누와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3049A (ko) * 2012-04-05 2013-10-15 전풍규 녹나무 비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40034479A (ko) * 2012-09-12 2014-03-20 김형주 올리빈이 함유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0490A (ko) * 2015-07-20 2017-02-01 김성재 해조 추출물이 첨가된 비누와 그의 제조방법.
KR101911645B1 (ko) * 2017-09-01 2018-11-30 김지훈 천연 비누 제조 방법
KR102159169B1 (ko) * 2020-05-20 2020-09-24 이광희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을 통해 알러지, 염증, 아토피 또는 새집증후군에 따른 피부염의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직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724A (ko) * 1993-09-28 1995-04-15 최인귀 마늘 쥬스 제조 방법
KR101311692B1 (ko) * 2011-09-19 2013-09-26 김경이 아토피 피부 및 여드름 치료용 비누와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3049A (ko) * 2012-04-05 2013-10-15 전풍규 녹나무 비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40034479A (ko) * 2012-09-12 2014-03-20 김형주 올리빈이 함유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0490A (ko) * 2015-07-20 2017-02-01 김성재 해조 추출물이 첨가된 비누와 그의 제조방법.
KR101911645B1 (ko) * 2017-09-01 2018-11-30 김지훈 천연 비누 제조 방법
KR102159169B1 (ko) * 2020-05-20 2020-09-24 이광희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을 통해 알러지, 염증, 아토피 또는 새집증후군에 따른 피부염의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636B1 (ko)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KR101424354B1 (ko) 식물생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60882A (ko)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358B1 (ko) 항균,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복합 기능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용 흡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4093B1 (ko)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CN105062722A (zh) 一种含桑椹及衍生品的手工皂及其制备方法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KR101798026B1 (ko)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KR101050472B1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20070023315A (ko)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40926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46024A (ko)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비누 조성물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166300B1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0952902B1 (ko) 숙성된 솔잎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9577B1 (ko)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0376A (ko) 무기 광물 용해액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77074B1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