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336B1 - 테트라 연선기 - Google Patents

테트라 연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336B1
KR100361336B1 KR1020000036607A KR20000036607A KR100361336B1 KR 100361336 B1 KR100361336 B1 KR 100361336B1 KR 1020000036607 A KR1020000036607 A KR 1020000036607A KR 20000036607 A KR20000036607 A KR 20000036607A KR 100361336 B1 KR100361336 B1 KR 100361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rotation
pair
gear
f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140A (ko
Inventor
강재도
Original Assignee
홍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3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0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8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 D07B3/1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with provision for imparting more than one complete twist to the ropes or cables for each revolution of the take-up reel or of the guide membe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7/00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07B2207/40Machine components
    • D07B2207/4031Winding device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 코드의 연선시 한쌍의 정방향 회전 면반외에 한쌍의 면반을 추가 채용하고, 이들을 회전 및 속도 변화부에서 역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한 방향 회전 면반을 채용한 종래 연선기에 비하여 현저한 생상성 증가가 가능한 스틸 코드 제조용 테트라 연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트라 연선기는 베드 프레임과, 베드 프레임 양단부에 입설되는 두개의 포스트와, 일측 포스트 외측에 부착되는 브라케트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주 회전축과, 주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한 쌍의 외부 면반과, 내·외부 면반을 관통하는 내·외부 면반 회전축 단부의 결합부에 구비되어 내·외부 면반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회전 및 속도 변환부와, 회전 및 속도 변환부 내에서 외부 면반 회전축과 베어링에 의하여 상호 회전 가능하게 동일축선상에서 연결되는 내부 면반 회전축과, 내부 면반 회전축에 의하여 중심이 관통되어 외삽되는 내부 면반과, 한 쌍의 내부 면반 회전축의 일측 단부 사이에 내부 면반 회전축 각기 회전이 가능 하도록 연결되며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장착되는 소선 공급대인 크레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의 핵심 요소인 상기 회전 및 속도 변환부는 변환부 케이스와, 내·외부 면반 회전축의 각 일측 단부에 부착되는 수동 기어 및 구동 기어와, 구동 기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1 증속 기어와, 수동 기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2 증속 기어와, 제2 증속 기어의 회전을 수동 기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의 지지 역할을 하는 피동 기어으로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는 특수 구조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에 의하여 내·외 면반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속도의 변환이 이루어져 한 방향 연선기에 비하여 연선 속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틸 코드의 생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 및 속도 변환부의 기어비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스틸 코드별 특성에 알맞는 꼬임 구조 형성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트라 연선기{Tetra twister}
본 발명은 고무 보강재용으로 사용되는 스틸 코드의 꼬임 구조를 형성시켜 주는 연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회전 및 속도 변환부에 의하여 동일 축선상으로 연결되고 회전 방향이 상호 반대이나 회전 속도가 다른 각기 한쌍의 내·외 면반에 의하여, 연선기 외부의 소선 공급대로부터 연선기 내부 면반 사이에 구비된 스틸 코드의 외층선용 소선 공급대인 크레들까지 진행하는 동안 꼬였던 스틸 코드의 중심선은, 상기 크레들에서 공급되는 스틸 코드의 외층선과 합치되어 연선기 외부로 진행하는 동안 기 꼬였던 꼬임이 풀리면서 원래의 직선 상태로 되돌아 가는 동시에, 크레들에서 공급되는 외층선용 소선들이 상기 꼬임이 풀어져 직선화 되는 중심선의 외주면을 꼬게 되며, 이러한 외층선의 꼬임 속도가 종래 연선 속도에 비하여 상호 회전 방향이 반대인 내·외 면반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2배가 되며, 상기 두 면반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를 구성하는 교환 가능한 기어들 사이의 기어비에 따라 최종 연선 속도는 (2배) ×(기어비)가 되는 테트라 연선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각종 고무 제품에서 내구성이 떨어지는 고무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틸 코드는 특히 사람의 생명과도 직결되는 자동차 타이어 고무의 보강재로 널리 사용되며, 보통 황동도금된 고탄소 강 소선이 다수 연합된 선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탄소 함량이 0.6 내지 0.85wt%인 탄소강을 재질로 하는 선경 0.9∼2.0mm인 선재에 1∼4㎛ 두께의 구리, 아연 등의 도금층을 형성시킨 후, 이를 다시 냉간 인발 가공한 소선들을 1 ×2, 1 ×3, 1 ×4, 2+2 등의 다양한 구조로 꼬아 만든 것이다.
상기 도금 및 냉간 인발 과정이 완료된 소선들을 스틸 코드로 제조하는 종래 연선기의 개략도를 도 1과 2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살펴보면, 연선기(1) 외부에서 공급되는 스틸 코드의 외층선용 소선(12)은, 가이드 롤러(14)를 통과한 후 연선기(1) 면반(13)에 의하여 연선기 내부에서 공급되는 스틸 코드 중심선용 소선(11)의 외주면에 꼬여진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연선 방법과 달리 스틸 코드 중심선용 소선(21)이 연선기(2) 외부에서, 스틸 코드 외층선용 소선(22)은 연선기 내부에서 공급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스틸 코드 중심선용 소선(21)은 면반(23)에 의하여 1차 꼬여짐과 동시에 면반(23)을 다시 거치면서 중심선의 상기 1차 꼬임 구조가 풀리게 되어 원래의 꼬여지지 않은 상태가 되면서 연선기 내부에서 면반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풀리는 외층선용 소선(22)이 중심선의 외주면에 꼬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연선기의 연선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면반의 속도를증가시켜야 하는 바, 그 회전 속도의 증가에는 한계가 있어 생산상 향상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호 회전 방향이 따른 두 쌍의 면반이 구비된 연선기가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00-14432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두쌍의 면반축에 대한 연결 구조가 불명확 하며, 미국특허 제3,956,875 및 동4,328,599 등에도 상기 두쌍의 면반을 구비한 연선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두쌍의 면반축 연결 구조가 복잡하다.
그리고, 상기의 연선기들은 스틸 코드를 구성하게 되는 소선의 공급대인 크래들이 한 쌍의 내부 면반 사이에 구비되고 크래들로부터 공급되는 소선들에 의하여 연선되는 단층 구조의 스틸 코드만을 연선할 수 있을 뿐, 중심선과 외층선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스틸 코드를 연선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두 쌍의 면반 연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외부 면반축의 회전 속도비를 손쉽게 조정 가능하여 스틸 코드의 연선 구조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연선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은 스틸 코드의 중심선용 소선이 연선기 내부에서 공급되는 종래 연선기의 구성도.
도 2는 스틸 코드의 중심선용 소선이 연선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종래 연선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를 구성하는 회전 및 속도 변환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를 구성하는 회전 및 속도 변환부의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를 통과하는 소선의 진행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23. 면반 30. 크레들31. 베드 프레임 33. 구동 모터34. 주 회전축 35. 외부 면반 회전축36. 외부 면반 37.회전 및 속도 변환부38. 내부 면반 회전축 39. 내부 면반
51. 변환부 케이스 52. 구동 기어
53. 수동 기어 54. 제1 증속 기어
55. 제2 증속 기어 56. 피동 기어61. 제1 동력 전달 수단 62. 제2 동력 전달 수단71. 외부 공급 소선 72. 권취 보빈73. 내부 공급 소선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각기 한 쌍씩의 내·외 면반 및 각 내·외 면반 회전축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를 구성하는 내·외 면반은, 상기 회전 및 속도 변환부에 의하여 그 회전 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는 동시에 상기 변환부를 구성하는 기어들간의 기어비에 의하여 내·외 두 면반 간의 속도 차이가 결정되며, 내·외 면반의 각 회전축은 일체형이 아닌 상호 개별축이나 베어링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호 간섭 없이 서로에 대한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고, 각 축은 모두 중공이 관통되고, 각 축의 외주면과 중공 사이를 관통하는 소선 통과공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스틸 코드를 구성하는 소선과 연선된 스틸 코드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테트라 연선기는 한 쌍의 내부 면반 사이에 외층 소선 공급용 크래들이 구비되며, 중심 소선은 연선기 외부에서 공급되는 구조로서, 연선기 외부에서 중심 소선들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선기 내부 크래들에서 공급되는 소선만으로 연선하면 내부 공급 소선들만이 서로 꼬이게 되어 단층 구조의 스틸 코드가 연선되고, 연선기 외부에서 중심 소선을 공급하면서 연선하게 되면 다층 즉, 외부 공급 소선들이 중심이 되고, 크래들로부터 공급되는 내부 공급 소선들이 1차 꼬여진 외부 공급 소선들의 외주면을 감싸며 꼬이게 되는 2층 구조의 스틸 코드가 연선된다.
그리고, 상기 크래들에서 공급되는 소선의 기본적인 꼬임 수는, 하나의 면반이 회전하는 종래 연선기의 꼬임 수에 비하여, 회전 및 속도 변환부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기어비에 의해 변화될 수는 있으나, 상호 회전 방향이 반대인 내·외 면반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2배가 되며, 한 쌍씩의 내·외 면반. 즉 총 4개의 면반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 연선기의 명칭에 '4'를 의미하는 '테트라(tetra)'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자세한 기술적 특성 및 작용 효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의 사시도를, 도 4에 정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트라 연선기(3)는 양단부에 두 개의 포스트(32)가 입설된 베드 프레임(31)과; 일측 포스트(32) 외측에 구비된 브라케트(33A)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33)와; 구동 모터(33)의 회전력을 내·외부 면반(39)(36)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베드 프레임(31)에 평행하며 회전가능토록 베드 프레임(31)에 결합되는 주 회전축(34)과; 주 회전축(34)과 평행하며 벨트와 같은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상기 주 회전축(34)과 연결되고, 상기 두 포스트(32)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토록 각각 결합되며, 동일축선상에 위치한 한 쌍의 외부 면반 회전축(35)과; 한 쌍의 외부 면반 회전축(35)에 의해 각각 중심이 관통되어 각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일측단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외부 면반(36)과; 한 쌍의 외부 면반(36)을 각각 관통한 한 쌍의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상호 대향 단부 사이에서 각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상호 대향 단부와 베어링에 의해 동일축선상으로 각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 면반 회전축(38)과; 상기 외부 면반 회전축(35)과 내부 면반 회전축(38)의 결합부를 감싸며, 그 내부에 다수의 기어와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한 쌍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와; 내부 면반 회전축(38)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 반대측 단부에 중심이 관통되어 그 외주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내부 면반(39)과; 각 내부 면반(39)을 관통한 상호 대향하는 두 내부 면반 회전축(38)의 상호 대향 단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토록 베어링 결합되며, 다수의 가이드 롤러(30A)가 장착되는 소선 공급대인 크레들(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테트라 연선기의 구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구동 모터(33)가 회전하면 구동 모터에 벨트와 풀리로 연결되는 주 회전축(34)이 회전 하게 된다. 주 회전축(34)의 회전은, 주 회전축 양 단부에 벨트와 풀리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외부 면반 회전축(35)에 전달되어 한쌍의 외부 면반(36)은 상호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외부 면반(36)을 관통한 상기 두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각 일측 단부는 한 쌍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 내부까지 각각 연장되어 반대 방향으로부터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 내부로 연장되는 두 내부 면반 회전축(38)의 각 일측 단부와 일축선 상에서 베어링 결합을 하므로써, 함께 결합된 각 내·외부 면반 회전축(38)(35)은 상호 개별적인 회전은 가능하나 상호간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연결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 내부까지 연장되는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회전은, 그 선단에 삽입되는 구동기어(52), 상기 변환부 내부의 제1·2 증속기어(54)(55)와 피동기어(56) 및 내부 면반 회전축(38) 선단에 삽입되는 수동기어(53)를 통하여 그 회전 방향과 속도가 변환되어 내부 면반(39)의 회전 방향은 외부 면반(36)의 회전 방향과 반대가 되고, 속도는 상기 변환기 내부(37)에 위치한 기어들의 기어비에 의하여 가감속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내부 면반(39) 사이에 장착되는 크레들(30)의 양 단부는, 상기 두 내부 면반(39)의 중심을 각각 관통하는 두 내부 면반 회전축(38)의 상호 대향 단부에 각각 베어링 연결되므로써, 두 내부 면반 회전축(38)이 회전하여도 함께 회전되지 않고 안정된다.
본 발명의 테트라 연선기는 내·외부 면반의 회전 속도가 동일하고 방향이 다를 경우 기본적으로 꼬임 속도가 정상 꼬임 연선기의 두 배가 된다. 더욱이, 회전 및 속도 변환기 내부 기어들의 기어비에 따라 꼬임 속도를 급격히 높일 수 있으며, 그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회전 및 속도 변환부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력 전달 수단인 체인 내지는 벨트를 분리한 상태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의 정면도를 도 5에,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는 변환부 케이스(51)와, 내·외부 면반 회전축(38)(35)의 각 일측 단부에 부착되는 수동 기어(53) 및 구동 기어(52)와, 구동 기어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1 증속 기어(54)와, 수동 기어(53)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2 증속 기어(55)와, 제2 증속 기어(55)의 회전을 상기 수동 기어(53)에 전달하며 수동 기어(53)의 회전을 바꿔주기 위하여 수동 기어와 동력 전달 수단으로 연결되는 피동 기어(5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외부 면반 회전축(38)(35)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기 케이스 내부(37)에서 연결되나 상호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며, 두 증속 기어(54)(55) 및 피동 기어(56)의 축은 각각 단일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의 작동 원리를 도 6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주 회전축(34)에 의하여 외부 면반 회전축(35)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기어(52)는 제1 동력 전달 수단(61)을 통하여 제1 증속 기어(54)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제1 증속 기어(54)의 직경이 상기 구동 기어(52)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제1 증속 기어(54)의 회전 속도는 증가하게 되고, 동일축에 장착된 제2 증속 기어(55)의 회전 속도도 함께 증가한다.
그리고, 수동 기어(53)와 피동 기어(56)를 연결하는 제2 동력 전달 수단(6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수동 기어(53)와 피동 기어(56)를 회전시키게 되는 제2 증속 기어(55)의 직경이 수동 기어(53)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수동 기어(53)의 회전 속도는 구동 기어(52)의 회전 속도로부터 2회의 증속 과정을 거쳐 매우 빠르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동력 연결 수단(62)을, 수동 기어(53)와 제2 증속 기어(55)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수동 기어(53)와 피동 기어(56)에 연결한 후 수동 기어(53)를 상기 제2 동력 연결 수단(62)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수동 기어(53)의 회전 방향을 구동 기어(52)의 회전 방향과 다르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변환부(37)를 구성하는 각 기어들의 기어비를, 필요에 따라 기어를 교체하므로써, 자유롭게 조정이 가능토록 하여 내·외 면반 회전축(38)(35)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에 대한 증속율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 기어(52), 제1 증속 기어(54), 제2 증속 기어(55) 및 수동 기어(53)의 각 직경 비를 2:1:2:1 이라고 하면, 수동 기어(53)의 회전 속도는 구동 기어(52) 회전 속도의 4배가 되면서 상호 역방향 회전이기 때문에 회전 방향을 감안하면 구동 기어(52)에 대한 수동 기어(53)의 회전은 8배가 된다.
즉, 한 방향 연선의 꼬임 속도보다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기본적인 꼬임 속도가 2배로 되며, 여기에 기어비를 곱하면 최종 꼬임 속도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2:1:2:1의 기어비에서 얻어지는 꼬임 속도는 한 방향 꼬임 속도의 2 ×4(변환부 전체 기어비)인 8배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에서 꼬임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를 통과하는 소선들의 이동 경로와 같이, 외부 고급대에서 공급되는 소선(71)들은, 일측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중공(H)을 통하여 외부 면반 회전축 외주면에서 상기 중공으로 형성된 통과공(35A)으로 나와 일측 및 타측 외부 면반(36)을 거쳐 타측 외부 면반 회전축(35)에 형성되는 통과공(35B)을 통하여 타측 외부 면반 회전축의 중공(H')과 타측 내부 면반 회전축의 중공(h') 및 타측 내부 면반 회전축 외주면에 형성된 통과공(38A)으로 나와 타측 및 일측 내부 면반(39)을 거쳐 다시 일측 내부 면반 회전축의 통과공(38B) 및 중공(h)를 통하여 크레들(30)에 도달하게 된다.
크레들(30)에 도달한 외부 공급 소선(71)들은 상호 회전 방향이 다른 내·외부 면반(39)을 거치면서 한방향 연선에 비하여 두 배의 꼬임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외부 공급 소선(71)들이, 크레들(30)에서 공급되는 내부 공급 소선(73)들과 연합되면서, 타측 내부 면반 회전축 중공(h')→타측 내부 면반 회전축 외주면 통과공(38C)→타측 및 일측 내부 면반(39)→일측 내부 면반 회전축 통과공(38D)→일측 내부 면반 회전축 중공(h)→일측 외부 면반 회전축 중공(H)→일측 외부 면반 회전축 통과공(35C)→일측 및 타측 외부 면반(36)→타측 외부 면반 회전축 통과공(35D)→타측 외부 면반 회전축 중공(H')→권취 보빈(72)의 경로로 진행되며, 상기 외부 공급 소선(71)들의 인입시 형성되는 꼬임 구조와는 반대 방향의 꼬임 구조가 내부 공급 소선(73)들에 의해 외부 공급 소선(71)들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인입시 형성되었던 외부 공급 소선(71)들의 꼬임 구조는 완전히 풀어지게 되면서, 외부 공급 소선(71)들의 외주면에, 상기 크레들(30)에서 공급되는 내부 공급 소선(73)들이 꼬이게 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꼬임 구조가 없는 중심 소선들 외주면에 외층 소선들이 꼬임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테트라 연선기는 특수 구조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에 의하여 내·외 면반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속도의 변환이 이루어져 한 방향 연선기에 비하여 연선 속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틸 코드의 생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및 속도 변환부의 기어비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스틸 코드별 특성에 알맞는 꼬임 구조 형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2)

  1. 스틸 코드의 꼬임 구조를 형성시켜 주는 연선기에 있어서, 양단부에 두 개의 포스트(32)가 입설된 베드 프레임(31)과; 일측 포스트(32) 외측에 구비된 브라케트(33A)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33)와; 구동 모터(33)와 동력전달 수단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드 프레임(31)에 평행하고 회전가능토록 베드 프레임(31)에 결합되는 주 회전축(34)과; 주 회전축(34)과 평행하며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주 회전축(34)과 연결되고, 상기 두 포스트(32)의 상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동일축선상에 위치한 한 쌍의 외부 면반 회전축(35)과; 한 쌍의 외부 면반 회전축(35)에 의해 각각 중심이 관통되어 각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일측단부 외주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외부 면반(36)과; 한 쌍의 외부 면반(36)을 각각 관통한 두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상호 대향 단부 사이에서, 각 외부 면반 회전축(35)의 상호 대향 단부와 베어링에 의해 동일축선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 면반 회전축(38)과; 상기 외부 면반 회전축(35)과 내부 면반 회전축(38)의 결합부를 감싸며, 그 내부에 다수의 기어와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 한 쌍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와; 상기 내부 면반 회전축(38)의,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 반대측 단부에 중심이 관통되어 그 외주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내부 면반(39)과; 각 내부 면반(39)을 관통한 상호 대향하는 두 내부 면반 회전축(38)의 상호 대향 단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토록 베어링 결합되며, 다수의 가이드 롤러(30A)가 장착되는 소선 공급대인 크레들(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연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및 속도 변환부(37)는 변환부 케이스(51)와; 내·외부 면반 회전축(38)(35)의 각 일측 단부에 관통되어 각 외주면에 고정결합되는 구동 기어(52) 및 수동 기어(53)와; 변환부 케이스(51)의 대향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일축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제1 동력 전달 수단(61)에 의해 상기 구동 기어(52)와 연결되는 제1 증속 기어(54) 및 제2 증속 기어(55)와; 제2 증속 기어(55)에 외주면이 밀착되는 제2 동력 전달 수단(62)에 의해 상기 수동 기어(53)와 연결되는 피동 기어(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트라 연선기.
KR1020000036607A 2000-06-29 2000-06-29 테트라 연선기 KR100361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607A KR100361336B1 (ko) 2000-06-29 2000-06-29 테트라 연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607A KR100361336B1 (ko) 2000-06-29 2000-06-29 테트라 연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140A KR20020002140A (ko) 2002-01-09
KR100361336B1 true KR100361336B1 (ko) 2002-11-18

Family

ID=1967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607A KR100361336B1 (ko) 2000-06-29 2000-06-29 테트라 연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050A (zh) * 2019-01-23 2019-04-05 上海海事大学 卧式绳缆制股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875A (en) * 1973-06-27 1976-05-18 Slovenska Vedecko-Technicka Spolocnost Dom Techniky Multi-twist spindle
JPH0740795U (ja) * 1993-12-24 1995-07-21 金井 宏之 二度撚撚線機
KR100270170B1 (ko) * 1998-08-21 2000-10-16 전원중 스틸코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10028423A (ko) * 1999-09-21 2001-04-06 조정래 스틸코드 제조용 연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875A (en) * 1973-06-27 1976-05-18 Slovenska Vedecko-Technicka Spolocnost Dom Techniky Multi-twist spindle
JPH0740795U (ja) * 1993-12-24 1995-07-21 金井 宏之 二度撚撚線機
KR100270170B1 (ko) * 1998-08-21 2000-10-16 전원중 스틸코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10028423A (ko) * 1999-09-21 2001-04-06 조정래 스틸코드 제조용 연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140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04887A1 (ja) ワイヤロープ製造装置
US6016647A (en)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steel cord for rubber product reinforcement
JPS6329623B2 (ko)
US3431718A (en) Method and machines for twisting together strands of material
KR100361336B1 (ko) 테트라 연선기
JP5203887B2 (ja) ワイヤロープ製造装置
JP3278403B2 (ja) 撚り線機
CN100588770C (zh) 无筐篮式股绳机
CN111705532B (zh) 一种倍捻合股机主轴传动装置
JPH07249329A (ja) 高圧縮多層同心撚線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N211237825U (zh) 一种高速绞线机
KR20010076655A (ko) 스파이럴 케이블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447360Y (zh) 捻股合绳机
JP3422483B2 (ja) 撚り飾り糸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撚り飾り糸
CN2663490Y (zh) 捻股机
JPH0140698B2 (ko)
KR200280760Y1 (ko)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JPH0357997B2 (ko)
CN213232606U (zh) 一种新型捻股机
CN218267129U (zh) 一种多捻机用反向变速传动机构
CA122770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metallic cord
JPH07238481A (ja) インナーワイヤ及びワイヤ撚線機
CN214613281U (zh) 用于框式制绳机的四倍捻制股设备
CN111705383B (zh) 一种高效倍捻合股机
CN210314636U (zh) 一种涤纶丝加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