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918B1 - 하이브리드독소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독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918B1
KR100360918B1 KR1019960700973A KR19960700973A KR100360918B1 KR 100360918 B1 KR100360918 B1 KR 100360918B1 KR 1019960700973 A KR1019960700973 A KR 1019960700973A KR 19960700973 A KR19960700973 A KR 19960700973A KR 100360918 B1 KR100360918 B1 KR 10036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protein
amino acid
cryic
simi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드릭 얀 보쉬
빌렘 요하네스 스티케마
Original Assignee
노바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바티스 아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2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Bacillus (G)
    • C07K14/325Bacillus thuringiensis crystal peptides, i.e. delta-endotox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50Isolated enzymes; Isolated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146Genetically Modified [GMO] plants, e.g. transgenic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0Chemistry: natural resins or derivatives; peptides or proteins; ligni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Y10S530/82Proteins from microorganisms
    • Y10S530/825Bacte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편의 N-말단 영역이 두번째 Cry 단백질의 N-말단 영역 또는 그 영역의 일부 또는 그 영역과 거의 유사한 단백질일 것을 조건으로, C-말단에 첫번째 Cry 단백질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일부 또는 그 도메인과 거의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B.t.의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독소
본 발명은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의 살충성 결정 단백질에서 유래한 하이브리드 독소(hybrid toxin) 단편,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독소에 관한 것이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이하, B.t.로 언급함)는 세포 내부에 결정으로서 축적되는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들 결정 단백질은 다수의 곤충의 유충에게 유독성이다. 서열 상동성 및 살충 특이성에 근거하여, 결정 단백질은 상이한 부류로 나눌 수 있다. 140 kDa의 프로-독소(pro-toxins)로서 생산되는 CryI 부류의 단백질이 가장 잘 연구되어 있으며, 이것은 인시류의 곤충(lepidopterans)에 대해 활성이 있다.
결정 단백질의 작용 방식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규명되어 있다. 경구적 흡수후, 이 결정은 유충의 중장(midgut)의 알칼리 환경에서 용해된다. 용해된 단백질은 계속해서 중장 프로티나제(proteinases)에 의해 처리되어, 곤충 중장의 상피 세포상의 수용기에 결합하고 세포막을 통과하는 약 65 kDa의 프로티나제-내성 독소 단편으로 분해된다. 이것은 결국 세포의 파열 및 유충의 사망을 초래한다.
특정 결정 단백질의 활성 범위는 민감한 곤충의 중장 상피 세포상의 수용기의 존재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상기 범위는 결정 단백질의 용해 효율 및 그 생체내 단백질 분해의 활성화에 의해 함께 결정된다.
곤충이 결정 단백질중 하나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결정 단백질이 내성 곤충의 중장 상피 세포에 결합하는 비율이 상당히 감소되므로 결정 단백질이 중장 상피 수용기에 결합한다는 사실의 중요성이 추가로 입증된다.
결정 단백질의 독소 단편은 3개의 구별되는 구조 도메인(domain)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N-말단 도메인인 도메인 I은 7개의 α-나선으로 이루어진다. 도메인 II는 3개의 β-시트를 포함하며, 도메인 III(가장 C-말단쪽)은 β-샌드위치 형태로 접혀진다. CryI 서열상에서 표현하면, 도메인 I은 아미노산 잔기 약 28에서부터 260까지를 차지하며; 도메인 II는 약 260에서 460까지, 그리고 도메인 III은 약 460에서 600까지를 차지한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결정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CryIC 및 CryIE 또는 CryIA를 포함하나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t.의 아종인 엔토모시두스(entomocidus) 60.5에서 유래한 CryIC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1에 제시하며, 그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의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2에 제시한다. B.t.의 아종인 케냐(kenyae) 4FI에서 유래한 CryIE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서열번호 3에 제시하며, 그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의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4에 제시한다. 이들 단백질은 인시류 곤충에게는 유독성이나, 이 목(order)의 곤충에서 각 단백질은 상이한 특이성을 가진다. CryIC는 특히 에스. 엑시구아(S. exigua) 및 엠. 브라시카(M. brassica)에 대해 활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C-말단에 첫번째 Cry 단백질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일부 또는 그 도메인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B.t.의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이 제공되는 데, 그것은 단편의 N-말단 영역이 두번째 Cry 단백질의 N-말단 영역 또는 그 영역의 일부 또는 그 영역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일 것을 조건으로 한다. 바람직한 단편은 그것이 그 C-말단에 CryIC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일부 또는 그 도메인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할 때 곤충의 장내 CryIC 결합 부위에 결합하지 않는 단편이거나; 또는 그것이 그 C-말단에 CryIA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일부 또는 그 도메인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할 때 곤충의 장내 CryIA 결합 부위에 결합하지 않는 단편이다.
"실질적으로 유사한"이란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의 서열과 75% 이상 유사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순수한 단백질을 의미한다. 유사도는 85% 이상이 바람직하며, 유사도가 9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유사도는 95%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서로 75%, 85%, 90% 또는 95% 이상의 유사도를 가진 2개의 아미노산 서열은 갭과 관련하여 총 15개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가 영향을 받을 것을 조건으로 최대 6개 까지의 갭을 허용하면서 최적으로 배열할 때 유사한 위치에서 75%, 85%, 90% 또는 95% 이상 동일하거나 또는 보존적으로 대체된 아미노산 잔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보존적 대체는 다음 그룹내의 아미노산들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i) 세린 및 트레오닌;
(ii)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
(iii) 아르기닌 및 라이신;
(iv)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
(v) 이소로이신, 로이신, 발린 및 메티오닌;
(vi)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 및
(vii) 알라닌 및 글라이신.
이때, 서열번호 6에서, Ser 및 Tyr은 620 위치에서의 보존적 대체 잔기이며, Ala 및 Glu은 618 위치에서의 보존적 대체 잔기이며; 서열번호 8에서 Ser 및 Tyr은 627 위치에서의 보존적 대체 잔기이며, Ala 및 Glu은 625 위치에서의 보존적 대체 잔기이다.
단백질의 "일부"란 상기 단백질을 구성하며 그 연속 서열의 80% 이상을 가지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결합 부위"란 부위와 독소 사이의 결합이 가역적이어서 부위와 독소 사이의 Ka가 104dm3mole-1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분자상의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독소 단편은 그 N-말단에 B.t.에서 유래한 임의의 살충성 단백질의 N-말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데, 그 단백질은 "Cry" 또는 "Cyt"로 공지된 것으로서, 그 예로는 CryIA(a), CryIA(b), CryIA(c), CryIB, CryIC, CryID, CryIE, CryIF, CryIC, CryIH, CryIIA, CryIIB, CryIIC, CryIIIA, CryIIIB, CryIIIB(b), CryIVA, CryIVB, CryIVC, CryIVD, CYTA, CryX1(IIIC), CryX2 (IIID), CryX3, CryV 및 CryX4가 있으며; 상기 독소 단편은 또한 상기 영역의 일부 또는 그 영역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편의 C-말단은 CryIC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일부 또는 그 도메인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이다.
따라서, 상기 단편은 CryIE, CryIB, CryID 또는 CryIA의 도메인 II, 또는 그 도메인의 일부 또는 그 도메인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과, CryIC의 도메인 III 또는 이 도메인 III의 일부 또는 이 도메인 III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단편은 CryIE, CryIB, CryID 또는 CryIA의 도메인 I 및 II, 또는 그 도메인의 일부 또는 그 도메인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과, CryIC의 도메인 III 또는 이 도메인 III의 일부 또는 이 도메인 III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독소 단편이 그 C-말단에 CryIC의 아미노산 위치 454에서 602의 서열, 또는 그 서열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단편은 그 C-말단에 CryIC의 아미노산 위치 478에서 602의 서열, 또는 그 서열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때는 CryIC의 아미노산 478에서 602를 포함하는 서열이 CryIA, CryIB, CryID 또는 CryIE의 도메인 II의 C-말단에 직접 융합한 후, 융합 산물의 접힘(folding)이 상기 단편의 살충성 성분을 생성시키기에 충분할 것을 조건으로 한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CryIC의 C-말단 영역을 분리시키는 도메인 II의 C-말단에 펩티드 영역을 첨가하므로써 그것이 살충 활성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접히게 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독소 단편이 하기 i) 또는 ii)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1 부근 내지 아미노산 620 부근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 서열과 관련하여 위치 609의 Ile이 Leu으로 대체되거나; 위치 618의 Ala이 Glu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위치 620의 Ser이 Tyr으로 대체되는 변화중의 한가지 이상이 존재하는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1 부근 내지 아미노산 620 부근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1 부근 내지 아미노산 627 부근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그 서열과 관련하여 위치 616의 Ile이 Leu으로 대체되거나; 위치 625의 Ala이 Glu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위치 627의 Ser이 Tyr으로 대체되는 변화중의 한가지 이상이 존재하는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1 부근 내지 아미노산 627 부근의 아미노산 서열.
그러나, 어느 아미노산 변화가 허용되든, 다음 잔기들중 하나 이상-CryIC 서열과 관련하여 나타낸 순서대로-이 불변이다: Phe(501), Val(478), Trp(479) 및 Thr(486).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개시된 단편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독소, 또는 그러한 하이브리드 독소와 85% 이상 유사하면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살충 활성 또는 수용기 결합 활성을 가진 독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독소 또는 독소 단편과 90% 이상 동일한 순수한 단백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개시된 독소 또는 그 단편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5에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1 부근에서 뉴클레오티드 1860 부근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그와 유사한 DNA, 서열번호 7에 제시된 뉴클레오티드 1 부근에서 뉴클레오티드 1881 부근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그와 유사한 DNA를 포함한다.
유사한 DNA란 본 발명의 재조합 서열과 하이브리드를 형성할(hybridize) 수 있는 시험 서열을 의미한다. 시험 서열 및 본 발명의 서열이 이중 가닥 서열이면, 시험 서열을 구성하는 핵산은 본 발명 서열의 TM의 20℃ 범위내의 TM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 서열과 본 발명의 서열을 함께 혼합하고 동시에 변성시키는 경우, 그 서열들의 TM값은 서로 10℃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브리드화는 시험 DNA 서열이나 본 발명의 DNA 서열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면서, 엄격한(stringent) 조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변성된 시험 서열 또는 본 발명의 서열중 하나가 지지체에 먼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이브리드화는 0.1% SDS를 함유하는 이중 강도의 시트레이트 완충 염수에서 50 내지 70℃의 온도로 지정된 시간동안 수행한 후, 같은 온도에서이지만 감소된 SC 농도를 가진 완충제로 지지체를 세정하여 수행한다. 필요한 엄격성의 정도, 및 따라서, 그 서열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감소된 농도의 완충제는 통상 0.1%의 SDS를 함유하는 단일 강도의 SC, 0.1%의 SDS를 함유하는 ½강도의 SC 및 0.1%의 SDS를 함유하는 1/10 강도의 SC이다. 최대의 유사도를 가진 서열은 감소된 농도의 완충액에서의 세척에 의해 그 하이브리드화가 그 영향을 최소로 받는 서열이다. 시험 서열 및 본 발명의 서열이 매우 유사하여 그들 사이의 하이브리드화가 0.1% SDS를 함유하는 1/10 강도의 시트르산 나트륨 완충제에서의 세척 또는 항온처리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조합 DNA는 제초제 내성, 식물 성장 촉진성, 항진균성(anti-fungal), 항균성 (anti-bacterial), 항비루스성 및/또는 항선충성(anti-nematode)을 가진 단백질을 추가로 암호화할 수 있다. DNA를 이종성 유기체내로 도입하고자 할 경우, DNA를 변형시켜 공지의 mRNA 불안정성 모티프(예: AT 풍부 영역) 및 폴리아데닐화 신호를 제거할 수 있고/있거나, 재조합 DNA를 삽입하고자 하는 유기체가 선호하는 코돈을 사용하여 그 유기체내에서 상기와 같이 변형된 DNA를 발현시키므로써 하이브리드 독소 또는 독소 단편의 단백질 성분이 내생성인 유기체내 비변형 재조합 DNA의 발현에 의해 얻은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DNA와 엄격한 조건하에 하이브리드화하는 서열과 상보적인 DNA 서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재조합(거기에 상보적인) DNA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 상기 DNA를 포함하고 발현시킬 수 있는 식물 또는 미생물; 상기 DNA로 형질전환시킨 식물; 안정하게 혼입된 DNA를 함유하여 멘델의 방식으로 유전하는 상기 식물의 자식물(progeny) 및/또는 상기 식물 및 상기 자식물의 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DNA의 발현에서 유래한 단백질, 및 상기 DNA로 형질전환시킨 식물내 재조합 DNA의 발현에 의해 생산된 살충성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독소 단편 또는 그들을 포함한 독소를 함유하는 살충성 조성물; 곤충을 상기 단편 또는 독소 또는 조성물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곤충 퇴치 방법, 및 살충성 단백질 함유 유기 재료를 침연(maceration) 및 용매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단백질 함유 재료로부터 그 살충성 단백질을 얻기 위한 추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련 도면 및 서열표와 관련하여 설명한, 본발명에 따른 B.t.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의 제조에 관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는 생체내 재조합을 통한 하이브리드 결정 단백질 유전자의 생성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직반복 방향으로 두개의 절단된 결정 단백질 유전자를 보유하는 직렬 플라스미드(pBD560 및 pBD650)를 제조한다. 5'에 위치된 유전자(속이 빈 막대)는 프로독소(protoxin) 암호화 영역(속이 찬 막대)이 없으며, 3'에 위치한 유전자 (대시선 막대) 중에서 도메인 I 암호화 영역의 일부가 결실되어 있다. 상동성 영역들(도메인 II 및 III) 사이의 생체내 재조합은recA + 균주 JM101에서 일어난다.NotI 및BamHI 처리에 의해 비재조합체에 대한 선별 및 후속 형질 전환은 하이브리드 결정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플라스미드 세트를 생성시킨다.
제2도는 CryIE 및 CryIC의 아미노산 잔기 420 내지 630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메인 II 및 III 사이의 경계가 나타나 있다. CryIE와 상이한 CryIC의 아미노산 잔기만이 도시되었고, 동일한 잔기는 점으로 나타냈다. 본 발명의 CryIE-CryIC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에서 교차(G27, H13, H7, H8, H17 및 H21)의 위치가제2도에 나타나 있다.
제3도는 CryIE 및 CryIC의 아미노산 잔기 420 내지 630의 배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메인 II 및 III 사이의 경계가 나타나 있다. CryIE와 상이한 CryIC의 아미노산 잔기만이 도시되었고, 동일한 잔기는 점으로 나타냈다. CryIC-CryIE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에서 교차(F59, F71, F26 및 E7)의 위치가 제3도에 나타나 있다.
제4도는 약간의 이종 경쟁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비오티닐화된 CryIC(패널 A) 및 G27(패널 B)을 나타낸 바와 같은 과량의 비표지 단백질의 존재 또는 부재(레인 a)하에서 에스. 엑시구아 BBMV 소포(vesicle)와 함께 항온 배양하였다. 항온 배양후, 소포를 세척하고,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상에 얹고, 니트로셀룰로스 막에 블로팅하였다. 소포와 함께 재분리된 비오티닐화된 결정 단백질은 스트렙트아비딘-퍼옥시다제 접합체를 사용하여 가시화하였으며, 도면에는 화살표 머리로 나타냈다.
제5도는 G27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을 암호화하며 결정 독소 없는 균주 B.t.51을 형질전환시키는 데 사용되는 pSB456의 플라스미드 지도를 도시한 것이다.
서열번호 1은 B.t.의 아종 엔토모시두스 60.5에서 유래한 CryIC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는 서열번호 1에 나타낸 CryIC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은 B.t.의 아종 케냐 4FI에서 유래한 CryIE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는 서열번호 3에 나타낸 CryIE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CryIE/CryIC B.t.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은 서열번호 5에 나타낸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7은 본 발명에 따른 CryIA/CryIC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8은 서열번호 7에 나타낸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을 암호화하는 플라스미드의 제조
CryIC 또는 CryIE 유전자를 보유하는 플라스미드의 제조시에는 JM101이recA+배경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에스케리챠 콜리(E. coli) XLI-블루(스트래터진 인코오포레이티드)를 플라스미드 숙주로서 사용하였다. 이.콜리에서 결정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벡터는 pKK233-2(파마시아 LKB 바이오 테크놀로지)에서 유래한 것이다. pKK233-2의 크기는 테트라사이클린 내성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보유하는EcoRI-PvuII 단편을 결실시키므로써 감소시켰다. 이어서, 6 bp의XhoI 링커를HindIII 부위내로 연결시켜 pBD10을 생성시켰다. 플라스미드 BK+는 블루스크립트 SK+(스트래터진 인코오포레이티드)의SacI 부위에BglII 링커를 삽입시켜 생성시켰다.BglII에서XhoI까지의 BK+의 폴리링커를 pBD10내NcoI-XhoI 부위 사이에 도입하였다. 생성된 발현 벡터 pBD11은 고도로 발현되는trc프로모터,lacZ 리보좀 결합 부위 및 ATG 개시 코돈을 포함하였다. 개시 코돈은NcoI 부위와 중첩되며, 그 다음에 폴리링커가 이어져서 벡터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였다. 전사는rrnB 전사 종결인자(terminator)에 의해 종결되었다.
B.t. 아종 엔토모시두스 60.5 및 케냐 4F1에서 각각 유래한cryIC 및cryIE 유전자의 클로닝은 이미 개시되어 있다[참조문헌:등, 1990(Appl. Environ. Microbiol. 56, 823-825면); Visser등, 1990(J. Bacteriol. 172, 6783-6788면)]. 클로닝 목적으로,cryIC의 개시 코돈과 중첩하는NcoI 부위는 생체외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생성되었다.BglII 부위는 부위 지향성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cryIC의 해독 종결 코돈의 하류에 바로 생성되어 서열 ATAAGATCTGTT(밑줄친 부분은 중지 코돈임)를 생성시켰다.cryIC 암호화 영역을 포함하는 NcoI-BglII 단편을 pBD11내에 연결시켜 CryIC 발현 플라스미드 pBD150을 산출하였다. pBD155는 pBD150의 유도체이며, 여기서,cryIC의 3' 폴리링커 서열은 결실되어 있다.
완전한cryIE 유전자를 포함하는 pEM14(Visser등, 1990)에서 유래한DraI 단편을 SK+의EcoRV 부위에 클로닝하여 플라스미드 pEM15를 산출하였다. 이어서,NcoI 부위를 그 유전자의 개시 코돈에서 부위 지향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도입하고,cryIE는NcoI-XhoI 단편으로서 pBD11에 전이시켜, CryIE 발현 플라스미드 pBD160을 산출하였다.
cryI 유전자의 독소 단편 암호화 영역만을 보유하는 플라스미드를 제조하였다.BglII 링커를cryIC의 bp 위치 1835에 존재하는XmnI 부위에 그리고cryIE의위치 1839에 존재하는HgiAI 부위에 연결하였다. 이어서,cryIC(1835 bp) 및cryIE(1839 bp) 독소 단편 암호화 영역을 포함하는NcoI-BalII 단편을 pBD11내로 연결시켜, 하기와 같은 pBD151 및 pBD161을 각각 산출하였다.
cryIC-cryIE 하이브리드 유전자의 생성에 사용되는 직렬 플라스미드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BamHI 링커를HpaI으로 처리한 pBD160에 연결시켰다. 이 DNA를BamHI 및XhoI과 항온처리하고, bp 704로부터 전개되는 절단된cryIE 유전자를 pBD151내에 연결시켜 pBD560을 생성시켰다.cryIE-cryIC 하이브리드의 생성용 직렬 플라스미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pBD155를NsiI 및XhoI으로 처리하였다. bp 266으로부터 전개되는 절단된cryIC 유전자를 보유하는 단편을PstI/XhoI 처리된 pBD161내로 연결하여 플라스미드 pBD650을 생성시켰다. 폴리링커 서열로 인해, 특징적인 NotI 및 BamHI 제한 부위가 직렬 플라스미드 pBD560 및 pBD650에 존재하는 절단된 cryI 유전자들 사이에 존재하였다.
하이브리드 독소의 DNA 조작 및 제조
모든 재조합 DNA 기술은 Sambrook등의 문헌[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ur Press, Cold Spring Harbour]에 개시되어 있고, DNA 서열 분석은 디데옥시뉴클레오티드에 부착된 형광 염료를 사용하여 디데옥시트리포스페이트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분석은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 370A 뉴클레오티드 서열 분석기를 사용하여 자동화하였다.
cryI 유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상동성은 생체내에서 분자내 재조합을 가능하게 하였다. 각각 도메인 II 및 III에서만 중첩하는 두개의 절단된 결정 단백질유전자를 보유하는 두개의 직렬 플라스미드를 생성시켰다. 그러므로, 재조합은 도메인 II 및 III을 암호화하는 영역에서만 일어났다. 제한효소 처리에 의해 선별될 수 있는 인프레임(inframe) 재조합은, 전체 크기 140 kDa의 하이브리드 프로독소를 발현시키는 플라스미드를 생성시켰다. 생체내에서 재조합체를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직렬 플라스미드(pBD560 또는 pBD650: 제2도)를 JM101에 전이시켰다. 5㎍의 DNA를 독립적으로 생성된 재조합체로부터 분리시키고, 두개의 절단된cryI 유전자들 사이의NotI 및BamHI 커팅으로 처리하여 비재조합체에 대해 선별하고, DNA로 이.콜리 XL1-블루를 형질전환시켰다. 5개의 단일 콜로니가 증식하고, 단백질 유형 및 플라스미드 함량을 분석하였다.recA+ 배경에서 재조합되도록 직렬 플라스미드 pBD560 및 pBD650을 사용하여 각각 CryIC-CryIE 및 CryIE-CryIC 하이브리드 독소를 생성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DNA를 분리하고, 제한 효소 처리하고recA- 균주에 전이시켰다.
20회의 독립 실험중에서 100개의 콜로니를 SDS-PAGE 상에서 분석하였다. 이들 클론중 85%는 cryIC와 cryIE 사이 및 cryIE와 cryIC 사이에서 각각 인프레임 재조합을 나타내는 140 kDa의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이.콜리에서, CryI 단백질은 생체외 고 pH에서 용해될 수 있는 결정으로서 생산되었다. 상기와 같이 생산된 하이브리드 독소중 약 15%는 고 pH에서 용해되었다. 가용성 하이브리드 독소를 생산하는 재조합체는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먼저 분류하고, 이어서, 각 부류에 대해 선별된 하이브리드의 교차점을 DNA 서열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가용성 하이브리드 독소를 산출한 모든 교차는 도메인 III에서 또는 그와 매우 가까운 곳에서 일어났다.
단백질 정제 및 분석
결정 단백질은 기본적으로 Convents등의 문헌[J. Biol Chem. 265, 1369-1375면; Eur. J. Biochem, 195, 631-635면]에 개시된 대로 분리하였다. 간단히 언급하면, 재조합 이.콜리는 250 ml의 TB 배지에서 30℃에서 OD660이 10 내지 15가 될 때까지 OD660로 증식시켰다. 이.콜리 용균물로부터 분리된 결정은 37℃, pH10에서 20 mM Na2CO3, 10 mM 디티오트레이톨, 100 mM NaCl내에서 2 시간 동안 항온 처리하는 동안 용해되었다. 용액의 pH는 Tris-HCl을 사용하여 8로 낮추고, 트립신과 함께 항온 처리하였다. 독소 용액을 pH 9에서 20 mM Tris-HCl, 100 mM NaCl에 대해 투석하였다. 이어서, 독소 단편을 고속-단백질 액체 크로마토그래피(FPLC) 시스템(파마시아 LKB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연결된 모노 Q 5/5 컬럼상에서 정제하였다. 단백질은 7.5%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하였다.
65 kDa의 독소 단편의 생화학적 분석 및 분리
정제된 CryIC, CryIE 및 하이브리드 단백질의 분리된 결정을 고 pH에서 용해시키고, 트립신과 항온 처리하였다. CryIC 및 CryIE와 마찬가지로, 도메인 III에서 교차를 가진 모든 가용성 하이브리드 독소는 안정한 65 kDa의 단편으로 전환시켰다. 65 kDa의 단편은 모단백질과 유사한 조건하에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도메인 II에서 교차를 가진 하이브리드 F59 및 F71은 트립신으로 완전히 분해시켰다. 분명히, 이들 하이브리드는 불용성 응집물로서 침전되지는 않지만, 모단백질에 내재된 트립신 절단 부위는 트립신에 노출될 수 있다. 이 현상으로 인해, 65 kDa의 단편은 F59 및 F71로부터 분리되지 않았다.
표 1에는 CryIC 및 CryIE 단백질(하이브리드 독소들은 이들 단백질로부터 유도됨)과 관련하여, 5개의 CryIE-CryIC 하이브리드 독소(G27; H8; H17; H13; H7 및 H21) 및 4개의 CryIC-CryIE 하이브리드 독소(F59; F71; F26; E7)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독소 단편을 포함하는 CryIE-CryIC 독소의 아미노산 서열은 CryIC 모단백질의 아미노산 1189에까지 미친다. CryIC-CryIE 하이브리드 독소의 아미노산 서열은 CryIE 모단백질의 아미노산 1171에까지 미친다. 표 1은 또한 CryIC 및 CryIE 단백질과 관련하여, 다양한 하이브리드 독소의 상대적 살충 효능을 나타낸다.
표 1. 모단백질과 관련한 하이브리드 독소의 구성과 독성. 대부분의 생분석은 정제된 독소 단편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cryIC의 경우에, 이들은 아미노산 28 근처에서 아미노산 627 근처까지를 차지하며, cryIE의 경우에는, 아미노산 612까지를 차지하였다. 완전한 프로독소의 길이는 괄호안에 나타냈다.
cry IC/ cry IE 하이브리드 유전자 산물의 살충 활성 및 곤충 독성 분석
세균 배양물을 OD6606.0으로 농축하고, 100㎕를 24-웰 조직배양판내 인공 영양물 2 cm2상에 점적하였다. 한편, 정제된 독소의 희석 샘플을 그 영양물에 가했다. 에스. 엑시구아, 엠. 브라시카 또는 엠. 섹스타의 제2 영(instar) 유충을 상기 영양물(샘플 희석액당 16)상에 5일 동안 공급한 후, 유충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독소가 부가된 영양물상에서 증식한 유충의 평균 중량과 독소 없는 영양물상에서 증식한 대조용 유충의 평균 중량 사이의 비를 계산하므로써 상대 증식률(EC50, 50% 증식 감소를 제공하는 농도)을 결정하였다. 엠.섹스타 난층은 미합중국 노스캐롤라이나의 캐롤라이나 바이올로지컬 서플라이 컴퍼니에서 공급되었다.
하이브리드 유전자 산물에 의해 암호화된 독소 단편은 상기와 같이 3개의 상이한 곤충종에 대한 활성을 시험하였다. 엠.섹스타는 CryIC 및 CryIE에 민감하였다. 트립신에 대한 그 민감도로부터 기대할 수 있듯이, 하이브리드 F59 및 F71은 상기 곤충에 대한 활성이 없다(표 1). H7은 트립신에 의해 안정한 65 kDa의 단백질로 전환되지만, 엠. 섹스타에는 독성이 없다. 표 1에 제시한 기타 모든 하이브리드는 독성이 있으며, 외관상 천연에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형상을 가진다.
CryIC의 65 kDa 단편은 에스. 엑시구아 및 엠. 브라시카에 매우 유독성인 반면, CryIE는 그렇지 않다. 도메인 II 및 III의 연결부에서 교차를 가진 CryIE-CryIC 하이브리드인 G27(표 1: 제2도)은 두 곤충에 대해 활성이 있다. 이것은 CryIC의 도메인 III이 에스. 엑시구아 및 엠. 브라시카에 대한 완전한 활성을 부여함을 입증하였다. 하이브리드 H8은 G27과 단지 3개의 아미노산 잔기(제3도 참조)만이 상이한 데, 엠. 섹스타에 대해서는 활성이 있지만, 에스. 엑시구아 및 엠. 브라시카에 대해서는 활성이 없다.
F26(표 1, 제3도)은 G27의 역 하이브리드로서, CryIC의 도메인 III이 CryIE의 도메인 III에 의해 교환된 것인 데, 에스. 엑시구아 또는 엠. 브라시카에 대한활성이 없다. 명백히, 상기 단백질은 엠. 섹스타에 독성이 있지만, 아미노산 28-462의 CryIC 서열은 에스. 엑시구아 및 엠. 브라시카를 죽이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아미노산 잔기 602까지의 CryIC 서열이 하이브리드(E7)에 존재할 경우에만, 상기 곤충들에 대한 살충 활성이 회복되었다.
상기 개시 내용은 CryIC의 아미노산 잔기 478-602가 에스. 엑시구아 및 엠. 브라시카에 대한 높은 살충 활성을 CryIE에 부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결정 단백질의 비오티닐화 및 결합 분석
제조자(아머샴)에 의해 설명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비오틴-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비오티닐화를 수행하였다. 결정 단백질 1 mg을 20℃, pH 8에서 1 시간 동안 50 mM NaHCO3, 150 mM NaCl내에서 비오티닐화 시약 40 ㎕와 함께 항온 처리하였다. 그 용액을 비결합 비오틴을 제거하기 위하여 0.1% BSA를 함유하는 동일한 완충액으로 평형을 이룬 세파덱스 25 컬럼상에 적재하고, 분획 샘플을 니트로셀룰로스 막상에 점적하였다. 비오티닐화된 결정 단백질을 함유하는 분획을 루미놀의 산화를 촉매하여 화학 발광(ECL, 아머샴)을 나타내는 스트렙트아비딘-퍼옥시다제 접합체(아머샴)를 사용하여 가시화하고, 수집하였다.
브러시 경계막 소포는 그 소포를 0.1% 트윈(Tween) 20을 함유하는 분리 완충제로 한번 더 세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Wolfersberger등의 문헌[Comp. Biochem. Physiol. 86a, 301-308면, 1987]에 개시된 대로 분리하였다. 비오티닐화된 결정 단백질의 브러시 경계막 소포에의 결합(100㎍/㎖)은 1% BSA, 0.1% 트윈-20(pH 7.6)을함유하는 PBS 100 ㎕에서 수행하였다. 소포들(소포 단백질 20 ㎍)을 1000배 과량의 비표지 결정 단백질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20℃에서 1 시간 동안 비오티닐화된 결정 단백질 10 ng과 항온 처리하였다. 이어서, 소포들을 에펜도르프 원심분리관에서 14,000 g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재분리하고, 결합 완충제로 2회 세척하고, 샘플 완충제에 재현탁하고, 가열에 의해 변성시키고, 7.5%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상에 적재하였다. 전기영동후,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스막에 블로팅하고, 소포와 함께 재분리되는 비오티닐화된 결정 단백질은 루미놀의 산화를 촉매하여 화학 발광(ECL, 아머샴)을 나타내는 스트렙트아비딘-퍼옥시다제 접합체(아머샴)와 함께 니트로셀룰로스를 항온 처리하여 가시화하였다.
장 상피 세포에의 결합이 결정 단백질의 작용 방식의 핵심 단계이기 때문에, 결정 단백질의 에스. 엑시구아 브러시 경계막 소포에의 결합은 이종 경쟁 실험에서 조사하였다. 경쟁 실험은 표지된 CryIC(제4A도, 레인 a) 및 표지된 F26(도시하지 않음)의 결합이 과량의 두개의 비표지된 CryIC(레인 b) 또는 F26(레인 e)에 의해 보다 신속히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과량의 C27(레인 c) 또는 CryIE(레인 d)에 의해서는 그렇지 않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표지된 C27(제4B도, 레인 a) 및 표지된 CryIE(도시하지 않음)의 결합이 과량의 C27(레인 b) 또는 CryIE(레인 d)에 의해 보다 신속히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과량의 CryIC(레인 a) 또는 F26(레인 e)에 의해서는 그렇지 않다. 상기 결과로부터, G27 및 CryIE가 에스. 엑시구아 중장막상의 동일한 결합 부위를 인지하며, 이들 부위는 CryIC 및 F26에 의해 인지되는 부위와는 상이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독성 분석 및 결합 분석을결부시키면 G27이 CryIC만큼 독성이 있으나, 그것은 그로부터 상이한 수용기에 결합하였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곤충은 수용기 결합 특성을 변화시켜 결정 단백질에 대한 내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G27은 CryIC에 대한 대안으로서 내성 관리 프로그램에 사용할 수 있다.
이종 시스템에서의 cryIE/cryIC 하이브리드 독소 유전자의 발현
G27 cryIE/cryIC 하이브리드 독소 유전자는 이.콜리에서 발현되며, 그 유전자 생성물은 적어도 CryIC와 동일한 살충 활성(적어도 스포돕테라(Spodoptera)에 대한)을 나타낸다. 게다가, 상기 생성물은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균주에서 발현될 때, 증가된 상기 활성을 나타낸다(하기 참조). G27 하이브리드 독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적합한 셔틀(shuttle) 벡터 시스템내로 도입한 후, 적합한 B.t. 숙주내로 도입하였다. 그 후, 그러한 형질전환된 세포를 배양하며, 전체 배양물과 정제된 결정으로부터 산출된 독소를 살충 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G27-함유 셔틀 벡터의 제조, Bt51의 형질전환 및 그로부터 얻은 독소 단백질의 정제
하이브리드 G27을 암호화하는 유전자(3.4 kbp)를Nco1 및Xho1을 사용하여 pKK233 이. 콜리 발현 플라스미드로부터 절단하였다 이. 콜리 DNA 폴리머라제 I의 클리나우(Klenow) 단편을 사용하여Xho1 부위를 채웠다. 생성된 단편을NcoI/Sma1 처리된 pSB635(p블루스크립트KS+, PcryIC및 CryIA(c) 전사 종결인자)에 연결시켰다. 생성된 플라스미드 pSB453을Apa1 및Not1으로 처리하여 프로모터, 하이브리드 G27orf 및 종결인자를 보유하는 4.2 kbp의 단편을 생성시켰다. 이 단편을Apa1/Not1 처리된 pSB634(pBC16.1 및 p블루스크립트 KS+를 포함하는 셔틀 벡터)에 연결시켜 pSB456(제5도 참조)를 생성시켰다. 이. 콜리 DH10B에서 분리한 플라스미드 DNA를 사용하여 결정 독소 없는 B.t. 균주 Bt51을 형질 전환시켰다. 양성 분리물은 테트라사이클린 내성이 있으며, pSB456의 존재를 나타내며, 135 kDa 단백질(SDS-PAGE에 의해 측정됨)에 상응하는 대형 함입물을 함유하였다. G27 하이브리드 독소 샘플은 CYS-Tc10배지에서 30℃에서 포자형성을 통해 증식한 형질전환된 B.t.51의 배양물로부터 제조하였다. 살충성 생분석(표 2)은 완전한 전체 배양물에서 그리고 세척된 결정 단백질 제제상에서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CryIC 독소를 함유하는 Bt51(pSB440), 및 CryIE를 함유하는 Bt51 (pSB636)을 포함하였다. 독소 농도는 SDS-PAGE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2. CryIC 및 CryIE와 비교한 하이브리드 독소 G27의 생분석. 샘플 숫자는 괄호안에 나타낸다. 하이브리드 독소 G27은 적어도 스포돕테라종에 대한 독성과 관련하여 CryIE 또는 CryIC중 어느 하나보다 약 50% 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해 G27 하이브리드 독소의 생산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지만,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향상된 살충 특성을 가진 다수의 기타 하이브리드 독소를 본 발명에 따라 생산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서열번호 7 및 8은 향상된 살충 활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하이브리드 독소를 나타낸 것이다. CryIC의 도메인 III 및 임의의 기타 Cry 단백질의 N-말단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독소를 생산할 수도 있다. 생분석의 관점에서는, 형질전환체를 보유하는 하이브리드 독소는 분석 절차를 신속히 하고 필요한 재료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SOP 배지에서 증식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G27 및/또는 기타 하이브리드 독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B.t.의 독소 암호화 균주내로 전이시키고/전이시키거나, B.t.의 선별된 균주의 염색체내로 통합시키거나 또는 실제로 식물 게놈내로 도입하여 식물 자체내에서 동일계상 살충 활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관계에서, 상기 독소를 암호화하는 재조합 DNA를 변형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데, 왜냐하면, 재조합 DNA가 삽입될 식물이 선호하는 코돈을 사용하므로써, 상기 식물내에서 그렇게 변형된 DNA의 발현이, 하이브리드 독소 또는 독소 단편의 단백질 성분이 내생적인 유기체에서 비변형 재조합 DNA의 발현에 의해 얻어지는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21)

  1. 단편의 N-말단 영역이 CryIA(a), CryIA(b), CryIA(c), CryIB, CryIC, CryID, CryIE, CryIF, CryIG, CryIH, CryIIA, CryIIB, CryIIC, CryIIIA, CryIIIB, CryIIIB(b), CryIVA, CryIVB, CryIVC, CryIVD, CYTA, CryX1(IIIC), CryX2(IIID), CryX3, CryV, 그리고 CryX4의 N-말단 영역 또는 그 영역의 연속서열의 80%이상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영역과 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일 것을 조건으로, C-말단에 CryIC 또는 CryIA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연속서열의 80%이상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도메인과 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B.t.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III이 유래한 단백질이 결합하는 부위와 상이한 곤충장내 결합 부위에 결합하는 B.t.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
  3. 제2항에 있어서,
    CryIC 결합 부위에 결합하지 않으며, C-말단에 CryIC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연속서열의 80%이상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도메인과 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CryIA 결합 부위에 결합하지 않으며, C-말단에 CryIA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연속서열의 80%이상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도메인과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B.t.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CryIE, CryIB, CryID 또는 CryIA의 도메인 II 또는 그 도메인의 연속서열의 80%이상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도메인과 75%이상 유사한 단백질, 및 CryIC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연속서열의 80%이상을 갖는 펩티드 또는 상기 도메인 III과 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B.t.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CryIE, CryIB, CryID 또는 CryIA의 도메인 I 및 II 또는 그들의 연속서열의 80%이상을 갖는 펩티드 또는 그 도메인들과 75%이상 유사한 단백질, 및 CryIC의 도메인 III 또는 그 도메인의 연속서열의 80%이상을 갖는 펩티드 또는 상기 도메인 III과 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포함하는 B.t.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그 C-말단에 CryIC의 아미노산 위치 454 내지 위치 602의 서열 또는 이 서열과 75%이상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B.t.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
  7. 제6항에 있어서,
    그 C-말단에 CryIC의 아미노산 위치 478 내지 위치 602의 서열 또는 이 서열과 75%이상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B.t. 하이브리드 독소 단편.
  8.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1 부근 내지 아미노산 620 부근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독소 단편, 또는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1 부근 내지 아미노산 620 부근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면서 그 서열과 관련하여 위치 609의 Ile을 Leu으로 대체하거나; 위치 618의 Ala을 Glu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위치 620의 Ser을 Tyr으로 대체하는 변형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독소 단편.
  9.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1 부근 내지 아미노산 627 부근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독소 단편, 또는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1 부근 내지 아미노산 627 부근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면서 그 서열과 관련하여 위치 617의 Ile을 Leu으로 대체하거나; 위치 625의 Ala을 Glu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위치 627의 Ser을 Tyr으로 대체하는 변형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는 독소 단편.
  10. 제1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단편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독소, 또는 살충 활성 또는 수용기 결합 활성을 가지며, 상기 하이브리드 독소와 85% 이상 유사한 독소.
  11. 제1항, 제8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독소 단편 또는 하이브리드 독소와 90% 이상 동일한 순수 단백질.
  12. 제1항, 제8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13. 서열번호 5에 제시한 뉴클레오티드 1 부근 내지 뉴클레오티드 1860 부근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또는 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그와 유사한 DNA, 또는 서열번호 7에 제시한 뉴클레오티드 1 부근 내지 뉴클레오티드 1881 부근의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DNA 또는 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그와 유사한 DNA.
  14. 제12항에 있어서,
    제초제 내성, 식물 성장 촉진성, 항진균성(anti-fungal), 항균성(anti-bacterial), 항비루스성 및/또는 항선충성(anti-nematode)을 가진 단백질을 추가로 암호화하는 재조합 DNA.
  15. 제12항에 있어서,
    공지의 mRNA 불안정성 모티프(motifs) 또는 폴리아데닐화 신호를 제거하고/하거나, 재조합 DNA를 삽입하고자 하는 유기체가 선호하는 코돈을 사용하도록 변형되어, 그 유기체내에서 상기와 같이 변형된 DNA를 발현시키므로써 하이브리드 독소 또는 독소 단편의 단백질 성분이 내생성인 유기체내 비변형 재조합 DNA의 발현에의해 얻은 것과 75%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생산하는 재조합 DNA.
  16. 제12항의 DNA와 엄격한(stringent) 조건하에 하이브리드화하는 서열과 상보적인 DNA 서열.
  17. 제12항의 DNA 서열을 포함하는 벡터.
  18. 제12항의 DNA가 발현되어 생산된 단백질.
  19. 제1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단백질을 1종 이상 함유하는 살충성 조성물.
  20. 곤충을 제1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단백질 또는 조성물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곤충 퇴치 방법.
  21. 살충성 단백질 함유 유기 재료를 침연(maceration) 및 용매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유기 재료로부터 제1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살충성 단백질을 얻기 위한 추출 방법으로서, 상기 재료가 미생물인 추출 방법.
KR1019960700973A 1993-09-02 1994-09-01 하이브리드독소 KR100360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39318207A GB9318207D0 (en) 1993-09-02 1993-09-02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GB9318207.9 1993-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918B1 true KR100360918B1 (ko) 2005-01-15

Family

ID=1074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973A KR100360918B1 (ko) 1993-09-02 1994-09-01 하이브리드독소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5736131A (ko)
EP (1) EP0719335B1 (ko)
JP (1) JPH09502343A (ko)
KR (1) KR100360918B1 (ko)
AT (1) ATE329033T1 (ko)
AU (1) AU691522B2 (ko)
BR (1) BR9407377A (ko)
CA (1) CA2168011C (ko)
DE (1) DE69434758T2 (ko)
ES (1) ES2262136T3 (ko)
GB (1) GB9318207D0 (ko)
IL (1) IL110829A (ko)
PL (1) PL181408B1 (ko)
RU (1) RU2210593C2 (ko)
TW (1) TW430669B (ko)
UA (1) UA57698C2 (ko)
WO (1) WO1995006730A1 (ko)
ZA (1) ZA9467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3019B1 (en) * 1989-02-24 2001-10-04 Monsanto Technology LLC Synthetic plant genes and method for preparation
GB9318207D0 (en) 1993-09-02 1993-10-20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US6780408B1 (en) 1993-09-02 2004-08-24 Syngenta Participations Ag Genes encoding hybrid bacillus thuringiensis toxins
US5593881A (en) * 1994-05-06 1997-01-14 Mycogen Corporation Bacillus thuringiensis delta-endotoxin
US6063756A (en) 1996-09-24 2000-05-16 Monsanto Company Bacillus thuringiensis cryET33 and cryET34 compositions and uses therefor
CA2272843C (en) * 1996-11-20 2009-11-10 Ecogen, Inc. Broad-spectrum delta-endotoxins
US6713063B1 (en) 1996-11-20 2004-03-30 Monsanto Technology, Llc Broad-spectrum δ-endotoxins
US6017534A (en) 1996-11-20 2000-01-25 Ecogen, Inc. Hybrid Bacillus thuringiensis δ-endotoxins with novel broad-spectrum insecticidal activity
US5942664A (en) * 1996-11-27 1999-08-24 Ecogen, Inc. Bacillus thuringiensis Cry1C compositions toxic to lepidopteran insects and methods for making Cry1C mutants
US6121436A (en) * 1996-12-13 2000-09-19 Monsanto Company Antifungal polypeptid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nt pathogenic fungi
EP1555319A3 (en) * 1997-10-20 2006-03-15 GTC Biotherapeutics, Inc. Modified nucleic acid sequences and method to increasing mRNA levels and protein expression in cell systems
US6218188B1 (en) 1997-11-12 2001-04-17 Mycogen Corporation Plant-optimized genes encoding pesticidal toxins
AU774176B2 (en) * 1997-11-12 2004-06-17 Mycogen Corporation Plant-optimised genes encoding pesticidal toxins
US6121521A (en) * 1998-04-01 2000-09-19 Novartis Ag Chimeric insecticidal protein and DNA coding therefor
EP1099760A1 (en) * 1999-11-09 2001-05-16 Centrum Voor Plantenveredelings- En Reproduktieonderzoek (Cpro) Bacillus thuringiensis Cry1Ia-Cry1Ba hybrid toxins
ES2243543T3 (es) * 2000-08-25 2005-12-01 Syngenta Participations Ag Hibridos de proteinas cristalinas de bacillus thurigiensis.
CA2446215A1 (en) * 2001-05-04 2002-11-1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Polymer conjugates of insecticidal peptides or nucleic aci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30108585A1 (en) * 2001-05-04 2003-06-12 Roe R. Michael Polymer conjugates of insecticidal peptides or nucleic acids or insectic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60009409A1 (en) 2002-02-01 2006-01-12 Woolf Tod M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s
WO2003064621A2 (en) * 2002-02-01 2003-08-07 Ambion, Inc. HIGH POTENCY siRNAS FOR REDUCING THE EXPRESSION OF TARGET GENES
ATE508188T1 (de) * 2002-02-01 2011-05-15 Life Technologies Corp Oligonukleotid-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r wirksamkeit
US7557186B2 (en) * 2002-03-27 2009-07-07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Chimeric CrylE δ endotoxin and methods of controlling insects
US7053266B2 (en) * 2002-03-27 2006-05-30 Council Of Scientfic And Industrial Research Chimeric cry1E δendotoxin and methods of controlling insects
US20040029275A1 (en) * 2002-08-10 2004-02-12 David Brow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target gene expression using cocktails of siRNAs or constructs expressing siRNAs
US7393922B2 (en) * 2003-08-29 2008-07-01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secticidal Cry4Ba proteins with enhanced toxicity
CA2771677A1 (en) 2005-08-31 2007-03-08 Monsanto Technology Llc 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insecticidal proteins
CN100510081C (zh) 2005-10-17 2009-07-08 华中农业大学 苏云金芽胞杆菌的杀虫晶体蛋白基因cry7Bal
AU2007228981B2 (en) * 2006-03-21 2012-10-04 BASF Agricultural Solutions Seed US LLC Novel genes encoding insecticidal proteins
EP2021476B1 (en) 2006-05-26 2014-07-09 Monsanto Technology, LLC Corn plant and seed corresponding to transgenic event mon89034 and methods for detection and use thereof
US9522937B2 (en) 2007-03-28 2016-12-20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secticidal proteins
BRPI0809352B1 (pt) * 2007-03-28 2017-03-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proteína inseticida híbrida projetada, molécula de ácido nucleico codificadora da dita proteína,cassete de expressão, vetor recombinante, célula hospedeira transgênica, composição inseticida, métodos de produção da dita proteína e de uma planta transgênica resistente a insetos e método de controle de insetos".
WO2008145406A1 (en) * 2007-06-01 2008-12-04 Bayer Bioscience N.V. Novel genes encoding insecticidal proteins
MX348698B (es) 2008-12-16 2017-06-26 Syngenta Participations Ag Evento 5307 del maiz.
AU2010221135A1 (en) 2009-03-05 2011-09-29 Metabolix, Inc. Propagation of transgenic plants
DK2419441T3 (en) 2009-04-17 2015-04-27 Dow Agrosciences Llc Insecticidal dig-3-cry toxins
BR112012009381A2 (pt) 2009-10-02 2017-03-01 Syngenta Participations Ag "proteínas inseticidas"
KR20120115316A (ko) * 2009-12-16 2012-10-17 다우 아그로사이언시즈 엘엘씨 밤나방 및 유럽 옥수수 천공충을 방제하기 위한 살곤충성 단백질 조합, 및 곤충 내성 관리 방법
JP5969921B2 (ja) * 2009-12-16 2016-08-17 ダウ アグロサイエンシィズ エルエルシー 抵抗性昆虫の対応のためのCry1Beと組み合わせたCry1Daの使用
AR079500A1 (es) * 2009-12-16 2012-02-01 Dow Agrosciences Llc Uso combinado de proteinas cry1ca y cry1fa para el manejo de la resistencia de insectos
WO2011084622A1 (en) * 2009-12-16 2011-07-14 Dow Agrosciences Llc Combined use of cry1ca and cry1ab proteins for insect resistance management
JP5907892B2 (ja) * 2009-12-16 2016-04-26 ダウ アグロサイエンシィズ エルエルシー 抵抗性昆虫の対応のためのCry1Beと組み合わせたCry1Abの使用
US20120317682A1 (en) * 2009-12-16 2012-12-13 Dow Agrosciences Llc Combined use of vip3ab and cry1fa for management of resistant insects
AR079505A1 (es) * 2009-12-16 2012-02-01 Dow Agrosciences Llc Uso de cry1da en combinacion con cry1ca para el manejo de insectos resistentes
NZ601096A (en) * 2009-12-16 2014-10-31 Dow Agrosciences Llc Combined use of cry1da and cry1fa proteins for insect resistance management
CA2782554A1 (en) 2009-12-16 2011-07-14 Dow Agrosciences Llc Modified cry1ca insecticidal cry proteins
CA3049609C (en) * 2010-02-18 2024-02-13 Athenix Corp. Axmi221z, axmi222z, axmi223z, axmi224z, and axmi225z delta-endotoxin gene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8735560B1 (en) * 2010-03-02 2014-05-27 Monsanto Technology Llc Multiple domain lepidopteran active toxin proteins
WO2011133892A1 (en) * 2010-04-23 2011-10-27 Dow Agrosciences Llc Combinations including cry34ab/35ab and cry3ba proteins to prevent development of resistance in corn rootworms (diabrotica spp.)
US9234208B1 (en) 2010-05-10 2016-01-12 Dow Agrosciences Llc DIG-13 insecticidal cry toxins
UA111592C2 (uk) * 2010-07-07 2016-05-25 Сінгента Партісіпейшнс Аг Спосіб контролю над твердокрилими комахами-шкідниками
WO2012083219A1 (en) * 2010-12-16 2012-06-21 Dow Agrosciences Llc Combined use of vip3ab and cry1ab for management of resistance insects
WO2012131619A1 (en) * 2011-03-30 2012-10-04 Metahelix Life Sciences Limited A nucleotide sequence, expression cassette, transgenic events, cells and methods thereof
US10119149B2 (en) 2011-08-05 2018-11-06 Dow Agrosciences Llc Use of DIG3 insecticidal crystal protein in combination with cry1Ab for management of resistance in european cornborer
MX2014001456A (es) * 2011-08-05 2014-02-27 Dow Agrosciences Llc Uso de proteina cristalina insecticida dig3 en combinacion con cry1ab.
CN103923204B (zh) * 2014-04-04 2016-06-08 湖北省生物农药工程研究中心 杀南方根结线虫的苏云金芽胞杆菌的活性物质及其应用
SG10201913870RA (en) 2014-10-16 2020-03-30 Monsanto Technology Llc Novel chimeric insecticidal proteins toxic or inhibitory to lepidopteran pests
US10487123B2 (en) 2014-10-16 2019-11-26 Monsanto Technology Llc Chimeric insecticidal proteins toxic or inhibitory to lepidopteran pests
TW201615095A (zh) 2014-10-31 2016-05-01 陶氏農業科學公司 Dig-303殺蟲cry毒素
CN114213510A (zh) 2014-12-30 2022-03-22 美国陶氏益农公司 可用于控制昆虫害虫的修饰的Cry1Ca毒素
CN109952024B (zh) * 2016-10-10 2023-11-03 孟山都技术公司 新型昆虫抑制蛋白
US11692013B2 (en) 2016-10-19 2023-07-04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Broad spectrum insecticidal polypeptide against lepidopteran pe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037371A1 (en) * 2016-10-19 2018-04-26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Broad spectrum insecticidal polypeptide against lepidopteran pe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1465406A (zh) 2017-12-15 2020-07-28 先正达参股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靶蛋白的非抗体配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41092C (en) 1985-12-12 2000-09-05 David L. Edwards Process for altering the host range of bacillus thuringiensis toxins, and novel toxins produced thereby
IT1231157B (it) * 1989-07-20 1991-11-19 Crc Ricerca Chim Nuovi geni ibridi funzionali di bacillus thuringiensis ottenuti mediante ricombinazione in vivo.
HU220773B1 (hu) * 1990-01-22 2002-05-28 Dekalb Genetics Corporation Eljárás termő transzgenikus kukoricanövények előállítására
GB9318207D0 (en) 1993-09-02 1993-10-20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US5593881A (en) * 1994-05-06 1997-01-14 Mycogen Corporation Bacillus thuringiensis delta-endotoxin
US5527883A (en) 1994-05-06 1996-06-18 Mycogen Corporation Delta-endotoxin expression in pseudomonas fluorescens
US5508264A (en) 1994-12-06 1996-04-16 Mycogen Corporation Pesticida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10829A0 (en) 1994-11-11
PL181408B1 (pl) 2001-07-31
PL313317A1 (en) 1996-06-24
DE69434758T2 (de) 2006-11-09
RU2210593C2 (ru) 2003-08-20
DE69434758D1 (de) 2006-07-20
UA57698C2 (uk) 2003-07-15
ZA946770B (en) 1996-03-04
BR9407377A (pt) 1996-07-16
CA2168011C (en) 2007-11-06
CA2168011A1 (en) 1995-03-09
EP0719335A1 (en) 1996-07-03
EP0719335B1 (en) 2006-06-07
TW430669B (en) 2001-04-21
ES2262136T3 (es) 2006-11-16
GB9318207D0 (en) 1993-10-20
WO1995006730A1 (en) 1995-03-09
AU691522B2 (en) 1998-05-21
US6204246B1 (en) 2001-03-20
ATE329033T1 (de) 2006-06-15
IL110829A (en) 2006-08-20
JPH09502343A (ja) 1997-03-11
US5736131A (en) 1998-04-07
AU7693294A (en) 1995-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918B1 (ko) 하이브리드독소
de Maagd et al. Domain III substitution in Bacillus thuringiensis delta-endotoxin CryIA (b) results in superior toxicity for Spodoptera exigua and altered membrane protein recognition
Bosch et al. Recombinant Bacillus thuringiensis crystal proteins with new properties: possibilities for resistance management
JP3325564B2 (ja) Bt耐性発現の防止
EP0522036B1 (en) BACILLUS THURINGIENSIS cryIIIC GENE AND PROTEIN TOXIC TO COLEOPTERAN INSECTS.
Sekar et al.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secticidal crystal protein gene of Bacillus thuringiensis var. tenebrionis
Rajamohan et al. Single amino acid changes in domain II of Bacillus thuringiensis CryIAb delta-endotoxin affect irreversible binding to Manduca sexta midgut membrane vesicles
Lu et al.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residues of Bacillus thuringiensis delta-endotoxin CryIAa associated with membrane binding and toxicity to Bombyx mori
US5986177A (en)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with broad spectrum activity
US5990383A (en) Stably transformed plants comprising novel insecticidal proteins
US8796026B2 (en) Insecticidal proteins secreted from Bacillus thuringiensis and uses therefor
IL98031A (en) A method of expanding the range of host proteins or increasing the toxicity of insecticidal proteins, proteins and their preparation
US5338544A (en) CryIIB protein, insect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0340948B2 (en) Novel hybrid pesticidal toxins
US6780408B1 (en) Genes encoding hybrid bacillus thuringiensis toxins
Cheong et al.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cytolytic and mosquitocidal delta-endotoxin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jegathesan
WO1988006631A1 (en) Hybrid genes incorporating a dna fragment containing a gene coding for an insecticidal protein, plasmids, transformed cyanobacteria expressing such protein and method for use as a biocontrol agent
Luo et al. Removal of adsorbed toxin fragments that modify Bacillus thuringiensis CryIC δ-endotoxin iodination and binding by sodium dodecyl sulfate treatment and renaturation
Bosch et al. Analysis of non-active engineered Bacillus thuringiensis crystal proteins
Wasano et al. A high homology exists in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s of δ‐endotoxins between Lepidoptera‐specific and Coleoptera‐specific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EP0804474B1 (en) Identification, quantitation and purification of insecticidal proteins from bacillus thuringiensis
JPH08510637A (ja) バチルス・チュリンゲンシスの新菌株及びその殺虫性タンパク質
IE910322A1 (en) Temperature-stable bacillus thuringiensis toxin
Kaur et al. Bacteria as biocontrol agents of insects
Ge Hyperexpression of a Bacillus thuringiensis delta-endotoxin gene in Escherichia coli and localization of its specificity dom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