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950B1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950B1
KR100350950B1 KR1020000023480A KR20000023480A KR100350950B1 KR 100350950 B1 KR100350950 B1 KR 100350950B1 KR 1020000023480 A KR1020000023480 A KR 1020000023480A KR 20000023480 A KR20000023480 A KR 20000023480A KR 100350950 B1 KR100350950 B1 KR 100350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e
set value
temperature
indoor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621A (ko
Inventor
김인갑
박창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3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950B1/ko
Publication of KR2001010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950B1/ko

Li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기 온도 및 자동차 실내의 습도에 따라 공기흡입모드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 실내의 쾌적한 냉난방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모드 선택시 초기에 외기흡입모드를 선택하고, 외기온도가 설정치보다 낮을 때 송풍팬들을 구동함과 아울러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며, 외기온도가 설정치보다 높을 때 송풍팬들을 구동하는 동시에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한다. 이 때,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고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한다.
냉방모드 선택시 초기에 내기순환모드를 선택하고, 내기온도가 설정치보다 높을 때 송풍팬 및 압축기를 구동함과 아울러 내기온도가 설정치보다 낮을 때 송풍팬들 및 압축기가 온/오프 사이클을 이루면서 내기순환모드를 유지한다.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 내기순환모드를 유지하고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 내/외기혼합흡입모드를 유지한다. 믹스모드 선택시 초기에 내기순환모드 또는 외기흡입모드를 선택하고, 온도를 임의로 설정함과 아울러 송풍팬들 및 압축기를 구동한다.
외기온도 및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 압축기 구동과 동시에 내/외기분리모드를 유지하고, 외기온도가 설정치 이상이면서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 및 외기온도가 설정치 미만이면서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외기흡입모드를 각각 유지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IR-CONDITIONER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방성능 향상 및 자동차 창문의 성에 방지를 도모함과 아울러 냉방시 실내 공기의 혼탁 방지를 도모하고 또한 내/외기를 혼합하여 도입함으로써 백무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내/외기 온도 및 자동차 실내의 습도에 따라 공기흡입모드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 실내를 쾌적하게 냉난방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냉방장치와 난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냉방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에 의하여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고 이 응축기에서 냉각팬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시킨 다음 이 냉매를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팰브 및 증발기를 차례로 거치도록 하여 다시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블로어 유니트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와 증발기를 거치는 냉매를 열교환시켜 송풍공기를 냉기 상태로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난방장치는 엔진의 냉각수를 히터 코어를 거쳐 엔진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블로어 유니트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와 히터 코어를 거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켜 송풍공기를 온기 상태로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내기, 외기 또는 내/외기의 혼합공기를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장치의 가동시 외기흡입구를 통하여 외기만을 실내로 공급할 경우 압축기의 부하가 커져 연료손실이 많고, 내기흡입구를 통하여 내기만을 순환시킬 경우에는 자동차 실내가 혼탁해져 탑승자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 또한 내기 및 외기를 혼합하여 공급할 경우에도 결국 외기의 신선한 느낌을 탑승자가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내기 및 외기를 분리 또는 혼합하여 2층 유동구조로 자동차 실내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조화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특히 일본국 니혼 덴소사에 의하여 일본 특개평 7-315031호(인용참증 1), 동 9-240248호(인용참증 2), 동 10-86637호(인용참증 3), 동 10-203135호(인용참증 4), 동 11-11139호(인용참증 5), 동 11-91333호(인용참증 6)에 제안되어 있다.
세부적으로, 인용참증 1에는 내기를 흡입하여 자동차 실내로 송풍할 때 흡입량 대비 내기 비율에 상관없이 자동차 실내로 송풍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인용참증 2에는 냉방모드시 내/외기가 혼합흡입되도록 하여 백무현상을 방지하고, 내기, 외기, 내/외기 혼입모드를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인용참증 3에는 디프로스트 벤트 및 플로어 벤트로부터의 각 토출공기의 온도차가 외기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내기, 외기, 내/외기 혼합 모드만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인용참증 4에는 냉각 정도를 검출하는 수단의 위치를 적합하게 선정함으로써 저온의 외기 유입시 증발기의 착상(frost)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인용참증 5에는 내기, 외기, 내/외기 혼합 모드를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인용참증 6에는 외기가 저온의 온도를 가질 때 제습성능 저하 또는 증발기의 착상을 방지하고 외기가 고온의 온도를 가질 때 백무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중 인용참증 1에 있어서는 플로어 모드 또는 바이 레벨 모드시에는 내/외기를 분리하여 플로어의 전,후 풍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 외의 수단에 의한 내기, 외기, 내/외기 분리 및 내/외기 혼합 모드의 제어는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용참증 2에 있어서는, 내/외기 분리 유입, 내/외기 혼합 유입에 대한 제어방식이 제안되어 있지 않고, 제어 유니트에 내기, 외기, 내/외기 혼합의 3가지 모드가 적용되어 별도의 구성 공간 및 부품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용참증 3 내지 5에 있어서는 내기, 외기, 내/외기 2층 유동 모드 제어만 되도록 되어 있고, 특히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의 경우 난방 모드시 내/외기가 2층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차, 실내의 습도 변화에 따른 흡입 모드 제어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용참증 6에 있어서는 흡입 모드는 내/외기 2층 모드, 외기 모드, 내기 모드로서 내/외기 혼합 모드 및 이 모드들의 제어수단이 개시되어 있지 않고, 흡입 모드는 디프로스트 모드에 따라 흡입 모드가 결정됨에 따라 압축기 온,오프 작동 로직과의 연동에 있어서 압축기 오프시의 내/외기 2층 유동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 경우 실내의 습도가 증가할 경우 자동차 유리창에 성에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외기 및 습도 변화에 따라 공기흡입모드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외기 온도 및 자동차 실내의 습도에 따라 공기흡입모드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 실내를 쾌적하게 냉난방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중 난방모드 및 냉방모드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중 믹스모드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자동차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반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의 수동운전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의 자동운전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외기흡입모드시의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내기순환모드시의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내/외기분리흡입모드시의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내/외기혼합흡입모드시의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조화케이스, 2 : 블로어 유니트,
4 : 에어 가이드 덕트, 11 : 상부공기유로,
12 : 하부공기유로, 13 : 분리벽,
14 : 플로어 벤트, 15 : 디프로스트 벤트,
16 : 페이스 벤트, 20 : 스크롤 케이스,
21 : 상부 스크롤부, 22 : 하부 스크롤부,
23, 24 : 송풍팬, 25 : 모터,
31 : 증발기, 32 : 히터 코어,
41, 44 : 내기흡입구, 42 : 외기흡입구,
43, 45 : 전환도어, 321, 322 : 온도조절도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발기 및 히터 코어가 내장되고 분리벽에 의하여 출구단쪽에 디프로스트 벤트 및 페이스 벤트가 설치된 상부공기유로 및 출구단쪽에 플로어 벤트가 설치된 하부공기유로로 구획되며 상기 히터 코어 앞쪽에 온도조절도어가 설치된 공기조화케이스와,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입구단에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가 상기 분리벽의 연장부에 의하여 상부 스크롤부 및 하부 스크롤부로 구획되고 상기 각 스크롤부에는 같은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상부 송풍팬 및 하부 송풍팬이 차례로 설치된 블로어 유니트와, 그리고 상기 블로어 유니트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스크롤부쪽에 제1전환도어로 개도가 조절되는 외기흡입구 및 제1내기흡입구가 설치됨과 아울러 하부 스크롤부쪽에는 제2전환도어로 개도가 조절되는 제2내기흡입구가 설치된 에어 가이드 덕트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난방모드, 냉방모드 또는 믹스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난방모드 선택시에는, 외기흡입모드를 선택하고, 외기온도를 판단하여 외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송풍팬들을 구동함과 아울러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며, 외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송풍팬들을 구동하는 동시에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하며, 실내습도를 판단하여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함과 아울러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에는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냉방모드 선택시에는, 내기순환모드를 선택하고, 내기온도를 판단하여 내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송풍팬들 및 압축기를 구동함과 아울러 내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송풍팬들 및 압축기는 온/오프 사이클을 이루면서 내기순환모드를 유지하며, 실내습도를 판단하여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송풍팬 및 압축기 구동과 함께 내기순환모드를 유지하고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에는 송풍팬 및 압축기 구동과 함께 내/외기혼합흡입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믹스모드 선택시에는, 내기순환모드 또는 외기흡입모드를 선택하고, 온도조절스위치로 온도를 임의로 설정함과 아울러 송풍팬들 및 압축기를 구동하며, 외기온도 및 실내습도를 판단하여 외기온도가 설정치 이상일 경우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압축기 구동과 동시에 내/외기분리모드를 유지하고,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며, 외기온도가 설정치 미만이면서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외기흡입모드를,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각각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난방 모드에 있어서 실내습도의 설정치는 50%이고, 상기 냉방모드에 있어서 실내습도의 설정치는 30%이며, 상기 믹스모드에 있어서 실내습도의 설정치는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공기조화케이스를 나타낸다.
공기조화케이스(1)의 내부에는 전후로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가 설치되고, 중앙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분리벽(13)에 의하여 공기조화케이스(1)의 내부는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로 상하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코어(32) 앞쪽, 즉 히터 코어(32)와 증발기(31)와의 사이의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에는 이 유로들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온도조절도어(321,322)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쪽에는 자동차의 플로어쪽으로 향하는 플로어 벤트(14)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공기유로(11)의 출구단쪽에는 자동차 유리창 쪽으로 향하는 디프로스트 벤트(15)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향하는 페이스 벤트(16)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13)의 후단부에는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를 연통시키는 커뮤니케이션 벤트(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벤트(14)는 플로어 도어(14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5)는 디프로스트 도어(15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페이스 벤트(16)는 페이스 도어(16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커뮤니케이션 벤트(1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커뮤니케이션 도어가 더 설치되어도 좋다.
한편, 공기조화케이스(1)의 입구단에는 블로어 유니트(2)가 설치된다. 상기 블로어 유니트(2)는 상기 분리벽(13)의 연장된 부분에 의하여 상부 스크롤부(21) 및 하부 스크롤부(22)로 구획된 스크롤 케이스(20)를 가진다. 또한, 상부 스크롤부(21)에는 상부 송풍팬(2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 스크롤부(22)에는 하부 송풍팬(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송풍팬(23) 및 하부 송풍팬(24)은 모두 하부 스크롤부(22)의 하부에 설치되는 같은 모터(25)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4는 에어 가이드 덕트(4)로서, 스크롤 케이스(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에어 가이드 덕트(4)의 상부(즉, 상부 스크롤부(21)의 상부쪽)에는 제1전환도어(43)의 선회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외기흡입구(42) 및 제1내기흡입구(41)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외기흡입구(4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 또는 제1내기흡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기가 상부 스크롤부(21) 또는 하부 스크롤부(22)로 선택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가이드 덕트(4)의 하부 일측(즉, 하부 스크롤부(22)의 하부쪽)에는 제2전환도어(45)의 선회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제2내기흡입구(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장치를 운전하기 위하여 자동차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반(5)이 채용될 수 있고, 이 조작반(5)에 의한 수동 제어구조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으며, 자동 제어구조는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있어서, 참조부호 51 내지 55는 자동차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로서, 참조부호 51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벤트 모드버튼, 52는 자동차 실내의 상,하로 서로 다른 조건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바이 레벨 모드버튼, 53은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플로어 모드버튼, 54는 혼합공기를 자동차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믹스 모드버튼, 그리고 55는 자동차 유리창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모드버튼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56은 후술하는 공기흡입모드들을 선택하기 위한 공기흡입모드선택 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57은 압축기 구동 스위치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8은 내/외기모드 전환스위치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59는 냉방, 난방 또는 냉방 및 난방 사이의 구간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조절스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2b에 있어서, 참조부호 6은 제어유니트로서, 외기온도감지센서(61)의 온도감지신호, 습도감지센서(62)의 습도감지신호, 공기흡입모드선택 스위치(56)의 신호, 온도조절스위치(59)의 신호, 압축기 구동 스위치(57)의 신호 등을 입력받아 전환도어들(43,45)을 구동하는 공기흡입 액츄에이터(63)를 구동함으로써 소정의 공기흡입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2c에 있어서, 참조부호 64는 히터 코어(32)의 전방에 설치된 온도조절도어들(321,322)을 구동하기 위한 온도조절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며, 이 자동 제어구조에 있어서 제어 유니트(6)는 공기흡입 액츄에이터(63)를 구동하여 적절한 공기흡입모드를 자동적으로 유지하고 온도조절 액츄에이터(64)를 구동하여 온도를 자동적으로 설정치로 유지함과 아울러 송풍팬들(23,24)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공기흡입모드들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흡입모드에서는, 제1전환도어(43)에 의하여 제1내기흡입구(41)는 막히고 외기흡입구(42)는 개방되며 제2내기흡입구(44)도 막힌다. 따라서, 외기흡입구(42)를 통해서만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이 공기는 신선한 외기로서 상부 스크롤부(21) 뿐만 아니라 하부 스크롤부(22)로도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는 상부 송풍팬(23) 및 하부 송풍팬(24)에 의하여 외기가 상부공기유로(11) 뿐만 아니라 하부공기유로(12) 쪽으로 송풍될 수 있다. 외기가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를 통하여 송풍되면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를 거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외기가 열교환되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될 수 있다. 온도조절은 온도조절도어(321,322)의 조작에 따른 풍량조절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순환모드에서는, 제1전환도어(43)에 의하여 외기흡입구(42)는 막히는 반면에 제1내기흡입구(41) 및 제2내기흡입구(44)는 개방된다. 따라서, 내기흡입구들(41)(44)을 통해서만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송풍팬(23) 및 하부 송풍팬(24)에 의하여 내기가 상부공기유로(11) 뿐만 아니라 하부공기유로(12) 쪽으로 송풍되고, 이와 같이 내기가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를 통하여 송풍되면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를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내기가 열교환되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분리흡입모드에서는, 제1전환도어(43)에 의하여 제1내기흡입구(41)는 막히고 외기흡입구(42)는 개방되며 제2내기흡입구(44)는 개방된다. 따라서, 외기흡입구(42)를 거쳐 상부 스크롤부(21)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부 송풍팬(23)에 의하여 상부공기유로(11) 쪽으로만 송풍되고, 제2내기흡입구(44)를 거쳐 하부 스크롤부(22)로 유입되는 내기는 하부 송풍팬(24)에 의하여 하부공기유로(12) 쪽으로만 송풍된다. 이와 같이, 상부공기유로(11)로 송풍되는 외기 및 하부공기유로(12)로 송풍되는 내기는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를 거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기혼합흡입모드에서는, 제1전환도어(43)가 제1내기흡입구(41) 및 외기흡입구(42)와의 사이의 위치로 선회함과 아울러 제2전환도어(45)가 제2내기흡입구(44)와 하부 스크롤부(22)와의 사이의 위치로 선회한다. 따라서, 외기흡입구(42), 제1내기흡입구(41) 및 제2내기흡입구(44)가 모두 개방된다. 이 내/외기 복합모드에서는 제1전환도어(43) 및 제2전환도어(45)의 개방각도 때문에 제1내기흡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기는 상부 스크롤부(21) 쪽으로만 유동하지만 외기흡입구(42)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기는 상부 스크롤부(21)쪽 뿐만 아니라 하부 스크롤부(22)쪽으로도 유동한다. 이에 따라 상부 스크롤부(21)에서 외기 및 내기가 혼합되고 또한 하부 스크롤부(22)에서도 외기와 내기가 혼합되므로,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로 송풍되는 공기는 모두 내/외기가 혼합된 혼합공기이다. 이와 같이 송풍되는 혼합공기는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를 거치는 과정에서 열교환되어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로 바뀌어 상부공기유로(11) 및 하부공기유로(12)의 출구단 쪽으로 유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각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기를 신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내/외기의 온도 및 습도 차이를 줄임으로써 백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모드, 냉방모드 또는 믹스모드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흡입모드들은 다음과 같이 제어될 수 있다.
<난방모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모드 선택시에는 초기에 온도조절스위치(59)를 난방위치로 맞추고 공기흡입스위치를 외기흡입모드로 선택한다.
그리고, 외기온도감지센서(61)에 의하여 외기온도가 감지되어 제어유니트(6)에 입력되면 제어유니트(6)는 이를 판단하여 외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송풍팬들(23,24)을 구동함과 아울러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고, 외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송풍팬들(23,24)을 구동함과 아울러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중에서 습도감지센서(62)에 의하여 실내습도가 감지되어 제어유니트(6)에 입력되면 제어유니트(6)는 이를 판단하여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여 건공기가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에는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실내습도는 5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벤트 모드버튼, 바이 레벨 모드버튼, 플로어 모드버튼, 믹스 모드버튼 및 디프로스트 모드버튼중 어느 한 버튼을 선택하면 자동차 실내로 공기로 온기가 토출되어 난방이 수행됨으로써 난방성능 향상 및 자동차 창문의 성에를 방지할 수 있다.
<냉방모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모드 선택시에는 초기에 온도조절스위치(59)를 냉방위치로 맞추고 공기흡입스위치를 내기순환모드로 선택한다.
그리고, 외기온도감지센서(61)에 의하여 내기온도가 감지되어 제어유니트(6)에 입력되면 제어유니트(6)는 이를 판단하여 내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송풍팬 및 압축기를 구동함과 아울러 내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송풍팬 및 압축기는 오/오프 사이클을 이루면서 내기순환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중에서 습도감지센서(62)에 의하여 실내습도가 감지되어 제어유니트(6)에 입력되면 제어유니트(6)는 이를 판단하여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내기순환모드를 유지하고,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에는 내/외기혼합흡입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내기순환모드에서 냉방이 지속되면 실내온도 및 습도가 점점 내려가며 안정을 유지하게 되지만 실내의 공기는 혼탁해지므로, 실내공기의 혼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습도가 설정습도에 도달하면 내/외기혼합흡입모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일부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외기가 유입되어 다시 습도가 증가하면 내기순환흡입모드로 전환되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내습도는 3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냉방모드의 경우 내/외기혼합흡입모드에서는 고온/다습한 외기와 저온/저습한 내기가 혼합되어 유입되므로 종래 내기순환모드 및 외기흡입모드만 구비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내기순환모드에서 외기흡입모드로 전환시 온도 및 습도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백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믹스 모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스모드는 상기한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를 제외한 소정의 온도범위에서 사용되는 모드로서, 믹스모드 선택시에는 초기에 온도조절스위치(59)를 임의의 온도구간에 맞추고 내/외기모드 전환스위치(58)를 내기순환모드 또는 외기흡입모드를 선택한 후 송풍기(또는 송풍기 및 압축기)를 구동한다.
그리고, 습도감지센서(62)에 의하여 실내습도가 감지되어 제어유니트(6)에 입력되면 제어유니트(6)는 실내습도를 판단하여 외기온도가 설정치 이상일 경우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압축기 구동과 동시에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하고,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며, 외기온도가 설정치 미만이면서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외기흡입모드를,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각각 유지함으로써 실내의 분위기가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내/외기 온도 및 자동차 실내의 습도에 따라 공기흡입모드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주행 조건에 재빨리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실내를 항상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Claims (2)

  1. (1회 정정) 증발기(31) 및 히터 코어(32)가 내장되고 분리벽(13)에 의하여 출구단쪽에 디프로스트 벤트(15) 및 페이스 벤트(16)가 설치된 상부공기유로(11) 및 출구단쪽에 플로어 벤트(14)가 설치된 하부공기유로(12)로 구획되며 상기 히터 코어 앞쪽에 온도조절도어(321,322)가 설치된 공기조화케이스(1)와, 상기 공기조화케이스의 입구단에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20)가 상기 분리벽의 연장부에 의하여 상부 스크롤부(21) 및 하부 스크롤부(22)로 구획되고 상기 각 스크롤부에는 같은 모터(25)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상부 송풍팬(23) 및 하부 송풍팬(24)이 차례로 설치된 블로어 유니트(2)와, 그리고 상기 블로어 유니트(2)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스크롤부쪽에 제1전환도어(43)로 개도가 조절되는 외기흡입구(42) 및 제1내기흡입구(41)가 설치됨과 아울러 하부 스크롤부쪽에는 제2전환도어(45)로 개도가 조절되는 제2내기흡입구(44)가 설치된 에어 가이드 덕트(4)를 가진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난방모드, 냉방모드 또는 믹스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난방모드 선택시에는, 외기흡입모드를 선택하고, 외기온도를 판단하여 외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송풍팬들을 구동함과 아울러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며, 외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송풍팬들을 구동함과 동시에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하며, 실내습도를 판단하여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함과 아울러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에는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냉방모드 선택시에는, 내기순환모드를 선택하고, 내기온도를 판단하여 내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송풍팬 및 압축기를 구동함과 아울러 내기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때에는 송풍팬 및 압축기는 온,오프 사이클을 이루면서 내기순환모드를 유지하며, 실내습도를 판단하여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내기순환모드를 유지함과 아울러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일 때에는 내/외기혼합흡입모드를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믹스모드 선택시에는, 내기순환모드 또는 외기흡입모드를 선택하고, 온도를 임의로 설정함과 아울러 송풍팬들 또는 송풍팬들 및 압축기를 구동하며, 실내습도를 판단하여 외기온도가 설정치 이상일 경우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압축기 구동과 동시에 내/외기분리모드를 유지하고,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외기흡입모드를 유지하며, 외기온도가 설정치 미만이면서 실내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외기흡입모드를, 실내습도가 설정치 미만이면 내/외기분리흡입모드를 각각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모드에 있어서 실내습도의 설정치는 50%이고, 상기 냉방모드에 있어서 실내습도의 설정치는 30%이며, 상기 믹스모드에 있어서 실내습도의 설정치는 50%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1020000023480A 2000-05-02 2000-05-02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100350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480A KR100350950B1 (ko) 2000-05-02 2000-05-02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480A KR100350950B1 (ko) 2000-05-02 2000-05-02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21A KR20010102621A (ko) 2001-11-16
KR100350950B1 true KR100350950B1 (ko) 2002-08-28

Family

ID=4578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480A KR100350950B1 (ko) 2000-05-02 2000-05-02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9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35B1 (ko) 2007-12-31 2014-08-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20190017419A (ko) * 2017-08-11 2019-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894A (ko) * 2002-11-05 200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KR20200072974A (ko) * 2018-12-13 2020-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35B1 (ko) 2007-12-31 2014-08-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20190017419A (ko) * 2017-08-11 2019-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CN109383223A (zh) * 2017-08-11 2019-02-26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空调的方法
KR102028884B1 (ko) * 2017-08-11 2019-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US10821807B2 (en) 2017-08-11 2020-11-03 Hyundai Mobi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21A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83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72397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6915650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automatic control of main blower and sub-blower
KR100999134B1 (ko) 자동차 공기 조화기용 내외기 제어 방법
US6431267B1 (en) Air 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19410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225491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35095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100745078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21458B1 (ko) 자동차용 트리플 존 공기조화장치
KR10035288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3135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11125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H1091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683565B1 (ko) 자동차용 멀티-존 공기조화장치
KR20050105664A (ko) 냉각수온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온도제어방법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810822B1 (ko)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
KR10100103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KR101281289B1 (ko) 이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090752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3325383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