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235B1 -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235B1
KR101427235B1 KR1020070141591A KR20070141591A KR101427235B1 KR 101427235 B1 KR101427235 B1 KR 101427235B1 KR 1020070141591 A KR1020070141591 A KR 1020070141591A KR 20070141591 A KR20070141591 A KR 20070141591A KR 101427235 B1 KR101427235 B1 KR 101427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indow glass
air
humidity
cond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610A (ko
Inventor
오상호
이정훈
김영민
오세원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2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4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 B60H2001/324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가운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아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창유리의 김서림을 효과적으로 제거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는, 창유리 내측면의 습도를 감지하는 디포그센서와, 상기 디포그센서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에 따라 에어컨을 온/오프시키거나 디프 도어를 개폐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온도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외기온도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에어컨의 오프시점과 상기 디프 도어의 닫힘시점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DEFOGGING DEVIC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가운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아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창유리의 김서림을 효과적으로 제거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용 공조시스템은 자동제어방식으로 개선되고 있다.
자동제어방식 공조시스템은, 차량의 외기 온도와 습도, 차량의 내기 온도와 습도, 일사량 등을 감지한 다음, 감지된 각각의 데이터에 따라 차량의 실내온도와 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 온도와 습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이러한 자동제어방식 공조시스템은, 차량의 창유리에 김서림이 발생될 경우,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는 디포킹장치(Defogging Device)를 구비하고 있다.
디포깅장치의 일례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62728호가 있다. 이 기술 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유리 내측면의 상대습도(이하, "창유리의 습도"라 약칭함)를 감지하는 디포그센서(1)와,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에 따라 디프 도어(Def. Door)(3)와 인테이크 도어(5)와 에어컨의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제어하는 콘트롤러(9)를 구비한다.
특히, 콘트롤러(9)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1설정습도(c) 이상일 경우, "디포깅모드"(Defogging Mode)로 전환되면서 인테이크 도어(5)를 외기모드("A")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디프 도어(3)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2설정습도(d) 이상이면, 디프 도어(3)를 모두(100%) 개방하고, 동시에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온(ON)시켜 에어컨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에어컨의 증발기(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12)를 통해서 차량의 창유리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기가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콘트롤러(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3설정습도(b) 이하로 떨어지면, 블로어(8)를 "자동제어모드"(Auto Mode)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디프 도어(3)를 닫기 시작한다.
그리고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4설정습도(a)로 다시 떨어지면, 디프 도어(3)와 인테이크 도어(5)와 압축기(7)를 동시에 "자동제어모 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디프 도어(3)는 완전히 닫혀지고, 인테이크 도어(5)는 내기모드("B")로 전환되며, 압축기(7)와 블로어(8)는 오프(OFF)된다. 결국, 디포깅장치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여기서, 콘트롤러(9)에 내장된 제 2설정습도(d)는 상대습도 80%로 설정되고, 제 4설정습도(a)는 상대습도 65%로 설정되는 것이 보통이다. 왜냐하면, 창유리의 습도가 상대습도 80%이상일 경우라야만, 창유리에 김서림 현상이 완전히 발생되기 때문이며, 창유리의 습도가 상대습도 65%이하여야만, 창유리의 김서림 현상이 완전히 소멸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포깅장치는, 창유리의 습도가 제 4설정습도(a)로 저하되면 완전히 오프되는 구조이므로, 낮은 온도의 외기가 창유리에 작용하여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제 4설정습도(a) 보다 낮게 변화될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은, 창유리의 내측면 습도에 따라 결정되기도 하지만, 창유리에 작용하는 외기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여름철에는 창유리의 습도가 상대습도 65%로 떨어지면 창유리의 김서림이 완전히 소멸되지만, 외기 온도가 낮은 겨울철의 경우에는, 차가운 외기가 창유리에 영향을 끼치므로, 창유리의 습도가 상대습도 65%보다 낮아야만 창유리에 김서림 현상이 완전히 소멸된다.
따라서, 제 4설정습도(a)로 저감되면, 완전히 오프되어 김서림 제거 동작을 일시에 중단하는 종래의 디포깅 장치는, 온도가 낮은 외기가 창유리에 작용하여 김서림 소멸 조건이 제 4설정습도(a) 미만으로 변화될 경우,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기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창유리의 김서림 현상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종래의 디포깅장치는, 외기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창유리의 김서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빠른 시간내에 김서림이 재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김서림의 발생주기가 빨라지고, 따라서, 창유리의 김서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창유리의 김서림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디포깅장치의 작동 빈도가 매우 잦아지고, 디포깅장치의 작동 빈도가 잦아지므로, 그에 따른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량의 승차감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겨울철 낮은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아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창유리의 김서림을 완전히 제거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김서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빈도를 최대 한 줄여줄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빈도를 최대한 줄여줌으로써,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서 빈번하게 작동하지 않아도 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 빈번하게 작동되지 않아도 되므로, 빈번하게 작동되는 것에 따른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저감시켜줄 수 있으며, 따라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는, 창유리 내측면의 습도를 감지하는 디포그센서와, 상기 디포그센서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에 따라 에어컨을 온/오프시키거나 디프 도어를 개폐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온도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외기온도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에어컨의 오프시점과 상기 디프 도어의 닫힘시점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에 의하면, 외기온도가 낮은 겨울철의 경우, 디프 도어의 닫힘시점을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구조이므로, 겨울철 낮은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아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낮아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창유리의 김서림을 완전히 제거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낮은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아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창유리의 김서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빈도를 최대한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빈도를 최대한 줄여주므로,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서 디포깅장치가 빈번하게 작동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작동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저감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가 창유리 습도에 따라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로직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포깅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디포깅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포그센서(1)를 구비한다. 디포그센서(1)는, 창유리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창유리 내측면의 상대습도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창유리의 습도를 콘트롤러(9)에 입력시킨다.
콘트롤러(9)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구동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1설정습도(c) 이상이면, "디포깅모드"로 전환되면서 인테이크 도어(5)를 외기모드("A")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디프 도어(3)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2설정습도(d) 이상이면, 디프 도어(3)를 모두(100%) 개방하고, 동시에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온(ON)시켜 에어컨을 온(ON)시킨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에어컨의 증발기(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12)를 통해서 차량의 창유리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기가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콘트롤러(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3설정습도(b) 이하로 떨어지면, 블로어(8)를 "자동제어모드"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디프 도어(3)를 닫기 시작한다.
그리고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4설정습도(a)로 다시 떨어지면, 인테이크 도어(5)와 압축기(9)를 동시에 "자동제어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디프 도어(3)도 동시에 "자동제어모드"로 전환(X)시킨다.
따라서, 디프 도어(3)는 완전히 닫혀지고, 인테이크 도어(5)는 내기모드("B")로 전환되며, 압축기(7)와 블로어(8)는 오프(OFF)된다. 결국, 디포깅장치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포깅장치의 특징부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온도 감지수단(20)을 구비한다.
외기온도 감지수단(20)은, 온도감지센서(22)로 구성되며,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외기온도 데이터를 콘트롤러(9)에 입력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콘트롤러(9)를 구비하되, 상기 콘트롤러(9)는, 외기온도 감지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의 크기에 따라 에어컨의 오프시점, 즉 압축기(7)의 오프시점과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을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트롤러(9)는,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4설정습도(a)로 떨어진 상태에서, 외기온도 감지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가 난방이 요구되는 겨울철 저온영역(이하, "저온영역"이라 약칭함)이하인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저온영역"이면, 콘트롤러(9)는 현재 겨울철이고, 겨울철의 차가운 외기가 창유리에 작용하여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디프 도어(3)의 "자동제어모드 전환시점(T)", 즉 닫힘시점(T)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Y)시켜 준다.
특히,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T)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Y)시켜 줌으로써, 창유리의 습도가 제 4설정습도(a) 미만(α)일 경우라도, 디프 도어(3)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디프 도어(3)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창유리에 대한 공기의 토출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시 간동안 지속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제 4설정습도(a) 미만(α)으로 변화되어, 창유리의 습도가 제 4설정습도(a) 미만(α)인 상태에서도 창유리의 김서림이 소멸되지 않을 경우, 창유리에 대한 공기의 토출이 설정 시간동안 지속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그 결과, 창유리의 김서림 현상을 완전히 소멸한다.
한편, 콘트롤러(9)는, 외기온도 감지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가 냉방이 요구되는 "고온영역"이면, 에어컨의 오프시점, 즉 압축기(7)의 오프시점과 디프 도어(3)의 닫침시점(X)을 동일하게 유지시킴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외기온도가 낮은 겨울철의 경우,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T)을 소정시간동안 지연시키는 구조이므로, 겨울철 낮은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아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낮아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창유리의 김서림을 완전히 제거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외기 온도에 영향을 받아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창유리의 김서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빈도를 최대한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빈도를 최대한 줄여주므로,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기 위해서 디포깅장치가 빈번하게 작동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디포깅장치의 빈번한 작동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저감시켜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콘트롤러(9)는, 타이머(9a)를 갖추고 있다. 타이머(9a)는 외기온도 감지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가 "저온영역"일 경우, 콘트롤 러(9)로부터 디프 도어(3)로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시키도록 시간을 카운트한다. 따라서,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시켜준다.
그리고, 콘트롤러(9)에 내장된 "저온영역"은, 약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5℃이하의 외기온도가 창유리에 작용할 경우, 창유리의 김서림 소멸 조건이 제 4설정습도(a) 미만(α)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리고 콘트롤러(9)에 내장된 "고온영역"은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외기온도가 -5℃이상인 상태에서도,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을 지연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0)에 남아 있는 습기가 오히려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되어 창유리의 김서림 현상이 가중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를 이용한 디포깅장치 제어방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조시스템이 온(ON)된 상태에서(S101),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1설정습도(c)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제 1설정습도(c) 이상이면, 인테이크 도어(5)를 외기모드("A")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디프 도어(3)를 개방하기 시작한다(S105).
그리고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2설정습도(d) 이상인가를 다시 판단한다(S107). 판단 결과, 제 2설정습도(d) 이상이면, 디프 도어(3)를 100% 개방하고, 동시에 압축기(7)와 블로어(8)를 온(ON)시켜 에어컨을 작동시킨다(S109).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증발기(1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외기는 디프로스트 벤트(12)를 통해서 차량의 창유리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기는 창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한다.
한편, 창유리에 냉기가 토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3설정습도(b) 이하인가를 다시 판단한다(S111). 판단 결과, 제 3설정습도(b) 이하이면, 블로어(8)를 "자동제어모드"로 전환시키고 동시에 디프 도어(3)를 닫기 시작한다(S113).
그리고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가 제 4설정습도(a)이하인가를 다시 판단한다(S115). 판단 결과, 제 4설정습도(a) 이하이면, 외기온도 감지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가 "저온영역"인가를 다시 판단한다(S117).
판단 결과, "저온영역"이 아니면(S117-1), 디프 도어(3)와 인테이크 도어(5)와 압축기(9)를 동시에 "자동제어모드"로 전환시킨다(S119).
그러면, 디프 도어(3)는 완전히 닫혀지고(X), 인테이크 도어(5)는 내기모드("B")로 전환되며, 압축기(7)와 블로어(8)는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된다. 결국, 디포깅장치는 작동을 멈춘다. 특히, 압축기(7)의 오프시점과 디프 도어(3)의 닫침시점(X)이 동일하다.
한편, 판단 결과, "저온영역"이면(S117-2), 인테이크 도어(5)와 압축기(9)는 "자동제어모드"로 전환시키는 반면, 디프 도어(3)는 "자동제어모드 전환시점(T)", 즉 닫힘시점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Y)시켜 준다(S121).
그러면, 인테이크 도어(5)는 내기모드("B")로 전환되고, 압축기(7)와 블로 어(8)는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되면서 냉기의 공급을 차단한다. 그러나, 디프 도어(3)는 설정된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창유리에 대한 공기의 공급은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된다.
따라서, 창유리에 발생된 김서림은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며, 이에 따라 창유리는 차가운 외기에 관계없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를 구성하는 외기온도 감지수단(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외기온도 감지수단(20)은, 모드감지센서(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드감지센서(24)는, 외기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공조시스템의 현재 모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현재 토출 모드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외기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자동제어방식의 공조시스템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방이 필요한 저온영역의 경우에는,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전환되면서 난방하고, 냉방이 필요한 고온영역의 경우에는, 벤트 모드(Vent Mode) 또는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로 전환되면서 냉방한다.
따라서, 공조시스템의 현재 토출 모드 상태를 감지하면, 외기온도가 저온영역인가 또는 고온영역인가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외기온도 저온 영역 고온 영역
모드 플로어 모드 바이 레벨 모드
또는
벤트 모드
[표 1] 외기온도별 공조시스템의 모드 상태
참고로, 벤트 모드(Vent Mode)는, 증발기(10) 또는 히터(14)를 통과한 공기를 운전자와 승객의 얼굴 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는, 증발기(10) 또는 히터(14)를 통과한 공기를 운전자와 승객의 얼굴 방향과 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플로어 모드(Floor Mode)는, 증발기(10) 또는 히터(14)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외기온도 감지수단(20)은, 변환출력부(26)를 더 구비한다.
변환출력부(2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구동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모드감지센서(24)로부터 입력된 현재 모드 상태를 이에 대응하는 외기온도로 변환시켜 콘트롤러(9)로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모드감지센서(24)로부터 입력된 현재의 모드가 플로어 모드이면, 외기온도를 저온영역으로 변환시키며, 모드감지센서(24)로부터 입력된 현재의 모드가 벤트 모드와 바이 레벨 모드이면, 외기온도를 고온영역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변환된 외기온도를 콘트롤러(9)로 입력시킨다. 여기서, 변환출력부(26)는, 현재의 모드상태에 대응한 외기온도가 미리 내장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변환출력부(26)는 경우에 따라 콘트롤러(9)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실시예의 외기온도 감지수단(20)에 의하면, 공조시스템의 모드 상태를 통해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구조이므로, 외기온도 감지를 위한 별도의 온도감지센서가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디포깅장치가 창유리 습도에 따라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가 창유리 습도에 따라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로직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포깅장치를 이용한 디포깅장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디포깅장치를 구성하는 외기온도 감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디포그센서(Defog Sensor) 3: 디프 도어(Def. Door)
5: 인테이크 도어 7: 압축기
8: 블로어(Blower) 9: 콘트롤러(Controller)
9a: 타이머(Timer) 10: 증발기
12: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4: 히터(Heater)
20: 외기온도 감지수단 22: 온도감지센서
24: 모드감지센서 26: 변환출력부

Claims (5)

  1. 창유리 내측면의 습도를 감지하는 디포그센서(1)와, 상기 디포그센서(1)로부터 입력된 창유리의 습도에 따라 에어컨을 온/오프시키거나 디프 도어(3)를 개폐하는 콘트롤러(9)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온도 감지수단(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9)는, 상기 외기온도 감지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에어컨의 오프시점과 상기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9)는,
    상기 외기온도 감지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가 난방이 요구되는 저온영역이면, 상기 에어컨의 오프시점에 대해 상기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9)는,
    상기 외기온도 감지수단(20)으로부터 입력된 외기온도가 냉방이 요구되는 고 온영역이면, 상기 에어컨의 오프시점과 상기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토출모드가 플로어 모드(Floor Mode)이면, 외기온도가 난방이 요구되는 저온영역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에어컨의 오프시점에 대해 상기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토출모드가 벤트 모드(Vent Mode) 또는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이면, 외기온도가 냉방이 요구되는 고온영역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에어컨의 오프시점과 상기 디프 도어(3)의 닫힘시점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20070141591A 2007-12-31 2007-12-31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1427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91A KR101427235B1 (ko) 2007-12-31 2007-12-31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91A KR101427235B1 (ko) 2007-12-31 2007-12-31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610A KR20090073610A (ko) 2009-07-03
KR101427235B1 true KR101427235B1 (ko) 2014-08-06

Family

ID=4133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591A KR101427235B1 (ko) 2007-12-31 2007-12-31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017B1 (ko) * 2021-03-11 2021-11-03 (주)에이피 전열교환기 결로방지 및 외기냉난방 운전고지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532A (ja) 2000-04-07 2001-10-1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0350950B1 (ko) 2000-05-02 2002-08-2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20050093132A (ko) * 2004-03-18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공조제어 방법
KR20070062728A (ko) * 2005-12-13 2007-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습기제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532A (ja) 2000-04-07 2001-10-1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0350950B1 (ko) 2000-05-02 2002-08-2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20050093132A (ko) * 2004-03-18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공조제어 방법
KR20070062728A (ko) * 2005-12-13 2007-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습기제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610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364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windshield fogging in a motor vehicle
KR10142723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0610828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954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723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5725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0530606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8042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제어장치
KR20080080759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KR10147482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017816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포깅 제어방법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308092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2723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20090073611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1745206B1 (ko) 차량용 제습 제어 시스템
KR10261940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37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90642A (ko) 차량 실내의 포그 가능성 표시 제어방법
KR1014221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1021719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859128B1 (ko) 차체냉각에 따른 난방제어방법
KR10161987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1319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