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521B1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07521B1 KR100907521B1 KR1020030007096A KR20030007096A KR100907521B1 KR 100907521 B1 KR100907521 B1 KR 100907521B1 KR 1020030007096 A KR1020030007096 A KR 1020030007096A KR 20030007096 A KR20030007096 A KR 20030007096A KR 100907521 B1 KR100907521 B1 KR 1009075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air
- door
- outlet
- evapo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세미센터마운팅(Semi-Center Mounting)타입 및 센터마운팅(Center Mounting)타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유니트를 축소시켜 차실내 점유공간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장치의 유니트내의 일부공간을 냉/온장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이를 위하여 공기조화유니트(1)의 내부유로중 송풍기유니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의 상류쪽에 위치한 제 1챔버(10); 상기 제1챔버(10)의 측부에 위치한 제 2챔버(20); 상기 제 1챔버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챔버(2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부에는 디프로스트 도어(31)로 개폐되는 디프로스트 벤트(34), 페이스 도어(32)로 개폐되는 페이스 벤트(35)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플로어도어(33)로 개폐되는 플로어벤트(36)를 가지는 제 3챔버(30); 상기 제 1챔버(10)와 상기 제 2챔버(20) 및 상기 제3챔버(30)를 각각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챔버(20)에 연하여 제 1송출구(12)를 가지며, 상기 제 3챔버(30)와의 경계면에 제 2송출구(13)를 포함하는 제 1분리벽(40); 상기 제 2챔버(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분리벽(40)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3챔버(30)에 연장되어지는 제 2분리벽(50); 상기 제 1챔버(10)내에 공기유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증발기(60); 상기 제 2챔버(20)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증발기(6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히터코어(70); 상기 증발기(60)의 내부방향으로 각각의 지지아암(81)(82)이 형성되어 공기조화유니트(1)의 양쪽 벽면에 피봇 설치되면서, 상기 제1송출구(12) 및 제 2송출구(13)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80); 상기 제 2챔버(20)와 상기 제 3챔버(30)가 통할 수 있도록 제 2챔버(20)내의 양측부상에 형성된 송풍통로(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챔버(30)내의 상기 플로어벤트(36)유로중에 냉/온장고수단(9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발기, 히터코어, 온도조절도어, 지지아암, 송풍통로
Description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바이레벨(Bi-Level)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발명에 따른 온도조절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발명의 캔을 수장하는 클램프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기조화유니트 2,3: 양측벽
10: 제 1챔버 12: 제 1송출구
13: 제 2송출구 20: 제 2챔버
21,22: 격벽 23: 송풍통로
30: 제 3챔버 31: 디프로스트 도어
32: 페이스도어 33: 플로어도어
34: 디프로스트벤트 35: 페이스 벤트
36: 플로어 벤트 40: 제 1분리벽
50: 제 2분리벽 60: 증발기
70: 히터 코어 80: 온도조절도어
81,82: 지지아암 83: 도어 플레이트
90: 냉/온장고 수단 91: 도어
92: 클램프 수단 93: 안내부재
94: 탄성부재 95: 손잡이부
96: 안내홈 97: 요홈
98: 외벽 99: 캔
본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발기 유니트와 히터 유니트가 일체로 이루어진 세미센터마운팅(Semi-Center Mounting)타입 및 센터마운팅(Center Mounting)타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장치의 유니트의 공간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자동차에 대한 점유공간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장치의 유니트내의 일부공간을 냉/온장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냉방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에 의하여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고 상기 응축기에서 냉매를 응축시키면, 상기 응축된 냉매는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를 거친후 증발기를 거치게 된다. 증발기를 통과하는 기액상태의 저온냉매는 송풍기유니트에 의하여 송풍되는 차량의 내/외기와 열교환하게 되는데, 이때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냉각되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난방장치는 엔진을 냉각시키면서 50~80 의 고온상태를 유지하는 냉각수를 히터코어를 거치게 하고, 송풍기유니트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와 상기 히터코어를 거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켜 온기상태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장치는 송풍기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유니트들이 각각 단일 요소로 구성된 3-피스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와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함께 일체로 이루어진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 및 상기의 각각의 3개의 유니트가 함께 일체로 이루어진 센터 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공간의 축소 및 구조의 단순화등을 고려하여 세미센터마운팅 타입 및 센터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가 주로 채택되고 있다.
도 7은 종래의 세미센터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공기조화유니트(100)의 내부 유로중 증발기(110)는 공기유로방향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히터코어(120)는 하류측에 위치한다. 상기 공기조화유니트(100)의 입구에는 미도시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송풍기유니트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송풍기유니트의 상부에는 실내기 흡입구 및 실외기 흡입구가 위치되어지고, 상기의 흡입구는 전환도어의 선회에 따라 개폐조절된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에 따른 송풍팬의 회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기 흡입구 또는 실외기 흡입구를 통하여 송풍기유니트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조화유니트(100)의 내부 유로로 송풍됨으로써 증발기(110), 히터 코어(120)를 거치면서 공기가 열교환되어 냉기 또는 온기로 바꾸게 된다. 그리고, 히터코어(120) 후방쪽에는 자동차 창문쪽으로의 공기토출을 안내함으로써 자동차 유리창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40),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쪽으로의 공기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페이스 벤트(150) 및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쪽으로의 공기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160)가 차례로 설치된다. 상기의 각각의 벤트(140)(150)(160)는 냉난방 모드에 따라 각각의 디프로스트 도어(170), 페이스 도어(180), 플로어 도어(190)에 의하여 개폐조절된다.
한편, 송풍기유니트로부터 송풍되어진 공기가 공기조화유니트(100)의 내부유로의 상류에 설치된 증발기(110)를 거쳐 히터코어를 통과하거나 우회하도록 상기 공기조화유니트(100)의 내부 유로를 절환하는 온도조절도어(1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의 온도조절도어(130)가 히터코어(120)쪽의 송풍통로를 막고 있을 경우에는 증발기(110)를 거치면서 냉기상태의 공기만이 상부유로에 유입되어 상기 벤트(140)(150)(160)중 개방된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에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실내에 난방이 필요하거나, 성에제거등 온풍이 요구 될 때는 상기의 온도조절도어(130)가 히터코어(120)의 상부쪽의 내부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증발기(110)를 거친 공기는 모두 히터코어(120)를 경유하게 되며, 이때 상기 히터코어(120)와 열교환된 온기상태의 공기가 상기 벤트(140)(150)(160)중 개방된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에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난방시에는 자동차의 엔진과 연결된 압축기가 작동하지 아니하므로 증발기(110)에는 당연히 냉매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미센터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는 온도조절도어(130)가 증발기(110)와 히터코어(120)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난방시에 히터코어(120)를 거친 공기를 벤트(140)(150)(160)쪽으로 송풍하기 위하여 히터코어(120)의 후방에 상기 각 벤트(140)(150)(160)로 통하는 송풍통로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공기조화유니트(100)의 부피가 커져 결과적으로 차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 상기의 온도조절도어(130)가 플레이트(Plate)형이거나 플랩(Flap)타입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난방시 증발기(110)를 거친 공기가 히터코어(120)를 거치거나, 냉방시 히터코어(120)를 우회하여 벤트(140)(150)(160)쪽으로 송풍될 때 공기가 상기의 온도조절도어(130)에 부딪쳐 벤트(140)(150)(160)쪽으로 원활하게 송풍되지 못하고 역류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소음이 심하게 발생함과 아울러 송풍량이 줄어들어 냉난방 성능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또한 차실내 하반부쪽으로의 공기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플로어 도어(190)와 연결되는 플로어벤트(160)는 실내의 대쉬패널과 접하면서 운전자나 조수석의 하단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단순히 온기와 냉기를 이동하는 경로로만 활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공기조화유니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조화유니트의 내부유로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유니트의 내부유로중 일부를 냉/온장고의 챔버로 이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조화유니트의 내부유로중 송풍기유니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의 상류쪽에 위치한 제 1챔버; 상기 제1챔버의 측부에 위치한 제 2챔버; 상기 제 1챔버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챔버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부에는 디프로스트 도어로 개폐되는 디프로스트 벤트, 페이스 도어로 개폐되는 페이스 벤트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플로어도어로 개폐되는 플로어벤트를 가지는 제 3챔버;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 및 상기 제3챔버를 각각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챔버에 연하여 제 1송출구를 가지며, 상기 제 3챔버와의 경계면에 제 2송출구를 포함하는 제 1분리벽; 상기 제 2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분리벽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3챔버에 연장되어지는 제 2분리벽; 상기 제 1챔버내에 공기유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증발기; 상기 제 2챔버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증발기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의 내부방향으로 각각의 지지아암이 형성되어 공기조화유니트의 양쪽 벽면에 피봇 설치되면서, 상기 제1송출구 및 제 2송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 상기 제 2챔버와 상기 제 3챔버가 통할 수 있도록 제 2챔버내의 양측부상에 형성된 송풍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챔버내의 상기 플로어벤트유로중에 냉/온장고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제 1분리벽 및 온도조절도어의 도어플레이트는 각각 호형의 형상을 가지고, 온도조절도어는 양쪽 지지아암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하여 선회각도에 따라 제1송출구 및 제 2송출구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또다른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히 밝혀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자동차의 실내의 분출되는 모드에 따른 본발명의 공기조화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증발기(60)와 히터코어(70)가 일체로 형성된 세미-센터마운팅(Semi-Center Mounting)타입의 공기조화유니트(1)는 증발기(60)가 설치된 제 1챔버(10)와 상기 제1챔버(10)의 측부에 인접하여 히터코어(70)를 내장한 제 2챔버(20) 및 상기 제 1챔버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챔버(2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부에는 디프로스트 도어(31)로 개폐되는 디프로스트 벤트(34), 페이스 도어(32)로 개폐되는 페이스 벤트(35)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플로어도어(33)로 개폐되는 플로어벤트(36)를 가지는 제 3챔버(30)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 1챔버(10), 제 2챔버(20) 및 제 3챔버(30)를 각각 분리시키기 위하여 공기조화유니트(1)내에 제 1분리벽(40)과 제 2분리벽(50)을 설치한다. 상기의 제 1분리벽(40)은 상기 제 2챔버(20)에 연하여 제 1송출구(12)를 가지며, 상기 제 3챔버(30)와의 경계면에 제 2송출구(13)를 포함한다. 한편, 제 2분리벽(50)은 상기 제 2챔버(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분리벽(40)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3챔버(30)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조화유니트(1)의 내부유로중 송풍기유니트가 설치되는 쪽인 상류측에 위치한 제 1챔버(10)의 공간은 증발기(60)를 포함하고, 제 2챔버(20), 제 3챔버(50)와 각각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 1분리벽(40)을 구비하며, 상기의 제 1분리벽은 상기 히터코어(70)를 향해 팽출되는 호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챔버(10)의 공간에는 상기 증발기(60)가 설치된 내부방향쪽으로 상기 증발기(60)의 양측면에 대응하는 공기조화유니트(1)의 양쪽 벽면에 상기 제1송출구(12) 및 제 2송출구(13)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80)가 설치된다.
상기의 온도조절도어(80)는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 1분리벽(40)과 마찬가지로 호형으로 이루어진 도어플레이트(83)와 상기 도어플레이트(83)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설치된 지지아암(81)(82)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지지아암(81)(82)은 증발기(60)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공기조화유니트(1)의 양쪽 벽면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증발기(60)와 히터코어(70) 사이에서의 도어 회동거리가 종래의 온도조절도어 구조에 비하여 짧아지므로, 결국 거의 지지아암의 길이만큼 공기조화기(1)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다음에는 본발명의 히터코어(70)가 설치된 제 2챔버(2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히터코어(7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믹스챔버에 해당하는 제 3챔버(30)로 유동되는 송풍통로(23)가 종래와 같이 히터코어(70)의 후방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상기 제 2챔버(20)와 상기 제 3챔버(30)가 통할 수 있도록 히터코어(70)가 내장 설치되는 제2 챔버(20)의 양측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즉,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히터코어(70)는 증발기(60)에 비하여 폭방향의 크기가 (H)만큼 작으므로 상기 폭방향의 양쪽 공간부(H/2)를 히터코어에서 열교환된 온기가 통과하는 송풍통로(23)로 이용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송풍통로(23)의 구조에 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증발기(60)의 폭방향의 크기는 대략 공기조화유니트(1)의 폭방향의 격벽(2)(3)사이의 크기(W)에 상당하게 되고, 히터코어(70)의 폭방향의 크기(W')는 상기 증발기의 크기(W)에 비하여 양쪽으로 각각 2/H만큼 작게 된다. 제 1분리벽(40)으로부터 히터코어(70)쪽으로 연장되도록 격벽(21)(22)을 설치하면, 상기 격벽(21)(22)과 상기 제 1분리벽(40), 상기 제 2분리벽(50) 및 공기조화유니트(1)의 양측벽(2)(3)에 의하여 제 2챔버(20)로부터 제 3챔버로 열교환된 온기상태의 공기가 유동하는 송풍통로(23)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발명의 송풍통로(23)는 종래와 같이 히터코어(70)의 후방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히터코어(70)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므로 공기조화유니트(1)의 전후 두께를 종래의 후방통로만큼 더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발명의 제 3챔버(30)는 제 1챔버(10) 및 제 2챔버(20)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냉기 및 온기상태의 공기가 믹스되는 믹스챔버의 기능을 하는 공간으로, 자동차 유리창 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디프로스트도어(31)로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34)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 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페이스 도어(32)로 개도가 조절되는 페이스 벤트(35) 및 자동차 실내의 플로어 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플로어 도어(33)로 개도가 조절되는 플로어 벤트(36)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벤트(34)(35)(36)중 디프로스트 벤트(34)와 페이스 벤트(35)는 제 3챔버의 상단에 전후로 형성되고, 플로어 벤트(36)는 히터코어(70)가 설치되는 제 2챔버(20)에 인접하여 공기조화유니트(1)의 후단부 하단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제3챔버(30)내의 플로어벤트(36)유로중에는 냉/온장고수단(90)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플로어벤트(36)내에 유동하는 냉/온기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냉/온장고수단(90)은 외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도어(91) 및 캔(99)을 수용할 수 있는 클램프수단(92)을 포함한다.
즉, 냉/온장고수단(90)는 대쉬패널에 인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서 상기의 도어(91)를 외부에서 개방하여 냉/온장고수단(90)에 저장된 캔(99)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클램프수단(92)은 자동차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 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6에 구체적인 구성이 표현되어 있다.
즉, 외부에 사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캔(99)을 수용하는 외벽(98), 상기 외벽(98)중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96), 상기 안내홈(96)을 따라 캔(99)의 크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내부 안내부재(93), 상기 안내부재(93)가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안내부재(93)의 요홈(97)에 일단이 결합된 탄성부재(94) 및 상기 탄성부재(94)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부재(93)가 수동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부(95)를 포함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행되는 분출모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a. 냉방모드(Cool-Vent Mode)
도 1은 냉방모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증발기(60)에서 냉각된 공기가 페이스벤트(35)로만 공급되고, 디프로스트벤트(34) 및 플로어벤트(36)를 폐쇄하여 차실내를 냉방시키는 모드로서, 온도조절도어(80)는 히터코어(70)의 전방에 위치한 제1송출구(12)를 폐쇄하고 제 1챔버(10)와 제 3챔버(30)를 연결하는 제 2송출구(13)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페이스벤트(35)로만 공급하기 위하여 페이스도어(32)는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냉방모드 상태에서는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60)에서 열교환되어 냉기상태로 되고 온도조절도어(80)에 의해 히터코어(70)의 전방이 폐쇄되어 제 1챔버(10)를 통과한 후 곧바로 제 3챔버(30)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디프 로스트도어(31) 및 플로어도어(33)는 폐쇄되고, 페이스도어(32)만이 완전 개방된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페이스벤트(35)를 지나 차실내로 공급되므로서, 차실내를 냉방이나 환기시킬 수 있다.
b. 웜-플로어 모드(Warm-Floor Mode)
도 2는 난방시에만 설정되는 모드로서, 온도조절도어(80)로 하여금 제2송출구(13)를 폐쇄하는 한편, 히터코어(7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송출구(12)는 개방상태로 된다.
따라서, 송풍기유니트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제 1챔버(10)의 증발기(60)에서 열교환하지 않고 그냥 통과한 후에 제 2송출구(13)를 통하여 히터코어(70)와 열교환하여 온풍으로 변하게 된다.
상기의 온풍으로 변한 공기는 히터코어(70)의 좌우 양측부에 위치한 송풍통로(23)를 통하여 제 2챔버(20)로부터 제 3챔버(30)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디프로스트도어(31)는 일부만 개방되고, 플로어도어(33)는 완전개방위치로 이동하며, 페이스도어(32)는 폐쇄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온풍은 플로어벤트(36)로 대략 70~80%가 공급되고, 디프로스트벤트(34)로 20~30%가 공급된다.
이밖에 주지된 웜-믹스 모드(Warm-Mix Mode) 및 웜-디프로스트 모드(Warm-Defrost Mode)는 상기의 웜-플로어 모드와 모든 조건이 동일하고 다만 제 3챔버(30)내에 위치한 도어(31)(32)(33)를 원하는 조건에 따라 변경시킴으로써 당연히 수행할 수 있다.
즉, 웜-믹스 모드(Warm-Mix Mode)는 디프로스트도어(31)를 절반이상 개방하 여 히터코어(70)를 지나면서 열교환된 온풍은 상기의 디프로스트벤트(34)와 플로어벤트(36)로 각각 50%정도 공급하게 되므로 난방과 성에 제거를 동시에 수행 할 수 있게된다.
한편, 웜-디프로스트 모드(Warm-Defrost Mode)는 디프로스트도어(31)만을 전면 개방 상태로 위치시킴으로써 디프로스트벤트(34)로만 송풍하게 되므로 상기 모드에서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성에 제거시에만 설정하게 된다.
c. 바이레벨 모드(Bi-Level Mode)
도 3은 냉,난방 혼용시 설정되는 바이레벨모드로서, 온도조절도어(80)가 중간쯤에 위치하게 되므로, 증발기(6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제 2분출구(13)를 통하여 제 3챔버(30)로 유입되거나 제 1분출구(12)를 통하여 히터코어(70)로 안내된다. 이때, 히터코어(70)에 의하여 온풍상태로 된 공기는 상기의 웜-플로어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히터코어(70)의 좌우 양측부에 위치한 송풍통로(23)를 통하여 제 2챔버(20)로부터 제 3챔버(30)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3챔버(30)는 냉기와 온기가 믹스한 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의 믹스된 공기는 페이스도어(32) 및 플로어도어(33)를 각각 중간쯤에서 개방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페이스벤트(35) 및 플로어벤트(36)로 각각 50%정도 공급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발명은 세미센터마운팅 방식의 공기조화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의 구조는 송풍기유니트가 증발기 전면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상, 본발명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 하였지만, 본발명은 이와같이 도시되고 설명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모든 변경, 수정 및 그에 따른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증발기의 내부방향으로 각각의 지지아암이 형성되어 공기조화유니트의 양쪽 벽면에 피봇 설치되면서, 상기 제1송출구 및 제 2송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증발기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개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도어의 구조에 비하여 거의 지지아암의 길이만큼 공기조화유니트(1)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2챔버와 제 3챔버가 통할 수 있도록 제 2챔버내에 설치된 히터코어와 연장되어 설치되어지는 측벽과 제 1분리벽 및 상기 제 2분리벽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는 송풍통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히터코어의 후방에 위치하지 아니하고, 히터코어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므로 공기조화유니트의 전후 두께를 종래의 후방통로만큼 더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1분리벽 및 온도조절도어의 도어플레이트는 각각 호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공기 유동에 의한 통풍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은 외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도어 및 캔을 수용할 수 있는 클램프수단을 포함하는 냉/온장고 수단을 제3챔버내의 플로어벤트 유로중에 설치하여 열교환된 냉/온기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 공기조화유니트(1)의 내부유로중 송풍기유니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의 상류쪽에 위치한 제 1챔버(10);상기 제1챔버(10)의 측부에 위치한 제 2챔버(20);상기 제 1챔버의 상부로부터 상기 제2챔버(2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부에는 디프로스트 도어(31)로 개폐되는 디프로스트 벤트(34), 페이스 도어(32)로 개폐되는 페이스 벤트(35)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플로어도어(33)로 개폐되는 플로어벤트(36)를 가지는 제 3챔버(30);상기 제 1챔버(10)와 상기 제 2챔버(20) 및 상기 제3챔버(30)를 각각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챔버(20)에 연하여 제 1송출구(12)를 가지며, 상기 제 3챔버(30)와의 경계면에 제 2송출구(13)를 포함하는 제 1분리벽(40);상기 제 2챔버(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분리벽(40)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3챔버(30)에 연장되어지는 제 2분리벽(50);상기 제 1챔버(10)내에 공기유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증발기(60);상기 제 2챔버(20)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증발기(6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히터코어(70);상기 증발기(60)의 내부방향으로 각각의 지지아암(81)(82)이 형성되어 공기조화유니트(1)의 양쪽 벽면에 피봇 설치되면서, 상기 제1송출구(12) 및 제 2송출구(13)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80);상기 제 2챔버(20)와 상기 제 3챔버(30)가 통할 수 있도록 제 2챔버(20)내의 양측부상에 형성된 송풍통로(23)로 이루어지고,상기 제3챔버(30)내의 상기 플로어벤트(36)유로중에 냉/온장고수단(9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송풍통로(23)는 제 1분리벽(40)으로부터 히터코어(70)쪽으로 연장되도록 격벽(21)(22)을 설치하여, 상기 격벽(21)(22)과 상기 제 1분리벽(40), 상기 제 2분리벽(50) 및 공기조화유니트(1)의 양측벽(2)(3)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리벽(40)은 호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도어(80)의 도어플레이트(83)는 호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양쪽 지지아암(81)(82)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하여 선회각도에 따라 상기 제1송출구(12) 및 제 2송출구(13)의 개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냉/온장고수단(90)은 외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도어(91) 및 캔(99)을 수용할 수 있는 클램프수단(9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의 클램프수단(92)은 외부에 사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캔(99)을 수용하는 외벽(98), 상기 외벽(98)중의 마주보는 일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96), 상기 안내홈(96)을 따라 캔(99)의 크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내부 안내부재(93), 상기 안내부재(93)가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안내부재(93)의 요홈(97)에 일단이 결합된 탄성부재(94) 및 상기 탄성부재(94)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부재(93)가 수동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부(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7096A KR100907521B1 (ko) | 2003-02-05 | 2003-02-05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7096A KR100907521B1 (ko) | 2003-02-05 | 2003-02-05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0878A KR20040070878A (ko) | 2004-08-11 |
KR100907521B1 true KR100907521B1 (ko) | 2009-07-13 |
Family
ID=3735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07096A KR100907521B1 (ko) | 2003-02-05 | 2003-02-05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75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42629B (zh) * | 2013-11-06 | 2015-07-22 | 重庆龙润汽车转向器有限公司 | 防摇臂错装及左右壳体变形的车用空调前蒸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0431A (ko) * | 2000-05-02 | 2001-11-14 | 신영주 | 공기조화장치용 온도조절 도어 |
KR20020000967A (ko) * | 2000-06-23 | 2002-01-09 | 신영주 | 자동차용 박형 공기조화장치 |
JP2002200912A (ja) | 2000-12-28 | 2002-07-16 | Calsonic Kansei Corp | スライドドア装置 |
JP2002200913A (ja) | 2000-12-28 | 2002-07-16 | Calsonic Kansei Corp |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
-
2003
- 2003-02-05 KR KR1020030007096A patent/KR1009075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0431A (ko) * | 2000-05-02 | 2001-11-14 | 신영주 | 공기조화장치용 온도조절 도어 |
KR20020000967A (ko) * | 2000-06-23 | 2002-01-09 | 신영주 | 자동차용 박형 공기조화장치 |
JP2002200912A (ja) | 2000-12-28 | 2002-07-16 | Calsonic Kansei Corp | スライドドア装置 |
JP2002200913A (ja) | 2000-12-28 | 2002-07-16 | Calsonic Kansei Corp |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0878A (ko) | 2004-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34479B2 (ja) | 車両用空調装置 | |
US8544533B2 (en) |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 |
KR100601835B1 (ko)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
JP2000289436A (ja) | 車両用空気調和装置 | |
CN112477543A (zh) | 分体式汽车空调器 | |
JP2000326721A (ja) |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 |
KR100626712B1 (ko) | 자동차용 박형 공기조화장치 | |
KR100745078B1 (ko) |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
KR100352879B1 (ko)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
KR100907521B1 (ko)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
WO2008050985A1 (en) |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KR101200755B1 (ko) |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 |
CN113748033A (zh) | 车用空调 | |
KR101313583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20050111251A (ko) | 자동차용 공조장치 | |
KR100601834B1 (ko) |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 |
KR20030084403A (ko) |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기 조화 장치 | |
KR100821304B1 (ko)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
KR20070048828A (ko) |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 |
KR100601833B1 (ko) |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 |
JP2000355208A (ja) | 車両用空調装置 | |
KR100810822B1 (ko) | 2층 공기유동구조를 가진 센터 마운팅 타입 자동차용공기조화장치 | |
KR101511509B1 (ko) | 차량용 공조장치 | |
KR101281289B1 (ko) | 이층 공기유동형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20109787A (ko) | 차량용 공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