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974A -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974A
KR20200072974A KR1020180161156A KR20180161156A KR20200072974A KR 20200072974 A KR20200072974 A KR 20200072974A KR 1020180161156 A KR1020180161156 A KR 1020180161156A KR 20180161156 A KR20180161156 A KR 20180161156A KR 20200072974 A KR20200072974 A KR 20200072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door
air conditioning
intak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2290B1 (ko
Inventor
이윤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2290B1/ko
Priority to US16/680,245 priority patent/US11267317B2/en
Priority to CN201911136457.4A priority patent/CN111319421B/zh
Publication of KR20200072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directly from main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6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defros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21Devices in the floor or side wall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 글라스의 포그 발생 없이 차량 실내의 난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System for controlling internal air and external air i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 글라스의 포그 발생 없이 차량 실내의 난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온도를 조절하고 환기시키기 위한 공기조화장치(이하, 공조장치라고 함)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공조장치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이라고 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로부터 도입된 실외 공기(외기) 또는 차량 실내에서 순환되는 실내 공기(내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으로서 엔진 냉각수를 사용하는데, 최근 엔진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들이 적용됨에 따라 엔진 전열량이 축소되어 차량 실내 난방의 주열원으로 사용되는 엔진 냉각수의 온도가 저하되고, 그에 따라 엔진 냉각수를 이용한 차량 실내의 난방 효과를 확보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차량 실내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 전방의 윈드실드 글라스에 포그(fog)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공조장치를 통과하여 순환되는 내기의 양을 최대한 증가시킴으로써 환기를 위한 외기 도입으로 인한 열 손실을 저감하여 실내 난방 성능을 증대할 수 있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프론트 글라스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상향토출유로와 차량의 플로어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하향토출유로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향토출유로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그 열림량이 결정되는 제1 인테이크도어와 상기 하향토출유로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그 열림량이 결정되는 제2 인테이크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공조장치; 상기 공조장치의 난방부하 및 차량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의 풀 오픈 시 외기만 유입되고 제1 인테이크도어의 풀 클로즈 시 내기만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향토출유로는 제2 인테이크도어의 풀 오픈 시 내기만 유입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의 풀 클로즈 시 외기만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의 일부 오픈 시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하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가 적어도 일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가 일부 오픈될 때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기준부하 이상이고 차량 실내의 습도가 기준습도 이하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시킨 다음, 주기적으로 차량 실내의 습도에 따른 포그 위험레벨에 따라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포그 위험레벨은 실내습도 값을 기준으로 복수 개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감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감소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은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기준레벨보다 낮아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감소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제1 인테이크도어가 풀 오픈된 상태에서,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감소시키고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은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제1 인테이크도어가 풀 오픈된 상태에서,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기준레벨보다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유닛은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변동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유지시킬 수 있고, 상기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변동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최저레벨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를 소정량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최고레벨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 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기준부하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제어유닛은 차량 실내의 습도가 기준습도를 초과하면, 제1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클로즈시킬 수 있다.
상기 공조장치의 난방부하는 차량 외부온도와 공조장치의 블로어 회전속도 및 엔진 냉각수온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실내의 습도는 차량 전방의 프론트 글라스에 설치된 습도계측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조장치는 상향토출유로와 하향토출유로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유닛은 난방부하에 따라 상기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프론트 글라스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상향토출유로와 차량의 플로어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하향토출유로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향토출유로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그 열림량이 결정되는 제1 인테이크도어와 상기 하향토출유로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그 열림량이 결정되는 제2 인테이크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공조장치; 상기 공조장치의 난방부하에 따라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의 풀 오픈 시 외기만 유입되고 제1 인테이크도어의 풀 클로즈 시 내기만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향토출유로는 제2 인테이크도어의 풀 오픈 시 내기만 유입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의 풀 클로즈 시 외기만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의 일부 오픈 시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하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가 적어도 일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가 일부 오픈될 때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제1임계부하 이상이고 제2임계부하 미만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제1임계부하보다 높은 제2임계부하 이상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를 일정량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상기 제1임계부하 미만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는 풀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는 풀 클로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전방의 프론트 글라스에 포그(fog)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외기 도입량을 감소시켜 외기로 인한 차량 실내의 열 손실을 저감하고 최대한 많은 양의 내기를 순환시켜 차량 실내의 난방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난방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엔진 냉각수온을 높일 필요가 없으며, 엔진 효율의 감소 없이 난방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케이스 내부의 공기흐름을 위한 상향토출유로와 하향토출유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제1 인테이크도어 및 제2 인테이크도어의 작동에 따른 외기와 내기의 유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차량 실내의 상대습도에 따라 결정되는 포그 위험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포그 위험도에 따른 내기 혼입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인테이크도어 및 제2 인테이크도어의 작동에 따른 외기와 내기의 유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동절기와 같이 차량 외부의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 차량 외부에서 도입되는 공기량(즉, 외기량)을 줄이고 차량 실내에서 순환되는 공기량(즉, 내기량)을 늘릴수록 실내 난방에 유리하다. 즉, 차량 실내로 도입된 외기에 많은 양의 내기가 혼입할수록 차량 난방에 유리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외기의 온도가 낮고 내기의 온도가 높아 외기로 인해 열손실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기에 내기가 혼입되는 비율이 높아질수록 실내 공기의 환기량이 감소되어 차량 글라스에 포그(fog)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운전자의 주요 시야 확보를 위한 차량 전방의 윈드실드 글라스(이하, '프론트 글라스'라고 함)의 경우 포그 발생 시 주행 안전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므로, 주행중 프론트 글라스의 포그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프론트 글라스에 포그(fog)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공조장치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에 순환되는 내기의 양을 최대한 증가시킴으로써 외기 도입으로 인한 열 손실을 저감하여 실내 난방 성능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조장치를 통해 프론트 글라스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내기 대비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외기의 비율을 높이고, 상기 공조장치를 통해 차체 플로어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외기 대비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내기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프론트 글라스의 포그(fog)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량 실내의 난방 성능 향상을 도모한다.
첨부된 도 1은 공조장치의 케이스 내부의 공기흐름을 위한 상향토출유로와 하향토출유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100)의 케이스(102)(이하, 공조케이스라고 함)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118)과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1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유닛(118)은 엔진 냉각수와 공기 간에 열교환을 통해 상기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조케이스(102)는 차폭방향으로 공조케이스(102)의 우측 부분에 공기 도입을 위한 공기유입구(외기유입구 및 내기유입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조케이스(102)의 좌측 부분에 공기 토출을 위한 공기토출구(플로어 토출구 및 디프로스트 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102)의 우측 및 좌측 부분의 단면도가 함께 도시된 것이며,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조케이스(102) 내부의 공기의 유동이 화살표(114,116)로 표시되어 있다. 상측에 도시된 화살표(114)는 공조케이스(102)의 상향토출유로(114)를 통해 유동하는 공조케이스(102)내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하측에 도시된 화살표(116)는 공조케이스(102)의 하향토출유로(116)를 통해 유동하는 공조케이스(102)내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보면, 상기 공조케이스(102)의 공기유입구를 통과하여 공조케이스(102)내 A 영역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향토출유로(114)에 의해, 공조케이스(102)의 A' 영역까지 이동하여 가열유닛(118)을 통과한 다음, 디프로스트 토출구(122)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02)의 공기유입구를 통과하여 B 영역으로 유동된 공기는, 하향토출유로(116)에 의해, 공조케이스(102)의 B' 영역까지 이동하여 가열유닛(118)을 통과한 다음, 플로어 토출구(124)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공조케이스(102)의 A영역과 A'영역 및 가열유닛(118)을 통과하여 디프로스트 토출구(122)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모하는 공조케이스(102)의 내부유로가 상기 상향토출유로(114)이고, 공조케이스(102)의 B영역과 B'영역 및 가열유닛(118)을 통과하여 플로어 토출구(124)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모하는 공조케이스(102)의 내부유로가 상기 하향토출유로(116)이다.
상기 상향토출유로(114)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하향토출유로(116)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즉, 상기 상향토출유로(114)와 하향토출유로(116)는 서로 독립적 공기흐름(기류)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향토출유로(114)와 하향토출유로(116)는 공조케이스(102) 내에 서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조케이스(102)의 공기유입구는 외기유입구(104)와 제1내기유입구(106) 및 제2내기유입구(108)로 구분되며, 상기 외기유입구(104)와 제1내기유입구(106)를 통해 공조케이스(10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향토출유로(114)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유입구(104)와 제2내기유입구(108)를 통해 공조케이스(10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하향토출유로(116)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상향토출유로(114)를 통과한 공기는 차량 실내로 토출될 때 프론트 글라스를 향해 토출되고, 상기 하향토출유로(116)를 통과한 공기는 차량 실내로 토출될 때 차체 플로어를 향해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102)의 경우 하나의 외기유입구(104)를 이용하여 상향토출유로(114) 및 하향토출유로(116)에 외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향토출유로(114)에 유입된 공기와 하향토출유로(116)에 유입된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향토출유로(114)와 하향토출유로(116) 사이에 제2 인테이크도어(1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제2내기유입구(108)를 풀 개방(100% 개방)할 때, 상향토출유로(114)와 하향토출유로(116) 사이에 공기 유동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가 제2내기유입구(108)를 완전히(100%) 닫을 때 상기 하향토출유로(116)에는 외기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외기유입구(104)를 통해 공조케이스(102)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제2내기유입구(108)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2)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상기 제2내기유입구(108)를 개방할 때 하향토출유로(116)의 입구에 해당하는 선단부(先端部)를 닫게 되고, 상기 제2내기유입구(108)를 닫을 때 하향토출유로(116)의 선단부를 열게 된다. 즉, 공조케이스(102)에 구비되어 있는 내부격벽구조와 더불어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에 의해 상향토출유로(114)와 하향토출유로(116)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에 의해, 외기유입구(104)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하향토출유로(116)에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구(104)와 제1내기유입구(106)는 제1 인테이크도어(1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는 외기유입구(104)와 제1내기유입구(10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2)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110)는, 외기유입구(104)를 풀 오픈(full open)할 때 제1내기유입구(106)를 풀 클로즈(full close)하게 되고, 상기 외기유입구(104)를 풀 클로즈할 때 상기 제1내기유입구(106)를 풀 오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는, 상기 외기유입구(104)를 부분 오픈(즉, 부분 클로즈)할 때, 상기 제1내기유입구(106)를 부분 오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개폐 작동에 따라 외기유입구(104)와 제1내기유입구(106)의 열림량(열림율)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하향토출유로(116)는, 제1 인테이크도어(110)가 적어도 일부(일정량)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가 적어도 일부 오픈될 때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조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를 난방할 때, 프론트 글라스의 포그 발생 없이 최대한 많은 양의 내기를 차량 실내에 순환시키기 위해,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 및 차량 실내 습도를 기준으로 내기의 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장치(100)를 통해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내기의 비율을 '내기 혼입율'이라고 칭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a 내지 도 3f는 제1 인테이크도어 및 제2 인테이크도어의 작동에 따른 외기와 내기의 유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4는 차량 실내의 상대습도에 따라 결정되는 포그 위험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포그 위험도에 따른 내기 혼입율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외기 제어 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2)의 상향토출유로(114)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열림량(열림율)이 결정되는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2)의 하향토출유로(116)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열림량(열림율)이 결정되는 제2 인테이크도어(112),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토출유로(114)는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풀 오픈(100% 개방) 시 외기만 유입되고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풀 클로즈(100% 폐쇄) 시 내기만 유입되며, 상기 하향토출유로(116)는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풀 오픈 시 내기만 유입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풀 클로즈 시 외기만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가 부분 오픈되는 경우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에 따라 하향토출유로(116)에 유입되는 외기의 비율과 내기의 비율이 결정된다. 이때 상기 외기는 외기유입구(104)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내기는 제1내기유입구(106)를 통해 유입된다.
상기 제어유닛(130)은 공조장치(100)의 가열유닛(118)에 요구되는 난방부하 및 차량 실내의 습도에 따라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유닛(130)은 상기 공조장치(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공조장치용 제어유닛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실내의 습도는 차량 전방의 프론트 글라스에 설치된 습도계측센서(140)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은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설정된 기준부하 이상이고 차량 실내 습도가 설정된 기준습도 이하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오픈(100% 개방)시킨 다음, 주기적으로 프론트 글라스의 포그 위험도(위험레벨)를 판단하여 상기 포그 위험레벨에 따라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 및 제2 인테이크도어(112)가 풀 오픈됨에 의해 상향토출유로(114)에는 외기만 이동하여 흐르게 되고 하향토출유로(116)에는 내기만 이동하여 흐르게 된다(도 3a 참조).
상기 포그 위험레벨은 차량 실내의 상대습도 값을 기준으로 복수 개로 구분될 수 있다(도 4 참조). 예를 들어 제0레벨(위험도 낮음), 제1레벨(위험도 보통), 제2레벨(위험도 높음), 제3레벨(위험도 매우 높음) 등으로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그 위험레벨에 따라 내기 혼입율이 결정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제1레벨은 포그 위험레벨의 기준레벨일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은 상기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110) 및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 및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이 제어됨에 따라 내기 혼입율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은 제1 인테이크도어(110) 및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오픈시킨 상태에서 포그 위험레벨이 기준레벨보다 낮아지게 되면 상기 (풀 오픈 상태의)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130)은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 감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내기 혼입율은 표준치에서 점차 증가하게 된다(도 5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기준레벨보다 한단계 낮아지게 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설정량(예를 들어 20%)만큼 감소시켜, 외기유입구(104)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 양이 감소되도록 하고 제1내기유입구(106)를 통한 내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도 3b 참조). 또한,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한단계 더 낮아지면, 즉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두단계 낮아지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상기 설정량만큼 더 감소시켜 총 40% (설정량 × 2)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면, 외기유입구(104)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 양이 더 감소되고 제1내기유입구(106)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 양이 더 증가하게 된다(도 3c 참조).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한단계 또더 낮아지게 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상기 설정량만큼 더 감소시켜 총 60% (설정량 × 3)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외기유입구(104)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 양보다 제1내기유입구(106)를 통해 유입되는 내기 양이 더 많아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도 3d 참조). 이때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계속 풀 오픈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공조장치(100)를 통해 차량 실내에 도입되는 외기 양은 감소하고 상기 공조장치(100)를 통해 차량 실내에 순환되는 내기 양은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포그 발생 없이 차량 실내의 난방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포그 위험레벨의 변동에 따라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은 상기 설정량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감소되거나 또는 상기 설정량의 2배 이상이 한번에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30)은, 제1 인테이크도어(110)가 풀 오픈된 상태에서,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일부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은 제1 인테이크도어(110)가 풀 오픈된 상태에서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기준레벨보다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30)은, 내기 혼입율이 최저치일 때 포그 위험레벨이 한단계 감소되면 내기 혼입율을 표준치까지 증대시키도록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오픈시킬 수 있고, 내기 혼입율이 표준치일 때 포그 위험레벨이 한단계 증가되면 내기 혼입율이 최저치까지 감소되도록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클로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30)은,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최저레벨이면 내기 혼입율을 최고치로 조절하기 위해 제1 인테이크도어(110)를 소정량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풀 오픈시킬 수 있다(도 3d 참조).
또한, 상기 제어유닛(130)은,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최고레벨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를 풀 오픈 상태로 제어하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클로즈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도 3f 참조).
아울러, 상기 제어유닛(130)은 포그 위험레벨이 변동없이 유지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130)은 상기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 변동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130)은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상기 기준부하 미만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를 풀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클로즈(100%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가 풀 오픈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가 풀 클로즈됨에 의해, 공조케이스(102) 내부로 내기 유입이 차단되고 외기만 유입된다(도 3f 참조). 따라서, 공조장치(100)는 차량 실내에 외기만 토출하게 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02)에는 블로어가 설치되고, 상기 블로어는 공조케이스(102)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는 차량 외부온도와 블로어 작동부하 및 엔진 냉각수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온도는 차량에 설치된 외부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상기 블로어 작동부하는 공조장치에서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제어하는 블로어의 회전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블로어의 회전속도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증감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엔진 냉각수온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온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공조장치(100)는 가열유닛(118)에 의해 상향토출유로(114)와 하향토출유로(116)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가 차량 실내로 토출되기 전에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유닛(118)은 난방부하에 따라 상기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조케이스(102) 내부로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경우, 공조케이스(102) 내부의 공기 유동을 상향토출유로(114)와 하향토출유로(116)로 구분하지 않는 경우 대비, 차량 실내에 더 많은 양의 내기를 순환시키면서도 프론트 글라스의 포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기 혼입율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100)가 켜진 상태에서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와 차량 실내의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110) 및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결정한다. 상기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는 차량 외부온도와 블로어 작동단수(즉, 블로어 회전속도) 및 엔진 냉각수온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상기 차량 외부온도가 설정된 기준외부온도 이하이고, 상기 블로어 작동단수가 설정된 기준단수 이상이고, 상기 엔진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냉각수온 이하이면,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설정된 기준부하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기준부하 이상이고 상기 차량 실내의 상대습도가 설정된 기준습도 이하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오픈시켜 내기 혼입율을 표준치(예를 들어, 50%)가 되도록 제어한다(도 3a 참조). 내기 혼입율이 표준치일 때 상향토출유로(114)에는 외기만 흐르고 하향토출유로(116)에는 내기만 흐르며, 공조장치(100)에서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중 상기 외기와 내기의 비율이 1:1 이 된다. 그 다음, 일정 주기(예를 들어, 15초)마다 차량 실내의 상대습도에 따른 포그 위험레벨을 체크하고, 상기 포그 위험레벨에 따라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 및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제어한다.
주기적으로 상기 포그 위험레벨을 체크한 결과,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보통이라고 판단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 및 내기 혼입율이 유지되고,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낮음이라고 판단되면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은 유지 제어되고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이 일정 비율(예를 들어, 20%)만큼 감소 제어된다.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이 감소되면 내기 혼입율이 일정 비율만큼 증가된다. 단, 내기 혼입율이 최고치(예를 들어, 80%)에 도달하면 더이상 내기 혼입율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상기 포그 위험레벨을 체크한 결과,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높음이라고 판단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은 유지 제어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이 감소 제어된다(도 3e 참조).
그리고, 상기 포그 위험레벨을 체크한 결과,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매우 높음이라고 판단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은 풀 오픈 상태로 유지 제어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은 풀 클로즈 상태로 변경 제어된다. 이때 내기 혼입율은 최저치(예를 들어 0%)로 제어된다.
아울러, 상기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기준부하 이상인 조건과 차량 실내의 상대습도가 기준습도 이하인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라도 불만족되면, 내기 혼입율이 최저치(예를 들어, 0%)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를 위해, 제1 인테이크도어(110)를 풀 클로즈시켜 제2내기유입구(108)를 완전히 닫는다(도 3f 참조).
여기서, 상기 기준외부온도는 0℃일 수 있고, 상기 기준단수는 블로어 작동단수가 총 8단으로 구성될 때 5단일 수 있고, 상기 기준냉각수온은 70℃일 수 있고, 상기 기준습도는 55%일 수 있다.
한편, 습도계측센서(140)가 미설치된 차량의 경우 차량 실내의 상대습도 값을 검출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 실내의 습도 값을 고려하지 않고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만 고려하여 차량 실내에 순환되는 내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제1 인테이크도어 및 제2 인테이크도어의 작동에 따른 외기와 내기의 유동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은, 공조케이스(102)의 상향토출유로(114)를 통과하여 흐르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열림량(열림율)이 결정되는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2)의 하향토출유로(116)를 통과하여 흐르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열림량(열림율)이 결정되는 제2 인테이크도어(112),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은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에 따라 제1 인테이크도어(110) 및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130)은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설정된 제1임계부하 이상이고 제2임계부하 미만이면(제1임계부하<제2임계부하)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오픈되도록 제어한다(도 8a 참조). 이때 상향토출유로(114)에는 외기만 유입되고, 하향토출유로(116)에는 내기만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내기 혼입율은 표준치(예를 들어, 50%)가 된다. 예를 들어, 이때 공조장치(100)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은 1:1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30)은,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상기 제2임계부하 이상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의 열림량을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조절하여 제1 인테이크도어(110)를 일부(일정량)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오픈되도록 제어한다(도 8b 참조). 이때 상향토출유로(114)에는 외기와 내기와 동시 유입되고, 하향토출유로(116)에는 내기만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내기 혼입율은 최고치(예를 들어, 70%)가 된다. 예를 들어, 이때 공조장치(100)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은 7:3 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30)은,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상기 제1임계부하 미만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를 풀 오픈되도록 제어하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를 풀 클로즈되도록 제어한다(도 8c 참조). 이때 상향토출유로(114)와 하향토출유로(116)에는 외기만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내기 혼입율은 최저치(예를 들어, 0%)가 된다. 예를 들어, 이때 공조장치(100)를 통과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모두 외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130)은,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높다고 판단될 때는 내기를 순환시켜 차량 실내의 난방 성능을 확보하고, 난방부하가 낮다고 판단될 때는 내기 혼입율을 최저치로 제어하여 프론트 글라스의 포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기 제어 시스템은, 난방부하가 제1임계부하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만 내기를 순환시키고 난방부하가 제1임계부하 미만으로 낮은 경우에는 내기를 순환시키지 않음으로써 프론트 글라스의 포그 발생을 방지하면서 가능한 많은 양의 내기를 순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임계부하는 제1임계부하보다 일정치 이상 높은 부하 값으로 설정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임계부하의 차량 외부온도 조건은 영하 10℃ ~ 0℃ 일 수 있고 상기 제2임계부하의 차량 외부온도 조건은 영하 10℃ 미만일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기 혼입율을 제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100)가 켜진 상태에서 차량 외부온도와 블로어 작동단수 및 엔진 냉각수온을 기준으로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를 산출한다. 차량 외부온도가 설정된 임계외부온도(예를 들어, 영하 10℃) 미만이고, 블로어 작동단수가 설정된 기준단수 이상이고, 상기 엔진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냉각수온 이하이면,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설정된 제2임계부하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난방부하가 제2임계부하 이상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제2 인테이크도어(112)의 열림량을 제어하여 내기 혼입율을 최고치로 조절한다. 이때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풀 오픈 상태로 제어된다.
그리고, 차량 외부온도가 상기 임계외부온도 이상이고 설정된 기준외부온도(예를 들어, 0℃) 미만일 때, 블로어 작동단수가 설정된 기준단수 이상이고, 상기 엔진 냉각수온이 설정된 기준냉각수온 이하이면, 공조장치(100)의 난방부하가 설정된 제1임계부하 이상 제2임계부하 미만이라고 판단한다. 상기 난방부하가 제1임계부하 이상 제2임계부하 미만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와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풀 오픈 상태로 제어된다. 이때 내기 혼입율은 표준치(예를 들어, 50%)가 된다.
또한, 상기 난방부하가 제1임계부하 미만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110)는 풀 오픈 상태로 제어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112)는 풀 클로즈 상태로 제어된다. 이때 내기 혼입율은 최저치(예를 들어, 0%)가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공조장치
102 : 공조케이스
104 : 외기유입구
106 : 제1내기유입구
108 : 제2내기유입구
110 : 제1 인테이크도어
112 : 제2 인테이크도어
114 : 상향토출유로
116 : 하향토출유로
118 : 가열유닛
120 : 냉각유닛
122 : 디프로스트 토출구
124 : 플로어 토출구
130 : 제어유닛
140 : 습도계측센서

Claims (20)

  1. 차량의 프론트 글라스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상향토출유로와 차량의 플로어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하향토출유로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향토출유로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그 열림량이 결정되는 제1 인테이크도어와 상기 하향토출유로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그 열림량이 결정되는 제2 인테이크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공조장치;
    상기 공조장치의 난방부하 및 차량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의 풀 오픈 시 외기만 유입되고 제1 인테이크도어의 풀 클로즈 시 내기만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향토출유로는 제2 인테이크도어의 풀 오픈 시 내기만 유입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의 풀 클로즈 시 외기만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의 일부 오픈 시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되고, 상기 하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가 적어도 일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가 일부 오픈될 때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기준부하 이상이고 차량 실내의 습도가 기준습도 이하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시킨 다음, 주기적으로 차량 실내의 습도에 따른 포그 위험레벨에 따라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그 위험레벨은 실내습도 값을 기준으로 복수 개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감소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감소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은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기준레벨보다 낮아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감소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제1 인테이크도어가 풀 오픈된 상태에서,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감소시키고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은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제1 인테이크도어가 풀 오픈된 상태에서,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기준레벨보다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변동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1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유지시키고, 상기 포그 위험레벨을 기준으로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 변동이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최저레벨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를 소정량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포그 위험레벨이 설정된 최고레벨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 상태로 유지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클로즈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기준부하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제어유닛은 차량 실내의 습도가 기준습도를 초과하면, 제1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클로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의 난방부하는 차량 외부온도와 공조장치의 블로어 회전속도 및 엔진 냉각수온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실내의 습도는 차량 전방의 프론트 글라스에 설치된 습도계측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습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상향토출유로와 하향토출유로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유닛은 난방부하에 따라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5. 차량의 프론트 글라스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상향토출유로와 차량의 플로어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하향토출유로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향토출유로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그 열림량이 결정되는 제1 인테이크도어와 상기 하향토출유로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에 따라 그 열림량이 결정되는 제2 인테이크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공조장치;
    상기 공조장치의 난방부하에 따라 상기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의 열림량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상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의 풀 오픈 시 외기만 유입되고 제1 인테이크도어의 풀 클로즈 시 내기만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향토출유로는 제2 인테이크도어의 풀 오픈 시 내기만 유입되고 제2 인테이크도어의 풀 클로즈 시 외기만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상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의 일부 오픈 시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되고, 상기 하향토출유로는 제1 인테이크도어가 적어도 일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인테이크도어가 일부 오픈될 때 외기와 내기가 동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제1임계부하 이상이고 제2임계부하 미만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와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제1임계부하보다 높은 제2임계부하 이상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를 일정량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를 풀 오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공조장치의 난방부하가 상기 제1임계부하 미만이면, 제1 인테이크도어는 풀 오픈시키고 제2 인테이크도어는 풀 클로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KR1020180161156A 2018-12-13 2018-12-13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KR10269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156A KR102692290B1 (ko) 2018-12-13 2018-12-13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US16/680,245 US11267317B2 (en) 2018-12-13 2019-11-11 System for controlling inside/outside air in air conditioner
CN201911136457.4A CN111319421B (zh) 2018-12-13 2019-11-19 用于控制空调中的内部/外部空气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156A KR102692290B1 (ko) 2018-12-13 2018-12-13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974A true KR20200072974A (ko) 2020-06-23
KR102692290B1 KR102692290B1 (ko) 2024-08-05

Family

ID=7107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156A KR102692290B1 (ko) 2018-12-13 2018-12-13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67317B2 (ko)
KR (1) KR102692290B1 (ko)
CN (1) CN1113194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5320A (zh) * 2021-09-08 2021-11-1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车辆空调外循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2214A1 (en) * 2019-10-25 2021-04-29 Valeo North America, Inc. Smart heating and recirculating air management (ram)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assembly and method
US11584193B2 (en) * 2020-08-18 2023-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hanced vehicle operation
KR20240019864A (ko) * 2021-07-02 2024-02-14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다중 재료 구조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
KR20230020284A (ko) * 2021-08-03 2023-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6041A (en) * 1993-06-30 1996-05-14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n automotive HVAC system to prevent fogging
JP3449071B2 (ja) * 1995-10-26 2003-09-2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0350950B1 (ko) * 2000-05-02 2002-08-28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JP2002301922A (ja) * 2001-04-04 2002-10-15 Denso Corp 車両用暖房装置
DE10153000C1 (de) * 2001-10-26 2003-04-30 Preh Elektro Feinmechanik Verfahren zur Beschlagsvermeidung an Scheiben eines Kraftfahrzeuges
JP2004142492A (ja) * 2002-10-22 2004-05-20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7357176B2 (en) * 2004-10-21 2008-04-15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ixture of fresh and recirculated air in a vehicle
KR101170575B1 (ko) * 2005-05-17 2012-08-0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의 디포깅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15298B1 (ko) * 2005-12-13 2008-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습기제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10639961B2 (en) * 2010-07-07 2020-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tial air inlet control strategy for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612872B1 (ko) * 2012-10-30 2016-04-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창유리 디포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유리 디포깅 방법
US9796243B2 (en) * 2013-02-05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olest A/C discharge temperature for all operating conditions
JP6453574B2 (ja) * 2014-07-30 2019-01-16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
KR102037242B1 (ko) * 2014-09-30 2019-10-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US10724980B2 (en) * 2015-08-17 2020-07-28 Denso Corporation Humidity detector
KR101745206B1 (ko) * 2015-12-14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제습 제어 시스템
JP6696338B2 (ja) * 2016-07-27 2020-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1836694B1 (ko) * 2016-09-12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내-외기 분리 유동 제어가 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
US10618376B2 (en) * 2016-10-28 2020-04-14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Automatic vehicular defogg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5320A (zh) * 2021-09-08 2021-11-1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车辆空调外循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665320B (zh) * 2021-09-08 2023-06-06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车辆空调外循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92290B1 (ko) 2024-08-05
US11267317B2 (en) 2022-03-08
CN111319421A (zh) 2020-06-23
CN111319421B (zh) 2024-07-12
US20200189356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2974A (ko) 공조장치의 내외기 제어 시스템
CN105588204B (zh) 空调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3838200B2 (ja) 遠心式送風装置
JP560976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675229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EP3031640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KR20100064609A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공기유입방법 및 그 시스템
JP4650108B2 (ja) 車両の強電系冷却装置
KR1021823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60438B1 (ko) 차량의 배기가스 유입 방지시스템 및 방법
KR1017099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1884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33805A1 (en) Heat exchange ventilator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H10311592A (ja) 空気調和機
KR101587658B1 (ko) 차량의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11348B1 (ko) 버스용공조시스템및그제어방법
KR101703203B1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57554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56787B1 (ko)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CN216048194U (zh) 换气装置
KR100803522B1 (ko) 공기조화기에서의 내외기 공기 흡입조절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669986B1 (ko) 포깅 방지용 내외기 흡입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0057057B (zh) 空调器的扰流方法
KR20090090642A (ko) 차량 실내의 포그 가능성 표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