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108B1 -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 Google Patents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108B1
KR100346108B1 KR1019950067839A KR19950067839A KR100346108B1 KR 100346108 B1 KR100346108 B1 KR 100346108B1 KR 1019950067839 A KR1019950067839 A KR 1019950067839A KR 19950067839 A KR19950067839 A KR 19950067839A KR 100346108 B1 KR100346108 B1 KR 100346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elephone number
dial
designated tim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583A (ko
Inventor
문충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6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108B1/ko
Publication of KR97005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기의 지정시간 다이알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지정시간 다이알 예약 상황을 경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지정시간(날짜 및 시간)과 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미리 입력시켜 예약해둠으로써 지정시간이 되면 예약된 전화번호를 표시기를 통해 표시하고 경보음을 발생하여 다이알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사용자로 하여금 중요한 전화를 잊지 않고 제때 걸 수 있게 하고, 원하는 시간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시간의 경과를 의식하지 않고 다른 일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정시간 다이알을 경보하는 데 사용한다.

Description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에 있어서 지정시간 다이알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정시간 다이알 예약 상황을 경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 다이얼 기능은 적정한 메모리키로써 통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복수개의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두었다가 그것을 다시 불러내어 다이알을 하는 것이다. 이는 자주 사용되는 번호를 기억시켜 다시 전화할 때 전화번호를 다 누를 필요없이 간단한 기능키에 의해서 기억시켜둔 곳의 전화번호를 불러내어 바로 다이얼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화기 사용상의 일반화된 유용한 기능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용한 기능이라도 사용자가 생각해서 전화를 하는 방법이외에는 더 이상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지 않다.
현대의 많은 사회인들은 각종 정보속에서 혹은 바쁜 일과속에서 가끔은 중요한 스케줄이나 약속 또는 인사치례를 잊어서 낭패한 느낌을 가질 때를 경험한다.
예를들면 언제 몇시에 전화를 해주기로 해놓고 그 시간을 잊고 지난다든지, 부모 형제의 생일이나 제사등을 깜박 잊고 지난후에 생각이 난다든지 하는 것들이다. 사실 전화를 해야 할 때에 맞게 전화를 해주는 것의 위력은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시간 다이알 예약 상황을 경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정시간(날짜 및 시간)과 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미리 입력시켜 예약해둠으로써 지정시간이 되면 예약된 전화번호를 표시기를 통해 표시하고 경보음을 발생하여 다이알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도록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 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구성도로서, 무선 전화기 고정장치의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제어부 111은 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램에는 입력되는 날짜와 시간 및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키버퍼 및 본 발명에 따라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퍼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 112는 각종 기능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기능 테이블들을 저장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기능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 112는 이이피롬(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 113은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한다. 링검출부 114는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 111에 착신 통화요구 상태임을 통보한다. 릴레이부 115는 훅크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라인과 고정장치의 통화로를 연결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 116은 상기 릴레이부 115에 연결된다. 상기 통화회로부 116은 음성회로(speech IC)로서,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송수화부는 마이크 124 및 스피커 122 또는 송수화기가 될 수 있다. RF부 117은 상기 통화회로부 116에 연결된다. 상기 RF부 117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하에 휴대장치와 통신링크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타들과 통화 음성신호들을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TMF발생부 118은 상기 제어부 111과 통화회로부 116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 1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 116으로 출력한다. 톤검출부 119는 상기 통화회로부 116과 제어부 111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통화회로부 116에서 출력되는 각종 톤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한다. 링거 121은 상기 링검출부 114로 부터 착신 통화요구 상태임을 통보받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를 받아 링을 울림으로써 사용자에게 전화가 왔음을 알린다. 음성 녹음/재생장치 123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를 받아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를 위한 음성을 상기 마이크 124를 통해 미리 입력하여 저장시켜 두거나 그 저장된 음성을 스피커 122로 출력한다.
상기와 갈이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를 예로 들었으나 일반 전화기, 응답전화기, 다기능 전화기, 무선전화기 및 키폰전화기등이라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외부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각종 키들의 배열을 일예로 들어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를 위한 데이타 예약 데이타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지정된 날짜 및 사간에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게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시간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이를 기억시켜야 한다. 입력은 년단위로 할 수 있으며, 여러개를 복수로 기억시킬 수 있다. 기억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지정된 특정 기능키 누름 혹은 키의 조합으로 날짜 및 시간 세팅모드를 갈 수 있게 한다.
제5도의 (5A)는 날짜 및 시간 세팅모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표시부 12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날짜 및 시간을 세팅하기 위해서 지정된 임의의 키를 눌러 원하는 부분을 세팅한다. (5B)는 날짜 및 시간 세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전화번호를 기억시키기 위하여 임의의 키를 누른다. (5C)는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전화번호의 입력을 완료하고 난 후에는 음성을 지원할 수 있는 전화기라면 음성 입력모드로 가서 음성을 입력한다. 그렇지못한 전화기는 문자등을 기억시킬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인 경우에는 원하는 문자를 키입력부(113)를 이용하여 입력시킨다. 또한 음성 입력인 경우에는 '증조부 제사', '장인 생신'등 전화해야 하는 이유를 가르쳐 주는 음성 메세지를 전화기의 마이크(124)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와같이 문자나 음성을 입력한후 특정 키를 누르면 그 내용을 해당 메모리 (112)의 영역에 저장하고 대기 상태가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제3도에 도시한 과정을 거쳐 시간 기억 및 전화번호 그리고 음성 녹음등의 저장이 끝나면 그때부터 전화기는 현재의 날짜 및 시간과 저장된 날짜 및 시간을 비교하기 시작하여 같은 때를 찾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같은 때가 되면 그곳에 있는 전화번호를 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음성 녹음이 있는 경우는 녹음된 음성을 전화기의 스피커(122)를 통하여 재생시키며, 음성 녹음이 없는 경우는 적절한 신호음을 20초동안 발생시켜 전화를 하라는 뜻을 나타내게 한다. 만일 20초가 끝나기전에 송수화기를 들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훅 릴레이(hook relay)를 구동시켜 전화라인을 잡게 되면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알을 한다. 그러나 20초가 끝나도록 구제적인 행동(action)을 취하지 않으면, 30분뒤에 다시 신호를 하게 하기 위하여 할당된 다른 타이머에 30분을 다시 설정함으로써 30분뒤에 다시 상기와 같은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그래도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특별한 이유로 인하여- 다시 1시간을 설정하여 1시간 뒤에 상기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이때에도 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이 모드를 빠져나가 대기상태로 되고, 다른 메모리(112) 영역에 같은날짜와 시간이 있는지 체크하는 작업을 다시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정시간 다이알 예약 상황을 경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중요한 전화를 잊지 않고 제때 걸 수 있게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시간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시간의 경과를 의식하지 않고 다른 일에 전념할 수 있게 하므로 편리하며 제품 이용의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전화기의 키 배열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를 위한 데이타 예약 데이타 둥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제어부 112: 메모리
113: 키입력부 114: 링검출부
115: 릴레이부 116: 통화회로부
117: RF부 118: DTMF발생부
119: 톤검출부 120: 표시부
121: 링거 122: 스피커
123: 음성 녹음/재생장치 124: 마이크

Claims (7)

  1. 전화기의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장치에 있어서,
    지정시간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지정시간 및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지정시간의 도래를 체크하는 타이머와,
    상기 지정시간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화번호를 읽어 표시하는 표시부와,
    다이알을 할 지정시간이 되었음을 가청음으로써 경보하는 경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 메세지를 녹음 및 재생하는 음성 녹음/재생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전화기의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에 있어서,
    지정시간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다이알링을 예약하는 제1과정과,
    예약 상황 및 시간의 경과를 체크하여 예약된 지정시간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지정시간이 되면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읽어 표시하고 지정시간 다이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후 일정 시간내에 사용자로부터의 인지응답이 있으면 상기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알링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응답이 없으면 소정 시간의 제1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제1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3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응답이 없으면 소정 시간의 제2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제2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3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응답이 없으면 소정 시간 대기후 상기 제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7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67839A 1995-12-30 1995-12-30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KR100346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839A KR100346108B1 (ko) 1995-12-30 1995-12-30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7839A KR100346108B1 (ko) 1995-12-30 1995-12-30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583A KR970056583A (ko) 1997-07-31
KR100346108B1 true KR100346108B1 (ko) 2002-10-31

Family

ID=3748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839A KR100346108B1 (ko) 1995-12-30 1995-12-30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61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583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1285B2 (en) Activation of a telephones's own call answer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alling party
JP3068570B2 (ja) 携帯型通信装置
KR20020056775A (ko) 전화기에서 특정일 알림방법
US20040018830A1 (en) Call reminder
JP3120592B2 (ja) 携帯通信装置
KR100346108B1 (ko)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KR100269767B1 (ko) 전화기의 단축다이얼링 방법
JPH08204811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00021192A (ko)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그 제어방법
JPH08228220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30040997A (ko) 수면 중 벨소리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전화기
KR20060115201A (ko) 유·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가상통화 수행 장치 및 방법
JP2003110688A (ja) 通信装置
KR100240444B1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자동저장 방법
JPH11341111A (ja) Phs電話機
KR100191342B1 (ko) 전화기의 예약시각 자동 알람방법
JP3958291B2 (ja) 転送忘れ防止機能付きボタン電話装置
KR960011701B1 (ko) 시간 예약 재다이얼링 방법
JPH08321875A (ja) 携帯電話機
JP2001111658A (ja) 通信端末
JP3798519B2 (ja) 無線通信端末
JPH07212839A (ja) ページング機能を有する留守番電話装置。
JPH08186877A (ja) 無線電話方式および無線電話システム
JPH083273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069234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子機及び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子機の機能の設定方法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