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192A -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192A
KR20000021192A KR1019980040160A KR19980040160A KR20000021192A KR 20000021192 A KR20000021192 A KR 20000021192A KR 1019980040160 A KR1019980040160 A KR 1019980040160A KR 19980040160 A KR19980040160 A KR 19980040160A KR 20000021192 A KR20000021192 A KR 20000021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alarm
signal
us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원
Original Assignee
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원 filed Critical 어원
Priority to KR101998004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192A/ko
Publication of KR2000002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1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 및 알람소리를 사용자가 임의로 녹음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을 임의로 녹음하여 착신음으로 이용하며 또한 알람소리를 사용자가 임의로 녹음하여 알람소리로 이용함으로서, 자신의 휴대용 전화기가 타인의 휴대용 전화기와 구별이 되고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며, 통화중 수신되는 목소리나 음악을 녹음하여 착신음이나 알람으로 이용함으로서 그 기능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 및 알람소리를 사용자가 임의로 녹음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는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하여 이동중에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전화기이다. 일명 휴대폰 혹은 셀룰러폰이라고도 하며, 근래에는 개인휴대통신(PCS)과 개인위성통신도 등장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폭이 넓어지고 대중화되어가고 있다.
휴대용 전화기는 통상 기지국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면 그때 설정되어 있는 착신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전화수신을 알린다. 그에 따라서 사용자는 착신음을 듣고 통화버튼을 누르고 통화를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 설정에 따른 흐름도이다.
제어부는 착신음설정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 판단(S1)에서 착신음 설정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착신음선택을 입력받는다(S2). 이때 사용자는 미리 정의되어 있는 착신음 종류에서 한가지를 선택입력한다.
착신음선택을 입력받고 나면 제어부는 착신음설정을 완료한다(S3).
그리고 나서 제어부는 전화수신을 대기한다(S4).
제어부는 전화수신을 대기하면서 전화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5).
판단(S5)에서 전화가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설정된 착신음을 발생시킨다(S6). 그리고 사용자는 착신음이 발생되면 통화버튼을 누르고 통화를 한다(S7).
또한 사용자는 알람기능의 알람신호도 역시 마찬가지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는 전화수신시의 착신음을 미리 설정 저장되어 있는 착신음의 종류에서 한 종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어서, 휴대용 전화기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착신음 이외에 사용자가 임의로 착신음을 녹음하여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알람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알람소리를 임의로 녹음하여 설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 및 알람소리를 사용자가 임의로 녹음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 설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 착신음 녹음 설정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녹음 설정 동작시의 표시내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 알람 녹음 설정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알람 설정 동작시의 표시내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녹음으로 사용자 착신음과 사용자 알람을 설정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안테나 12 : 듀플렉서
13 : 수신부 14 : 송신부
21 : 마이크 22 : 스피커
30 :신호처리부 40 : 제1메모리
50 : 제2메모리 60 : 착신음발생부
70 : 입력부 80 : 제어부
91 : ROM 92 : RAM
100 : 진동부 110 : 표시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를 송신부로 출력하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변환시켜 스피커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표시부와,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그 저장된 신호의 데이터를 신호처리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부와 신호처리부 사이에 접속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 및 알람설정 방법에 있어서, 문자와 소리로서 녹음준비를 알리는 준비단계, 준비단계 후 녹음시간을 문자로 표시하면서 소리를 녹음하는 녹음단계, 녹음단계 후 전화가 수신되면 녹음된 소리를 착신음으로 출력하는 착신음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문자와 소리로서 녹음준비를 알리는 준비단계, 준비단계 후 녹음시간을 문자로 표시하면서 소리를 녹음하는 녹음단계, 녹음단계 후 알람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단계, 현재시간이 시간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녹음된 소리를 알람으로 출력하는 알람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 착신음 녹음 설정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녹음 설정 동작시의 표시내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 알람 녹음 설정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알람 설정 동작시의 표시내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녹음으로 사용자 착신음과 사용자 알람을 설정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듀플렉서(12)에는 안테나(11)와 수신부(13), 송신부(14)가 접속되어 있다. 이 듀플렉서(12)는 기지국(미도시)과 안테나(11)를 통하여 통신하며 신호를 송수신분리하는데 송신부(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안테나(11)를 통하여 출력하며, 안테나(1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3)로 출력한다.
또한 수신부(13)와 송신부(14)는 제어부(80)에 접속되어 제어부(80)의 제어를 받는데, 수신부(13)는 듀플렉서(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고, 송신부(14)는 입력되는 신호를 듀플렉서(12)로 출력한다.
신호처리부(30)는 제어부(80)에 접속되어 제어부(80)의 제어를 받는 한편, 수신부(13)와 송신부(14)에 접속되어 수신부(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접속된 스피커(22)를 통하여 출력하며, 접속된 마이크(21)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변환시켜 송신부(14)로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처리부(30)에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80)에는 제1메모리(40)와 제2메모리(50)가 접속되어 있는데, 제1메모리(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소리데이터를 저장 또는 재생하며, 제2메모리(5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 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과 각종 설정내용을 저장한다.
그리고 착신음발생부(60)는 전화가 착신될 때 착신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착신음발생부(60)는 제어부(80)에 접속되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착신음중에서 한가지 착신음을 발생시켜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80)에는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 입력부(70)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91)이 제어부(80)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부(80)의 동작제어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92)이 제어부(8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진동을 발생시켜 착신을 알리는 진동부(100)가 제어부(80)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10)가 제어부(80)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로 양호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는데,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전화 수신시의 착신음을 사용자가 임의로 녹음하여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겠다.
제어부(80)는 착신음 설정을 하는지를 판단하는데, 그러기 위하여 제어부(80)는 사용자가 입력부(70)를 통하여 사용자 착신음 설정입력을 하는지를 판단한다(S10).
판단(S10)에서 사용자 착신음 설정입력을 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사용자 착신음설정입력인지를 판단한다(S20).
판단(S20)에서 사용자 착신음 설정이 아닌 착신음선택이 입력되면 제어부(80)는 착신음발생부(60)에서 발생시키는 착신음의 종류중에서 하나를 선택입력받아 착신음 설정을 한다(S21).
하지만 판단(S20)에서 사용자가 입력부(70)를 통하여 사용자 착신음 설정입력을 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녹음준비를 하는데 그러기 위하여 제어부(80)는 표시부(110)에 "사용자 착신음 녹음준비"를 표시하고 그와 함께 사용자가 녹음시작 시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준비카운터(도 4의 a)를 표시한다(S30). 이때 제어부(80)는 준비카운터의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켜 표시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스피커(22)를 통하여서도 녹음준비를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데, 그러기 위해서 제어부(80)는 착신음발생부(60)를 통하여 경보음(예를 들어 '삐-'소리)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여 스피커(22)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카운터가 다 감소되어 녹음시작 시간이 되면 제어부(80)는 표시부(110)에 "사용자 착신음 녹음시작"을 표시(도 4의 b)하고 녹음을 실시한다(S40).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사용자 착신음 녹음시작" 혹은 스피커(22)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경보음을 듣고 마이크(21)를 통하여 음성 혹은 음악 녹음을 시작한다.
사용자가 마이크(21)를 통하여 입력하는 음악 혹은 음성은 신호처리부(30)로 입력되어 신호처리부(30)에 내장되어 있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30)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제1메모리(40)로 출력한다. 이때 제1메모리(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서 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사용자착신음영역에 저장한다.
제어부(80)는 녹음이 계속되는 중에는 표시부(110)에 "사용자 착신음 녹음중"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남은 녹음시간을 "남은시간"이라는 표시와 함께 녹음시간카운터를 감소시키면서 표시한다(도 4의 c).
그러다가 녹음시간이 종료되거나 사용자가 입력부(70)를 통하여 녹음완료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80)는 표시부(110)에 "사용자 착신음 녹음완료"라고 표시(도 4의 d)가 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S50).
녹음이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80)는 입력부(70)를 통하여 재녹음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S60)하여 재녹음신호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녹음과정을 재 수행하고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80)는 녹음된 데이터를 착신음으로 설정한다(S70).
그리고 나서 제어부(80)는 전화수신대기를 한다(S80).
전화수신대기중 제어부(80)는 계속적으로 전화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90). 이때 제어부(80)는 수신부(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전화수신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판단(S90)에서 전화가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설정된 착신음이 스피커(22)를 통하여 출력(S100)되도록 하는데, 이때 착신음이 착신음발생부(60)에 있는 착신음이 선택되어 있으면 제어부(80)는 착신음발생부(60)를 제어하여 해당 착신음을 발생시켜 신호처리부(30)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면 신호처리부(30)는 착신음발생부(60)로부터 입력되는 착신음신호에 따라서 스피커(22)를 구동한다.
하지만 사용자 착신음이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80)는 제1메모리(40)를 제어하여 제1메모리(40)에 녹음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서 신호처리부(30)는 제1메모리(4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를 통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킨 다음 스피커(22)를 통하여 출력한다. 물론 전화수신시 진동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80)는 진동부(100)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전화가 왔습니다."라고 표시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하여 스피커(22)를 통하여 착신음(혹은 진동부(100)에서 진동이 발생되면)이 출력되면 사용자는 전화수신을 인지하여 입력부(70)를 통하여 통화입력을 한 후 통화를 행한다(S11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면 소리로서 알려주는 알람(alarm)기능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사용자가 임의로 녹음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겠다.
제어부(80)는 알람설정을 하는지를 판단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제어부(80)는 입력부(70)를 통하여 알람설정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10).
판단(S210)에서 입력부(70)를 통하여 알람설정이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70)를 통하여 알람시간을 입력받아 알람시간을 설정한다(S220).
알람시간을 설정한후, 제어부(80)는 알람신호를 판단하는데 사용자알람신호를 설정하는지를 판단한다(S230).
판단(S230)에서 사용자알람신호를 설정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사용자알람 녹음을 준비한다(S240). 이때 제어부(80)는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표시부(110)에 "사용자 알람 녹음준비"를 표시하고 그와 함께 사용자가 녹음시작 시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카운터를 표시한다(도 6의 a). 이때 제어부(80)는 카운터의 숫자를 하나씩 감소시켜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80)는 스피커(22)를 통하여서도 녹음준비를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데, 그러기 위해서 제어부(80)는 착신음발생부(60)를 제어하여 경보음에 해당하는 신호를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도록 한다. 신호처리부(30)는 착신음발생부(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22)로 출력한다.
한편, 카운터가 다 감소되어 녹음시작 시간이 되면 제어부(80)는 표시부(110)에 "사용자 알람 녹음시작"을 표시(도 6의 b)하고 녹음을 실시한다(S250).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사용자 알람 녹음시작" 혹은 스피커(22)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경보음을 듣고 마이크(21)를 통하여 녹음을 시작한다. 이때 시용자는 예를 들어, "오후 2시에 고객과 면담"이라고 알람의 내용을 마이크(21)를 통하여 입력하는데, 음악등의 입력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마이크(21)를 통하여 입력하는 음악 혹은 음성은 신호처리부(30)로 입력되어 신호처리부(30)에 내장되어 있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30)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제1메모리(40)로 출력한다. 이때 제1메모리(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서 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사용자알람영역에 저장한다.
제어부(80)는 녹음이 계속되는 중에는 표시부(110)에 "사용자 알람 녹음중"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남은 녹음시간을 "남은시간"이라는 표시와 함께 녹음시간카운터를 감소시키면서 표시한다(도 6의 c).
그러다가 녹음시간이 종료되거나 사용자가 입력부(70)를 통하여 녹음완료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80)는 표시부(110)에 "사용자 알람 녹음완료"라고 표시(도 6의 d)가 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하고 녹음을 완료한다(S260). 녹음이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80)는 입력부(70)를 통하여 재녹음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재녹음신호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녹음과정을 재 수행하고 설정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80)는 녹음된 데이터를 알람으로 설정한다(S280).
그리고 알람시간설정과 알람녹음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그럼 예를 들어 알람시간이 오후 1시 30분이고 녹음된 사용자 알람이 전술한 "오후 2시에 고객과 면담"이라고 가정하자.
제어부(80)는 내장된 시계의 시간이 알람시간 즉, 오후 1시 30분이 되는지를 판단한다(S290).
판단(S290)에서 알람시간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제1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중에서 알람데이터를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하도록 제1메모리(40)를 제어한다. 그러면 제1메모리(40)는 저장되어 있는 알람데이터를 신호처리부(30)로 출력한다.
신호처리부(30)는 제1메모리(40)로부터 입력된 알람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를 통하여 아날로그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나서 스피커(22)를 통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스피커(22)에서 "오후 2시에 고객과의 면담"이라는 음성이 출력된다(S300).
이하에서는 통화를 할 때 통화내용을 녹음하여 그것을 착신음 또는 알람신호로 이용하는 방법인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사용자가 통화중일 때 제어부(80)는 입력부(70)를 통하여 통화중녹음신호가 입력되는 판단한다(S310).
판단(S310)에서 입력부(70)를 통하여 통화중녹음신호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녹음을 실시한다(S320).
그러면 수신부(13)에서 신호처리부(30)로 입력되는 신호는 신호처리부(30)를 거쳐서 제1메모리(40)로 출력된다. 이때 제1메모리(4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서 신호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영역에 저장한다.
녹음중 녹음시간이 종료하거나 입력부(70)를 통하여 녹음완료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80)는 녹음을 완료한다(S330).
녹음완료후 제어부(80)는 입력부(7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녹음된 데이터를 사용자 착신음 혹은 사용자 알람신호로 설정한다(S340).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을 임의로 녹음하여 착신음으로 이용하며 또한 알람소리를 사용자가 임의로 녹음하여 알람소리로 이용함으로서, 자신의 휴대용 전화기가 타인의 휴대용 전화기와 구별이 되고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으며, 통화중 수신되는 목소리나 음악을 녹음하여 착신음이나 알람으로 이용함으로서 그 기능을 더 확장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소리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출력하며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변환시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표시부와, 휴대용 전화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데이터를 저장하며 그 저장된 신호의 데이터를 신호처리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상기 신호처리부 사이에 접속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녹음 설정 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
  2.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음 및 알람설정 방법에 있어서,
    문자와 소리로서 녹음준비를 알리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 후 녹음시간을 문자로 표시하면서 소리를 녹음하는 녹음단계,
    상기 녹음단계 후 전화가 수신되면 녹음된 소리를 착신음으로 출력하는 착신음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 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방법.
  3. 문자와 소리로서 녹음준비를 알리는 준비단계,
    상기 준비단계 후 녹음시간을 문자로 표시하면서 소리를 녹음하는 녹음단계,
    상기 녹음단계 후 알람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단계,
    현재시간이 상기 시간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녹음된 소리를 알람으로 출력하는 알람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설정 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방법.
KR1019980040160A 1998-09-26 1998-09-26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그 제어방법 KR20000021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160A KR20000021192A (ko) 1998-09-26 1998-09-26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160A KR20000021192A (ko) 1998-09-26 1998-09-26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92A true KR20000021192A (ko) 2000-04-25

Family

ID=1955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160A KR20000021192A (ko) 1998-09-26 1998-09-26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1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857B1 (ko) * 2000-09-08 2002-09-16 (주) 엘지텔레콤 휴대단말기의 착신벨 목소리 이용방법
KR20030053929A (ko) * 2001-12-24 2003-07-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음성 알람 제공 방법
KR20040037528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녹음기능을 이용한 벨소리 설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857B1 (ko) * 2000-09-08 2002-09-16 (주) 엘지텔레콤 휴대단말기의 착신벨 목소리 이용방법
KR20030053929A (ko) * 2001-12-24 2003-07-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음성 알람 제공 방법
KR20040037528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녹음기능을 이용한 벨소리 설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796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coming call for use with the same
US20020086712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occasion date notification function in a phone
KR20000021192A (ko) 사용자 착신음 및 알람 녹음 설정기능이 있는 휴대용 전화기와그 제어방법
JP3194180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
JP4502541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532314B1 (ko) 휴대폰의 개선된 알람음 발생방법
JPH08204811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00037609A (ko) 휴대폰에서 착신벨 편집 방법
JP3123151B2 (ja) 携帯電話機
JPH08228220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944493B2 (ja) 携帯電話機
JPH06164712A (ja) 電話機の発信先告知装置及びリターンコール装置
KR100508642B1 (ko) 휴대 전화기
KR100406252B1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KR100374344B1 (ko) 통화중전화번호등록방법
KR100346108B1 (ko)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JP2003110688A (ja) 通信装置
KR20010010550A (ko)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536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음 설정 방법
JPH11127262A (ja) 無線通信装置
KR1004696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벨소리 설정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55324B1 (ko) 전화기의 음성 호출 방법
KR100223639B1 (ko) 무선휴대장치를 가지는 팩시밀리에서 알람발생방법
JP3224447B2 (ja) 移動体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