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642B1 - 통신방법및통신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방법및통신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642B1
KR100345642B1 KR1019970009389A KR19970009389A KR100345642B1 KR 100345642 B1 KR100345642 B1 KR 100345642B1 KR 1019970009389 A KR1019970009389 A KR 1019970009389A KR 19970009389 A KR19970009389 A KR 19970009389A KR 100345642 B1 KR100345642 B1 KR 10034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receiving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2937A (ko
Inventor
마사카주 이시바시
히로유키 야수모토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453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25924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1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전자메일을 컴퓨터통신망에 송신한 것을 수신측에 즉시 알릴 수 있음과 아울러, 자기앞으로의 전자메일을 컴퓨터통신망으로부터 자동으로 즉시 수취할 수 있는 통신방법 및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송신측은, 인터넷트에 전자메일을 송신한 후, G3 또는 G4팩시밀리통신에 의해, 수신측에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을 표시하는 정보(수신의뢰정보)를 NSS신호에 격납하여 NSS신호중에 수신의뢰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팩시밀리통신 후, 프로바이더에 자동적으로 다이얼 업하여 전자메일을 수취한다.

Description

통신방법 및 통신단말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가능한 통신단말장치및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장치에 의한 통신은 공중회선망을 통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팩시밀리 통신에 소요되는 비용은 통신상대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에 비례하여 높아진다.
그런데 최근, 인터넷 등의 컴퓨터 통신망이 보급되고 있다. 이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면 가장 가까운 계약 프로바이더(컴퓨터 통신망의 접속업자)까지의 통신비용을 부담하는 것만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의 통신단말기와 통신가능하다.
이 때문에 컴퓨터통신망을 사용한 통신을 행함으로써 특히 원거리 통신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팩시밀리통신은 회선교환방식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송신측 팩시밀리장치는 회선교환방식에 의해 송신측 팩시밀리장치와 직접 통신회선을 설정한 후, 화상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따라서 수신측 팩시밀리장치는 화상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화상데이터를 즉시 인쇄출력할 수 있고, 수신측 사용자는 데이터가 수신된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컴퓨터통신망을 사용하여 전자메일을 송신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자메일의 송신이 적극적으로 수신측에 통지되지 않는다.
즉, 컴퓨터통신망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다이얼 업에 의해 통신단말기를 컴퓨터통신망에 접속함으로써 비로소 전자메일의 수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송신측이 컴퓨터통신망에 전자메일을 송신하여도 수신측에서는 자기 앞으로 전자메일이 송신되었음을 즉시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컴퓨터통신망의 이용자는 적당한 시기(예를 들면, 매일 정시 등)에 스스로 다이얼 업을 하여 전자메일이 도달했는지를 확인해야 하므로 그 조작이 번거로웠다. 또 송신측에서도, 전자메일의 내용을 수신측에 즉시 알리고 싶은 경우, 전자메일을 송신하였음을 전화나 팩시밀리 등을 통해 수신측에 알려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컴퓨터통신망에서는 송신인으로부터 수신인에게 전자메일이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컴퓨터를 경유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데이터량, 회선의 혼잡정도에 의해 지연배달이 생기도 경우도 있다.
또 G3, G4 등의 팩시밀리통신절차 및 통신방식은 컴퓨터통신망의 그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팩시밀리장치를 직접 컴퓨터통신망에 접속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자메일을 컴퓨터통신망에 송신한 사실을 신속하게 수신측에 알릴 수 있고, 또한 수신측에 있어서 송신측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통신망으로부터 전자 메일을 수신할 수 있는 통신방법 및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통신망에 있어서 전자메일의 배달지연이 생기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수신측에서 전자메일이 배달된 것을 알 수 있고, 전자메일을 수신할 수 있는 통신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를 판독주사하여 얻어진 이미지데이터를 전자메일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전자메일의 이미지데이터를 출력가능한 통신단말장치를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통신단말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통신단말장치 내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통신단말장치에 기억되는 각 테이블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4는 서버로의 로그인 절차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서버에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절차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송신측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송신측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수신측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수신측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전자메일의 헤더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송신통지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수신통지서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미지데이터를 전자메일로서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컴퓨터통신망으로서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단말장치(3)는 G3 및 G4 팩시밀리통신기능에 더하여 인터넷과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다.
CPU(1)는 버스(13)을 통하여 통신단말장치(T)의 각 부분을 제어하고, 후술하는 부호화처리, 복호화처리, 화상변환처리, 바이너리·텍스트변환처리, 메일편집처리, 통신절차 처리 등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판독부(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에 의해 원고 상의 화상을 판독하여 흑백 두 값의 이미지데이터를 출력한다. 기록부(3)는 전자사진방식 등의 프린터를 구비하고, 다른 G3 또는 G4팩시밀리장치나, 인터넷으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데이터를 기록지 상에 기록한다.
LCD(Liquid Crystal Device)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4)는 통신단말장치(T)의 동작상태나 이미지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조작부(5)는 통신 단말장치(T)를 조작하는 데 필요한 텐키, 단축다이얼키, 원터치 다이얼키, 각종 기능키 등을 구비한다. ROM(Read Only Memory)(6)은 통신단말장치(T)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고 있다. RAM(Read Access Memory)(7)은 SRAM(Static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쉬메모리(Flash EEPROM) 등으로 구성되고, 소프트웨어의 실행 시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 외에, 후술하는 각종의 테이블(T1)(T2)(T3)(도 3 참조)을 기억하고 있다.
이미지메모리(8)는 DRAM 등으로 구성되고, 송신할 이미지데이터나 수신한 이미지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TA/DSU(Terminal Adapter/Digital Service Unit)(9)는 디지털회선(L1)에 접속되고 있다. 디지털회선(L1) 상을 전송하는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에 따라 전송된다.
이 때문에 TA/DSU(9)는 디지털신호로서의 송신데이터를 전압의 변화로 변환하여 디지털회선(L1) 상으로 송출하고, 디지털회선(L1) 상의 전압변화를 수신데이터로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모뎀(10)은 송수신데이터의 변조 및 복조를 행하는 것이며, 종래의 FAX 모뎀 기능 외에 데이터모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NCU(Network Control Unit)(11)은 아날로그회선(L2)의 폐쇄 및 개방을 행하고, 상대방의 FAX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펄스의 송출 및 착신을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타이머(12)는 시간을 계측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타이머(12)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조작부(5)의 키 조작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계측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의 태양에 있어서의 통신단말장치(T) 내의 데이터 흐름을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서 부호화·복호화부(21), 화상변환부(22), 바이너리·텍스트변환부(23), 메일편집부(24), 오토다이얼(25)은 CPU(1)가 ROM(6)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실행하는 기능을 표시한 것이다.
부호화·복호화부(21)는 이미지데이터를 MH(Modified Huffman) 방식, MR(Modified Read)방식, MMR(Modified MR)방식 등의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 또는 복호화한다. 이하, 이들 부호화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이미지데이터를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라고 부른다.
이미지데이터(8)는 이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를 기억한다.
화상변환부(22)는 송신 시에는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화상포멧인 TIFF(Tag Image File Format)로 변환하고, 수신 시에는 TIFF에서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TIFF라 함은 미국 Aldus사(현재, Adobe System에 흡수합병됨)가 제안한 화상파일의 표준포멧으로, 표준 데이터 형식을 규정한 것은 아니고, 화상데이터의 속성을 Tag 정보로서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TIFF 형식의 경우는 화상파일의 모두에 있는 수백 바이트로 기술되어 있는 표준화된 태그정보를 읽는 것에 의해 데이터 형식을 인식할 수 있다.
또 TIFF는 흑백 두 개의 값뿐 아니라, 흑백의 명도, 풀 컬러(full color) 등을 취급하는 여러 가지 Class가 정의되어 있다. 그 중 하나인 Class F는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의 선두에 Class F의 TIFF헤더정보를 부가함으로써 TIFF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 ClassF의 TIFF헤더정보가 부가된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를 "TIFF이미지데이터"라고 한다.
바이너리·텍스트변환부(23)는 송신 시에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하고, 수신 시에는 텍스트데이터를 바이너리데이터로 변환한다. 인터넷에는 바이너리데이터의 전자메일을 취급할 수 없는 컴퓨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확실하게 전자메일이 도달할 수 있도록 TIFF 이미지데이터 등의 바이너리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일단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에서 취급하는 텍스트데이터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가 발행하는 문서인 RFC(Request For Comments) 822에 있어서 7비트의 코드로서 규정되어 있다.
그래서 바이너리·텍스트변환부(23)는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의 베이스(64)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변환을 행한다. 이 베이스(64)에 의하면 6비트의 바이너리데이터는 64의 캐릭터(대문자, 소문자의 알파벳, 숫자, +, /) 및 파딩용(=)의 하나로 치환되어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MIME는 RFC1521(MIME헤더의 정의), RFC1522, RFC1590으로 규정되어 있다.
메일편집부(24)는 송신 시에는 텍스트데이터로 변환된 TIFF이미지데이터에 메일헤더정보를 부가하여 전자메일형식으로 편집하고, 수신 시에는 전자메일 형식의 데이터에서 메일헤더정보를 제거하여 텍스트데이터로 변환된 TIFF이미지데이터만을 추출한다. 인터넷의 전자메일에는 소정의 헤더정보를 부가하는 것에 대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 시에는 상대방테이블(T1), 이용자테이블(T2) 내의 데이터 등에 따라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TIFF이미지데이터의 선두에 「From」 (보내는 사람), 「To」 (받는 사람), 「Subject」 (표제), 「Cc」 (복사배포), 「Date」(날짜) 등의 항목을 추가한다.
오토다이얼(25)은 RAM(7) 내의 상대방 테이블(T1), 프로바이더테이블(T3)로부터 판독된 전화번호로 발호하도록 TA/DSU9, 모뎀(10) 또는 NCU(11)에 상대방 전화번호데이터를 보낸다.
다음에 RAM(7)에 기억되어 있는 각 테이블(T1)(T2)(T3)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방 테이블(T1)에는 단축번호 또는 원터치 다이얼키마다 상대방 명칭, 인터넷 이메일 주소, 팩시밀리번호 및 팩시밀리 종류(G3 또는 G4)의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
도 3(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발신자)테이블(T2)에는 통신단말장치(T)의 사용자명, 인터넷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 ID, 패스워드, 인터넷 이메일 주소, 프로바이더 종류의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사업소 등에서 복수의 이용자가 1개의 통신단말장치를 공용하는 경우, 상기 각 데이터를 이용자마다 등록해 두고, 송신 시에는 이용자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바이더테이블(T3)에는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프로바이더의 전화번호, 회선종류(아날로그 또는 디지털회선), 프로바이더 명칭, 프로바이더 종류의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다.
프로바이더 종류는 이용자테이블(T2)의 프로바이더종류와 대응하는 것이며, 프로바이더마다 다른 로그 인 절차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프로바이더가복수의 전화회선을 갖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복수의 프로바이더를 이용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각 데이터를 전화번호마다 등록하여 두고, 송신 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인터넷에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통신프로토콜은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접속)참조모델의 각층에 있어서 표 1의 것을 사용한다.
[표 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에 대해 설명한다. SMTP는 TCP/IP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텍스트형식의 전자메일을 임의의 사용자에 대해 송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 SMTP에 의하면 메일을 확실하게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SMTP는 RFC822에 규정되어 있다.
다음에 로그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통신단말장치(T)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바이더의 컴퓨터(이하, 서버라고 한다)의 회선이 설정되면, 예컨대 PAP(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에 따라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를 프로바이더로부터 「ACK」 (Acknowledge:긍정응답), 또는 「NAK」(Negative Acknowledge:부정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송신을 계속한다.
「NAK」 를 수신하면 프로토콜에서 설정되어 있는 횟수만큼 재시도하고, 그 모두가 「NAK」이면 일단 회선을 개방한 후, 리다이얼한다.
「ACK」를 수신하면 서버의 로그인을 완료한다.
서버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MTP에 의해 전자메일을 송신한다.
즉, 먼저, 통신단말장치(T)는 서버에 대해 SMTP의 접속을 요구한다. 서버는 접속가능하면, 응답코드 「220」(서버의 준비완료)를 통신단말장치(T)에 반환한다. 또한 통신단말장치(T)가 「HELO」 커맨드에서 자기 자신의 도메인명을 송신하고, 서버가 통신단말장치(T)의 도메인명을 인식할 수 있으면, 응답코드 「250」(요구된 커맨드를 정상으로 종료)와 서버의 도메인명을 반환한다. 이후, 통신단말장치(T)가 메일의 송신을 행하고, 송신이 완료되면, 「QUIT」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서버가 응답코드 「221」 (접속폐쇄(QUIT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면 SMTP가 종료된다. 전자메일의 송신 완료 후, 통신단말장치(T)는 서버로부터 로그오프하며 회선을 개방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통신단말장치(T)가 송신측으로 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S1~S4까지는 이용자가 행하는 동작을 표시하고, 그 이후는 ROM(6)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CPU(1)가 실행하는 처리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이용자는 송신할 원고를 원고대(도시생략)에 셋트한 후(S1), 조작부(5)를 키조작하여 패스코드를 입력한다(S2). 이 패스코드의 입력에 의해 통신단말장치(T)에서는 패스코드에 대응하는 이용자를 표시하는 사용자명이 이용자테이블(T2)에서 선택된다. 그리고 패스코드에 의해 사용자명을 특정하는 것은 타인의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패스코드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와 겸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용자는 조작부(5)를 키조작하여 사용할 프로바이더나 회선을 프로바이더테이블(T3)에서 선택한다(S3).
다음에 이용자는 송신할 상대방에 대응하는 단축번호 또는 원터치키에 이어서 시작키(도시생략)을 누른다(S4). 이에 의해 통신단말장치(T)에서는 송신상대방이 상대방테이블(T1)에서 선택된다.
다음에 원고대의 원고가 판독부(2)에서 한 장씩 판독되고, 일단 전 페이지분의 판독화데이터가 부호화·복호화부(21)에서 예를 들면, MMR방식으로 부호화되어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로서 이미지메모리에 축적된다(S5).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이미지데이터를 직접 송신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전자메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즉, 먼저 화상변환부에서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의 선두에 TIFF ClassF의 헤더정보를 부가하여 TIFF이미지데이터가 작성된다(S6).
TIFF이미지데이터는 바이너리데이터이므로 바이너리·텍스트변환부에서 이 TIFF이미지데이터가 텍스트데이터로 변환된다(S7).
이어서 메일편집부(24)에서 텍스트데이터로 변환된 TIFF이미지데이터에 전자메일의 헤더를 부가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헤더는 적어도 「From:」, 「To:」, 「Subject:」 의 항목을 포함한다.
「From:」 에는 S2에 있어서 이용자 테이블에서 선택된 이용자의 인터넷 이메일 주소, 「To:」에는 상기한 S4에 있어서 상대방 테이블에서 선택된 상대방의 인터넷 이메일 주소, 「Subject:」 에는 TIFF형식의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인 것을 표시하는 「TIFF(G3)」 가 설정된다(S8).
진자메일형식의 데이터가 완성되면, 인터넷의 다이얼 접속이 행해진다(S9~S13). 즉, 프로바이더테이블(T3)에 따라 상기한 S3에서 선택된 프로바이더 회선의 종류(아날로그/디지털회선)이 판단되고(S9), 아날로그회선이면 모뎀(10)이 설정되고(S10), 디지털회선이면 TA/DSU9가 설정된다(S11). 그리고 프로바이더테이블(T3)에 따라 선택된 프로바이더의 전화번호로 발호되어(S12), 응답을 대기한다(S13).
프로바이더의 전화회선이 설정되면, 전술한 PAP에 따라 로그인이 되고, SMTP에 의해 전자메일이 송신된다(S14).
송신 완료 후, 로그오프되어 전화회선이 개방된다(S15).
다음에, 타이머(12)의 시간 설정이 있는지가 판단된다(S16), 설정이 없으면 그대로 도 7의 S18이 행해진다.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회선의 개방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다(S17).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후, 도 7의 S18이 행해진다.
도 7의 S18에서는 상기한 S4에서 선택된 상대방의 팩시밀리종류(G3/G4)가 판단된다(S18). 여기서 G3이면 모뎀(10)이 설정되고(S19), G4이면 TA/DSU9이 설정된다(S20). 그리고 상대방테이블(T1)에 따라 선택된 상대방의 팩시밀리번호로 발호된다(S21).
상대방 팩시밀리장치가 응답하여 회선이 설정되면(S22), 그 상대방 팩시밀리장치와의 사이에서 각종 팩시밀리신호의 교환이 행해진다(S23). 상대측에 송신되는 팩시밀리제어신호 중에는 NSS(Non-Standard facilities Set-up;비표준기종설정)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 NSS신호에는 먼저 송신한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을 표시하는 정보(수신의뢰정보)와, 그 전자메일의 송신상대방의 인터넷 이메일 주소와 상기한 S2에서 선택된 사용자의 인터넷 이메일 주소 및 팩시밀리번호가 저장된다.
다음에 G3 또는 G4단계에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송신통지서가 송신되고(S24), 송신완료 후 회선이 개방된다(S25). 이 송신통지서에는 전자메일을 송신하였음이 기재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통신단말장치(T)가 수신측이 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은 ROM(6) 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CPU(1)에 의해 실행된다.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송신측으로부터 팩시밀리수신이 있으면(S31), 수신한 NSS신호 중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을 표시하는 정보(수신의뢰정보)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32). NSS신호 중에 수신의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메일을 수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S33로 이행한다. 수신의뢰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통상의 팩시밀리통신으로 판단하여 처리가 종료된다. 그리고 NSS신호 중에 수신의뢰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S31에서의 팩시밀리수신에 의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송신통지서가 수신되어 기록지에 기록된다. S33에서는 타이머(12)의 시간 설정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타이머설정이 없는 경우는 그대로 S35으로 이행한다. 타이머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팩시밀리 수신의 종료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S35로 이행한다.
S35에서는 먼저 수신한 NSS신호 중에 표시되는 송신상대방(즉, 수신측 통신단말장치(T)의 이용자)의 인터넷 이메일 주소에 따라 이용자테이블(T2) 및 프로바이더테이블(T3)를 참조함으로써 프로바이더 및 종류(아날로그/디지털 회선)를 판단한다(S35).
여기서 프로바이더가 아날로그 회선이면 모뎀(10)이 설정되고(S36). 디지털회선이면 TA/DSU9이 설정된다(S37). 그리고 선택된 프로바이더의 전화번호로 발호하여(S38), 응답을 대기한다.
프로바이더의 전화회선이 설정되면, 전술한 PAP에 따라 로그인이 된 후(S40), 프로바이더에 수신메일이 도달했는지가 판단된다(S41).
프로바이더에 전자메일이 없는 경우에는 일단 회선을 개방한 후(S42), 소정 시간 경과 후 재차 전자메일의 수신을 행하도록 상기한 S34로 돌아간다. 프로바이더에 전자메일이 있는 경우에는 도 9의 S43으로 이행한다.
S43에서는 프로바이더에 있는 전자메일이 수신되어 기록부(3)에서 기록지에기록한다(S44). 이 기록에서는 수신된 전자메일이 G3형식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기록된다. 만약 수신된 전자메일이 G3형식의 이미지데이터로 변환되지 않을 경우에는 헤더 정보만이 기록된다.
그리고 프로바이더에는 먼저의 팩시밀리 통신 시에 수신된 NSS신호중에 표시되는 상대 이외로부터의 전자메일이 도달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프로바이더에 전자메일이 있는 경우에는 그 메일을 수신한 후, 전자메일의 헤더정보 중의 「From:」에 표시되는 인터넷 이메일 주소와 먼저 수신한 NSS신호 중에 표시되는 상대측의 인터넷 이메일 주소가 비교된다. 그리고, 비교한 주소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먼저의 팩시밀리통신에서 수신을 의뢰한 전자메일이 아직 프로바이더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S34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면 팩시밀리통신에서 수신을 의뢰받은 전자메일을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수신통지서를 전자메일로 송신하는 설정이 있는지를 판단하다(S45).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수신통지서가 전자메일로 송신되고(S46), 송신 완료 후 회선이 개방되어(S46) 종료한다.
수신통지서를 전자메일로 송신하는 설정이 없을 경우에는 회선이 개방된 후(S48), 상대방테이블(T1)에 따라 상대방팩시밀리종류(G3/G4)가 판단된다(S49). 그리고 G3이면 모뎀(10)이 설정되고(S50), G4이면 TA/DSU9이 설정된 후(S51), 상대방의 팩시밀리번호에 발호된다(S52).
상대방의 팩시밀리장치가 응답하여 회선이 설정되면(S53), G3 또는 G4수순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통지서가 송신되고(S54), 송신완료 후 회선이 개방된다(S55).
그리고 이 수신통지서에는 전자메일을 수신하였음이 기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인터넷에 전자메일이 송신된 후, 그것을 팩시밀리통신으로 송신 통지서에 의해 수신측에 통지한다. 또한 팩시밀리통신 시에는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을 포함하는 정보가 수신측에 송신된다. 즉 NSS신호는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을 표시하는 수신의뢰서로서 송신된다. 또한 팩시밀리 통신은 회선교환방식으로 행해진다.
이로 인하여 전자메일을 송신하였음을 즉시 수신측에 알릴 수 있고, 또한 수신측에서는 NSS신호의 수신에 따라 자신 앞으로 송신된 전자메일을 프로바이더로부터 자동적으로 즉시 수신할 수 있다.
(2) 전자메일을 송신하였음을 표시하는 정보만을 팩시밀리통신으로 알리고, 전자메일의 실제 내용은 인터넷을 통해 송신되기 때문에 해외 등의 원거리 통신에서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송신한 전자메일이 수신측에서 수신되면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수신통지서가 자동적으로 전자메일 또는 팩시밀리통신으로 전자메일의 송신측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전자메일의 송신자는 전자메일이 상대방에게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할 수있다.
(4) 팩시밀리통신에 이용되는 이미지데이터를 텍스트데이터로 교환하고 있기 때문에 원고 상에서 판독된 이미지데이터라도 전자메일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5) 인터넷에서는 전자메일을 복수의 컴퓨터를 경유해서 보내는 경우가 있다는 점과, 데이터량, 회선의 혼잡 정도 등의 상황에 의해 전자메일을 송신하고, 그 전자메일이 수신측이 계약하고 있는 프로바이더에 도달할 때까지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신측에서 타이머(12)의 설정에 의해 전자메일을 송신하고 나서 팩시밀리송신을 행할 때까지의 사이에 시차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신측에서 계약하고 있는 프로바이더에 전자메일이 도착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그 수신측에 대해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송신측으로부터의 팩시밀리통신에 의한 수신의뢰에 따라 프로바이더 측에 다이얼업을 행하여도 그 프로바이더로부터 전자메일을 확실하게 읽을 수 있다.
또 수신측에서는 타이머(12)의 설정에 의해 팩시밀리수신을 행하고 나서 프로바이더에 다이얼업할 때까지의 사이에 시차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신측으로부터의 전자메일이 프로바이더에 도달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그 전자메일의 수신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송신측으로부터의 팩시밀리통신에 의한 의뢰에 따라 프로바이더에 다이얼업을 행한 때에는 그 프로바이더로부터 전자메일을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12)의 설정은 송신 측 및 수신측의 적어도 한쪽에서 행하면 된다. 또한 타이머(12)의 설정은 상대방과의 거리에 의해 설정한다. 예를 들면 국가코드, 시외국번 등에 의해 설정시간을 바꿀 수 있다.
(6) 프로바이더에게 다이얼업을 할 때, 송신측으로부터 전자메일이 프로바이더에게 아직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재차 자동적으로 다이얼업이 행해지므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을 의뢰받은 전자메일을 보다 확실하게 수신할 수 있다.
(7) 수신통지서의 송신형태를 전자메일로 할 것인가, 팩시밀리통신으로 할 것인가를 이용자의 희망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 태양은 하기와 같이 변경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 적어도 상기한 실시 태양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s) TIFF형식 대신에 BMP(Bitmap)형식,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 GIF형식, EPS형식, IFF형식 혹은 PICT형식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TIFF형식으로 변경하지 않고 MH, MR 등의 팩시밀리 화상데이터를 그대로 송신할 수도 있다.
(b) 도 9의 S43에서 수신한 전자메일을 기록지에 기록하는 대신 표시부(4)에 표시할 수도 있다.
(c)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의 정보를 팩시밀리통신에 의해 통지한 후, 인터넷에 전자메일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수신측에서 전자메일의 수신의뢰를 받은 후 프로바이더에 전자메일이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여 타이머(12)에 의한 시간 설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d) 인터넷에 전자메일의 송신과, 팩시밀리통신에 의한 전자메일 수신의뢰를 병행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2회선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므로 디지털회선(L1)과 아날로그회선(L2)을 인터넷과 팩시밀리에 사용한다. 인터넷의 전자메일 송신과, 팩시밀리 통신을 병행하여 진행함으로써 통신단말장치(T) 전체의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e) 흑백 두 값의 이미지데이터 외의 데이터를 전자메일로서 인터넷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백 명도, 컬러 등의 이미지데이터도 TIFF 이미지데이터로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데이터를 TIFF형식 대신에 BMP(Bitmap)형식,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 GIF형식, EPS형식, IFF형식 혹은 PICT형식 등으로 변환하여도 좋다. 또 이미지데이터외에 음성, 동화상 등의 데이터도 전자메일의 수신의뢰를 팩시밀리통신으로 행할 수 있다.
(f) 또한 인터넷 외의 컴퓨터통신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g) NSS신호 대신에 특정의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전자 메일의 수신의뢰신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송신측에서는 컴퓨터통신망에 전자메일을 송신하고, 또한 전자메일을 컴퓨터통신망에 송신하였음을 수신측에 통지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전자 메일이 송신된 것을 신속하게 알 수 있다.
또 송신측에서는 컴퓨터통신망에 전자메일의 송신과 함께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을 표시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의 신호를 수신하면 컴퓨터통신망로부터 전자메일의 수신을 행하므로 신속하게 전자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
컴퓨터통신망의 전자메일의 배달이 늦어지는 경우에도 송신측에 있어서의 전자메일의 송신과, 수신측에 있어서의 전자메일의 수신과의 사이에 적당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신측에서 전자메일을 수신하고자 하더라도 아직 배달되지 않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또 원고를 판독해서 전자메일로 송신하고, 수신한 전자메일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가시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팩시밀리와 마찬가지로 원고의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대량의 원고를 해외 등의 원격지에 송신하는 경우에도 전자메일로서 컴퓨터통신망에 송신하므로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신속하게 수신측에 전자메일을 송신하였음을 전달하여 전자메일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8)

  1. 송신측에 있어서는, 컴퓨터통신망에 전자메일을 송신함과 아울러, 회선교환방식에 의하여 수신측에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을 표시하는 수신의뢰신호를 송신하고, 수신측에 있어서는, 회선교환방식에 의한 상기한 수신의뢰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컴퓨터통신망으로부터 전자메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 컴퓨터통신망에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전자메일송신수단과, 회선교환 방식에 의하여 수신측에 전자메일의 송신을 통지하는 송신통지서를 송신하는 송신통지서 송신수단과, 수신측에 전자메일의 수신을 의뢰하는 뜻을 표시하는 수신의뢰신호를 송신하는 수신의뢰신호 송신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회선교환방식에 의해 수신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의뢰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의뢰신호 수신수단에 의한 수신의뢰신호의 수신에 따라 컴퓨터통신망으로부터 전자메일을 수신하는 전자메일 수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소정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타이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송신통지서송신수단은, 상기한 전자메일 송신수단에 의한 전자메일의 송신 후, 상기한 타이머수단에 의한 소정시간경과 후에, 송신통지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소정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타이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수신의뢰신호 송신수단은, 상기한 전자메일송신수단에 의한 전자메일의 송신 후, 상기한 타이머수단에 의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수신 의뢰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소정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타이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메일수신수단은, 상기한 수신의뢰신호 수신수단에 의한 수신의뢰신호 수신 후, 상기한 타이머수단에 의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전자 메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원고를 판독주사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상기한 화상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주사된 이미지데미터를, 전자 메일로 변환하는 제1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변환수단은, 바이너리데이터를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8.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메일수신수단에 의하여 수신한 전자메일을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변환수단과, 상기한 제2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이미지데이터를 가시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9.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메일수신수단은, 전자메일을 수신할 수 없다면, 소정시간 경과 후, 재차 전자메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0.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전자메일수신 후, 회선교환방식에 의하여, 수신통지서를 송신측에 송신하는 수신통지서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1.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선교환방식에 의한 통신이 공중회선에 의한 팩시밀리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2.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컴퓨터통신망이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3. 제 4항에 있어서, 원고를 판독주사하여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상기한 화상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주사된 이미지데이터를 전자메일로 변환하는 제1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변환수단은 바이너리데이터를 텍스트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선교환방식에 의한 통신이 공중회선에 의한 팩시밀리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선교환방식에 의한 통신이 공중회선에 의한 팩시밀리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컴퓨터통신망이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컴퓨터통신망이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KR1019970009389A 1996-06-07 1997-03-19 통신방법및통신단말장치 KR100345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45315 1996-06-07
JP8145315A JPH09325924A (ja) 1996-06-07 1996-06-07 通信端末装置
JP8197707A JPH1042058A (ja) 1996-07-26 1996-07-26 通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96-197707 1996-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937A KR980012937A (ko) 1998-04-30
KR100345642B1 true KR100345642B1 (ko) 2002-11-22

Family

ID=1637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389A KR100345642B1 (ko) 1996-06-07 1997-03-19 통신방법및통신단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42058A (ko)
KR (1) KR100345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414A (ja) * 1997-06-27 1999-01-29 Murata Mach Ltd 電子メール機能付通信端末装置
US7237010B2 (en) 2004-03-18 2007-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a disposable email addre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8451A (ja) * 1988-08-24 1990-02-27 Oki Electric Ind Co Ltd メッセージ着信通知方式
JPH05252198A (ja) * 1991-03-14 1993-09-28 Hitachi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
KR940006230A (ko) * 1992-04-28 1994-03-23 사토 후미오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및 그 기능시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8451A (ja) * 1988-08-24 1990-02-27 Oki Electric Ind Co Ltd メッセージ着信通知方式
JPH05252198A (ja) * 1991-03-14 1993-09-28 Hitachi Ltd 電子メールシステム
KR940006230A (ko) * 1992-04-28 1994-03-23 사토 후미오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및 그 기능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937A (ko) 1998-04-30
JPH1042058A (ja) 199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291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hat employs facsimile to electronic mail conversion through a computer network by way of the internet
US6101244A (en) Electronic mail-cap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method
EP0818916A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3545670B2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US7027176B2 (en) Internet facsimile machine, communication method of internet facsimile machine, recording medium capable of reading by computer the recorded communication method of internet facsimile machine
JPH11127330A (ja) 電子メール機能付通信端末装置
KR100345642B1 (ko) 통신방법및통신단말장치
JP2001077993A (ja) 通信端末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3082675B2 (ja) 通信端末装置
JP3622356B2 (ja) 通信端末装置
JP3196664B2 (ja) 通信端末装置
JP3551719B2 (ja) 電子メール機能付通信端末装置
JP3463535B2 (ja) 電子メール機能付通信端末装置
JP3586979B2 (ja) 通信端末装置
JPH1042067A (ja) 通信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JP3871638B2 (ja) 通信装置
JP3870962B2 (ja) 通信端末装置
JPH11122458A (ja) 電子メール機能付通信端末装置
JP2002132689A (ja) 中継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2135515A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EP0835018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374781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823986B2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107837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2135513A (ja) インターネット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