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565B1 -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565B1
KR100345565B1 KR1020000048113A KR20000048113A KR100345565B1 KR 100345565 B1 KR100345565 B1 KR 100345565B1 KR 1020000048113 A KR1020000048113 A KR 1020000048113A KR 20000048113 A KR20000048113 A KR 20000048113A KR 100345565 B1 KR100345565 B1 KR 10034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passenger
assist grip
seat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915A (ko
Inventor
신영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5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시스트 그립(7)과 시트밸트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7)의 일측 고정구(8) 단부와 그 내측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각각 접점(91)(92)을 배치시키는 형태로 설치되어 승객등이 상기 어시스트 그립(7)을 잡아당기므로 인해 상기 고정구(8)가 내측으로 이동될시 두 접점(91)(9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와;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와 직렬 연결된 상태에서 밧데리(11)에 연결되어 상기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가 "온"될시 밧데리(11)의 전압을 액츄에이터(12)로 공급시켜 주는 릴레이(10)와; 일단부에는 자동차내의 소정위치에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볼트공(61)이 천공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버클(5)의 내부에 축지시켜 그 자체가 액츄에이터(12)의 구동 여부에 부응하여 상기 버클(5)내로 일정길이 범위내에서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방형 통공(62)이 형성된 버클 고정판(6)과; 상기 버클(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가동편(121)이 상기 버클 고정판(6)의 타단부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63)상에 고정되어 상기 릴레이(10)의 "온"시 버클(5) 자체가 하강하여 시트밸트의 웨빙(1)이 당겨져 승객을 죄어 주도록 하는 액츄에이터(12)를 부가 설치하여 느슨하게 시트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급커브길 등을 주행하므로 인해 발생되는 승객의 쏠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또 사고가 예측되는 급제동시 이를 본 동승자가 수개의 어시스트 그립 중 어느 하나만 잡더라도 자동적으로 동승자 본인은 물론 타인의 시트밸트도 타이트하게 죄어 주게 되어 해당 자동차에 탑승한 모든 승객들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트밸트와 신체의 유격을 유지시켜 교통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SAFETY BELT TENSION CONTROLLING DEVICE BY USING ASSISTANT GRIP}
본 발명은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운전자를 제외한 승객이 급커브길 등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어시스트 그립(Assist Grip)을 잡게 되면 버클내에 설치한 어큐뮬레이터가 시트밸트를 자동으로 당겨주어 시트밸트가 탑승자를 타이트하게 조여주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시트밸트 느슨하게 착용하므로 인한 승객의 쏠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또한 사고가 예측되는 급제동시 이를 본 동승자가 어시스트 그립을 잡을 경우 자동적으로 동승자 본인은 물론 타인의 시트밸트도 타이트하게 죄어 주어 해당 자동차에 탑승한 모든 승객들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트밸트와 신체의 유격을 유지시킬 수 있어 교통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중 흔들림이 큼으로 인해 자동차가 요동할 때 승객이 잡고 자신의 몸에 대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시스트 그립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어시스트 그립은 통상 머리 위치에 가까운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으나 도어나 조수석 앞의 데시보드, 시트의 뒷면 등에도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모든 자동차의 시트에는 급커브의 주행시 또는 충돌이나 전복 등과 같은 긴급사고의 발생시 승객의 신체를 시트에 고정시켜 주어 승객들이 일측으로 쏠리거나 교통사고시 승객들이 부상을 입게되는 것을 어느정도 보호하기 위한 시트밸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시트밸트의 착용은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중 의무화되어 있다.
이와같은 시트밸트는 통상, 리트랙터내에 일부가 인출 가능하게 권회된 상태로 설치되어 승객을 직접적으로 감쌓는 상태로 잡아주는 웨빙과; 상기 웨빙이 풀렸을때 자동으로 감기도록 하는 기능과 충돌시 웨빙이 더 이상 인출되지 않토록 하여 승객이 시트 전방의 물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차체내에 고정 설치되는 리트랙터와; 일단부가 상기 리트랙터내로 권취된 상태에서 일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 있는 웨빙의 타단부를 좌석의 일측면부에 고정 설치해 주는 미니앵커와; 상기 웨빙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웨빙이 승객의 신체를 감쌓은 상태로 유지토록 버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텅 플레이트와; 락킹구를 구비하고 좌석의 타측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텅 플레이트가 끼워지면 이를 구금하여 웨빙이 승객의 신체를 감쌓은 상태로 유지토록 하는 버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시트밸트는 충돌사고를 전제로 한 것이므로 모든 구성요소는 시트밸트 리트렉터 어셈블리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또 실제 충돌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는 그 용도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충돌 안전분야에서 승객이 바깥쪽으로 쏠리는 것(Out of Position)은 충돌시 에어백 등의 각종 안전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승객의 거동을 예측불가하게 만들어 심각한 피해를 입힐 여지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를 제외한 승객 등이 급커브길 또는 급제동시 어시스트 그립을 잡게 되면 버클내에 설치된 어큐뮬레이터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시트밸트가 탑승자를 타이트하게 조여주도록 하여, 느슨하게 시트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급커브길 등을 주행하므로 인해 발생되는 승객의 쏠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또 사고가 예측되는 급제동시 이를 본 동승자가 수개의 어시스트 그립 중 어느 하나만 잡더라도 자동적으로 동승자 본인은 물론 타인의 시트밸트도 타이트하게 죄어 주도록 하여 해당 자동차에 탑승한 모든 승객들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트밸트와 신체의 유격을 유지시켜 교통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천장부나 도어 또는 조수석 앞의 데시보드 및 시트의 뒷면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중 흔들림이 클 경우 승객이 이를 잡고 자신의 몸에 대한 균형을 유지토록 하는 어시스트 그립과; 웨빙과, 리트랙터, 미니앵커, 텅 플레이트 및 버클로 구성되어 급커브의 주행시 또는 충돌이나 전복 등과 같은 긴급사고의 발생시 승객의 신체를 시트에 고정시켜 주어 승객들이 일측으로 쏠리거나 교통사고시 승객들이 부상을 입게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시트밸트로 이루어진 승객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일측 고정구 단부와 그 내측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위치에 각각 접점을 배치시키는 형태로 설치되어 승객등이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잡아당기므로 인해 상기 고정구가 내측으로 이동될시 두 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와;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와 직렬 연결된 상태에서 밧데리에 연결되어 상기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가 "온"될시 밧데리의 전압을 어큐뮬레이터로 공급시켜 주는 릴레이와;
일단부에는 자동차내의 소정위치에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볼트공이 천공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버클의 내부에 축지시켜 그 자체가 상기 버클내로 일정길이 범위내에서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방형 통공이 형성된 버클 고정판과;
상기 버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가동편이 상기 버클 고정판의 타단부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상에 고정되어 상기 릴레이의 "온"시 버클 자체가 하강하여 시트밸트의 웨빙이 당겨지도록 하는 액츄에이터를 부가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급커브길을 주행하거나, 급제동이 이루어질시 승객이 어시스트 그립을 잡게 되면 버클내의 어큐뮬레이터가 시트밸트의 버클 자체를 하강시키는 방식으로 웨빙을 당기게 되므로 시트밸트가 탑승자를 타이트하게 조여주게 되어 느슨하게 시트밸트를 착용하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승객의 쏠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또 동승자 본인은 물론 타인의 시트밸트도 타이트하게 죄어 주게 되어 자동차에 탑승한 모든 승객들이 정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트밸트와 신체의 유격을 유지시켜 교통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의 (a)(b)는 본 발명 장치 중 어시스트 버클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 및 정면도.
도 3의 (a)(b)는 본 발명 장치 중 버클의 작동상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시트밸트의 작동상태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웨빙 2 : 리트랙터
3 : 미니앵커 4 : 텅 플레이트
5 : 버클 6 : 버클 고정판
7 : 어시스트 그립 8 : 고정구
9 :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 10 : 릴레이
11 : 밧데리 12 : 액츄에이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a)(b)는 본 발명 장치 중 어시스트 버클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a)(b)는 본 발명 장치 중 버클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시트밸트의 작동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양단부에 돌출 설치된 고정구(8)의 장방형 가이드공(81)을 통해 스크류(82)가 끼워지는 형태에서 자동차의 천장부나 도어 또는 조수석 앞의 데시보드 및 시트의 뒷면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중 흔들림이 클 경우 승객이 이를 잡고 자신의 몸에 대한 균형을 유지토록 하는 어시스트 그립(7)과; 웨빙(1)과, 리트랙터(2), 미니앵커(3), 텅 플레이트(4) 및 버클(5)로 구성되어 급커브의 주행시 또는 충돌이나 전복 등과 같은 긴급사고의 발생시 승객의 신체를 시트에 고정시켜 주어 승객들이 일측으로 쏠리거나 교통사고시 승객들이 부상을 입게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시트밸트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7)의 일측 고정구(8) 단부와 그 내측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각각 접점(91)(92)을 배치시키는 형태로 설치되어 승객등이 상기 어시스트 그립(7)을 잡아당기므로 인해 상기 고정구(8)가 내측으로 이동될시 두접점(91)(9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와;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와 직렬 연결된 상태에서 밧데리(11)에 연결되어 상기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가 "온"될시 밧데리(11)의 전압을 액츄에이터(12)로 공급시켜 주는 릴레이(10)와;
일단부에는 자동차내의 소정위치에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볼트공(61)이 천공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버클(5)의 내부에 축지시켜 그 자체가 액츄에이터(12)의 구동 여부에 부응하여 상기 버클(5)내로 일정길이 범위내에서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방형 통공(62)이 형성된 버클 고정판(6)과;
상기 버클(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가동편(121)이 상기 버클 고정판(6)의 타단부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63)상에 고정되어 상기 릴레이(10)의 "온"시 버클(5) 자체가 하강하여 시트밸트의 웨빙(1)이 당겨져 승객을 죄어 주도록 하는 액츄에이터(12)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객이 좌석에 앉아 리트랙터(2)내에 일부가 인출 가능하게 권회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웨빙(1)을 잡아당겨 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텅 플레이트(4)를 좌석의 일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버클(5)에 결합시키면 시트밸트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버클(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액츄에이터(12)는 비구동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기 버클(5)은 도 3의 (a)와 같이 상방부로 당겨진 상태 즉, 버클 고정판(6)의 장방형 통공(62)에 끼워진 축(51)이 상기 장방형 통공(62)의 상방부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시트밸트의 웨빙(1)은 도 4의 (a)와 같이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시트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하던 중 급커브길 또는 급제동으로 인해 승객중 어느 한 사람이 상기 어시스트 그립(7)을 잡아당기게 되면 통상시 도 2 (a)(b)의 실선과 같은 상태에 있던 상기 어시스트 그립(7)의 고정구(8)가 내측부로 이동하게 되므로(즉, 점선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일측 고정구(8)에 설치되어 있는 이시스트 그립 스위치(9)의 일측 접점(91)이 타측 접점(92)에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가 "온"되므로 밧데리(11)의 전압이 상기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를 통해 릴레이(10)에 인가되어 그의 접점 스위치가 "온"되므로 상기 버클(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액츄에이터(12)가 구동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2)의 가동편(121)은 상기 버클 고정판(6)의 타단부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63)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12)의 구동으로 인해 그의 가동편(121)이 당겨지면 이에 고정돌기(63)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버클 고정판(6)을 당겨지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버클(5) 자체가 도 3의 (b)와 같이 하강하게 되어 즉, 버클 고정판(6)의 장방형 통공(62)에 끼워진 축(51)이 상기 버클 고정판(6)의 장방형 통공(62)의 하방부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시트밸트의 웨빙(1)은 도 4의 (b)와 같이 자동적으로 죄어주게 된다.
그러므로, 느슨하게 시트밸트를 착용하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승객의 쏠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각의 어시스트 그립(7)에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들을 각각 병렬로 연결시켜 주면 동승자 중 어느 한사람이라도 어시스트 그립(7)을 잡게 되면 각각의 버클(5)내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액츄에이터(12)가 구동하게 되어 동승자 본인은 물론 타인의 시트밸트도 타이트하게 죄어 주게 되어 자동차에 탑승한 모든 승객들이 정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트밸트와 신체의 유격을 유지시켜 교통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를 제외한 승객 등이 급커브길 또는 급제동시 어시스트 그립만 잡게 되면 버클내에 설치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들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탑승자가 착용하고 있는 시트밸트를 타이트하게 조여주게 되어, 느슨하게 시트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급커브길 등을 주행하므로 인해 발생되는 승객의 쏠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탑승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고, 또 사고가 예측되는 급제동시 이를 본 동승자가 수개의 어시스트 그립 중 어느 하나만 잡더라도 자동적으로 동승자 본인은 물론 타인의 시트밸트도 타이트하게 죄어 주게 되어 해당 자동차에 탑승한 모든 승객들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시트밸트와 신체의 유격을 유지시켜 교통사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단부에 돌출 설치된 고정구(8)의 장방형 가이드공(81)을 통해 스크류(82)가 끼워지는 형태에서 자동차의 천장부나 도어 또는 조수석 앞의 데시보드 및 시트의 뒷면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중 흔들림이 클 경우 승객이 이를 잡고 자신의 몸에 대한 균형을 유지토록 하는 어시스트 그립(7)과; 웨빙(1)과, 리트랙터(2), 미니앵커(3), 텅 플레이트(4) 및 버클(5)로 구성되어 급커브의 주행시 또는 충돌이나 전복 등과 같은 긴급사고의 발생시 승객의 신체를 시트에 고정시켜 주어 승객들이 일측으로 쏠리거나 교통사고시 승객들이 부상을 입게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시트밸트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시스트 그립(7)의 일측 고정구(8) 단부와 그 내측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각각 접점(91)(92)을 배치시키는 형태로 설치되어 승객등이 상기 어시스트 그립(7)을 잡아당기므로 인해 상기 고정구(8)가 내측으로 이동될시 두 접점(91)(9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와;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와 직렬 연결된 상태에서 밧데리(11)에 연결되어 상기 어시스트 그립 스위치(9)가 "온"될시 밧데리(11)의 전압을 액츄에이터(12)로 공급시켜 주는 릴레이(10)와;
    일단부에는 자동차내의 소정위치에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하기 위한 볼트공(61)이 천공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버클(5)의 내부에 축지시켜 그 자체가 액츄에이터(12)의 구동 여부에 부응하여 상기 버클(5)내로 일정길이 범위내에서 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장방형 통공(62)이 형성된 버클 고정판(6)과;
    상기 버클(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그 가동편(121)이 상기 버클 고정판(6)의 타단부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63)상에 고정되어 상기 릴레이(10)의 "온"시 버클(5) 자체가 하강하여 시트밸트의 웨빙(1)이 당겨져 승객을 죄어 주도록 하는 액츄에이터(12)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KR1020000048113A 2000-08-19 2000-08-19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KR10034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113A KR100345565B1 (ko) 2000-08-19 2000-08-19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113A KR100345565B1 (ko) 2000-08-19 2000-08-19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915A KR20020014915A (ko) 2002-02-27
KR100345565B1 true KR100345565B1 (ko) 2002-07-26

Family

ID=196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113A KR100345565B1 (ko) 2000-08-19 2000-08-19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5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485A (ja) * 1991-11-29 1993-06-15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JPH06211106A (ja) * 1993-01-14 1994-08-02 Honda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調整装置
KR19980012634U (ko) * 1996-08-28 1998-06-05 김주용 자동차의 안전벨트 제어장치
KR19980046516A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장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7485A (ja) * 1991-11-29 1993-06-15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JPH06211106A (ja) * 1993-01-14 1994-08-02 Honda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調整装置
KR19980012634U (ko) * 1996-08-28 1998-06-05 김주용 자동차의 안전벨트 제어장치
KR19980046516A (ko) * 1996-12-12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장력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915A (ko)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953A (en) Inflatable seat belt apparatus
US4688849A (en) Child passenger securing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US4384735A (en) Safety restraint system having tensionless type belt retractor adapted for adjustable seat
JP4458387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45565B1 (ko) 어시스트 그립을 이용한 시트밸트 텐션 조절장치
US4268816A (en) Safety alarm system for an automatic seat belt
GB2277494A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KR0166178B1 (ko) 자동차 시트 벨트 로커에 설치한 로드 리미터
KR200165679Y1 (ko) 안전벨트용 웨빙의 작동장치
KR100362113B1 (ko) 시트벨트용 미니앵커의 취부구조
GB2221379A (en) Passive seat belt arrangement for use in a vehicle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428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JPH0224359Y2 (ko)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0125124Y1 (ko) 차량의 안전벨트 고정구조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EP0421951A1 (en) A device for loosening the tension of a safety-belt around a driver or passenger's body in motor-vehicles
KR100398096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장착 구조
KR200393470Y1 (ko) 시트 벨트의 자동 해제 장치
JP2504021Y2 (ja) シ―トベルト装置
JP2005001454A (ja) ベルト装置
KR20050036560A (ko) 시트벨트용 텅플레이트
KR20000038324A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리트렉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