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220B1 - 문개폐용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문개폐용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220B1
KR100345220B1 KR1020000006213A KR20000006213A KR100345220B1 KR 100345220 B1 KR100345220 B1 KR 100345220B1 KR 1020000006213 A KR1020000006213 A KR 1020000006213A KR 20000006213 A KR20000006213 A KR 20000006213A KR 100345220 B1 KR100345220 B1 KR 100345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member
locking
push button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206A (ko
Inventor
호시모토야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Publication of KR20010049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움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도 핸들과 케이싱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일이 없는 구성을 갖는 동시에, 핸들의 개폐동작를 위해 안정되게 잡을 수 있는 핸들의 실질적인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는 문개폐용 핸들장치의 제공하기 위한 문개폐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움스프링(44)의 탄성지지에 의해 세워지는 핸들(2) 선단의 수납부(31)에 누름버튼(9) 및 걸림부재(7)를 최선단에 배치하는 동시에, 걸림용 탄성체(71), 연락부재(8) 및 자물쇠부재(5)를 배치한다. 자물쇠부재(5)의 해제상태에서는 연락부재(8)가 후퇴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버튼(9)을 누름으로써 걸림용 탄성체(71)의 탄성지지에 저항하여 걸림부재(7)를 후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7)와, 케이싱(1)의 걸어맞춤부(15)의 걸어맞춤이 빠져 핸들(2)은 세움스프링(44)의 힘에 의해서 세워진다. 잠금상태에서는 연락부재(8)가 후퇴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재(7)를 후퇴할 수 없고, 걸어맞춤부(15)와의 걸어맞춤은 해제불가능하게 되어 핸들(2)은 세울 수 없다.

Description

문개폐용 핸들장치{a door opening and shutting a handle bar equipment}
본 발명은 배전반 수납박스 등의 문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문개폐용 핸들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배전반 수납박스 등의 문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잠금·해제기구를 갖는 문개폐용 핸들장치로서, 일본국 특허 제 2898588호 등의 발명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에 부착되는 케이싱(100)과 핸들(110)을 구비하고, 핸들(110)을 핸들본체(111)와 핸들본체(111)의 후단측에 축지지된 회전운동축(112)과, 핸들본체(111)의 전단측에 설치한 잠금·해제기구를 갖는 자물쇠부재(113) 및 자물쇠부재(113)의 전단측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설치한 누름버튼(114)을 구비한다. 이 핸들장치는 케이싱(100)의 상면측에 설치한 수납오목부(101) 내의 저면에 회전운동축(112)을 회전운동 자유롭게 끼워 삽입하도록 하여부착함으로써, 핸들(110)을 케이싱(100)의 수납오목부(101)에 수납한 눕힌 상태로부터 상방측으로 세운 상태로 기복(起伏) 자유롭게 한 것이다.
이 문개폐용 핸들장치에 의해 문을 개방하는 경우는 자물쇠부재(113)에 키를 삽입하여 회전운동조작한다. 이로 인하여 핸들본체(111)에서의 자물쇠부재(113)의 하부에 설치한 슬라이딩판(113a)이 후방측으로 슬라이딩하고, 이 슬라이딩에 의해 누름버튼(114)이 회전운동가능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누름버튼(114)을 하방으로 누름조작함으로써 케이싱(10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21)와, 누름버튼(114)의 걸림부(122)의 걸어맞춤이 빠진다(도 10에서는 이 상태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핸들본체(111)와 회전운동축(112)의 접속부에 설치한 세움스프링(115)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핸들(110)의 선단측이 케이싱(100)의 수납오목부(101)로부터 상방측으로 자연스럽게 세워진다. 그리고 세워진 핸들(110)를 회전운동조작함으로써 핸들(110)을 문에 부착된 케이싱(100)에 대하여 회전운동시킬 수 있고, 이 회전운동조작에 의해 회전운동축(112)의 후단에 고정한 판형상의 걸림구(120)를 함께 회전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배전반 수납박스 등의 본체부(도시생략)와 걸림구(120)의 걸림을 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누름버튼(114)을 설치하지 않고 키의 조작에 의한 자물쇠부재(113)의 회전운동조작에 따라 바로 핸들(110)의 선단측을 세우도록 한 경우와 같이 키를 조작하고 있는 손이 케이싱(100)으로부터 세워지는 핸들(11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특허 제 2898588호의 발명의 목적은 핸들(110)를 세우기 위한 세움스프링(115)의 반작용에 의해 누름버튼(114)의 걸림부(122)가 회전운동되어 케이싱(10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21)와의 걸어맞춤이 빠지는 결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문개폐용 핸들장치에서는 누름버튼(114)의 회전운동축(116) 위치와, 케이싱(10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21)의 위치가 동일선 s상에 있다. 그 결과 세움스프링(115)에 의해 생기는 누름버튼(114)의 걸림부(122)에 걸리는 반작용의 방향이 회전운동축(116)을 지나는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스프링반력에 의해 누름버튼(114)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걸림부(122)가 걸어맞춤용 오목부(121)로부터 빠질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핸들(110)은 케이싱(100)의 수납오목부(101)에 정확하게 배치된 상태로 걸리게 된다.
그런데 누름버튼(114)의 회전운동축(116)과 케이싱(10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21)를 동일선 s상에 위치시키고자 하면 누름버튼(114)에서의 누름편(114a)보다 후방에 걸림부(122) 및 케이싱(100)의 걸어맞춤용 오목부(121)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핸들본체(111)보다 전방에 누름편(114a)만이 돌출된다.
한편 핸들(110)은 이것으로 개폐조작을 하기 때문에 핸들 전체의 길이 L1이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상기 특허발명과 같이 누름버튼(114)을 핸들(110)의 선단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특허발명에서는 핸들(110)의 선단에서는 누름편(114a)만이 돌출하게 된다. 형식적으로는 이 누름편(114a)을 포함해서 핸들 전체의 길이 L1이라고 할 수는 있다. 그런데 불안정하고 얇은 누름편(114a)으로는 개폐조작를 위한 충분한 힘이 들어가지 않고, 실질적으로는 누름편(114a)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즉, 핸들본체(111) 자체)의 길이 L2가 핸들의 길이가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세움스프링의 반작용에 의해서도 핸들과 케이싱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일이 없는 구성을 가지는 동시에, 핸들의 개폐동작을 위해 안정되게 잡을 수 있는 핸들의 실질적인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는 문개폐용 핸들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버튼에 의해 확실하고 원활한 핸들과 케이싱의 걸어맞춤·해제를 실현하고, 또 자물쇠부재에 의한 잠금·해제를 확실하게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문개폐용 핸들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동 정면도
도 3은 도 1의 III -III선 단면도
도 4는 동 장치의 핸들 선단면의 설명도
도 5는 도 3의 요부확대도
도 6a는 잠금상태에서의 도 3의 요부확대도, 도6b 는 누름버튼을 누른 상태에서의 도 3의 요부확대도
도 7a는 누름버튼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중앙단면도, 도 7c는 동 정면도
도 8a는 걸림부재의 평면도, 도8b는 도8a의 중앙단면도, 도 8c는 동 정면도, 도 8d는 동 우측면도
도 9a는 잠금상태에서의 걸림부재 및 연락부재의 평면으로부터 위치관계의 설명도, 도9b는 해제상태에서의 걸림부재 및 연락부재의 평면으로부터 위치관계의 설명도
도 10은 종래의 핸들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싱 2 : 핸들
3 : 핸들본체 5 : 자물쇠부재
7 : 걸림부재 8 : 연락부재
9 : 누름버튼 9a : 누름면
15 : 걸어맞춤부 16 : 안내부
31 : 수납부 71 : 걸림용 탄성체
72 : 선단걸림부 92 : 작동부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 문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출원의 제 1의 발명은 핸들(2)이 그 후단측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기복하도록 케이싱(1)에 부착되고, 이 핸들(2)이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항상 탄성지지된 문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2)의 선단에 걸림부재(7)가 설치되고, 이 걸림부재(7)에 대하여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15)가 케이싱(1)에 설치되고, 이 걸림부재(7)가 상기 의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추는 전진위치와, 걸어맞춤부(1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후퇴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전후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16)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핸들(2)에 배치되고, 이 걸림부재(7)가 걸림용 탄성체(71)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탄성지지된 것이며, 또 이 핸들(2)의 선단측의 상면에 누름버튼(9)이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누름버튼(9)이 걸림부재(7)를 이동시키는 작동부(92)를 구비하고, 이 누름버튼(9)을 누름으로써 누름버튼(9)이 회전운동하고, 작동부(92)가 걸림용 탄성체(71)의 탄성지지에 저항하여 걸림부재(7)를 후퇴위치로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 1의 발명에 관한 문개폐용 핸들장치에서는 케이싱(1)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핸들의 걸림부재(7)와 누름버튼(9)을 별체로 하고, 이 걸림부재(7)를 전후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핸들(2)가 세워지도록 항상 탄성지지되어 있더라도 그 탄성지지력은 케이싱(1)의 걸어맞춤부(15)와 걸림부재(7)의 걸어맞춤개소에만 가해진다. 이 걸어맞춤개소에 가해진 힘은 걸어맞춤개소를 지점으로하여 걸림부재(7)의 후단측을 회전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그런데 걸림부재(7)는 전후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고 회전운동하지 않기 때문에 걸어맞춤부(15)와 걸림부재(7)의 걸어맞춤이 빠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누름버튼에서의 누름편보다 후방에 걸어맞춤부 및 케이싱의 오목부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걸림부재(7)를 누름버튼(9)의 누름면(9a)과 같은 위치나 그보다 전방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결과, 핸들(2)의 선단으로부터 누름면(9a)만이 돌출되는 형태를 채택할 필요가 없고, 걸림부재(7) 및 누름버튼(9)의 누름면(9a)을 핸들본체(3) 내에 수납할 수 있고, 핸들본체(3)의 길이를 누름버튼의 누름편(9a)의 부분까지 연장할 수 있어 안정되게 잡을 수 있는 핸들의 실질적인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의 제 2의 발명은 상기 제 1의 발명에 관한 문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2)이 잠금·해제기구를 갖는 자물쇠부재(5)를 구비하고, 이자물쇠부재(5)가 잠금상태에서 걸림부재(7)를 전진위치로부터 후퇴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며, 해제상태에서 걸림부재(7)를 전진위치와 후퇴 불가능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걸림부재(7)의 선단에는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추는 선단걸림부(72)가 설치되고, 핸들(2)의 본체(3) 선단에 누름버튼(9)과 걸림부재(7)와 자물쇠부재(5)를 수납하는 수납부(31)를 구비하고, 이 수납부(31)의 선단면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선단면에 누름버튼(9)의 선단면과 선단걸림부(72)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 제 2의 발명에서는 핸들본체(3)의 선단에 누름버튼(9)과 걸림부재(7)와 자물쇠부재(5)를 수납하는 수납부(31)를 구비하고, 이 수납부(31)의 선단면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선단면에 누름버튼(9)의 선단면과 선단걸림부(72)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 것이므로 누름버튼(9)과 걸림부재(7)를 핸들본체의 최선단에 배치할 수가 있는 것이며, 그 만큼 안정되게 잡을 수 있는 핸들의 실질적인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의 제 3의 발명은 상기 제 2의 발명에 관한 문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걸림부재(7)와 자물쇠부재(5) 사이에 연락부재(8)가 배치되고, 이 연락부재(8)가 자물쇠부재(5)의 잠금상태에서 전진위치에 있고, 해제상태에서 후퇴위치에 있도록 자물쇠부재(5)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며 연락부재(8)와 걸림부재(7) 사이에 상기 걸림용 탄성체(71)가 배치됨으로써 걸림부재(7)가 전진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연락부재(8)가 후퇴위치에 있을때 걸림부재(7)가 걸림용 탄성체(71)에 의한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후퇴가능하고, 연락부재(8)가 전진위치에 있을때 연락부재(8)가 걸림부재(7)에 근접함으로써 걸림부재(7)가 후퇴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 제 3의 발명에서는 걸림부재(7)와 자물쇠부재(5) 사이에 연락부재(8)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재(7)와 자물쇠부재(5)의 위치가 떨어져 있어도 연락부재(8)에 의해 잠금·해제동작을 걸림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 실시예 )
이하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문개폐용 핸들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문개폐용 핸들장치는 케이싱(1)과, 핸들(2)와, 자물쇠부재(5)와, 걸림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의 상면측에는 핸들용 수납오목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핸들용 수납오목부(11)는 핸들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1)의 상면에서의 중앙부를 대략 사각형으로 하방으로 우묵하게 들어가 상면측을 개구한 오목부로 하고 있다.
또 이 핸들용 수납오목부(11) 내의 저면에서의 후단측에는 원형상의 접속축용 삽입구멍(12)이 뚫려 있다. 이 접속축용 삽입구멍(12) 내에 접속축(4)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케이싱(1)은 케이싱(1)의 전체 둘레의 하면에 방수 패킹(14)이 장착된 후 배전반 수납박스 등의 문(도시생략)에 뚫어 설치된 구멍에 상방측으로부터 핸들용 수납오목부(11)가 들어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의 구멍의 주위에 방수 패킹(14)이 접촉된 상태로 부착부(13, 13)에 고정구(13a) 및 볼트(13b, 13b)가 장착됨으로써 문에 고정된다.
핸들(2)은 핸들본체(3)와, 핸들본체(3)와 케이싱(1)을 접속하는 상술한 접속축(4)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본체(3)는 접속축(4)에 대하여 축 핀(43)을 회전운동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운동가능하게(기복가능) 부착되어 있지만, 핸들본체(3)의 후단측이 축지지위치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된 부분이 접속축(4)에 맞닿음으로써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본체(3)의 회전운동은 경사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정지하고, 이 상태가 기립상태가 된다. 이 접속축(4)은 케이싱(1)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핸들(2)은 케이싱(1)에 세워진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핸들본체(3)의 선단에는 자물쇠부재(5)와 걸림기구(6)를 수납하는 수납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31)는 핸들본체(3)의 중앙부분보다 하방으로 크게 나와 있고, 핸들(2)을 잡을때 손이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접속축(4)과 핸들본체(3)의 상기 축지지부(축 핀(43))에는 핸들본체(3)의 전단측을 케이싱(1)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세우기 위한 세움스프링(44)이 부설되어 있다. 이 세움스프링(44)은 2개의 발과 코일부를 갖는 발부착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일부에 접속축(4)의 축 핀(43)이 통과되며, 2개의 발이 접속축(4)과 핸들본체(3)를 각기 누름으로써 핸들본체(3)를 항상 상방측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접속축(4)의 하부측에는 걸림구(20)가 부착되고, 이 걸림구(20)는 문틀의 걸림개소(도시생략)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걸어맞추어진다. 즉 기립상태가 된 핸들(2)을 잡고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접속축(4)이 회전운동하고, 이 회전운동에 의해 걸림구(20)가 문틀의 걸림개소(도시생략)에 걸거나 벗겨 문과 문틀의 걸거나 벗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자물쇠부재(5)는 실린더 자물쇠로 구성되고, 핸들본체(3)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자물쇠부재(5)는 키에 의해 텀블러의 돌출 몰입 등의 잠금·해제동작을 행하는 잠금·해제기구를 내부에 갖는다. 그리고 자물쇠부재(5)의 하부에는 후술한 연락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동작부분(51)이 설치되어 있고, 잠글때에는 키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자물쇠부재(5)가 회전운동하여 동작부분(51)이 전진방향(선단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한편 해제시에는 키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동작부분(51)이 후퇴방향(후단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또 자물쇠부재는 실린더 자물쇠 외에 다이얼 자물쇠 등의 다른 자물쇠구조라도 된다.
다음으로 걸림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걸림기구(6)는 복상태의 핸들(2)과 케이싱(1)를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거는 것으로, 걸림부재(7), 걸림용 탄성체로서의 코일스프링(71), 연락부재(8) 및 누름버튼(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걸림기구(6)를 구성하는 각 부재(7, 71, 8, 9)는 자물쇠부재(5)와 함께 핸들본체(3)에 설치된 수납부(31)에 배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31)는 상면, 하면, 좌우측면의 4면의 벽면을 갖고,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누름버튼(9)을 핸들(2)의 최선단에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면의 전단부분도 개방된 전면에 연결되도록 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 상면의 전단부분 및 전면에 누름버튼(9)이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또 상면의 후단측에는 자물쇠부재(5)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원형의 개방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우선 도 4 내지 도 6a, 도 6b을 참조하여 누름버튼(9)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누름버튼(9)은 축(91)에 의해 핸들본체(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수납부(31)의 좌우측면에 축(91)이 건네지고, 이 축(91)을 축심으로 하여 누름버튼(9)의 후단측이 축지지고, 선단측이 상하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누름버튼(9)의 상면이 사람이 조작하기 위한 누름면(9a)이 되고, 이 누름면(9a)은 수납부(31)의 개방된 상면의 전단부분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누름버튼(9)의 선단측은 하방으로 연장설치되고, 걸림부재(7)를 이동시키는 작동부(92)를 구성한다. 이 작동부(92)는 누름버튼(9)의 상면을 사람이 누름으로써 후방으로 이동(더욱 정확하게는 하방 및 후방으로의 원운동)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92)는 두갈래로 분리되어 하방에 연장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에 걸림부재(7)의 선단에 설치된 선단걸림부(72)를 노출시키고 있다. 반대로 말하면, 수납부(31)의 개방된 전면은 누름버튼(9) 및 걸림부재(7)로 막혀 있고, 내부의 자물쇠부재(5) 등을 숨겨 못된 장난을 방지하고 있다.
걸림부재(7)는 도 4, 도 5 및 도 8a, 도 8b, 도8c,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걸림부(72), 상기 작동부(92)로부터의 힘을 받는 수동부(73) 및 코일스프링 등의 걸림용 탄성체(71)의 힘을 받는 탄성받이부(74)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는 탄성받이부(74)가 코일스프링 등의 걸림용 탄성체(71)의 선단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오목부로 되어 있고, 이 탄성받이부(74)의 좌우양측에는 자물쇠부재(5)로부터의 자물쇠를 정지하기 위한 규제를 받기 위한 피규제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재(7)는 핸들(2)(수납부(31)) 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전후방향의 이동만을 안정되게 행하도록 걸림부재(7)에는 피안내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걸림부재(7)의 선단중앙에 선단걸림부(72)가 배치되고, 이 선단걸림부(72)의 후면측에 피규제부(76)와 탄성받이부(74)가 형성되어 있다. 피안내부(75)는 걸림부재(7)의 좌우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선단걸림부(72)는 케이싱(1)의 핸들용 수납오목부(11)의 전단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15)에 걸어맞춤으로써 핸들(2)을 복상태로 유지한다. 이 예에서는 선단걸림부(72)를 볼록부로 하고, 걸어맞춤부(15)를 오목부로 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그 반대라도 되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 걸림부재(7)는 핸들(2)을 복상태로 할 때 걸림용 탄성체(71)의 탄성지지에 저항하여 후퇴한다. 그리고 후퇴후 걸림용 탄성체(71)의탄성지지에 의해 전진함으로써 선단걸림부(72)가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추어진다. 한편 핸들(2)를 세우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선단걸림부(72)와 걸어맞춤부(15)의 걸어맞춤은 빠지지 않는다. 그것을 위한 구조로서 선단걸림부(72)의 하면과 걸어맞춤부(15)의 상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지만, 선단걸림부(72)의 상면과 걸어맞춤부(15)는 경사면으로 되어있지 않다.
다음으로 후방으로 연장설치된 피안내부(7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부재(5)와 누름버튼(9)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16) 아래를 통과하여 자물쇠부재(5)의 좌우양측까지 도달하고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7)는 수납부(31)의 하면 위에 실린 상태로 전후로 슬라이드하지만, 그 피안내부(75)가 구획벽(16) 아래를 지나 연장됨으로써 상방으로 회전운동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구획벽(16)의 하단이 걸림부재(7)를 전후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16a)를 구성하게 된다.
연락부재(8)는 도 3, 도 5, 도 9a,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부재(5)의 잠금·해제의 동작을 걸림부재(7)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잠금·해제의 동작에 따라 전진·후퇴한다. 이 예에서는 자물쇠부재(5)의 동작부분(51)이 회전운동가능하고 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긴 구멍(81)이 형성되고, 자물쇠부재(5)의 회전에 따라 동작부분(51)이 원운동에 의해 전진할 때 동작부분(51)이 긴 구멍(81) 내를 슬라이드하면서 연락부재(8)를 전진시킨다(도 9a 참조). 해제시에는 반대의 동작으로 연락부재(8)를 후퇴시킨다(도 9b 참조). 또 이 예에서는 자물쇠부재(5)와 별체로 되어 있지만, 자물쇠부재(5)와 일체로 하거나 자물쇠부재(5)자신이 직접, 걸림부재(7)에 동작을 전달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연락부재(8)의 선단측에는 피규제부(76)와 맞닿아 그 후퇴를 저지하는 규제부(82)를 구비한다. 또 상술한 걸림용 탄성체(71)를 탄성받이부(74)와의 사이에 정확히 배치하기 위해 연락부재(8)의 선단에는 탄성체지지부(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걸림용 탄성체(71)가 코일스프링이기 때문에 탄성체지지부(83)는 그 코일내에 삽입되는 축으로서 실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핸들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잠금상태부터 설명하면 잠금시에는 자물쇠부재(5)의 동작부분(51)이 전진하고 있고, 연락부재(8)도 전진위치에 있다(도 6a 및 도 9a 참조). 이 전진한 연락부재(8)의 규제부(82)에 걸림부재(7)의 피규제부(76)가 맞닿음으로써 걸림부재(7)도 전진위치에서 고정되고, 그 선단걸림부(72)는 케이싱(1)의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춤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9)을 밀어넣어도 자물쇠부재(5)가 움직이지 않는 한 상기의 관계에 의해 걸림부재(7)는 후퇴하지 않고, 핸들(2)이 세워지는 일은 없다.
이 자물쇠부재(5)를 해제하면 자물쇠부재(5)의 동작부분(51)이 후퇴하고, 연락부재(8)도 후퇴한다(도 5, 도 9b 참조). 이 후퇴에 의해 연락부재(8)의 규제부(82)와 걸림부재(7)의 피걸림부(76)의 접촉이 분리되어 걸림부재(7)는 후퇴가능하게 된다. 단 걸림용 탄성체(71)가 걸림부재(7)를 탄성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걸림부재(7)는 전진위치 그대로 되고, 케이싱(1)의 걸어맞춤부(15)와의 걸어맞춤은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버튼(9)을 누르면 그 작동부(92)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걸림부재(7)의 수동부(73)를 후방으로 민다. 이에 따라 걸림부재(7)는 걸림용 탄성체(71)의 탄성지지에 저항하여 후퇴한다. 그 결과, 선단걸림부(72)와 케이싱(1)의 걸어맞춤부(15)의 걸어맞춤이 빠지고 세움스프링(44)의 작용에 의해 핸들(2)이 세워진다. 세워진 핸들(2)를 돌림으로써 걸림구(20)가 문틀의 걸림개소(도시생략)에서 빠져 문을 열 수 있다. 이 핸들(2)를 돌릴 때 핸들(2)를 강하게 잡아야 한다.
여기에서 핸들 본체(2)의 선단에는 누름버튼(9)과 걸림부재(7)와자물쇠부재(5)를 수납하는 수납부(3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부(31) 전체를 핸들의 손잡이로서 활용할 수 있어 핸들(2)를 강하게 잡을 수 있다. 더구나 이 수납부(31)의 선단면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선단면에 누름버튼(9)의 선단면과 선단걸림부(72)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손잡이가 되는 수용부(31)의 크기를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어 손잡이 지지부가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이 예에서는 수용부(31)의 좌우 측면이 누름버튼(9)의 좌우양측을 덮음으로써 불안정한 누름버튼(9)만이 수납부(3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되지 않고 손잡이의 불안정함을 해소할 수 있다.
반대로, 핸들(2)를 눕힐 때에는 세움스프링(44)의 탄성지지에 저항하여 핸들(2)을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걸림부재(7)의 선단걸림부(72)의 하면과 걸어맞춤부(15)의 상부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재(7)는 걸림용 탄성체(71)의 탄성지지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선단걸림부(72)가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추어진다.
이 때 누름버튼(9)과 걸림부재(7)가 일체로 되어있으면 세움스프링(44)의 작용에 의해 양자(72, 15)의 걸어맞춤이 빠질 우려가 있다. 그런데 본 출원의 핸들에 서는 누름버튼(9)과 걸림부재(7)가 별체이기 때문에 그 걸어맞춤이 빠질 우려가 없다. 더욱 자세하게는 세움스프링(44)은 핸들(2) 전체를 일으키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지만, 그 힘은 선단걸림부(72)와 걸어맞춤부(15)의 걸어맞춤 개소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움스프링(44)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이 걸어맞춤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걸림부재(7)의 후단측은 상방으로 회전운동하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 그런데 걸림부재(7)의 후단측의 피안내부(75)는 구획벽(16) 아래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상방으로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구획벽(16)의 하단에 걸림부재(7)의 피안내부(75)가 맞닿음으로써 걸림부재(7)의 회전운동이 저지된다. 그 결과, 걸림부재(7)는 회전운동하지 않고, 선단걸림부(72)와 걸어맞춤부(15)와의 걸어맞춤이 빠지는 일도 없다.
또 본 발명에서는 누름버튼(9)을 회전운동식으로 하고, 이 회전운동에 의해 걸림부재(7)를 후방으로 누름으로써 무리없이 걸림부재(7)를 후퇴시킬 수 있고, 누름버튼(9)을 누름으로써 걸어맞춤부(15)와의 걸어맞춤을 확실히 뺄 수 있다. 특히 이 예에서는 누름버튼(9)을 측면에서 보면 고리형상("「"형상)으로 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누름버튼(9)의 후단측이 축지지되고, 선단측이 상하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누름버튼(9)의 선단측이 하방으로 연장설치되고, 걸림부재(7)를 이동시키는 작동부(92)를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누름버튼(9)의 상면을 하방으로 눌러 회전운동시키면 작동부(92)는 선단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설치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의 이동량보다 후방으로의 이동량이 커진다. 그 결과, 무리없이 걸림부재(7)를 후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래 사용하여 핸들이 녹슨 경우라도 누름버튼(9)을 누름으로써 걸림부재(7)를 후퇴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자물쇠부재(5)를 이용하지 않고 자물쇠가 없는 핸들로서 해도 실시할 수 있다. 또 핸들을 기복가능하게 하는 것 만으로, 회전운동하지 않는 타입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 누름버튼(9)은 핸들(2)의 최선단에 배치하는 것이 핸들(2)의 길이를 길게 하는점에서 가장 유리하지만, 최선단에 배치하지 않고 핸들(2)의 선단측에 배치하는 것에 그쳐도 된다.
이상 본 출원의 제 1의 발명은, 세움스프링의 반작용에 의해서도 핸들과 케이싱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일이 없는 구성을 갖는 동시에, 핸들의 개폐동작를 위해 안정되게 잡을 수 있는 핸들의 실질적인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는 문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2, 제 3의 발명은 상기 제 1의 발명의 효과에 덧붙여, 누름버튼에 의해 확실하고 원활한 핸들과 케이싱의 걸어맞춤·해제를 실현하고, 또 자물쇠부재에 의한 잠금·해제를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문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 제 2의 발명에서는 핸들의 본체 선단에 누름버튼과 걸림부재와 자물쇠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이 수납부의 선단면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선단면에 누름버튼의 선단면과 선단걸림부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 것이기 때문에 누름버튼과 걸림부재를 핸들 본체의 최선단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만큼 안정되게 잡을 수 있는 핸들의 실질적인 길이를 최대한까지 길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출원의 제 3의 발명에서는 걸림부재와 자물쇠부재 사이에 연락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재와 자물쇠부재의 위치가 떨어져 있어도 연락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동작을 걸림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핸들(2)이 그 후단측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기복하도록 케이싱(1)에 부착되고, 이 핸들(2)이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항상 탄성지지된 문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핸들(2)의 선단에 걸림부재(7)가 설치되고, 이 걸림부재(7)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15)가 케이싱(1)에 설치되고,
    이 걸림부재(7)가 상기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추는 전진위치와, 걸어맞춤부(1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후퇴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전후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16)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핸들(2)에 배치되고,
    이 걸림부재(7)가 걸림용 탄성체(71)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탄성지지된 것이며,
    또 이 핸들(2)의 선단측의 상면에 누름버튼(9)이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누름버튼(9)이 걸림부재(7)를 이동시키는 작동부(92)를 구비하고, 이 누름버튼(9)을 누름으로써 누름버튼(9)이 회전운동하고, 작동부(92)가 걸림용 탄성체(71)의 탄성지지에 저항하여 걸림부재(7)를 후퇴위치로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핸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이 잠금·해제기구를 갖는 자물쇠부재(5)를 구비하고, 이 자물쇠부재(5)가 잠금상태에서 걸림부재(7)를 전진위치로부터 후퇴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며, 해제상태에서 걸림부재(7)를 전진위치와 후퇴불가능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걸림부재(7)의 선단에는 걸어맞춤부(15)와 걸어맞추는 선단걸림부(72)가 설치되고,
    핸들(2)의 본체(3) 선단에 누름버튼(9)과 걸림부재(7)와 자물쇠부재(5)를 수납하는 수납부(31)를 구비하며, 이 수납부(31)의 선단면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선단면에 누름버튼(9)의 선단면과 선단걸림부(72)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핸들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걸림부재(7)와 자물쇠부재(5) 사이에 연락부재(8)가 배치되고, 이 연락부재(8)가 자물쇠부재(5)의 잠금상태에서 전진위치에 있고, 해제상태에서 후퇴위치에 있도록 자물쇠부재(5)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며,
    연락부재(8)와 걸림부재(7) 사이에 상기 걸림용 탄성체(71)가 배치됨으로써 걸림부재(7)가 전진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연락부재(8)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 걸림부재(7)가 걸림용 탄성체(71)에 의한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후퇴가능하고, 연락부재(8)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연락부재(8)가 걸림부재(7)에 근접함으로써 걸림부재(7)가 후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핸들장치.
KR1020000006213A 1999-11-10 2000-02-10 문개폐용 핸들장치 KR100345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945799A JP3339842B2 (ja) 1999-11-10 1999-11-10 扉開閉用ハンドル装置
JP1999-319457 1999-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206A KR20010049206A (ko) 2001-06-15
KR100345220B1 true KR100345220B1 (ko) 2002-07-25

Family

ID=1811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213A KR100345220B1 (ko) 1999-11-10 2000-02-10 문개폐용 핸들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39842B2 (ko)
KR (1) KR100345220B1 (ko)
CN (1) CN1295416C (ko)
TW (1) TW4440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6042B1 (fr) * 2001-06-18 2004-07-16 Pommier S A Dispositif a cremone a structure simplifiee
CN100408798C (zh) * 2002-05-09 2008-08-06 星本股份有限公司 门开关用把手装置
CN1590677B (zh) * 2003-04-25 2010-05-26 思嘎茨讷工业株式会社 平面手柄装置
JP2007002524A (ja) * 2005-06-23 2007-01-11 Shin Nikkei Co Ltd 戸先錠付開操作補助装置
FR2889228B1 (fr) * 2005-07-27 2008-11-21 Airbus France Sas Dispositif de commande du verrouillage et deverrouillage d'une porte d'aeronef et porte d'aeronef integrant un tel dispositif
IT1394322B1 (it) * 2009-05-25 2012-06-06 Rigo Dispositivo di bloccaggio in assetto di chiusura per seconde ante
JP4991825B2 (ja) * 2009-10-29 2012-08-0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KR101134933B1 (ko) * 2011-02-25 2012-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EP2359735A3 (de) * 2011-05-26 2011-11-30 V-Zug AG Haushaltsgerät mit Tür und Griff
ITAN20120119A1 (it) * 2012-09-24 2014-03-25 Gi Gar S R L Maniglia per porte, completamente ad incasso e corredata di serratura.
CN103206109B (zh) * 2013-04-11 2015-07-2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隐藏式拉手
KR200475251Y1 (ko) * 2013-05-15 2014-11-20 주식회사 공진 이중시건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JP6396983B2 (ja) * 2014-09-19 2018-09-26 株式会社イシダ 組合せ計量装置
CN107100462A (zh) * 2016-02-23 2017-08-29 星本股份有限公司 门把手
CN108915421B (zh) * 2018-09-20 2023-10-17 深圳市科信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机柜门锁
JP7193129B2 (ja) * 2019-01-29 2022-12-20 株式会社ホシモト 扉の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9457Y (zh) * 1992-12-03 1993-12-15 江锦华 按压旋转式平面门扣
CN1160804A (zh) * 1996-04-01 1997-10-01 泷源制造株式会社 拉出回转型门锁把装置
JP3107776B2 (ja) * 1996-10-21 2000-11-13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JPH11210277A (ja) * 1998-01-26 1999-08-03 Nk Parts Kogyo:Kk 平面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39842B2 (ja) 2002-10-28
JP2001140510A (ja) 2001-05-22
KR20010049206A (ko) 2001-06-15
CN1296109A (zh) 2001-05-23
CN1295416C (zh) 2007-01-17
TW444094B (en) 200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220B1 (ko) 문개폐용 핸들장치
AU2016287469B2 (en) A load carrier comprising a lock arrangement
JPH06264656A (ja)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8915105B2 (en) Latch assembly
KR102255132B1 (ko) 다관절 도어 잠금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물함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KR100407480B1 (ko) 금고문 개폐장치
JPH022853Y2 (ko)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200445240Y1 (ko) 잠금보조장치
KR0159836B1 (ko) 경화회수기
JP3090440B2 (ja)
JP2004218220A (ja) 回動扉の開閉機構。
KR200380743Y1 (ko) 도어의 잠금장치
JP3129598U (ja) カードキー・テンキー式錠前装置
CN213391580U (zh) 一种隐藏按钮的门锁
JP2010180584A (ja) ドアストッパ
KR100903061B1 (ko) 사물함용 록커의 해정장치
JP2862860B1 (ja) 平面ハンドル装置
KR200287090Y1 (ko) 도어 잠금장치
JPH0435987Y2 (ko)
JPH11293986A (ja) 箱体用錠機構
KR101958184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046878B1 (ko) 공중화장실용 도어록어셈블리
JP3348048B2 (ja) 引戸用密閉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