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868B1 -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868B1
KR100344868B1 KR1020000052255A KR20000052255A KR100344868B1 KR 100344868 B1 KR100344868 B1 KR 100344868B1 KR 1020000052255 A KR1020000052255 A KR 1020000052255A KR 20000052255 A KR20000052255 A KR 20000052255A KR 100344868 B1 KR100344868 B1 KR 10034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boom
lifting mechanism
control valv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659A (ko
Inventor
고석봉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8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4Control devices non-automatic pneumatic of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운전자가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붐 길이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달아올림기구가 붐 끝단과 일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서 안심하고 장비를 운전할 수 있게 하고, 작업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피로를 저하시켜 무의식중에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크레인의 윈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신축식 붐이 장착되어 있고, 윈치 로프 끝단에 달아올림기구를 사용하는 유압식 크레인에 있어서, 붐 신축 실린더(6)의 길이 조정용 콘트롤 밸브(4)가 작동하면, 컴퓨터와 연계된 작업조건 표시창(10)을 통해 입력된 작업 조건, 달아올림기구(11)의 로프 감김수, 윈치드럼 로프 감김량 검출기(12)에서 검출한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윈치모터용 전자 비례제어 밸브(5)가 붐 길이 변화량만큼 윈치모터(7)로의 유량을 조절하여 윈치드럼(8)의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과부하 안전장치(9)로 구성함으로써 달아올림기구(11)가 붐 끝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구성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Synchronous operating winch of mobile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의 윈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축식 붐을 장착한 크레인의 붐 길이 및 각도 변화에 따라 윈치 로프 끝에 매달린 달아올림기구와 붐끝단의 간격이 운전자의 별도의 동작이나 조정작업의 수행 없이 자동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레인에는 이러한 장치가 없어 달아올림기구의 동시 하강 또는 상승 없이 붐을 신장 수축하여 붐과 달아올림기구가 충돌하거나 달아올림기구가 지면에 충돌함으로서, 장비의 손상이나 중대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윈치로프의 윈치드럼에 감긴상태가 풀려서 상당기간 정비를 해야하는 사례도 발생할 수 있다.
과도한 달아올림기구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권방지 시스템을 대부분의 크레인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고장난 상태에서 운전하거나, 사용자의 의도적인 사용기피(과부하 작업) 등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며, 또한 달아올림기구는 크레인의 특성상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달아올림기구를 계속해서 주시해야 하는 사용자의 피로를 증가시키고 자칫 그러한 문제를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 곧 바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붐 길이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달아올림기구가 붐 끝단과 일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서 안심하고 장비를 운전할 수 있게 하고, 작업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피로를 저하시켜 무의식중에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 할 수 있는 크레인의 윈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윈치장치는 과부하 안전장치에서의 전기적 신호를 단속할 수 있는 윈치 동시작동 시스템 선택스위치를 설치하여 수동작업 도는 자동작업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윈치모터용 전자 비례제어 밸브를 설치하여 윈치모터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과부하 안전장치에 입력되는 붐길이 변화량은 케이블 릴을 통하여 입력되고, 달아올림기구의 로프 감김 수, 윈치드럼의 로프 감김량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비례제어 밸브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서 윈치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달아올림기구가 붐 끝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압시스템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과부하 안전장치의 제어시스템 구조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동유 탱크 (2, 3) : 유압 펌프
(4) : 콘트롤 밸브(봄 신축실린더 용)
(5) : 전자 비례제어 밸브(윈치 모터용)
(6) : 붐 신축 실린더 (7) : 윈치 모터
(8) : 윈치 드럼 (9) : 과부하 안전장치
(10) : 작업 조건 표시창 (11) : 달아올림기구의 로프 감김 수
(12) : 윈치드럼 로프 감김량 검출기 (13) : 케이블 릴
(14) : 윈치 동시작동 시스템 선택 스위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신축식 붐이 장착되어 있고, 윈치 로프 끝단에 달아올림기구를 사용하는 유압식 크레인에 있어서,
붐 신축 실린더(6)의 길이 조정용 콘트롤 밸브(4)가 작동하면,
컴퓨터와 연계된 작업조건 표시창(10)을 통해 입력된 작업 조건, 달아올림기구(11)의 로프 감김수, 윈치드럼 로프 감김량 검출기(12)에서 검출한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윈치모터용 전자 비례제어 밸브(5)가 붐 길이 변화량만큼 윈치모터(7)로의 유량을 조절하여 윈치드럼(8)의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과부하 안전장치(9)로 구성함으로써 달아올림기구(11)가 붐 끝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한다.
상기에서 과부하 안전장치(9)의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여 수동작업 또는 자동 작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윈치 동시작동 시스템 선택스위치(14)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압시스템 회로도로서, 도 2에 나타낸 과부하 안전장치(9)의 제어시스템 구조 개념도와 상호 연계되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운전자가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시스템의 사용여부를 윈치작동 시스템 선택스위치(14)를 이용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동시작동 상태로 결정했다면 윈치 동시작동 시스템 선택스위치(14)를 온(On) 상태로 전환한 후 작업조건 표시창(10)에 있는 버튼을 이용하여 작업 조건을 입력하게 된다.
이때 달아올림기구(11)의 로프 감김수도 함께 입력하고 윈치드럼의 로프 감김량 검출기(12)에서 인식값을 과부하 안전장치(9)로 보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붐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콘트롤 밸브(4)를 작동시키면 자동적으로 과부하 안전장치(9)에서 윈치모터용 전자 비례제어 밸브(5)를 붐 길이 변화량만큼 윈치모터(7)로의 유량을 조절하여 윈치드럼(8)의 회전수를 조절하게 되는 장치를 구비한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1은 작동유 탱크이다.
미설명 부호 2, 3은 유압 펌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의 인양 능력을 계산하는 컴퓨터와 연계되어 신축식 붐의 신축에 따라 윈치 드럼에 감겨 있는 윈치 로프의 감김량을 계측기에서 검출하고, 크레인 작업시 기본적인 작업 조건인 붐 길이 변화량을 자동 산출하여 입력된 달아올림기구의 로프감김수에 따라 크레인 붐을 신축시키면 붐 길이 변화량만큼 윈치가 작동되어 붐 끝단과 달아올림기구가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윈치드럼(8)에 감겨있는 로프의 감김량과 달아올림기구(11)에 감긴 로프의 감김수에 따라서 윈치드럼의 회전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게 되며, 또한 사용자가 이 시스템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조작하는 윈치 동시작동 시스템 선택 스위치(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운전자가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달아올림기구가 크레인 붐 끝단이나 지면과 충돌할 염려가 없으며,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붐 길이 변경이나 윈치의 조작을 윈치 동시작동 시스템 선택스위치(14)로 간단하게 전환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피로를 줄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신축식 붐이 장착되어 있고, 윈치 로프 끝단에 달아올림기구를 사용하는 유압식 크레인에 있어서,
    붐 신축 실린더(6)의 길이 조정용 콘트롤 밸브(4)가 작동하면,
    컴퓨터와 연계된 작업조건 표시창(10)을 통해 입력된 작업 조건, 달아올림기구(11)의 로프 감김수, 윈치드럼 로프 감김량 검출기(12)에서 검출한 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윈치모터용 전자 비례제어 밸브(5)가 붐 길이 변화량만큼 윈치모터(7)로의 유량을 조절하여 윈치드럼(8)의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과부하 안전장치(9)로 구성함으로써 달아올림기구(11)가 붐 끝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안전장치(9)의 전기적 신호를 수동작업 또는 자동작업으로 전환하도록 단속하는 윈치 동시작동 시스템 선택스위치(1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KR1020000052255A 2000-09-05 2000-09-05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KR10034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255A KR100344868B1 (ko) 2000-09-05 2000-09-05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255A KR100344868B1 (ko) 2000-09-05 2000-09-05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59A KR20020027659A (ko) 2002-04-15
KR100344868B1 true KR100344868B1 (ko) 2002-07-20

Family

ID=1968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255A KR100344868B1 (ko) 2000-09-05 2000-09-05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8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489A (en) * 1987-08-27 1989-03-03 Hudson Soft Co Ltd Sound generator
JPH06263384A (ja) * 1993-03-11 1994-09-20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最大フック降下位置算出装置
JPH0733387A (ja) * 1993-07-21 1995-02-03 Kobe Steel Ltd 伸縮式クレーンの吊りワイヤ駆動制御装置
JPH0781882A (ja) * 1993-09-14 1995-03-28 Komatsu Ltd クレーン
JPH07117985A (ja) * 1993-10-22 1995-05-09 Fujita Corp 揚重機のワイヤ長さ調整装置
JPH10114495A (ja) * 1996-10-09 1998-05-06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クレーン用ウインチ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489A (en) * 1987-08-27 1989-03-03 Hudson Soft Co Ltd Sound generator
JPH06263384A (ja) * 1993-03-11 1994-09-20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最大フック降下位置算出装置
JPH0733387A (ja) * 1993-07-21 1995-02-03 Kobe Steel Ltd 伸縮式クレーンの吊りワイヤ駆動制御装置
JPH0781882A (ja) * 1993-09-14 1995-03-28 Komatsu Ltd クレーン
JPH07117985A (ja) * 1993-10-22 1995-05-09 Fujita Corp 揚重機のワイヤ長さ調整装置
JPH10114495A (ja) * 1996-10-09 1998-05-06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クレーン用ウイン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59A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4557B2 (en) Programmable controls for a winch
EP0406419A1 (en) Crane safety apparatus
EP2145852A1 (en) Loa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ith selective boom-up lockout
JPS61502254A (ja) ジブクレ−ンの監視・制御装置
US8875912B2 (en) Vehicle crane
EP0731054A1 (en) Mobile reach tower crane
US10870560B2 (en) Crane
KR100344868B1 (ko) 유압식 크레인의 동시작동 윈치
SI24996A (sl) Mehansko-hidravlični sistem z varnostno napravo izklopa navijanja žične vrvi vitla pri konstantni ali spremenljivi vlečni sili
WO2017061573A1 (ja) 作業機
US10787345B2 (en) Crane
JP2875185B2 (ja) クレーンの油圧ウィンチの制御方法および同装置
JP2636323B2 (ja) 建設用タワークレーンの旋回速度制御装置
US10836612B1 (en) Crane
JP3292280B2 (ja) クレーンの安全装置
JP3255461B2 (ja) 移動式クレーンにおける油圧駆動ウインチの制御装置
KR100610184B1 (ko) 무선원격 제어장치를 갖는 구난 전차
US11053100B1 (en) Crane winch assembly stowage and mod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3068725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安全装置
JP3351250B2 (ja) 巻上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20210113706A (ko) 붐길이센서가 설치되는 유압식크레인 다단붐 장치의 붐 길이 검출장치
JP2016150833A (ja) クレーンのウインチモータ制御装置
JP5097319B2 (ja) クレーンのフック格納制御装置
JP2019001600A (ja) 作業車両
JP2017089497A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および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