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297B1 - 전방후퇴기구를갖는재사용불가능한의료기구 - Google Patents

전방후퇴기구를갖는재사용불가능한의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297B1
KR100343297B1 KR1019960701550A KR19960701550A KR100343297B1 KR 100343297 B1 KR100343297 B1 KR 100343297B1 KR 1019960701550 A KR1019960701550 A KR 1019960701550A KR 19960701550 A KR19960701550 A KR 19960701550A KR 100343297 B1 KR100343297 B1 KR 100343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lunger
needle holder
retainer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588A (ko
Inventor
제이. 샤우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제이. 샤우 토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4190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4329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샤우 토마스 filed Critical 제이. 샤우 토마스
Publication of KR96070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4Fully 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8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rupting the piston seal, e.g. by pun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재사용 불가능한 의료 기구는 이 의료 기구내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플런저(54)를 누름으로써 후퇴 가능한 유체 주입 또는 채집공 주사바늘(34)을 가진다. 전방 장착식 후퇴 기구(22)는 주사바늘에 연결된 주사바늘 홀더를 가진다. 주사바늘 홀더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활주 접촉 영역을 따라 주사바늘 홀더에 연결된 마찰 결합식 리테이너링(102) 또는 부재에 의하여 의료 기구의 축선을 따라 지탱되어 있다. 이동부재 또는 플런저의 전방부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는 주사바늘 홀더 주위를 지나가는 리테이너 부재를 누르고, 이에 의해 리테이너 부재를 주사바늘 홀더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런 분리는 리테이너 부재가 주사바늘 홀더로부터 해제되어서 미리 압축된 스프링에 의해 주사바늘 홀더에 가해진 후퇴력에 반응하여 주사바늘 홀더 및 주사바늘이 플런저내의 캐버티로 후퇴할 때까지 활주 접촉 영역의 범위의 점차적인 감소에 의하여 발생한다.

Description

전방 후퇴기구를 갖는 재사용 불가능한 의료기구{Nonreusable medical device with front retraction}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의료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사기를 일회 사용한 후에 재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자동 후퇴식 피하 주사바늘(automatically retracting hypodermic needle)을 갖는 재사용 불가능한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정맥 약제 사용자들은 피하 주사바늘의 공유 및 재사용 때문에 에이즈(AIDS)가 일반 대중에게 확산되는 주요 인자라고 인식되고 있다. 괜찮아 보이는 백신은 없고 또 지루하고 비효율적인 재교육으로 인하여, 주사바늘의 재사용에 실망을 주는데 대한 기술적 해결책이 절대로 필요하다. 추가로 고려할 사항은 정맥약제 사용자들이 기본적으로 의료 산업으로부터 주사기를 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약제 사용 공동체에 도달하는 어떤 장치들도 보건 분야에서 승인을 받아야 한다. 보건산업의 기본 관심은, 새로운 주사기가, 1) 표준 주사기에 비하여 유체를 보유하며 유체의 정확한 증분 측량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을 동일하게 유지하는가; 2) 보건요원이 다른 손으로 자유롭게 환자를 돌볼 수 있을 정도로 한 손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3) 사용 후에 실제로는 주사기가 완전히 후퇴하지 않았는데 완전히 후퇴하였다는 잘못된 판단 때문에 주사바늘에 찔릴 가능성을 배제할 정도로 완전히 후퇴하는가;4) 사용전의 상태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가: 5)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사용할 때에도 충분히 신뢰할수 있는가; 6) 대량 생산을 위해서 용이하게 조립이 되는가: 7) 결함 비율을 영으로 유지하면서도 수백 만개의 개별 주사기를 매일 소비해야 하므로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되는가 하는 점에 있다.
보건 산업의 필요성에 맞추기 위한 시도에 따라 후퇴 또는 제거기술을 갖춘 각종 주사기가 발명되었다. 다수의 다른 접근방법이 사용되었다.
쿨리(Kulli)씨의 미국 특허 제 4,747,831호는 후퇴식 주사바늘을 갖는 주사기형 캐뉼러 삽입세트(syringe-like cannula insertion set)를 발표하고 있다. 수동 해제식 래치는 사용후 주사바늘을 해제하기 위해 양손 작업을 필요로 한다. 정맥 약제 사용자는 수동 해제를 간단하게 작동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안전 주사기에서 수동 해제식 주사바늘의 다른 실예로서, 린데만(Lindenmann)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74,382 호에서는 후퇴 스프링을 내장하기 위해 "사일로(silo)"의 사각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도 사일로는 스프링과 접촉하지 않도록 유체를 보호하지만, 주사기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정도로 부피를 차지한다.
가르디(Gaarde)씨의 미국 특허 제 5,054,419 호는 후퇴시키기 위하여 플런저의 단부에 의하여 심하게 구부러져야 하는 굽힘벽(yielding wall)에 보유되어 있는 전방 장착식 후퇴스프링을 조합하고 있다. 굽힘벽의 두께 또는 탄성에 있어서의 불일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후퇴 스프핑이 해제중에 굽힘벽의 모서리를 붙잡으면 걸림(hang-ups)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장치는 유체와 스프링 사이의 접촉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 밀봉(positive seal)이 결여되어 있다. 상기 밀봉은 후퇴 스프링으로부터의 압력과 굽힘벽의 구멍에서의 표면의 질에 의존하고 있다.
알라드(Allard)씨의 미국 특허 제 4,838,869 호는 주사기내에 형성된 클램프의 굽힘 또는 파괴나 또는 주사기내에 고정되어 플런저에 의해 파괴되는 다른 부품의 굽힘 또는 파손에 의존하고 잇다. 또한 이 특허는 주사바늘 및 스프링이 관통해야만 하는 플런저의 격막을 공개하고 있다. 이런 구조는 심각한 품질 제어 및 조립 문제를 일으킨다. 파괴된 작은 조각들이 걸림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
보티치(Botich)씨 등의 미국 특허 제 4,994,034 호는 주사기의 전방에 있는 후크에 의해 유지된 주사바늘 홀더와, 상기 후크를 펼치기 위한 각진 모서리를 갖는 플런저의 전방 구멍을 가로질러 성형된 취약한 부재(frangible member)를 발표하고 있다. 상기 후크는 주사바늘이 통과하는 전방 하우징의 부분으로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이 하우징과 주사기 몸체와의 사이에 있는 "0" 링으로서 주사기 몸체에 대해 밀봉되어 있다. 유체 약제가 스프링 및 스프링 홀더에 자유로이 접촉한다. 주사바늘 홀더를 해제하기 위해 후크 핑거의 측방향 외부 펼침이 필요하다. 탄성 핑거 및 후크의 필요한 굽힘은 후퇴를 개시하는데 과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정확한 탄성도를 달성하기 위해 재료 선택 및 성형 공정을 제한한다. 불균일한 굽힘 또는 파괴는 걸림을 초래할 수 있다. 후크 하우징의 성형은 파열식 코어핀의 도움을 받는 성형을 필요로 하였다고 여겨진다. 파열식 코어 기술은 성형 주기 시간을 크게 증가시키며, 따라서 원가 상승을 초래한다. 플런저 단부의 취악한 부재는 후퇴중에 용이하고 깨끗하게 파괴되어아 한다. 어떤 톱니모앙의 모서리는스프링을 붙잡아서 잼(jam)을 일으킨다. 플런저 재료의 취성 정도 및 치수 제어는 신뢰성을 얻기가 어렵게 만들었다. 주사바늘을 위한 특별한 밀봉은 공기가 유체실로 딸려 들어가지 않게 하고 또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팁(tip)에서 요구되고 있다.
타글리아페리(Tagliaferri)씨 등의 미국 특허 제 5,084,029 호는 플런저 상의 취약한 막과, 작은 파단핀에 의해 몸통내에 보유된 수형 후킹 폴(male hooking pawl)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주사바늘 홀더를 이용하는 다른 접근방식을 발표하고 있다. 상기 핀은 주사기의 단부로부터 주사바늘 조립체를 빼어낼 수 있도록 후킹후에 충분한 힘을 가하면 파단되어야 한다.
맥가리(McGary)씨의 미국 특허 제 5,053,010 호는 해제시키기 위해 파괴 또는 파단하는 구조물의 성형에 의존하는 전방 장착식 후퇴장치의 다른 실예를 보이고 있다. 플런저의 전방은 피스톤을 통해 파단하고, 다음에 주사기 몸체의 부분을 파괴하여 스프링 장전식 주사바늘 홀더를 해제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압축된 스프링을 보유하면서 역시 과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일관성있게 파괴하게 될 몸체를 성형하는데 있어서 명백한 신뢰성 문제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장치는 주사기가 피스톤의 헤드를 완전 관통하지도 않으면서 주사바늘 보유 부품을 파괴함으로써 의도대로 후퇴하는 순간에 주사바늘을 전방으로 환자 몸 속에 찔러 넣을 수 있었다는 또 하나의 잠재적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기술은 실제로 자동으로 후퇴가능하고 재사용 불가능한 주사기를 제조하려는 많은 노력이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주사기는 매일 수백 만개를 대량 생산해야 하는 1cc 및 3cc 주사기이다. 소형 주사바늘은 코일 튜브의 형태로 생산되고, 길이대로 절단된 후에 완전 직선형(absolute straightness)에서 크게 변한다. 이것만으로 주사바늘이 작은 구멍을 통과해야만 한다면 조립 문제를 어렵게 만든다. 주사바늘의 아주 예리한 팁이 구멍의 모서리를 붙잡아서 생산라인에 잼을 일으킬 것이다. 고속 생산에 관한 어떤 소망은 단위 사이클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64 캐버티 이상을 갖는 금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술한 기술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파열식 코어 핀을 필요로 하는 몸통내의 성형 구조물은 경쟁력 있는 원가로서 생산될 수 없는 것 같다.
치명적인 질병의 확산의 주요인자가 정맥 약제 사용자에 의한 주사기의 재사용 때문이라는 사실과 에이즈가 제기하는 위협의 중대성 때문에 가장 실용적이고, 가장 믿을만하고, 쉽게 조립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주사기를 개발하려는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문제점을 연구한 결과, 에이즈의 확산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양으로서 시장성 있는 생산을 하기 위하여 후퇴식 주사기가 해결해야 하는 형태가 적어도 열 가지가 있다. 이러한 항목중 어느 하나를 해결하지 못하면 실용적인 후퇴식 주사기의 생산을 막는다. 그러한 주사기는 다음과 같다.
1. 파열식 코어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절단점에서 코어핀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도록 몸통내에 단 하나의 내부 수축부를 필요로 한다. 파열식 코어 기술이 요구되면, 과다한 사이클 시간의 결과로서 생산원가 때문에 경쟁할 수 없는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다.
2. 이 의료기구는 약물을 흡인하기 전에 플런저가 항상 전방으로 밀릴 때 우발적인 후퇴를 방지하는 기구를 가져야 한다. 이것은 후퇴기구의 우발적인 발사를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의료 비상시에 우발적으로 "발사(fire)"하여 소용없게 되는 주사기를 의료 사회에서는 결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3. 주사바늘이 일단 후퇴하면 장치는 재사용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며 또는 재사용을 위해 재조립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해야 할 것이다.
4. 후퇴를 시작하기 위해 손으로 가한 힘이 여러 가지 기후 조건하에서 일정하게 되어 있으면 해제기구는 어떤 해제 요소의 벤딩, 굽힘 또는 파괴를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 해제를 위해 부품들의 파괴를 요구하는 설계는 매우 얇은 파괴성막을 달성하려고 노력할 때 제작 및 신뢰성 문제를 일으킨다.
5. 주사바늘은 후퇴 순간에 조금이라도 전방으로 전진하지 않아야 하는데, 왜냐하면 조금이라도 전진하면 환자를 찔러 고통을 주기 때문이다.
6. 허브 또는 주사바늘 홀더와 조합되었을 때 현재 제작된 주사바늘은 완전하게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은 주사바늘을 작은 구멍 속으로 안내하는 일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이한 조립방법을 제공하여야 한다.
7. 디자인은 후퇴 중에 걸림의 위험을 증가시킴으로써 신뢰성을 저하하면 조립 비용을 상승시키는 정교한 소형 부품들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
8. 밀봉은 액체 누설을 방지하기에 충분해야 하지만 또한 진공 손실을 방지 해야만 한다. 바이어싱(biasing) 스프링은 가변 액체 보유실로부터 효율적으로 밀봉되어야 한다.
9. 후퇴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은 예정되어 있어야 하고, 플라스틱의 크리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며 특별한 플라스틱 구성물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
10. 의료기구는 플런저가 사용하기 전에 후퇴하여 충분히 신장되어 있으면 재사용할 수 없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하는 실용적인 주사기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설명한 주사기는 상기 모든 조건들을 만족하는 소형 치수의 사용에 적합한 일차로 대량 생산 가능한 주사기이다.
발명의 요약
새로운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유체 주입 또는 채집용 주사바늘을 갖춘 후퇴기구를 갖는 의료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의료기구는 전방 장착식 후퇴기구를 사용하는 주사기 기술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구는 보통의 이중단부 주사바늘을 설치하고 후퇴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응용된 고무스토퍼를 장착한 해집관(collecting tube)으로 플런저를 대체함으로써 혈액 샘플링 장치로서 사용하도록 응용될 수 있다.
후퇴기구는 리테이너 부재로 둘러싸여 있는 주사바늘 홀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바늘 홀딩 부재 및 리테이너 부재는 후퇴력을 초과하는 마찰력에 의해 후퇴 방향으로 지향한 활주 접촉 영역(sliding interface)을 따라 연결된 분리식 부재이다. 후퇴 방향은 실제로 주사기와 같은 기구의 종축선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리테이너 부재와 주사바늘 홀딩 부재와의 확실한 조립을 수행하고 재생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축선에서 악간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활주 접촉 영역에서 연결된 주사바늘 홀딩 부재 및 리테이너는 주사기 플런저와 같은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기다란 중공몸체의 전단부에 장착된다. 중공 주사바늘이 고착된 주사바늘 홀딩 부재는 의료기구의 중심 축선을 따라 주사바늘을 연장시키는 상태로서 중공 단부의 중심에 장착된다. 리테이너 부재가 아닌 주사바늘 홀더는 중공 전방부의 전방 팁에 장착된 폐쇄 부재에 의해 전진 운동이 제한된다. 폐쇄 부재는 후퇴 부재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의료기구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 부재의 선택적 운동에 의해 발생된 주사바늘 홀딩 부재와 리테이너 부재간의 상대운동에 의해 후퇴가 시작된다. 상기 후퇴는, 후퇴력이 마찰력을 초과할 때까지 이동 부재의 운동에 반응하여 활주 접촉 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킴에 의해 발생되고, 이에 의해 주사바늘 홀딩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해제요소로부터 분리되고, 주사바늘 홀더 및 주사바늘이 바이어싱 요소의 영향을 받아 후퇴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기다란 중공몸체는 중공의 제 2 단부로부터 전이 영역을 거쳐 분리된 중공의 제 1 단부를 가진다. 실제적으로 후퇴기구 전체는 전이 영역 아래의 몸체의 제 1 단부내에 배치된다. 전이 영역은 리테이너 부재가 후퇴하기 전에 위치해 있는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리테이너 부재는 주사바늘 홀딩 부재 보다 높이가 낮으므로 리테이너 부재가 이동 부재에 의해 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될 때 자유로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한편 주사바늘 홀딩 부재는 팁에서의 폐쇄 부재에 바닥이 전하게 됨으로써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바이어싱 요소 즉, 스프링은 주사바늘 홀딩 부재에 후퇴력을 적용하여서 이 부재를 중공몸체 속으로 뒤로 잡아당기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도, 주사바늘 홀딩 부재는 T자 모양의 원통형으로서 바이어싱 스프링을 위한 안내부 역할을 하는 스템부(stem portion)와, 활주 접촉 영역을 한정하는 연결된 리테이너 부재상의 협동면과 마찰 결합하는 횡방향 표면을 갖는 헤드부를 가진다. 리테이너 부재는 적어도 주사바늘 홀딩 부재의 헤드부를 둘러싸는 링형 부재로 하는 것이 양호하다. 활주 접촉 영역에 존재하는 마찰 결합력이 압축 스프링이 제공한 후퇴력을 능가하기 때문에, 주사바늘 홀딩 부재에 작용하는 스프링력은 리테이너 부재를 정지 부재에 대해 가압한다.
중공몸체에서의 전이 영역은 정지 부재가 위치해 잇는 곳에서 횡방향 내부로 수축되어 있어서 기다란 중공몸체의 중공의 제 1 단부에서 내부구멍을 만들게 된다.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부는 내부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반면에 리테이너 부재는 내부 구멍보다 더 크다. 리테이너 부재의 한 부분은 정지 부재를 지나서 주사 바늘 홀딩 부재와 연결된 활주 접촉 영역에까지 횡방향 내부로 연장한다. 이것은 횡단 상부면을 노출시켜서 위에서부터 오는 작용을 받게 한다. 이동 부재의 전방에 있는 헤드부는 이동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때 리테이너 부재의 노출된 횡단 상부면을 밀기에 적합한 벽을 가진다. 상기 제 1 위치에서 헤드부의 벽이 횡단면의 바로 면전에 놓인다. 이동 부재의 제 2 위치는 후퇴가 일어날 때까지 이동 부재가 전방으로 더욱 이동하였을 때의 이동 부재의 위치이다. 이동 부재 또는 주사기 플런저의 헤드부의 전방은 정지 부재(들)가 위치해 있는 내부구멍을 통과하는 크기이고, 플런저내에서 중공 후퇴 캐버티를 향한 입구를 포함하는 중공 인테리어(hollow interior)를 가진다. 상기 입구 및 중공 캐버티는 주사바늘 홀딩 부재의 헤드보다 직경이 더 크며, 이것이 리테이너 부재가 주사바늘 홀더로부터 분리된 후에 주사바늘 홀딩 부재를 후퇴 캐버티로 들어가도록 허용한다.
이동 부재 또는 플런저의 헤드는 피스톤을 가지고, 이 피스톤 아래에서 전이 영역 위에 있는 기다란 중공몸체의 제 2 부분에서 가변 유체실이 형성된다. 중공 주사바늘은 몸채로부터 폐쇄 부재를 거쳐 가변 유체실과 유체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장하여서 주사기의 보통의 기능을 수행한다. 플런저의 헤드부의 벽은 전방으로 피스톤 앞까지 연장하고, 이동 부재 또는 플런저의 후퇴 캐버티를 향한 입구를 밀봉하는 제거식 플러그 부재(dislodgable plug member)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식 부재는 후퇴하기 위해 이동 부재가 선택적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 홀딩 부재가 리테이너 부재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주사바늘 홀딩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이동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제거된다.
따라서 보통의 원통관 구조로서 주사기에 차체된 본 발명은 보통의 방법대로 주입유체로 채워지며 기포를 제거하여 투여량(dose)을 조정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플런저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가변 유체실은 크기가 축소되고, 유체는 주사바늘 홀딩 부재의 중심에 고정된 중공 주사바늘을 통해 분출된다. 주입 행정의 끝에서, 플런저 헤드의 전방벽 또는 립은 주사바늘 홀딩 부재와 나란히 일렬로 정렬되지 않고 리테이너 부재와 나란히 바로 그 전면에 배치된다. 이 위치가 플런저의 제 1 위치이다. 플런저를 전방으로 더 누르면 플런저의 전방부분이 리테이너 부재를 가압하여 플러그 부재를 제거하기 시작하게 된다. 플런저를 계속 누르면 리테이너 부재가 정지 부재에서 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활주 접촉 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킨다. 주사바늘 홀더는 팁 폐쇄부에 그 바닥이 접해 있기 때문에 본래의 위치를 유지한다. 플러그 부재는 활주 접촉 영역이 점차 감소하는 동안 미끄러지듯이 제거된다.
플런저가 계속해서 제 1 위치로부터 전방의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리테이너 부재(링)는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최종적으로 리테이너 부재와 주사바늘 폴더간의 마찰 결합이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후퇴력보다 작을 때까지 활주 접촉 영역이 점차 축소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에서 분리되고, 스프링이 주사바늘 홀더 및 주사바늘을 제거식 플러그 부재와 함께 플런저 중심의 후퇴 캐버티내로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주사바늘을 중공 몸체내로 효과적이고 영구적으로 후퇴시킨다. 또한 플런저 헤드의 전방부는 리테이너 부재를 주사바늘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플런저의 이동중에 한 방향으로 내부구멍을 통과하는 후크부를 가질 수 있다. 후크부는 바람직하게도 자신이 정지 부재의 일부가 되는 로킹 수단과 결합하고, 따라서 다수의 로킹면과 후크부와의 상호 결합은 후퇴한 후에 후퇴 방향으로의 플런저의 이동을 방지한다.
해제기구는 대량 생산하기가 어렵고 또 제어하기가 어려운 얇고 부서지기 쉬운 섹션 또는 가요성 핑거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주사기 내부에서 떠다니며 걸림을 일으킬 수가 있는 파괴성 부품이 없다. 예정된 성질의 유연한 후퇴력은 리테이너 부재가 주사바늘 홀더에 간단히 마찰 결합함으로써 제공된다. 주사바늘 홀더와 리테이너 링간의 활주 접촉 영역에서의 작은 테이퍼(taper) 또는 견인(draft)은 예정된 하중하에서 조립하는 동안 아주 작은 쐐기 작용에 의하여 마찰 보유력을 틀림없이 보정할 수 있게 만든다. 이로 인하여 플런저가 얼마나 큰 힘을 전달하는가를 결정하고, 이런 힘은 리테이너 부재가 전방으로 미끄러질 때 활주 분리를 시작하는데 요구되는 힘이다. 이것은 후퇴시키기 위하여 플런저에서 요구되는 손 압력의 양을 예정하기가 쉽게 만든다. 필요한 후퇴력은 리테이너 부재와 주사바늘 홀더와의 결합한 활주 접촉 영역에서 직경 차이가 약간 나더라도 두 부품을 축방향으로 동일한 조립력을 가하여 조립함으로써 다시 만들어질 수 있다.
주사기 형태로 된 의료기구의 다른 특징은 플런저의 후방부에 장착되어서 플런저를 누르는데 사용되는 손 압력을 전달하는 작용을 하는 2위치 단부캡(two-position end cap)이다. 단부캡의 제 1 위치에서, 단부캡은 중공 몸체의 후방부에 있는 레지(ledge)에 바닥이 접해 있는 결합용 벽에 의해 중공 몸체와 협동하여 플런저를 제 1 위치에 배치한다. 단부캡과 몸체가 강하게 접촉해 있기 때문에 플런저에 전방 압력이 가해져도 후퇴를 시작하지 않을 것이다. 플런저를 채우기 위해 단부캡이 뒤로 물러나면, 단부캡은 플런저의 제 2 위치와 일치하는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플런저를 제 2 위치에 고정시키는 로킹 수단이 있다. 이제 플런저가 주입 사이클 중에 전방으로 이동되면, 후퇴가 일어난 후에 플런저의 최전방 위치로서 규정된 제 2 위치에 플런저가 도달할 때까지 플런저의 운동은 제한되지 않는다. 캡 부재는 제 1 위치로 귀환될 수 없으므로 의료 기구가 재사용 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2위치 단부캡은 제 2 위치로 물러났을 때 나타나게 되는 색 표시를 편리하게도 보이지 않게 덮고 있다. 이것은 주사기가 사용되었는지 또는 부당하게 간섭을 받았는지 어떤지를 가리키는 경고띠가 된다.
특별한 장점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의 제작 및 조립의 용이성이다.주사기 몸체는 후퇴 기구가 위치해 있는 전이 영역 아래에서 직경이 수축된 채로 또는 수축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는 중공 내부 후퇴 캐버티의 전방 구멍에서 직경 수축부를 가길 수 있지만, 이런 구조는 대량 생산시에 사이클 시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는 파괴식 코어핀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코어핀은 제 1 축소직경 전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양 방향에서 끼워질 수 있다.
제거식 플러그 부재는 플런저의 개방된 후방 단부를 통해 용이하게 설치되어서 랜드(land)가 플런저 헤드의 전방 구멍 또는 입구부의 축소 직경부와 결합하여 플러그 부재를 내부면과 밀봉 접촉 상태로 보유하게 될 때까지 전방으로 떠밀린다. 다음에 플러그 부재가 삽입된 후에 팁 부재가 후방에 설치되어 구멍을 폐쇄하게 된다.
리테이너 부재는 바람직하게도 몸체의 개방된 전단부의 벽에 접촉함으로써 주사바늘 홀더에 관하여 안정화, 위치 결정 및 배치 기능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가진다. 조합된 주사바늘 홀더 및 리테이너 부재는 전이 영역까지 측벽과 밀봉 접촉 상태로서 미끄러지고, 스프링이 주사바늘 홀더의 스템에 삽입되고, 폐쇄부재가 스프링을 압축시키며 제위치에 고정된다. 스프링은 전이 영역 위에 있는 유체 챔버내로 들어온 유체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자동 기계 가공 수단에 의해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주사바늘이 의료기구의 실제 중심 축선과 약간 정렬이 벗어난 것을 쉽게 받아들이는 커다란 구멍을 허둥하고 있는 팁 밀봉(tip seal)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많은 장점은 아래 설명에서 나타날 것이다.
제 1 도는 플런저가 부분적으로 후퇴하여 운반 위치에 있는 주사기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플런저가 주입 사이클의 끝에서 눌러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플런저가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주사바늘의 자동 후퇴를 준비하기 위해 플런저 단부캡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한 이후의 도면.
제 4 도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실시예에서 플런저가 제 3 도의 위치에서 부터 제 4 도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반응하여 주사바늘 조립체가 플런저의 중공 인테리어로 후퇴한 도면.
제 5 도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의 확장된 실시예로서 후퇴 행정을 시작하기 위해 플런저의 전방부가 주사바늘 조립체와 접촉하게 되는 도면.
제 6 도는 주입 사이클의 끝에 있는 플런저의 전방부가 주사바늘의 후퇴를 시작하기 위해 주사바늘 조립체와 접촉할 준비를 하는 것을 도시하는 주사기의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실시예에서 플런저의 단부캡이 제 2 위치로 후퇴하여 후퇴 기구가 자동적으로 발사되기 직전에 리테이너 부재를 주사바늘 홀더에 관하여 아래로 미끄러지도록 허용하는 도면.
제 8 도는 제 5 도 및 제 7 도의 실시예에서 후퇴한 이후의 도면.
제 9 도는 제 6 도 내지 제 8 도의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
제 10 도는 제 1 도의 선 10-10 을 취한 단면도.
제 11 도는 제 1 도의 선 11-11 을 취한 단면도.
제 12 도는 제 9 도의 선 12-12 를 취한 단면도.
제 13 도는 제 9 도의 선 13-13 을 취한 단면도.
실시예
제 1 도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주사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주사기(10)는 제 1 단부(14) 및 대향한 제 2 단부(16)와 함께 중공 인테리어를 한정하는 벽을 갖는 기다란 중공 몸체(12)를 가진다. 중공 몸체(12)의 제 2 단부(16)는 기다란 플런저 조립체(24)를 위한 구멍(18)을 형성한다. 핑거 태브(finger tab:19)는 중공 몸체(12)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한다. 중공 몸체(12)의 제 1 단부(14)는 구멍(20)과 주사바늘 조립체(22)를 위한 캐버티(112)를 형성하고 있다.
중공 몸체(12)의 벽은 전이 영역(26)에 도달할 때까지 구멍(18)에서부터 아래로 연장하며 대체로 직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이 영역에서 중공 몸체(12)의 메인부보다 직경이 작은 제 1 단부(14)를 형성하도록 네크가 만들어져 있다. 전이 영역(26)은 제 1 단부(14)의 상부 끝에서 접촉 정지부(abutment stop; 36)로서 끝난다. 접촉 정지부(36)는 내부 돌출 환형벽(37)이 되거나 또는 환형벽의 세그먼트 또는 다른 적절한 정지 구조가 될 수 있다. 중공 몽체(12)의 제 1 단부(14)의 전방 단부(28)는 구멍(20) 속에 장착되는 폐쇄 부재(30)를 가진다. 나사결합이 도시되어 있다. 폐쇄 부재(30)는 사용전에 운반하는 도중에 주사바늘(34)을 보호하기 위해 주사바늘 캡(32)을 보유하기에 적절한 원추형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주사바늘 캡(32)은 폐쇄 부재(30)의 협동면과 마찰 결합하는 개방 단부를 가지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기다란 플런저 조립체(24)는 중공 인테리어(40)를 한정하는 벽(38), 제 1 단부 또는 헤드(42) 및 대향한 제 2 단부(54)를 가진다. 플런저(24)의 제 1 단부(42)는 중공 몸체(12)의 내부벽과 밀봉 접촉 상태로 슬라이드하기에 적합한 환형 밀봉면(46)을 갖는 피스톤(44)이 달린 플런저 조립체(24)의 헤드로서 구성된다. 제 1 단부 또는 헤드(42)는 구멍(48)을 형성한 립(50)에서 끝난다. 주사기의 중공 몸체(12), 플런저 조립체(24) 및 구멍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 주사기처럼 원형이 바람직하다. 플런저 벽(38)은 제 10 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방사상 연장 돌출부(52)를 가지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방사상 연장 돌출부들은 제 1 단부 또는 헤드(42)로부터 위로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후방 단부의 직전에서 끝난다. 상기 돌출부(52)는 중공 몸체(12)의 중심축선에서 자신의 횡 방향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플런저를 위한 활주 안내 부재로서 작용한다. 플런저의 후방에는, 플런저의 후방 단부에 맞추어지는 2위치 단부캡(56)을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제 2 단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벽(38)에 성형된 2 내지 4 개의 가요성 핑거(58)는 벽(38)의 개방 슬롯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핑거(58)는 단부캡(56)의 손바닥용 수평바(64)에 매달려 있는 하향 연장벽 요소(62)에 형성된 방사상 내부로 연장한 보조 돌출부(60)에 의해 내부로 가압된다. 상기 벽 요소(62)는 가요성 핑거(58)와 협동하도록 배치핀 돌출부(60)를 갖는 환형 벽이 될 수 있다. 구조물을 완성하기 위하여, 또 하나의 원형 벽(68)이 상기 벽 요소(62)로부터 외부로 이격된 캡 부재(56)의 수평바(64)에 매달려 있다. 상기 벽(38)에 형성된 환형 접촉 레지(66)는 벽(68)의 단부를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이동 단부캡(56)의 일반적인 아이디어는 주사기 몸체내의 두 위치에 플런저 조립체(24)를 배치하는 수단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단부캡(56)이 제 1 도에 도시된 제 1 위치에 있을 때, 벽(68)이 주사기 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레지(66)와 접촉함으로써 바닥이 접하기 때문에 플런저 이동이 제한된다. 단부캡(56)이 제 3 도에 도시된 제 2 위치로 물러나면, 플런저 헤드(42)가 단부캡(56)이 바닥에 접하기 전에 후퇴 기구를 충분히 붙잡기 위해서 주사기의 전방 가까이 이동할 수 있다. 단부캡의 제 1 및 제 2 위치는 플런저의 제 1 및 제 2 위치에 해당한다.
환형 벽(68)은 제 1 도에 도시된 제 1 위치에서 제 2 단부(54)의 최상부 단부에 있는 색상면을 둘러싸며 보이지 않게 하는 불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명한 부재(68)로 덮인 밝은 색상 영역은 단부캡이 플런저의 단부(54)에 관하여 제 2 위치로 축 방향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노출된다. 단부캡(56)이 플런저의 나머지에 관하여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물러나면, 돌출부(60)가 핑거(58) 위에 있는 갭(70)에 걸리게 된다. 제 3 도에서, 핑거(58)는 외부로 구부러지며 돌출부(60) 아래에서 멈추고, 단부캡이 플런저에 되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부캡은 제 2 위치에 효과적으로 고정되고, 제 1 위치로 복귀될 수 없다. 종방향 연장 가이드(57) 및 협동 슬롯은 캡을 적절한 위치에 정렬한다. 주사기를 사용한후, 제 2 단부(54)의 상단에 있는 밝은색 띠는 볼 수 있게 되어서 이전에 사용하였음을 가리킨다.
플런저 전방에 있는 구멍은 제거식 플러그 부재에 의해 폐쇄된다. 제 1 단부(42)는 립(50)을 조금 지나서 연장하는 하단부(74)와 더 넓은 헤드부(76)를 갖는 플러그 부재(72)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 바로 아래에 펀드(78)가 있다. 상기 랜드는 헤드부(76) 보다 직경이 더 작지만, 몸체부(80) 보다 직경이 더 크다. 랜드(78)는 플런저(24)의 내부에 있는 협동 밀봉면(82)과 밀봉 가능하게 결합한다. 플러그 부재(72)는 플런저 조립체(24)의 제 1 단부에서 인테리어 내의 협동 밀봉면(82)에 마찰식으로 유지되고, 랜드(78)의 인테리어(40)로 향한 구멍을 밀봉한다. 구멍(48)과 플러그 부재(72) 사이의 작은 갭을 제외하면, 가변 유체실(45)에서 유체가 플러그 부재가 제 위치에 끼워진 인테리어(40) 안으로 흐르지 않는다.
주사바늘 조립체(22)는 제 5 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고 제 11 도에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5 도에서, 중공 주사바늘(34)은 스템부(86) 및 헤드부(88)를 갖는 주사바늘 홀더(84)에 의해 확고하게 유지된다. 상기 홀더는 하단부(90)를 가지고, 기다란 "T" 형상이다. 주사바늘 홀더(84)의 하단부(90)는 주사바늘(34)이 중심에서 구멍(94)을 통해 연장하는 상태에서 폐쇄부(30)의 캐버티(92)에 정착한다. 주사바늘(34) 의 반대쪽 단부는 헤드부(88) 위에 있는 가변 유체실(45)과 유체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96)은 스템부(86)를 둘러싸고 있다. 스프링(96)의 전방 단부는 캐버티(92)의 바닥에 접촉하여 있다. 후방단부(98)는 헤드부(88)의 저면(100)을 가압한다. 따라서 발생된 힘은 주사바늘 홀더를 가변 유체실(45)로 구동하는 경향이 있다.
분리 가능한 리테이너 부재 또는 리테이너 링(102)은 주사바늘 홀더(84)의 헤드부(88)에 의해 운반된다. 리테이너 부재(102) 및 헤드부(88)는 활주 접촉 영역(104)에서 함께 조립되고, 이에 의해 주사바늘 홀더가 이 홀더에 관히여 리테이너 부재(102)의 축방향 운동에 의해 초래되는 활주면의 양이 점차 감소됨으로써 선택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리테이너 부재(102)는 활주 접촉 영역(104)에 있는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와 마찰 결합된다.
리테이너 부재(102)는 제 1 단부(14)의 상부 단부에 있는 내부 벽면(106)과 직접 또는, 리테이너 부재(102)의 환형 외부면(110)에 장착된 밀봉 부재(108)의 도움을 받으며 활주 밀봉 접촉하며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부(88)를 둘러싸고 있다. 리테이너 부재(102)는 주사바늘 홀더(84)에 작용하는 바이어싱 요소 즉 스프링(96)의 영향하에서 접촉 정지부(36)와 직접 또는 밀봉 부재(108)의 도움을 받으며 접촉이 유지되어 있다. 밀봉 부재(108)를 갖는 또는 갖지 않는 리테이너 부재(102)는 가변 유체실(45)내의 어떤 유체를 스프링(96)과의 어떤 접촉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밀봉시키고, 또한 하단부(14)에 있는 캐버티(112)의 어떤 부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밀봉시킨다. 그 결과, 주사바늘이 빠져나가는 주사기의 팁에는 밀봉이 필요하지 않다.
주사바늘(34)이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홀더(84)에 에폭시 수지로 접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고, 리테이너 부재(102)가 헤드부(88)와 마찰 결합되고, 스프링(96)이 스템부(86)를 따라 미끄러지고, 주사바늘 조립체 전체가 상방향으로 밀려서 정지부(36)에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폐쇄 부재는 주사바늘 조립체 전체를 제 위치에 보유한다. 전방 단부(14)의 하단부에서 밀봉이 필요하지 않다.
제 2 도에서, 플런저(24)가 제 1 위치에 있고 또한 단부캡도 제 1 위치에 있다. 주사바늘(34)은 단부캡(56)으로 후퇴시킴으로써 가변 유체실(45)로 흡수되는 주입액 속으로 격막을 통해 지나갈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도 단부캡을 제 3 도에 도시된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 주사기에 충분한 유체로 채워지고 공기 및 과다 유체를 제거하도록 조정된 후에, 주입 및 후퇴 사이클을 할 준비를 한다. 주사바늘이 제 위치에 있으면 플런저를 누른다. 유체가 전부다 소량씩 유체실(45)로 부터 주사바늘(34)을 통해 흐른다. 주입 행정의 끝에서 그리고 후퇴 행정의 시작에서, 피스톤은 제 2 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다만 단부캡만이 제 3 도의 제 2 위치에 있다. 이제 제 1 위치를 더 지나가도록 플런저를 누를 수 있다.
플런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플러그 부재(72)의 하단부(74)는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부(88)의 상단부면과 접촉한다. 주사바늘 홀더(84)의 하단부(90)가 폐쇄부재(30)에 접하기 때문에, 주사바늘 홀더가 이동할 수 없다. 플런저(24)의 전방 운동은 랜드(78)를 밀봉면(82)에 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 부재(72)를 제거한다. 이것이 플러그 부재(72)를 단부캡(56)을 향하여 캐버티(40)내에서 뒤로 이동하도록 만든다. 동시에, 플런저의 립 또는 단부(50)는 리테이너(102)의 횡단 상부면(114)과 접측하게 된다. 플런저(24)를 더 누르면 리테이너(102)가 활주 접촉 영역(104)을 따라 축방량으로 활주함으로써 주사바늘 홀더(84)의 헤드로부터 격리되기 시작한다. 횡단면(114)에 대고 립(50)을 밀면 주사바늘 홀더가 리테이너 부재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주사바늘 홀더에 관하여 리테이너가 미끄러지고, 이에 의하여 주사바늘 홀더 및 주사바늘이 주사바늘 홀더(84)를 구동하는 압축 스프링(96)의 영향하에서 플런저의 중공 인테리어 안으로 밀린다. 플러그 부재(72)는 공간(40)속으로 이동된다.
제 4 도는 주사바늘 홀더가 방금 설명한 후퇴 동작에 반응하여 이동한 후의 주사바늘 홀더 및 주사바늘의 후퇴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 4 도는 플런저의 누름에 반응하여 리테이너 부재(102)의 축방향 운동과 주사바늘 홀더와 리테이너 간의 활주 접촉 영역의 점차적인 감소로 인하여 주사바늘 홀더를 해제한 직후의 리테이너 부재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 4 도의 시험은 플런저가 어느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도 주사바늘의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것을 가리킨다. 주사바늘 홀더 및 리테이너 부재는 분리시에 후퇴를 발생시킬 수 있는 2 개의 분리식 부품으로 구성된다. 일단 분리되면, 주사바늘은 영구히 중공 플런저 내로 후퇴하게 된다. 후퇴한 후에, 플런저가 몸체에서 제거되더라도 주사기를 재조립하기가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대단히 어렵게 되는데, 왜냐하면 리테이너 부재(102)가 몸체의 전방 단부에 붙잡혀 있고 단부캡이 플런저의 다른식으로 개방된 단부에 영구히 고정되고 폐쇄부(30)가 양호하게 제위치에 영구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 2 실시예가 제 6 도 내지 제 9 도에 도시되어 있고,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6 도에서, 제 2 실시예에 의한 주사기(10a)가 도시되어 있다. 이 주사기(10a)는 중공 인테리어를 형성하는 벽과, 제 1 단부(14a) 및 대향한 제 2 단부(16a)를 갖는 기다란 주사기 몸체(12a)를 가진다. 제 2 단부(16a)의 후방 단부는 기다란 플런저 조립체(24a)를 위한 구멍(18a)을 한정한다. 원통형 몸체(12a)는 이 몸체의 전방에 있는 제 1 단부(14a)로부터 가변 챔버(45)를 분리시키는 전이 영역(12a)을 가진다. 제 1 단부(14a)의 전방 단부(28a)는 내부 캐버티(112)로 이어지는 구멍(20a)을 한정한다. 폐쇄 부재(30a)는 주사바늘 조립체(22a)의 지지를 받으며 구멍(20a)에 장착된다. 제 1 단부(14a)의 후방에 있는 전이 영역(26a)은 제 1 단부(14a)의 상단부에서 벽에 형성된 내향 돌출 접촉 정지부(36a)를 가진다.
이제 제 9 도에서, 주사바늘 조립체(22a)는 폐쇄 부재(30a)의 캐버티(92a)와 접촉하는 전방 단부(90a)를 갖는 대체로 "T"형의 주사바늘 홀더(84a)를 구비한다. 주사바늘 홀더(84a)는 가변 유체실(45)과 유체 흐름이 가능하게 주사바늘(34)을 중앙에서 단단히 보유한다. 주사바늘 홀더 (84a)는 압축 스프링(96)으로 구성된 바이어싱 수단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기다란 스템부(86a)를 가진다. 상기 스템부(86a)는 스프링(96)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저면(100a)이 형성된 헤드부(88a)를 가진다. 저면(100a)에서 스프링(96)에 의해 발생된 힘은 주사바늘 홀더를 가변 유체실(45)로 구동하는 경향이 있다.
주사바늘 조립체(22a)는 분리가능한 2개의 부품으로 된 주사바늘 조립체이다. "T"형 주사바늘 홀더(84a)는 중앙 주사바늘 홀딩부이고, 다른 부분은 활주 접촉 영역(104a)에 잇는 헤드부(88a)를 둘러싸며 마찰 결합하는 분리가능하게 마찰 유지된 리테이너 부재(102a)이고, 상기 활주 접촉 영역은 헤드부(88a)의 환상 외부면과 리테이너 부재(102a)의 내부면으로 구성된다. 리테이너 부재(102a)는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주사기 몸체벽(106a)과 직접 또는, 리테이너 부재(102a)의외부면(116a)과 접촉하는 밀봉 부재(108a)를 거쳐 접촉하는 활주 밀봉면을 가진다. 리테이너 부재(102a)는 직접 또는 밀봉 부재(108a)를 거쳐 간접적으로 내향 돌출 정지부(36a)의 하부면(120)에 유지된다. 리테이너 부재(102a)는 정지부(36a)를 지나서 가변 유체실(45)의 바닥으로 연장하는 상부(118)를 가진다. 정지부(36a)는 방사상 내부로 돌출하고 또, 로킹면(120)을 가지며, 이 로킹면에서 리테이너 부재가 중앙 주사바늘 홀딩부(84a)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바이어싱 영향을 받으며 유지되어 있다.
제 6 도 내지 제 9 도에서의 플런저 조립체(24a)는 중공 인테리어(40a)를 한정하는 벽(38a)과, 플런저의 헤드로서 언급되기도 하는 제 1 단부(42a) 및 대향한 제 2 단부(54a)를 가진다. 헤드(42a)는 몸체(12a)의 중공 인테리어의 벽과 활주 밀봉 접촉하는 피스톤(44a)을 지닌다. 플런저 헤드는 제거식 플러그 부재(72a)의 헤드(76a) 아래에 형성된 랜드(78a)와 활주 밀봉 접촉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상단부에서의 밀봉면(82a)과 함께 할로우(hollow: 48a)를 형성하는 축소 직경부를 가진다. 이것은 제 1 실시예의 플러그 부재(72)와 유사하고, 다만 유체가 캐버티(40a)로 들어가지 않도록 헤드를 제거식 밀봉을 하기 위해 기다란 몸체(80a) 및 적절한 직경을 가진다는 점이 다르다.
플런저 조립체(24a)의 경우, 헤드(42a)는 또한 제 12 도에 도시한 다수의 각진 후크형 돌출부(122a)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들은 제거식 플러그 부재(72a)의 하부면(74a)을 지나서 연장한다. 돌출부(122a)는 외향 연장 후크 또는 가시(barb)를 갖는 헤드(42a)의 벽의 직선형(아치형) 연장부이고, 상기 후크는 후퇴하기 위해 플런저를 누를 때 내향 정지부(36a) 아래의 로킹면(l20)을 붙잡게 되어 있다. 상기 후크는 플런저의 연속적인 후퇴를 방지한다. 제 2 실시예에서의 플런저는 주사기 몸체의 내경에 아주 가까이 접근하기 때문에, 벽(38a)을 따라가는 가이드 부재가 필요하지 않다. 플런저 조립체(24a)는 플런저의 상단부의 외면에 있는 대응 톱니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평평한 바닥의 각진 홈을 갖는 원형 캡으로서 제 6 도 내지 제 8 도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2 위치 캡 부재(56a)를 여전히 포함하고 있다. 플런저를 그렇게 배치하기 위하여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2 위치 캡 부재(56) 또는 어떤 다른 캡일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의 작용은 제 6 도 내지 9 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6 도에서, 플런저는 주입사이클이 끝나는 순간에 있다. 후크형 돌출부(122a)의 말단부(distal ends)는 리테이너 부재(102a)의 상부면과 정렬되어 접촉하려고 한다. 후크형 돌출부(122a)들 사이의 내경은 여기서 생겨난 구멍이 주사바늘 홀더(84a)의 헤드(88a)의 어떤 부분과도 접촉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제 플런저는 제 2 위치 또는 후퇴위치를 향하여 단부캡에 가하는 손 압력에 반응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러그 부재(72a)는 제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플러그 부재는 자유롭게 될 때까지 랜드(78a)를 활주시킴으로써 밀봉면(82a)으로부터 제거된다.
플런저가 제 7 도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면, 플러그 부재(72a)는 제거되고, 리테이너(102a)가 활주 접촉영역(104a)을 따라서 주사바늘 홀더(84a)에 관하여 미끄러진다. 제 7도는 플러그 부재가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에서 제거되기 위해 접촉 하기 전에 리테이너 부재가 약간 활주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플러그 부재의 길이 또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러그 부재가 먼저 제거될 수 있음을 쉽게 볼 수 있다. 제 7 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활주 접촉영역의 면적은 리테이너 부재와 주사바늘 홀더 사이의 마찰 결합을 위해 아주 조금 접촉영역이 남아 있는 지점까지 감소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남아 있는 마찰 결합은 스피링 부재에 의해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 저면(100a)에서 발생되는 바이어싱 후퇴력을 저항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제 상기 후퇴력은 마찰 유지력을 능가하여서, 제 8 도에서 주사바늘 홀더를 주사바늘 및 플러그 부재와 함께 플런저(24a)의 중공 캐버티(40a)내로 구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스프링이 완전히 신장된 위치에서, 주사바늘은 주사기 몸체내에 완전히 삽입되어서 재신장될 수 없다. 부품들의 치수는 외향한 각진 표면이 접촉 정지부(36a)의 최내측 방사상 연장면과 접촉함으로써 후크형 돌출부(122a)를 약간 내부로 구부러지게 만들고,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에 걸리지 않고 내향 굽힘이 가능하도록 헤드(88a)에 관하여 충분한 틈이 있다. 후크형 돌출부는 양호하게도 후퇴하기 직전에 접촉 정지부 아래에 고정된다. 이제 플런저는 후크형 돌출부(122a)와 로킹면(120)사이의 상호작용 때문에 제위치에 고정된 채로 유지되고, 이것이 주사기 몸체로부터 플런저를 제거하려는 시도를 방지한다. 그 결과, 단부캡(56a)을 떼어냈더라도 주사기를 재사용하기 위해 플런저를 제거하려고 할 수는 없다.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의 조립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기계 가공하기에 아주 적절하다. 현재의 주사바늘은 주사바늘 홀더 또는 허브에 장착되면 거의 완전하게정렬되어 직선형이 된다. 따라서, 주사바늘을 작은 구멍으로 통과시킬 것을 요구하는 어떤 조립은 아주 예리한 팁이 측면을 불잡아서 기구에 잼을 일으키기 때문에 실패하게 되는 것 같다. 본 발명은 팁에서 밀봉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주사바늘 홀더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만으로 제한할 뿐 폐쇄부재(30a)에 커다란 구멍을 만들 수 있다.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와 리테이너 부재의 내경부는 전방 부분(14a)의 개방단부와 마찰 결합되며 미끄러져 들어간다. 캐버티(112)의 내부벽에 접촉함에 의하여, 리테이너 부재는 주사기의 중심축선에서 주사바늘 홀더 및 주사바늘을 자동 정렬시킨다. 상기 자동 정렬(self-alignment)은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 아래에 연장하는 리테이너의 매달린 부분에 의해 제공된다. 이것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음에 스프링은 주사바늘 홀더의 스템부에 배치되고, 팁 폐쇄부가 마지막으로 설치된다. 주사바늘은 폐쇄 팁이 설치되어 있는 동안에 주사바늘을 유지하도록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플런저 부재는 단일체로 조립될 수 있고 구멍(18, 18a) 속에 간단히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 부재(72, 72a)는 플런저 후방에 있는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서, 그 방향에서 힘을 가하여 제위치에 쉽게 밀봉 결합된다. 다음에 캡부재(56, 56a)는 플런저의 후방 단부를 폐쇄하여 2 위치 작동을 제공하도록 장착된다. 플런저의 단부에서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캡부재의 하향 연장부(downwardly depending portion)들을 펼치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벽에서의 종방향 격리부가 그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두 실시예는 동일한 일반적인 방법으로조립된다.
최선의 방식으로서, 부품들은 단면에서 볼 때 원형이지만, 본 발명은 어떤 다각형 단면이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부품들은 양호하게도, 피스톤(44, 44a), 밀봉부재(108, 108a) 및 금속 스프링을 제외하고는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다. 피스톤은 고무 혼합물이 적절하다. 플러그 부재는 플라스틱이 양호 하지만 또한 적절한 고무 혼합물로도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여량을 결정하기 위해 몸체에 적절한 간격 표시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3cc 배달 사이즈로서 생산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주사기 전방에 밀봉이 필요하지 않다. 전방 팁은 재사용하기 위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파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팁은 원추형 대신에 편평하게 될 수 있다.
주사기는 길이가 다른 주사바늘을 수동하기 위해 길이가 다른 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주사바늘 홀더 및 스프링의 길이는 가장 긴 주사바늘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거리를 후퇴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필요한 주사바늘의 길이가 더 짧은 것도 후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리테이너 부재 또는 링은 단단한 고무(hard rubber) 또는 딱 맞는 플라스틱 (tight-fitting plastic)이 될 수 있지만, 주사바늘 홀더와 동일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부재가 없이 사용하려면, 리테이너 링은 챔버(112)의 내부벽에 대해 밀봉하도록 더 크게 되어 있다.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면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서 주사바늘 홀더 및 주사기 몸체에 관하여 리테이너 부재의 팽창 및 수축이 달라질염려를 줄이게 된다. 밀봉부재가 없는 프로토타입(prototype)은 -4.4 ℃(24 °F)의 냉동기와 65.6 ℃(150 °F)의 오븐에서 꺼낸 후에 즉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플런저를 아래로 누르거나 제 2 위치로 누르게 되면 자동적으로 "발사하는" 또는 발사되는 것으로서 간주할 수도 있는 후퇴가 발생한다.
제 2 실시예에서 플런저 헤드는 활주 리테이너 링에 의하여 후퇴가 일어나기 직전에 고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로킹이 일어날 것임을 보장한다. 먼저 후퇴가 일어나게 되면, 후크형 핑거와 정지부의 결합에 의해 완전히 로크되지 않을 수도 있었던 플런저의 밀기를 즉시 멈추는 경향이 있다.
리테이너 부재와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간의 꼭 끼는 마찰결합은 스프링을 가변 유체실과 분리시키는 누설방지 밀봉이 제공되도록 되어 있다. 리테이너 부재가 벽과 활주 접촉하고 있는 챔버(112)의 내부벽이 밀봉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서 리테이너 부재의 외부면을 둘러싸고 잇는 밀봉부재가 밀봉된다. 이것은, 스프링의 구동력이 리테이너 부재로부터 주사바늘 홀더를 분리하는 바로 그 순간까지 활주 접촉영역이 밀봉을 유지하기 때문에 스스로 후퇴하는 동안에도 챔버(112)내로 어떤 유체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원 발명의 디자인은 후퇴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손 압력의 양을 예정하기 위한 수단을 유일하게 제공한다. 헤드(88, 88a)의 외부 벽과, 활주 접촉영역(104, 104a)을 활성하는 리테이너 부재의 대응하는 내부 벽은 양호하게도 약간 테이퍼져(tapered) 있어서 활주 접촉영역(104, 104a)이 주사기의 전방 또는 팁을 향하여 약간 내부로 테이퍼져 있다. 리테이너 부재는 주사바늘 홀더와 조립된 다음에 주사기 몸체의 전방부에 상기 조립체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정된 지속 하중하에서 조립용 부품들에 예비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부품들이 0.9kg(2 1bs)의 힘으로 조립되면, 다음에 조립체의 분리를 시작하는데 대략 동일한 0.9kg을 필요로 할 것이다. 더 큰 분리력을 필요로 하도록 원하면, 부품들은 더 큰 힘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주사바늘 홀더에 관하여 리테이너 부재의 축방향의 오정렬(misalignment)이 아주 중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립용 부품들의 약간의 직경 차이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주사바늘 홀더가 스프링에 의해 하중을 받기 때문에, 리테이너 부재는 주사바늘 홀더의 헤드상에 어떻게 배치 되더라도 항상 접촉 정지부에서 유지된다. 유일한 차이는 주사바늘 홀딩 부재가 가변 유체실 내로 약간 많이 또는 약간 적게 연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폐쇄부재의 적절한 배치는 주사바늘 홀더가 안전하게 유지되어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어떤 필요한 작동 상태에 맞추기 위하여 시작하는 후퇴력의 범위를 넓게 만들 수가 있게 한다.
또한, 플런저는 2위치 단부캡 대신에 단일 위치 단부캡을 가질 수도 있다. 플런저를 누르는데 가한 힘으로써 주입 사이클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압력은 보통 매우 크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후퇴시키기 위하여 1 내지 2 lbs의 힘을 필요로 하면, 사용자가 1회 분량의 주입을 완료하기 위해 플런저의 전방 단부가 리테이너 부재를 때리는 순간을 결정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다음에 플런저에 실제로 큰 힘이 가해지면 재사용을 효율적이고 영구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후퇴를 일으킬 것이다. 의료기구의 투명한 벽을 통해 주사기를 검사하면 플런저에서 플러그 부재및 주사바늘 홀더가 제거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후퇴가 수행되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Claims (24)

  1. 유체를 주입 또는 채집하기 위한 주사바늘을 갖는 후퇴기구(retraction mechanism)와, 몸체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이동 부재 및 후퇴기구를 포함한 기다란 중공 몸체와, 주사바늘이 몸체내에서 전체적으로 후퇴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는 동안에 몸체로부터 연장된 비후퇴 위치를 갖는 주사바늘 홀딩부재를 포함한 상기 후퇴기구와,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를 후퇴 방향으로 후퇴력을 적용하기 위한 바이어싱 요소(biasing element)와, 상기 바이어싱 요소에 의한 후퇴력에 대항하여 주사바늘 홀딩부재를 보유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부재의 선택적 운동에 반응하여 주사바늘을 후퇴시키기 위해 주사바늘 홀딩부재를 해제하도록 작동되는 해제요소를 구비하는 의료기구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 및 해제요소는 후퇴 방향으로 향한 활주 접촉영역을 따라서 후퇴력을 능가하는 마찰력에 의해 연결된 분리식 부재들이고,
    후퇴는 상기 이동부재의 선택적 운동에 의해 초래되는 주사바늘 홀딩부재와 해제요소간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시작되고,
    또한 후퇴는 후퇴력이 상기 마찰력을 능가할 때까지 상기 상대운동에 반응하여 활주 접촉영역의 범위의 감소에 의해 발생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가 해제요소에서 분리되어 상기 후퇴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중공 몸체는 중공의 제 2 단부로부터 전이영역(transition zone)을 거쳐 분리된 중공의 제 1 단부를 가지고, 여기서 실제로 모든 후퇴기구가 상기 전이 영역 아래에서 몸체의 상기 제 1 단부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해제요소가 주사바늘 홀딩부재에 가해진 바이어싱 요소로 부터의 후퇴력에 의해 후퇴하기 전에 배치되어 있는 정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요소는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리테이너 부재(retainer memb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조합된 주사바늘 홀딩부재 및 리테이너 부재는 상기 전이영역 위로 도입된 유체가 바이어싱 요소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전이영역 아래에서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단부를 활주가능하게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홀딩 부재는 헤드부 및 스템부를 가지고, 상기 스템부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바이어싱 요소를 위한 가이드로서 사용되고, 상기 헤드부는 연결된 리테이너 부재와 마찰 결합하여 상기 활주 접촉영역을 한정하는 횡방향 지향 표면 (laterally facing surfac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의 상기 스템부는 상기 주사바늘 부재가 통과하며 신장되고 후퇴되는 팁 폐쇄부재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중공 몸체는 이 중공 몸체와 중공 제 1 단부에서 내부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이영역에서 상기 정지부재에 의하여 횡방향 내부로 수축되는 종방향 연장 벽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해제 요소는 주사바늘 홀딩부재를 둘러싸며 중앙에 배치시키는 리테이너 부재이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를 누르지 않고, 리테이너 부재를 눌러서 후퇴시키기 위하여 내부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헤드부를 전방에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상기 내부 구멍보다 더 크며,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는 상기 내부 구멍보다 더 작아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일부분이 주사바늘에 연결되어 있는 활주 접촉 영역에 까지 상기 정지부재 아래에서 횡방향 내부로 연장하여일반적인 횡단 표면을 노출시키게 되고, 이동부재의 헤드부는 이동부재가 제 1 위치에서부터 제 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때 상기 횡단 표면을 누르기에 적합한 벽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횡단 표면이 노출되는 바로 그곳에 헤드부의 벽을 배치시키고, 상기 제 2 위치는 후퇴가 일어난 후의 이동부재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헤드부의 벽은 리테이너 부재를 주사바늘 홀딩부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이동부재의 운동중에 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 구멍을 통과 하지만 이동부재의 역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로킹면(locking surface)들과 결합하는 후크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가지며, 상기 이동부재는 주사바늘 홀딩 부재를 더 많이 이동시키지 않고 해제요소를 더 이동시키면서 활주 접촉 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방부를 주사바늘 홀딩부재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시키지 않고 해제요소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 이동부재를 선택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1 위치는 이동부재가 더욱 이동하여 상기 해제요소의 상대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곳에서 상기 해제요소가 노출되는 바로 그곳에 이동부재의 전방부를 배치시키고, 상기 제 2 위치는 후퇴를 일으키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해제요소를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로부터 활주하여 분리되도록 제 1 위치를 충분히 지나가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선택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수단은 이동부재의 상기 후방부에 장착된 2위치 캡부재(two position cap membe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전방부는 주사바늘이 중공 챔버 안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주사바늘 홀딩부재와의 접촉에 의하여 제거되는 제거식 플러그 부재를 갖춘 중공 챔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챔버는 상기 이동부재의 전방부에서 제거식 플러그부재가 차지하지만 이 플러그 부재로부터 분리된 개방 입구를 가지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이 플러그 부재 몸체의 후방부분과 상기 챔버에 대한 개방 입구의 후방부 사이의 연장하는 활주 랜드(slidable land)에 의하여 상기 개방 입구내에 배치되는 몸체를 가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부재가 이동 부재의 운동중에 플러그 부재의 몸체와 주사바늘 홀딩 부재와의 접촉에 반응하여 상기 랜드에서 플러그 부재의 활주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15. 중공 주사기 몸체는 주사바늘 조립체를 수령하기 위한 전방부와 주사기 몸체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플런저를 수령하기 위한 후방부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주사기 몸체의 인테리어(interior)와 활주 가능하게 밀봉 접촉하며 피스톤 아래에서 가변 유체실을 한정하는 헤드 및 피스톤 수단을 가지고, 주사바늘 조립체는 주사바늘이 내부에 고정된 상기 전방부내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된 주사바늘 홀더를 가지고, 상기 바늘의 한 단부는 상기 유체실과 유체 흐름이 가능하며 사용 위치에서 주사기 몸체로부터 연장하고, 바이어싱 요소는 주사기 몸체를 전방부 내측으로 주사바늘 홀더를 가압하는 작용을 하고, 해제요소는 바이어싱 요소의 작용에 반응하여 주사기 몸체내로 주사바늘을 후퇴시키기 위하여 주사바늘 홀더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유체약제 분배용 재사용 불가능한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해제 요소는 사용하기 위해 주사기로부터 연장된 주사바늘이 달린 주사바늘 홀더에 작용하는 바이어싱 요소의 가압 작용에 대항하여 주사바늘 홀더를 보유하는 작용을 하며 이 주사바늘 홀더를 둘러싸고 있는 리테이너 부재이고,
    상기 리테이너 부재 및 주사바늘 홀더가 그들 사이에 활주 접촉 영역을 가진채로 조립되고,
    상기 주사바늘 홀더는 플런저를 누름에 따라 주사바늘 홀더에 대하여 리테이너 부재가 축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활주 접촉 영역이 점차로 감소되어 선택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몸체는 상기 전방부를 상기 후방부로부터 분리하는 전이영역을 갖는 기다란 벽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조합된 주사바늘 홀더 및 리테이너 부재는 상기 전이영역 위에 도입된 유체가 바이어싱 요소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전이영역 아래에서 상기 후방부로부터 상기 전방부를 활주가능하게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영역은 상기 리테이너 부재가 후퇴하기 전에 배치되어 있는 정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바이어싱 요소에 의해 주사바늘 홀더에 가해진 후퇴력을 능가하는 활주 접촉 영역에서의 마찰 결합에 의해 주사바늘 홀더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헤드부는 후퇴 캐버티로 향한 입구를 한정하는 립(lip)을 가지고, 상기 플런저는 주사바늘 홀더를 더 이동시키지 않고 리테이너 부재를 더 이동시키면서 활주 접촉영역의 범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립을 주사바늘 홀딩부재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시키지 않고 리테이너 부재와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후퇴 캐버티로 향한 입구를 활주식으로 밀봉하는 플러그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는 플런저를 누름에 따라 리테이너 부재가 축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주사바늘 홀더와 리테이너 부재간의 활주 접촉 영역이 점차 감소되는 동안에 입구로부터 활주식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중공 주사기 몸체의 전방부 내에 내부 구멍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 부재에 의해 횡방향 내부로 수축되고,
    플런저 헤드의 전방에 있는 상기 립이 상기 주사바늘 홀더를 누르지 않고 리테이너 부재를 눌러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는 연결된 리테이너 부재 및 주사바늘 홀더와 마찰 결합하는 활주 접촉 영역이 점차 감소하는 동안에 상기 플런저를 누름에 따라 주사바늘 홀더와 접촉함으로써 활주식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립은 상기 입구를 한정하는 벽의 전방 연장부이고, 상기 벽은 리테이너 부재를 주사바늘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플런저의 운동중에 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 구멍을 통과하지만 이동 부재의 역방향 운동들 방지하는 로킹면들과 결합하는 후크부를 갖추고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3. 주사기 몸체는 중공 인테리어 및 대향한 개방된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가지고, 주사바늘은 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플런저에 의해 한정된 가변 유체실과 연통하도록 장착되고, 플런저는 주사기 몸체의 개방된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또 주사기 몸체의 인테리어와 밀봉 접촉하며 활주하는 헤드를 가지고, 상기 플런저 운동은 유체원으로부터 주사바늘을 통해 유체를 채집함으로써 중공 주사기 몸체의 가변 유체실을 채우고 또 채운 후에 유체를 주사바늘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하고, 이에 의해 주사기 몸체의 전방 단부를 항하여 주입 운동의 끝에서의 플런저의 운동은 주사기 몸체내로 주사바늘을 후퇴시키기 위해 후퇴 기구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된 유체약제 분배용 재사용 불가능한 주사기에 있어서,
    주사바늘을 분리가능한 2 부품의 주사바늘 조립체로서 주사기 몸체에 장착하고, 하나의 부품은 중앙 주사바늘 홀딩부의 일부분의 전방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내부로 가압된 중당 주사바늘 홀딩부이고, 다른 부품은 제 1 부품의 일부분을 둘러싸며 마찰 결합하고 분리가능한 리테이너이고, 상기 리테이너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며 주사기 몸체와 접촉하는 활주 밀봉면을 가지고 또한 상기 한 부품과 접촉하지 않는 주사기 몸체의 중공 인테리어 주위에 배치된 정지부에서 보유되고,
    상기 플런저는 중공 인테리어를 가지고 또한 상기 한 부품과 마주치지 않고 주입 행정의 끝에 리테이너와 마주치는 위치에 있는 플전저 헤드의 립을 가지고,
    여기서 플런저의 운동이 중공 주사바늘 홀딩부에 관하여 리테이너부를 활주 시키고 이에 의해 중앙 주사바늘 홀딩부에 가해진 바이어싱력이 마찰 홀딩력을 능가하여 상기 분리식 부품들을 분리시켜서 주사바늘이 중공 플런저 내로 영구히 후퇴할 때까지 두 부품간의 마찰 결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4. 유체 약제 분배용 재사용 불가능한 주사기에 있어서,
    주사바늘 조립체를 수령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제 1 단부와, 플런저 조립체를 수령하기 위한 플런저 구멍을 갖는 제 2 단부로서 구성된 몸체의 대향 단부에서의 구멍들을 갖는 중공 인테리어를 한정하는 벽을 가지는 기다란 주사기 몸체와,
    밀봉면 아래의 가변 유체실을 규정하는 주사기 몸체의 중공 인테리어의 벽과 밀봉 접촉하며 활주하기에 적합한 밀봉면을 갖추고 있으며 구멍을 갖춘 제 1 단부와, 주사기 몸체의 플런저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도록 제작된 대향한 제 2 단부를 구성하는 중공 인테리어를 한정한 벽을 가지는 기다란 플런저 조립체와,
    주사기 몸체의 제 1 단부에 있는 구멍을 가치며 주사기 몸체의 벽에 위치한 정지부 아래에 배치된 주사바늘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바늘 조립체는 주사바늘 홀더와,
    가변 유체실과 유체 흐름이 가능하도록 주사바늘 홀더에 의해 유지된 주사바늘과,
    주사바늘 홀더에 작용하여 주사바늘 홀더를 가변 유체실로 구동하는 경향이 있는 바이어싱 요소와,
    주사바늘 홀더에 의해 운반되며 상기 정지부에서 배치되고, 가변 유체실을 밀봉시키기 위하여 주사기 몸체의 벽과 활주 밀봉 접촉하며 주사바늘 홀더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분리식 리테이너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플런저의 선택적 운동은 플런저 조립체의 제 1 단부에 있는 구멍을 한정하는 벽의 일부분을 주사바늘 조립체의 분리식 리테이너 부재에 배치시키고, 또한 주사바늘 홀더가 리테이너 부재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주사바늘 홀더 및 주사바늘이 주사기 몸체의 개방 제 1 단부에서 멀리 멀어지며 플런저의 중공 인테리어내로 구동되어서 재사용될 수 없을 때까지 주사바늘 홀더에 관하여 리테이너를 활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KR1019960701550A 1993-09-22 1994-09-07 전방후퇴기구를갖는재사용불가능한의료기구 KR100343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25,292 US5385551A (en) 1993-09-22 1993-09-22 Nonreusable medical device with front retraction
US125292 1993-09-22
PCT/US1994/010235 WO1995008358A1 (en) 1993-09-22 1994-09-07 Nonreusable medical device with front ret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588A KR960704588A (ko) 1996-10-09
KR100343297B1 true KR100343297B1 (ko) 2002-11-30

Family

ID=2241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550A KR100343297B1 (ko) 1993-09-22 1994-09-07 전방후퇴기구를갖는재사용불가능한의료기구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5385551A (ko)
EP (1) EP0720491B1 (ko)
JP (1) JP3665336B2 (ko)
KR (1) KR100343297B1 (ko)
CN (1) CN1108832C (ko)
AP (1) AP599A (ko)
AT (1) ATE247496T1 (ko)
AU (1) AU684555B2 (ko)
BR (1) BR9407596A (ko)
CA (1) CA2172074C (ko)
DE (1) DE69433059T2 (ko)
DK (1) DK0720491T3 (ko)
ES (1) ES2204923T3 (ko)
FI (1) FI116559B (ko)
GE (1) GEP20012513B (ko)
NO (1) NO312942B1 (ko)
NZ (1) NZ274329A (ko)
OA (1) OA10273A (ko)
PL (1) PL176226B1 (ko)
PT (1) PT720491E (ko)
RO (1) RO115848B1 (ko)
RU (1) RU2136321C1 (ko)
TJ (1) TJ265B (ko)
UA (1) UA45323C2 (ko)
WO (1) WO1995008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952A (en) * 1991-12-23 1997-03-25 Syringe Develpoment Partners Safety syringe
EP0725661B1 (en) * 1993-10-28 2002-03-13 Lok-Tek Syringe Pty Ltd Hypodermic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mount
ATE171629T1 (de) * 1994-08-18 1998-10-15 Nmt Group Plc Vorrichtungen zum zurückziehen von nadeln
US6090077A (en) * 1995-05-11 2000-07-18 Shaw; Thomas J. Syringe plunger assembly and barrel
US5632733A (en) * 1995-05-11 1997-05-27 Shaw; Thomas J. Tamperproof retractable syringe
US5578011A (en) * 1995-05-11 1996-11-26 Shaw; Thomas J. Tamperproof retractable syringe
US6123688A (en) * 1995-08-22 2000-09-26 Mdc Investment Holdings, Inc. Pre-filled retractable needle injection devices
DK0902694T3 (da) * 1995-08-22 2003-07-28 Mdc Invest Holdings Inc Forud påfyldt injektionsampul med tilbagetrækkelig nål
US7300416B2 (en) * 1995-08-22 2007-11-27 Specialized Health Products International Pre-filled retractable needle injection ampoules
CA2264532C (en) * 1996-09-03 2004-04-20 Mdc Investment Holdings, Inc. Pre-filled retractable needle injection devices
US5921961A (en) * 1996-09-13 1999-07-13 Mcgary; R. Kern Non-reusable retractable safety syringe
US5681292A (en) 1996-10-29 1997-10-28 Retrax Safety Systems, Inc. Retractable needle and syringe combination
US5693023A (en) * 1996-11-15 1997-12-02 Adventec, Inc.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ssembly
US5800395A (en) 1996-12-05 1998-09-01 Mdc Investment Holdings, Inc. Medical device with retractable needle
US5817058A (en) * 1996-12-23 1998-10-06 Shaw; Thomas J. Retractable catheter introducer structure
US5779679A (en) * 1997-04-18 1998-07-14 Shaw; Thomas J. Winged IV set with retractable needle
US5810775A (en) 1997-05-23 1998-09-22 Shaw; Thomas J. Cap operated retractable medical device
US6015438A (en) * 1997-11-14 2000-01-18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Full displacement retractable syringe
US6221055B1 (en) 1998-03-04 2001-04-24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Retractable dental syringe
US5997512A (en) * 1998-03-04 1999-12-07 Shaw; Thomas J. Retractable dental syringe
US5989220A (en) * 1998-05-26 1999-11-23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Self-retracting IV catheter introducer
US5997507A (en) 1998-08-07 1999-12-07 Dysarz; Edward D. Biased spring hard needle retractable IV catheter
US6958055B2 (en) * 1998-09-04 2005-10-25 Nmt Group Plc Retractable needle syringe including a sheath and an intravenous adapter
GB2359754B (en) 2000-03-03 2004-04-28 Nmt Group Plc Needle sheath
US6210371B1 (en) 1999-03-30 2001-04-03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Winged I.V. set
US6428517B1 (en) 1999-05-10 2002-08-06 Milestone Scientific, Inc. Hand-piece for injection device with a retractable and rotating needle
US6416497B1 (en) 1999-08-27 2002-07-09 Dispomedic 2000 Ltd. Needle protection holder
US6235003B1 (en) 1999-10-12 2001-05-22 Edward D. Dysarz Inclined plane latching device for a spring needle cannula and a spring needle
US6840291B2 (en) * 1999-10-15 2005-01-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ttachment for a medical device
US6086568A (en) * 1999-10-15 2000-07-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plunger rod for retracting needle syringe
US6368303B1 (en) 1999-10-15 2002-04-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Retracting needle syringe
US6517516B1 (en) 1999-10-15 2003-02-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of making a retracting needle syringe
US20040006312A1 (en) * 1999-11-10 2004-01-08 Donnan Jeremy Francis Hypodermic syringes
US6099500A (en) * 1999-12-03 2000-08-08 Dysarz; Edward D. Safety needle cannula module that is activated by a safety syringe and plunger module
GB9928884D0 (en) * 1999-12-08 2000-02-02 Nmt Group Plc Closure assembly
US20030050605A1 (en) * 1999-12-08 2003-03-13 John Targell Closure assembly in particular for hypodermic syringes
AU723060B3 (en) * 2000-02-22 2000-08-17 Occupational & Medical Innovations Ltd A single use syringe
US6712787B1 (en) 2000-05-19 2004-03-30 Edward D. Dysarz Self destructive safety syringe
US6547764B2 (en) * 2000-05-31 2003-04-15 Novo Nordisk A/S Double pointed injection needle
US6599268B1 (en) 2000-06-27 2003-07-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with a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US6585690B1 (en) 2000-06-29 2003-07-0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with selectivity retractable needle
US6432087B1 (en) 2000-07-31 2002-08-1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with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US6986760B2 (en) * 2000-08-02 2006-01-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and safety shield system
EP1313520B1 (en) 2000-08-02 2016-08-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en needle and safety shield system
US6572584B1 (en) 2000-08-07 2003-06-03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Retractable syringe with reduced retraction force
US6558357B1 (en) 2000-08-30 2003-05-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with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US6413237B1 (en) 2000-08-31 2002-07-0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with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US6409701B1 (en) 2000-09-29 2002-06-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Hypodermic syringe with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US6387078B1 (en) * 2000-12-21 2002-05-14 Gillespie, Iii Richard D. Automatic mixing and injecting apparatus
AUPR373001A0 (en) * 2001-03-14 2001-04-12 Glenord Pty Ltd Improved non-reusable syringe
US6800066B2 (en) 2001-04-26 2004-10-05 Nmt Group Plc Retractable needle syringe
GB2376889A (en) * 2001-04-26 2002-12-31 Nmt Group Plc Fluid handling devices
US6511457B2 (en) * 2001-05-04 2003-01-28 Garey Thompson Airless syringe
US7083596B2 (en) * 2001-06-20 2006-08-01 V. C. Saied Anesthetizer with automatic needle decommissioning mechanism
US6494863B1 (en) 2001-10-15 2002-12-17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One-use retracting syring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WO2003045480A1 (en) 2001-11-30 2003-06-05 Novo Nordisk A/S A safety needle assembly
US6976976B2 (en) 2002-03-27 2005-12-20 Safety Syringes, Inc. Syringe with needle guard injection device
GB0222167D0 (en) * 2002-09-25 2002-10-30 Nmt Group Plc Prefilled fluid handling devices
CA2412409C (en) * 2002-11-20 2007-01-23 Ming-Jeng Shue Disposable syringe
US20040116854A1 (en) * 2002-12-12 2004-06-17 Abulhaj Ramzi F. Syringe retractable needle and method
US7544180B2 (en) * 2003-02-27 2009-06-09 B. Braun Melsungen Ag Safety syringes
DE20303231U1 (de) * 2003-02-27 2003-04-30 Braun Melsungen Ag Spritzenzylinder mit Kanülenaufsatz
FR2852851B1 (fr) 2003-03-25 2006-01-06 Sedat Dispositif de protection d'aiguille destine a une seringue, et dispositif d'injection comprenant une seringue et ce dispositif de protection
WO2004091698A1 (fr) * 2003-04-18 2004-10-28 Xiping Wang Seringue de securite
CN100502967C (zh) * 2003-08-13 2009-06-24 杨章民 注射器的针头结构
IL157984A (en) * 2003-09-17 2015-02-26 Dali Medical Devices Ltd Automatic needle
IL157981A (en) 2003-09-17 2014-01-30 Elcam Medi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 Ltd Auto injector
FR2861310B1 (fr) * 2003-10-22 2006-09-22 Plastef Investissements Dispositif de seringue d'injection securise
US7604613B2 (en) * 2004-01-20 2009-10-20 Beck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having a retractable needle
IL160891A0 (en) 2004-03-16 2004-08-31 Auto-mix needle
WO2006024172A1 (en) 2004-09-03 2006-03-09 L.O.M. Laboratories Inc. Gas-actuated retractable syringe
MX2007004474A (es) * 2004-10-14 2007-08-08 Safety Medical International I Jeringa medica de seguridad con aguja removible.
US20060084918A1 (en) * 2004-10-15 2006-04-20 Intai Technology Inc. Retractable safety syringe
US20060084919A1 (en) * 2004-10-18 2006-04-20 Shaw Thomas J Fixed-dose syringe with limited aspiration
CN101484198A (zh) * 2004-12-09 2009-07-15 韦斯特制药服务公司 尾部装有固定针的注射器和具有该注射器的自动注射装置
US7278986B1 (en) 2005-03-09 2007-10-09 Frost Robert J Safety syringe with needle
US20060264840A1 (en) * 2005-05-09 2006-11-23 Daniel Thayer Syringe
US7947020B2 (en) * 2005-05-09 2011-05-24 Safeshot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safety syringe
US20060258984A1 (en) * 2005-05-13 2006-11-16 Kiehne Bruce L Single use syringe with improved needle retraction mechanism
EP1728530A1 (en) * 2005-06-01 2006-12-06 Medsafe ASA Injection syringe with automatically retractable needle
JP5058998B2 (ja) * 2005-07-18 2012-10-24 ウェスト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サービシ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気手段を有する自動注入シリンジ
US7476215B2 (en) * 2005-09-21 2009-01-13 Choi Fat Lam Automatic retractable safety syringe
EP1933904B1 (en) * 2005-09-22 2015-11-11 Covidien LP Needle retraction structure
CA2622109C (en) 2005-09-22 2015-07-14 Tyco Healthcare Group Lp Manually retracted safety needle with rigid wing structure
NZ566755A (en) * 2005-09-22 2010-05-28 Tyco Healthcare Safety needle with lockout mechanism via blocking member(s) that engage with end of hollow member proximal to user
US7824378B2 (en) 2005-09-22 2010-11-02 Tyco Healthcare Group Lp Non-axial return spring for safety needle
US20110098656A1 (en) * 2005-09-27 2011-04-28 Burnell Rosie L Auto-injection device with needle protecting cap having outer and inner sleeves
US7988675B2 (en) * 2005-12-08 2011-08-02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Of Delaware, Inc. Automatic injection and retraction devices for use with pre-filled syringe cartridges
US7846135B2 (en) * 2006-02-24 2010-12-07 Midland Medical Holding LLC Retractable needle syringe with needle trap
US7972301B2 (en) 2006-04-03 2011-07-05 Safeshot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ringe braking system
US20070250003A1 (en) * 2006-04-03 2007-10-25 Bare Rex O Fluid activated retractable safety syringe
WO2007112476A1 (en) * 2006-04-04 2007-10-11 Imd Group Limited Improvements in retractable syringes
US7806858B2 (en) * 2006-04-19 2010-10-05 Safeshot Technologies, Llc Vacuum actuated small volume syringe
US8152762B2 (en) * 2006-04-20 2012-04-10 Safeshot Technologies, Llc Plunger activated vacuum release mechanism for a syringe
US20080114307A1 (en) * 2006-11-06 2008-05-15 Jeffrey Smith Puncturable membrane for safety syringe
US20080097306A1 (en) * 2006-08-29 2008-04-24 Jeffrey Smith Sterilized syringe
US8398601B2 (en) * 2006-11-06 2013-03-19 Safeshot Technologies, Llc Puncturable membrane for safety syringe
US7972300B2 (en) * 2006-05-05 2011-07-05 Safeshot Technologies, Llc Syringe
US8088104B2 (en) * 2006-05-24 2012-01-03 Safeshot Technologies, Llc Syringe
JP2009543616A (ja) * 2006-07-20 2009-12-10 オキュペイショナル・アンド・メディカル・イノベイションズ・リミテッド 使い捨て注射器
US8057431B2 (en) 2006-12-21 2011-11-15 B. Braun Melsungen Ag Hinged cap for needle device
CA2682699A1 (en) * 2007-03-21 2008-09-25 Midland Medical Devices Holdings, Llc Safety medical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nd including a plunger that is received within a barrel
US9259174B2 (en) * 2007-04-20 2016-02-16 Stat Medical Devices, Inc. Retractable fluid collection device
WO2008128274A1 (en) * 2007-04-24 2008-10-30 Morgan Meditech Inc Single use syringe
US20080287881A1 (en) * 2007-05-14 2008-11-20 Bruce Leigh Kiehne Syringe for use with nuclear medicines
US8095870B2 (en) * 2007-06-06 2012-01-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Extensible document transformation language: an innovative way of generating business document and report
FR2922455B1 (fr) 2007-10-23 2010-10-29 Plastef Investissements Dispositif de seringue comprenant un corps de seringue et un manchon de support.
US9259533B2 (en) * 2008-03-31 2016-02-16 Covidien Lp Safety needle with spring biased retraction mechanism
CN101284154B (zh) * 2008-05-08 2011-08-31 杨育和 一种自毁式安全注射器
GB0808474D0 (en) * 2008-05-10 2008-06-18 Karolia Ebrahim Auto retract syringe
US20100010450A1 (en) * 2008-06-13 2010-01-14 Vincent Runfola Retractable syringe with improved stem ring and needle interchangeability
WO2010065375A1 (en) * 2008-11-25 2010-06-10 Retractable Technologies, Inc. Glass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GB0900930D0 (en) * 2009-01-20 2009-03-04 Future Injection Technologies Ltd Injection device
US8167820B2 (en) 2009-03-20 2012-05-01 Mahurkar Sakharam D Retractable needle-safety blood sampling device
US20100286558A1 (en) * 2009-04-08 2010-11-11 Stat Medical Devices, Inc. Fluid collection/injection device having quick release/removable double-ended needle and safety system
US7918821B2 (en) * 2009-05-05 2011-04-05 Mahurkar Sakharam D Universal safety syringe
US20120209247A1 (en) * 2009-07-15 2012-08-16 Wuxi Yushou Medical Applicance Ltd., Safe Disposable Injector with Changeable and Automatically Retractable Needle
US9352220B2 (en) 2009-10-26 2016-05-31 Cfph, Llc Amusement devices including simulated court games or athletic events
US8814695B2 (en) 2009-10-26 2014-08-26 Cfph, Llc Amusement devices including simulated court games or athletic events
US20110306933A1 (en) * 2010-06-11 2011-12-15 Ilija Djordjevic Safety cannula with automatic retractable needle
EP2585138B1 (en) * 2010-06-28 2016-04-2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US8277422B2 (en) 2010-07-23 2012-10-02 Safeshot Technologies, Llc Multi-chambered retractable safety syringe
US10639430B2 (en) 2010-11-22 2020-05-05 B. Braun Melsungen Ag Hinged shield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9022990B2 (en) 2011-04-04 2015-05-05 Tech Group Europe Limited Needle safety shield
US10092230B2 (en) 2011-04-29 2018-10-09 Stat Medical Devices, Inc. Fluid collection/injection device having safety needle assembly/cover and safety system and method
US9078978B2 (en) 2011-12-28 2015-07-14 Stat Medical Devices, Inc. Needle assembly with safety system for a syringe or fluid sampl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817047B1 (en) * 2012-02-23 2018-07-18 UNL Holdings LLC Devices for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 implants
US10272234B2 (en) 2012-02-23 2019-04-30 Unl Holdings Llc Devices for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 implants
CA2865274C (en) * 2012-02-23 2020-03-24 Unitract Syringe Pty Ltd Retractable needle safety syringes
US9050416B2 (en) 2012-11-01 2015-06-09 Tech Group Europe Limited Needle Safety device with floating ring
EP2916893A4 (en) 2012-11-09 2016-12-21 Iinjec Tech Inc LIQUID EXPOSURE DEVICE AND METHOD
RU2652748C2 (ru) * 2013-03-12 2018-04-28 Юнитрект Сириндж Пти Лтд Адаптер с убирающейся иглой для безопасного шприца
GB2515032A (en) 2013-06-11 2014-12-17 Cilag Gmbh Int Guide for an injection device
GB2515038A (en) 2013-06-11 2014-12-17 Cilag Gmbh Int Injection device
GB2517896B (en) 2013-06-11 2015-07-08 Cilag Gmbh Int Injection device
GB2515039B (en) 2013-06-11 2015-05-27 Cilag Gmbh Int Injection Device
JP5881762B2 (ja) * 2014-03-13 2016-03-09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フランス・エス.エー.エス. 安全システムが展開されたときにピストンの復帰を妨げる注射器具
EP3134153A4 (en) * 2014-04-24 2017-12-2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atheter insertion device
US10029049B2 (en) 2015-03-19 2018-07-24 B. Braun Melsungen Ag Hinged shield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TWI729141B (zh) * 2016-05-31 2021-06-01 德商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藥物輸送裝置之蓋組合件及其組裝方法
US20190282147A1 (en) * 2018-03-16 2019-09-19 Thomas J. Shaw Blood Collection Tube Holder with Single Needle
EP3738629B1 (de) 2019-05-16 2023-03-08 Trenta2 S.r.l. Medizinische spritze mit nadelschutz
EP3738628A1 (de) 2019-05-16 2020-11-18 Trenta2 S.r.l. Medizinische spritze mit passivem nadelschutz
US20230321361A1 (en) 2020-09-08 2023-10-12 Trenta2 S.r.l. Medical syringe with passive needle protection
EP3967340A1 (de) 2020-09-09 2022-03-16 Trenta2 S.r.l. Medizinische spritze mit nadelschutz
US20230355888A1 (en) 2020-09-14 2023-11-09 Trenta2 S.r.l. Medical syringe with needle guard
EP4008380A1 (de) 2020-12-07 2022-06-08 Trenta2 S.r.l. Medizinische spritze
CN113080956B (zh) * 2021-04-09 2023-05-02 自贡市第一人民医院 一种采血留置针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6290A (en) * 1964-02-14 1967-02-28 Harold S Weltman Automatically retractable needle syringe
US4841985A (en) * 1986-04-21 1989-06-27 Thomas Wanamaker Blood drawing apparatus
US4904242A (en) * 1987-04-29 1990-02-27 Kulli John C Phlebotomy set with safety retracting needle
US4747831A (en) * 1987-04-29 1988-05-31 Phase Medical, Inc. Cannula insertion set with safety retracting needle
DK156414C (da) * 1987-07-13 1990-01-22 Gerda Ingrid Maria Gaarde Injektionssproejte med kanyle, der kan indtraekkes og fastlaases i sproejten
US4838869A (en) * 1987-08-29 1989-06-13 Allard Edward F Retractable needle syringe
US4838863A (en) * 1987-09-21 1989-06-13 Allard Edward F Safe needle system for collecting fluids
US4874382A (en) * 1987-10-15 1989-10-17 Servetus Partnership Safety syringe
IT1226664B (it) * 1988-02-04 1991-01-31 Valter Bin Siringa apirogena monouso di sicurezza con ago a scomparsa
US4955870A (en) * 1988-08-23 1990-09-11 Ridderheim Kristen A Hypodermic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JPH0821630B2 (ja) * 1988-11-28 1996-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IT1225440B (it) * 1988-12-07 1990-11-13 Nacci Gaetano Pistone per siringhe che rende automaticamente inoffensivo l'ago ipodermico, all'uopo modificato, dopo l'uso
ES2019792A6 (es) * 1990-01-17 1991-07-01 Caralt Batlle Jaime Jeringuilla hipodrmica de un solo uso.
ES2009709A6 (es) * 1989-01-24 1989-10-01 Villar Pascual Jose Antonio Jeronguilla de seguridad monouso.
US4966593A (en) * 1989-03-06 1990-10-30 Design Specialties Laboratories Disposable hypodermic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US5188599A (en) * 1989-07-11 1993-02-23 Med-Design, Inc. Retractable needle system
US4994034A (en) * 1989-07-11 1991-02-19 Botich Michael J Retractable needle hypodermic syringe system
US5019044A (en) * 1989-08-14 1991-05-28 Tsao Chien Hua Safety hypodermic syringe
US5084018A (en) * 1989-08-14 1992-01-28 Tsao Chien Hua Safety syringe
US5046508A (en) * 1989-12-19 1991-09-10 Jonathan Weissler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US4973316A (en) * 1990-01-16 1990-11-27 Dysarz Edward D One handed retractable safety syringe
US5125898A (en) * 1990-03-22 1992-06-30 Harry Kaufhold, Jr. Disposable syringe with automatic needle retraction
US5053010A (en) * 1990-10-03 1991-10-01 Triad Technology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US5092853A (en) * 1991-02-04 1992-03-03 Couvertier Ii Douglas Automatic retractable medical needle and method
US5120310A (en) * 1991-04-03 1992-06-09 Shaw Thomas J Nonreusable syringe
DE59102645D1 (de) * 1991-05-29 1994-09-29 Paolo Caselli Spritze mit Vorrichtung zum selbsttätigen Klemmen der Nadel und mit Mittel zum Einziehen der Nadel in die Spritze am Ende einer Einspritzung.
US5211629A (en) * 1991-12-23 1993-05-18 Pressly William B S Safety syringe
US5180369A (en) * 1992-01-20 1993-01-19 Dysarz Edward D Self destructive safety syringe
CN1076868A (zh) * 1992-04-03 1993-10-06 托马斯·J·肖 具有安全标志的一次性注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61037D0 (no) 1996-03-14
EP0720491B1 (en) 2003-08-20
KR960704588A (ko) 1996-10-09
JP3665336B2 (ja) 2005-06-29
AP9600836A0 (en) 1996-07-31
RU2136321C1 (ru) 1999-09-10
ATE247496T1 (de) 2003-09-15
FI116559B (fi) 2005-12-30
FI961311A0 (fi) 1996-03-21
PT720491E (pt) 2004-01-30
CN1108832C (zh) 2003-05-21
NO312942B1 (no) 2002-07-22
UA45323C2 (uk) 2002-04-15
BR9407596A (pt) 1997-01-07
RO115848B1 (ro) 2000-07-28
AP599A (en) 1997-07-23
CA2172074A1 (en) 1995-03-30
NO961037L (no) 1996-05-06
OA10273A (en) 1997-10-07
PL176226B1 (pl) 1999-05-31
FI961311A (fi) 1996-03-21
EP0720491A4 (en) 1998-11-18
TJ265B (en) 2000-08-07
NZ274329A (en) 1996-10-28
WO1995008358A1 (en) 1995-03-30
US5385551A (en) 1995-01-31
AU7832994A (en) 1995-04-10
DE69433059T2 (de) 2004-02-26
GEP20012513B (en) 2001-08-27
CA2172074C (en) 2006-04-18
AU684555B2 (en) 1997-12-18
CN1131914A (zh) 1996-09-25
DK0720491T3 (da) 2003-12-08
PL313590A1 (en) 1996-07-08
JPH09502893A (ja) 1997-03-25
ES2204923T3 (es) 2004-05-01
DE69433059D1 (de) 2003-09-25
EP0720491A1 (en) 199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297B1 (ko) 전방후퇴기구를갖는재사용불가능한의료기구
AU783109B2 (en) Hypodermic syringe with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EP0900096B1 (en) Tamperproof retractable syringe
RU2095090C1 (ru) Шприц для подкожных инъекций
US5188599A (en) Retractable needle system
AU784751B2 (en) Hypodermic syringe with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MXPA97008658A (en) Retractible syringe of proof of operations indebi
JPH05503236A (ja) 注射器用の弁
AU2003204787B8 (en) Pre-filled retractable needle injection device
EP1386628A2 (en) Pre-filled retractable needle inj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