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837B1 -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837B1
KR100342837B1 KR1019990036577A KR19990036577A KR100342837B1 KR 100342837 B1 KR100342837 B1 KR 100342837B1 KR 1019990036577 A KR1019990036577 A KR 1019990036577A KR 19990036577 A KR19990036577 A KR 19990036577A KR 100342837 B1 KR100342837 B1 KR 100342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qualization
switch
contac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899A (ko
Inventor
권혁진
Original Assignee
이철환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환,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이철환
Priority to KR101999003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83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의 등화 상태를 변화시키는 등화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2단 등화 상태에서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될 때 일정 구간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전조등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등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고 절연 홀더의 평면상에 원주 방향으로 4개의 단자가 노출되어 있는 터미널 단자와; 노브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터미널 단자에 다르게 접촉되어 등화 오프, 1단 등화, 2단 등화,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4개의 접점 포인트가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단자가 구성되어; 상기 콘택트 단자가 2단 등화 위치에서 오토 등화 위치로 이동될 때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가 일정 구간 동안 동시에 존재하면서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터미널 단자와 콘택트 단자의 위치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The automatic light switch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전조등의 등화 상태를 변화시키는 등화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치 2단 등화 위치에서 오토 등화 위치로 전환할 때 순간적으로 스위치 오프 구간을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자동 등화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종래 기술의 자동 등화스위치는 고정 노브(1)에 회전 노브(2)가 결합되어, 회전 노브(2)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차의 등화장치를 오프 상태에서 1단 등화, 2단 등화, 오토 등화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노브(2)와 고정 노브(1)가 포함된 스위치 레버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방향 지시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자동 등화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내부 구성도로서, 상기 고정 노브(1)의 입구측에 터미널 단자(T)가 설치되고, 이 터미널 단자(T)의 맞은편 회전 노브(2)의 내측에는 콘택트 단자(C)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터미널 단자(T)는 레버(3)의 둘레에 끼워져 고정 노브(1)의 내측에고정되는 절연 홀더(6)에 압입되어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콘택트 단자(C)는 상기 회전 노브(2)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 노브(2)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 홀더(8)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노브(2)를 회전시키면 내부의 회전 홀더(8)가 회전하면서 콘택트 단자(C)와 터미널 단자(T)의 접촉 위치가 달라짐으로써 오프(OFF), 1단 등화, 2단 등화, 오토 등화로 전환되어 운전자의 의지에 맞게 차량의 등화 장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자동 등화스위치 레버의 터미널 단자와 콘택트 단자의 스위칭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들이다.
상기 터미널 단자(T)는 네 개의 단자(TE,T1,T2,TA)로 이루어져 상기 절연 홀더(6)의 평면 상에 원주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 단자(C)는 상기 터미널 단자(T)에 접촉되면서 등화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3개의 접점 포인트(C1,C2,C3)가 돌출되어 있다.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콘택트 단자(C)의 접점 포인트(C1)가 터미널 단자(T)의 접지 단자(TE)에만 접촉된다.
상기 회전 노브(2)의 회전에 따른 스위치 1단 등화 상태에서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콘택트 단자(C)의 접점 포인트(C1)(C3)가 터미널 단자(T)의 접지 단자(TE)와 1단 단자(T1)에 동시에 접촉된다.
스위치 2단 등화 상태에서는 도 3의 (C)에서와 같이 콘택트 단자(C)의 접점 포인트(C1)(C2)(C3)가 터미널 단자(T)의 접지 단자(TE)와 1단 단자(T1) 및 2단 단자(T2)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2단 등화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스위치 오토 등화 상태에서는 도 3의 (D)에서와 같이 콘택트 단자(C)의 접점 포인트(C1)(C2)가 터미널 단자(T)의 접지 단자(TE)와 오토 단자(TA)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등화 상태가 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기술의 자동 등화스위치는 2단 등화 위치에서 오토 등화 위치로 변경될 때 일시적으로 스위치가 오프되는 다크 존(Dark zone)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 주행중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3의 (C)에서 콘택트 단자(C)의 접점 포인트(C2)가 2단 단자(T2)에서 오토 단자(TA)로 이동할 때 2단 단자(T2)와 오토 단자(TA)가 이격된 구간(Dark zone) 만큼 순간적으로 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된 다음 도 3의 (D)에서와 같이 접점 포인트(C2)가 오토 단자(TA)에 접촉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등화 장치가 꺼지거나 약화되면서 운전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는 동시에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자동 등화스위치는 터미널 단자 중 2단 단자(T2)와 오토 단자(TA)의 폭이 작기 때문에 콘택트 단자(C)의 접점 포인트(C2)가 정확히 위치되지 못할 경우 스위치 작동 구조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단 등화 상태에서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될 때 일정 구간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전조등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는, 등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된 복수 개의 터미널 단자와, 상기 터미널 단자에 접촉되어 등화 오프, 1단 등화, 2단 등화,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콘택트 단자가 구성된 자동 등화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단자가 2단 등화 위치에서 오토 등화 위치로 이동될 때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가 일정 구간 동안 동시에 존재하면서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터미널 단자와 콘택트 단자의 위치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등화 스위치 레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등화 스위치 레버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스위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단자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단자가 도시된 평면도 및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노브 회전 각도에 따른 스위치 상태 변화도,
도 7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과 스위치 회로 비교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절연 홀더 70 : 콘택트 단자
71 : 본체 72 : 탄성 접점부
C1, C2, C3, C4: 접점 포인트
T : 터미널 단자 TE: 접지 단자
T1: 1단 단자 T2: 2단 단자
TA: 오토 단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에서 터미널 단자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콘택트 단자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정 노브(미도시 됨)측에 설치되어 등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고절연 홀더(50)의 평면상에 원주 방향으로 4개의 단자(TE)(T1)(T2)(TA)가 노출되어 있는 터미널 단자(T)와, 회전 노브(미도시 됨)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터미널 단자에 다르게 접촉되어 등화 오프, 1단 등화, 2단 등화,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4개의 접점 포인트(C4)(C1)(C2)(C3)가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단자(70)가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 단자(T)는 도 4에서와 같이 절연 홀더(50)의 평면에 원주 방향으로 4개의 단자(TE)(T1)(T2)(TA)가 노출되어 있는 바, 접지 단자(TE)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2단 단자(T2), 1단 단자(T1), 오토 단자(TA)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 단자(TE)는 원주 방향으로 75°의 호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2단 단자(T2)는 상기 접지 단자(TE)로부터 31°이격된 위치에서 25°의 호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1단 단자(T1)는 상기 2단 단자(T2)로부터 34°이격된 위치에서 51°의 호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토 단자(TA)는 상기 1단 단자(T1)로부터 84°이격된 위치에서 25°의 호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 단자(TE)와 오토 단자(TA)는 35°이격된다.
그러므로 상기 터미널 단자(T)의 각 단자(TE, T1, T2, TA)간의 이격된 각과 호길이로 형성된 각의 전체 합은 31°+ 34°+ 84°+ 35°+ 75°+ 25°+ 51°+ 25°= 360°가 된다.그리고, 상기 콘택트 단자(70)는 도 5에서와 같이 환형의 본체(71)로부터 동일 방향(시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4개의 탄성 접점부(72)가 형성되고, 이 탄성 접점부(72)는 상기 본체(71)에서 벤딩 절곡됨으로써 상기 터미널 단자(T)에 밀착되는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4개의 탄성 접점부의 끝단부에는 구형상으로 돌출된 4개의 접점 포인트(C4)(C1)(C2)(C3)가 형성되는 바, 각 포인트의 위치는 제 2 포인트(C2)가 제1 포인트(C1)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85°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제3 포인트(C3)는 상기 제2 포인트(C2)로부터 80°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제4 포인트(C4)는 제3 포인트(C3)로부터 110°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포인트(C1)와 제4 포인트(C4)는 85°떨어져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콘택트 단자(70)의 각 단자(C1, C2, C3, C4)간의 이격된 각의 전체 합 또한 360°가 된다.상기와 같은 단자 구조를 갖는 콘택트 단자(70)와 터미널 단자(T)는 상기 콘택트 단자(70)가 2단 등화 위치에서 오토 등화 위치로 이동될 때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가 일정 구간 동안 동시에 존재하면서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되게 배치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한 콘택트 단자(70)는 터미널 단자(T)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게 되는 바, 사용자가 회전 노브를 스위치 오프 위치에서 30°회전시키면 콘택트 단자(70)도 동시에 회전되어 1단 등화 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30°회전시키면 2단 등화 상태, 다시 30°회전시키면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콘택트 단자(70)의 회전 각도가 17°를 넘어서면 1단 등화 상태가 시작되고, 43°를 넘어서면 1단 등화와 함께 2단 등화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는구간으로 전환되어 75°정도까지 계속된다. 특히 오토 등화 상태는 콘택트 단자(70)의 회전 각도가 67°를 넘어서면서 시작되어 67°와 75°사이의 회전 각도에서는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 구간이 동시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등화 위치와 오토 등화 위치 사이에 종래 기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오토 전환구간이 존재하면서 4개의 터미널 단자(TE)(T1)(T2)(TA)가 콘택트 단자(C4)(C1)(C2)(C3)에 의해 모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의 동작을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콘택트 단자(70)의 접점 포인트(C1)가 터미널 단자(T)의 접지 단자(TE)에만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1단 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노브를 회전시키면 도 8의 (B)와 같이 콘택트 단자의 회전 각도가 17°를 넘어서면서 콘택트 단자의 두 개의 접점 포인트(C4)(C2)가 터미널 단자의 접지 단자(TE)와 1단 단자(T1)에 접촉되면서 1단 등화 스위치 상태가 시작된다.
이후 도 8의 (C)와 같이 노브를 30°까지 회전시키면 접점 포인트(C4)(C2)와 접지 단자(TE) 및 1단 단자(T1)가 안정되게 동시에 접촉되어 1단 등화 스위치로의 전환이 완료된다.
다음, 사용자가 스위치를 2단 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노브를 회전시키면, 1단 등화 스위치 각도 30°위치에서 콘택트 단자의 회전 각도가 13°를 넘어서면서 도 8의 (D)에서와 같이 콘택트 단자의 접점 포인트(C4)(C1)(C2)가 터미널 단자(T)의 접지 단자(TE), 2단 단자(T2), 1단 단자(T1)에 동시에 접촉되면서 2단 등화 스위치 상태가 시작된다.
이후 도 9의 (A)와 같이 1단 등화 스위치 회전 각도로부터 노브를 30°만큼(오프 위치로부터는 60°) 더 회전시키면 3개의 접점 포인트(C4)(C1)(C2)와 접지 단자(TE), 2단 단자(T2), 1단 단자(T1)에 동시에 안정되게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2단 등화 스위치로 전환이 완료된다.
다음, 사용자가 스위치를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노브를 회전시키면, 상기 2단 등화 스위치 각도 60°위치로부터 콘택트 단자의 회전 각도가 7°를 넘어서면서 도 9의 (B)에서와 같이 콘택트 단자의 4개의 접점 포인트(C4)(C1)(C2)(C3)가 터미널 단자(T)의 접지 단자(TE), 2단 단자(T2), 1단 단자(T1), 오토 단자(TA)에 동시에 접촉되어 오토 등화 스위치 상태가 시작된다.
이후, 노브 즉, 콘택트 단자를 2단 등화 스위치 위치로부터 15°정도 더 회전시키면 도 9의 (C)와 같이 두 개의 접점 포인트(C4)(C3)는 접지 단자(TE)와 오토 단자(T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두 개의 접점 포인트(C1)(C2)가 2단단자(T2), 1단 단자(T1)로부터 떨어지면서 1,2단 등화는 오프되고, 오토 등화 스위치 접점 상태만 유지된다.
그리고, 콘택트 단자가 2단 등화 스위치 위치로부터 30°정도(오프 위치로부터는 90°) 회전하게 되면 도 9의 (D)와 같이 콘택트 단자의 두 개의 접점 포인트(C4)(C3)가 접지 단자(TE)와 오토 단자(TA)에 안정되게 접촉되어 오토 등화 상태의 전환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 단자(TE)와 오토 단자(TA)는 두 개의 접점 포인트(C4)(C3)가 접촉되어 있는 지점으로부터 9°이상 연장된 여유 구간이 형성되어 콘택트 단자가 스위치 오프 위치로부터 90°이상 회전하게 되어도 일정 구간에서 오토 등화 상태를 계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택트 단자가 2단 등화 위치에서 오토 등화 위치로 이동될 때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가 일정 구간 동안 동시에 존재하면서 오토 등화 상태로의 전환이 완료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오토 등화 위치로 전환될 때 발생되는 순간적인 스위치 오프 구간 즉, 다크 존(Dark Zone)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는 2단 등화 상태에서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될 때 일정 구간 동안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전조등이 오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등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된 복수 개의 터미널 단자와, 상기 터미널 단자에 접촉되어 등화 오프, 1단 등화, 2단 등화,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콘택트 단자가 포함된 자동 등화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단자가 2단 등화 위치에서 오토 등화 위치로 이동될 때 2단 등화 상태와 오토 등화 상태가 일정 구간 동안 동시에 존재하면서 오토 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터미널 단자와 콘택트 단자의 위치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원주 방향으로 노출된 4개의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트 단자는 원주 방향으로 4개의 접점 포인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오프 구간은 상기 콘택트 단자의 회전 각도가 0 °~ 17°사이에 설정되고, 상기 1단 등화 구간은 콘택트 단자의 회전 각도가 17 °~ 75°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2단 등화 구간은 콘택트 단자의 회전 각도가 43 °~ 75°사이에 설정되고, 오토 등화 구간은 콘택트 단자의 회전 각도가 67 °~ 99°사이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등화스위치.
KR1019990036577A 1999-08-31 1999-08-31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KR10034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577A KR100342837B1 (ko) 1999-08-31 1999-08-31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577A KR100342837B1 (ko) 1999-08-31 1999-08-31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99A KR20010019899A (ko) 2001-03-15
KR100342837B1 true KR100342837B1 (ko) 2002-07-02

Family

ID=1960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577A KR100342837B1 (ko) 1999-08-31 1999-08-31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385A (ko) * 2002-02-20 2003-08-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용 자동 라이팅 스위치 단자구조
JP6513508B2 (ja) 2015-07-01 2019-05-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搬送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基板処理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0933U (ko) * 1979-11-05 1981-06-11
JPS60177430U (ja) * 1984-05-01 1985-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ノブスイツチ
JPH0313634U (ko) * 1989-06-26 1991-02-12
JPH097465A (ja) * 1995-06-19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ロータリスイッチ装置
JPH1012101A (ja) * 1996-06-25 1998-01-16 Tokai Rika Co Ltd レバー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0933U (ko) * 1979-11-05 1981-06-11
JPS60177430U (ja) * 1984-05-01 1985-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ノブスイツチ
JPH0313634U (ko) * 1989-06-26 1991-02-12
JPH097465A (ja) * 1995-06-19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ロータリスイッチ装置
JPH1012101A (ja) * 1996-06-25 1998-01-16 Tokai Rika Co Ltd レバー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99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2056A (en)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electrical switch
US6534733B2 (en) Stalk switch apparatus with biased latch and return components to prevent damage
US6570105B1 (en) Retractable rotary switch cell
US7053320B2 (en) Switch device
KR100342837B1 (ko) 자동차용 자동 등화스위치
EP0861753B1 (en) Combination switch
US6025564A (en) Single stalk steering column switch
JP4053821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並びにこれを用いたワイパースイッチ及びランプスイッチ
KR100366216B1 (ko) 안개등 스위치 겸용 헤드램프 스위치 장치
KR100366214B1 (ko) 회전형 스위치의 디텐트 장치
KR200467290Y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US7206952B2 (en) Digital wake-up signal from switch transition of two analog signals
US3511952A (en) Electrical switches
KR100505463B1 (ko)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KR20020065594A (ko) 콘택 워셔 시스템 및 윈드 스크린 와이퍼 모터의 제어방법
KR100558620B1 (ko) 등화 스위치 레버
KR200198345Y1 (ko) 자동차용 실내등 스위치
KR200207503Y1 (ko) 자동차용 실내등 스위치
KR100395899B1 (ko) 자동차용 미러 스위치
KR100614094B1 (ko) 레버에 구비된 푸시형 스위치
US3784770A (en) Control unit for lights, direction indicators, and windshield-wiper
KR100410881B1 (ko) 자동차용 클럭 스프링
KR0168289B1 (ko) 자동차의 후퇴등 스위치
US1961846A (en) Electric switch
KR20030047596A (ko) 자동차용 멀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