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114B1 - 수지제자동차용충격완충부재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지제자동차용충격완충부재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114B1
KR100342114B1 KR1019960701875A KR19960701875A KR100342114B1 KR 100342114 B1 KR100342114 B1 KR 100342114B1 KR 1019960701875 A KR1019960701875 A KR 1019960701875A KR 19960701875 A KR19960701875 A KR 19960701875A KR 100342114 B1 KR100342114 B1 KR 100342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resin
absorbing member
shock absorbing
curv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694A (ko
Inventor
미노루 스가와라
데쓰야 나카무라
가쓰히코 다다
히로시 다카이
히로시 조니시
요시히데 엔도
켄 후쿠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세끼유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44Bu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1Vibration dampening equipment, e.g.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3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plastic material
    • B60R2019/184Blow mou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자동차의 범퍼 빔 등으로서 사용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및 그 제조방법.
중공부분을 가진 길다란 만곡부(20)와, 이 만곡부(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만곡부(20)와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된 자동차 본체(11) 부착용의 부착부(30)를 구비하여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10)를 구성한다. 부착부(30)를, 중공부분을 가지며 또한 적어도 만곡부(20)의 길이방향 연장위치에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을 가진 구조로 함으로써, 자동차 앞면쪽으로부터의 부착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부재(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충격완충기능이 확보된다.

Description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및 그 제조방법
종래부터 범퍼, 범퍼 비임 등의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로는 금속제의 것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 금속제의 범퍼 등은 강도적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중량이 무거운 것, 부식하기 쉬운 것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근년에는 자원 절약의 요청이나 경량화의 관점에서 플라스틱제의 범퍼 등이 채용되게 되었다.
이러한 플라스틱제의 범퍼 등은 통상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사출성형에 의한 제조에서는 범퍼 등이 비교적 대형의 성형품이기 때문에 성형기가 대형이 된다는 문제, 또는 높은 사출성형압이 필요하기 때문에 금형이 고가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출성형에 의한 제조에서는 금형의 캐비티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성형품의 외형 형상에 대하여는 비교적 자유로이 설계할 수 있지만, 충격완충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중공구조를 가진 범퍼 등의 제조는 곤란하였다.
이에 대하여, 충격완충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중공구조를 가진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가 제안되고 있다.
도 16에는 이러한 블로우 성형에 의한 중공구조를 가진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종래의 일례인 범퍼 빔(90)이 도시되어 있다.
범퍼 빔(90)은 중공구조를 가진 만곡부(91)와, 이 만곡부(91)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만곡부(91)와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된 자동차 본체 부착용의 부착부(92)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부(92)에는 평탄한 부착면(9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착면(93)으로부터는 성형시에 매립 설치된 접합용의 볼트(94)가 돌출하고 있다. 또, 부착부(92)는 만곡부(91)와 똑같이 중공(中空)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범퍼 빔(90)의 자동차 본체에의 부착은 자동차 본체쪽(도면중 바로 앞쪽)에서 도시되지 않은 너트를 볼트(94)에 삽입하여 죔으로써 된다.
또, 다른 부착방법으로서 매립 설치된 볼트(94)와, 도면중 2 점 쇄선으로 표시된 U 자 형상의 볼트(95)를 병용하는 방법도 채용되고 있다. 이 U 자 형상의 볼트(95)는 통상 부착부(92)의 부착면(93)과는 반대쪽애 2 점 쇄선으로 표시된 홈(96)을 형성해 두고, 이 홈(96)에 걸어 고정한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한 범퍼 빔(90)과 같은 종래의 블로우 성형에 의한 중공구조를 가진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에서는 부착부(92)가 만곡부(91)와 똑같이 중공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접합용의 볼트(94)가 매립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본체에의 부착작업을 자동차 앞면쪽(단, 앞면쪽이라 함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의 외부공간쪽의 의미이다. 이하 같다.)으로부터가 아니라 자동차 본체쪽(부착면(93)쪽)으로부터 해야 하므로 작업에 수고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도 16의 범퍼 빔(90)에서는 부착부(92)의 두께가 얇다는 것, 또는 자동차 본체쪽으로부터 부착작업을 한다는 작업성의 나쁨 때문에 직경이 큰 볼트를 사용할 수가 없고, 비교적 작은 직경의 볼트(94)를 각 부착부(92)에 여러개, 예컨대 3∼4개 설치해야 하므로 부품개수가 많아져서 부착작업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술한 U 자 형상의 볼트(95)를 사용하여 부착을 하는 경우에도 부착 작업을 자동차 본체쪽으로부터 해야 하므로 마찬가지로 작업에 수고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볼트(94)의 매립설치를 성형시에 하지 않으면 아니되므로, 성형공정이 복잡화하여 생산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본체에의 부착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쉽게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분한 강도 및 충격완충기능을 구비한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만곡부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부착부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제 1실시예의 부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걸림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의 걸림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와는 만곡부의 경사각도가 다른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6은 종래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부착부에 중실(中實)부분[solid portion, 이하, "가운데 살 부분"이라 함]을 형성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는 중공(中空)부분을 가진 길다란 만곡부와, 이 만곡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만곡부와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중공부분 및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길이방향 연장위치에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을 가진 자동차 본체 부착용의 부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부재는 상기 부착부에 이 부착부를 관통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는 상기 부착부에 상기 자동차 본체에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과, 상기 가운데 살 부분을 사이에 두고 이 부착면과는 반대쪽에 형성된 凹부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가운데 살 부분의 폭방향의 양쪽의 각각에 중공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만곡부쪽에는 상기 자동차 본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걸리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착부의 만곡부의 길이방향 연장쪽에는 걸림부가 설치되고, 이 걸림부와 상기 만곡부쪽에 설치된 걸림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자동차 본체를 끼워지지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 상기 凹부는 상기 가운데 살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폭방향의 양쪽에 각각 세워서 설치된 측벽부와, 이들 측벽부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부착면과는 반대쪽에 형성된 앞면부분과 상기 바닥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凹부는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를 상기 자동차 본체에 죄어 붙이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측벽부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분이 상기 凹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블로우 성형에서 사용하는 패리슨(parison)의 안쪽의 공동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만곡부의 중공부분 및 상기 부착부의 중공부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동부분의 길이방향 양단부분의 일부를 용융하도록 상기 패리슨을 서로 겹쳐 상기 부착부의 가운데 살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부의 상기 자동차 본체에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과, 이 부착면의 상기 가운데 살 부분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형성된 면을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표면에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블로우 성형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종래부터 범퍼 등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옥시메틸렌, ABS 수지, AS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3 차원 고무, 및 이들의 혼합 수지, 및 이들 수지에 충전제로서 유리섬유, 탄소섬유, 활석, 마이카, 탄산칼슘 등을 배합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특정 형상을 가진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를 블로우 성형하기 위한 재료로서, 성형가공성, 성형품의 물성, 내충격성, 펀치오프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특히 적합한 재료는 멜트 인덱스 [230℃. 2.16kgf] 2.0 g/10 분 이하, 아이소택틱 펜태드 분율(分準) 93 %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멜트 인덱스 1.0 g/10 분 이하, 에틸렌 단위 함유량 15 중량 % 이하, 프로필렌 호모 중합부의 아이소택틱 펜태드 분율 93 몰 % 이상의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기타의 수지, 에틸렌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에틸렌 ·α -올레핀(프로필렌 이외)계 엘라스토머,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계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활석 등의 충전제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과의 조성물이다.
여기서, 프로필렌계 중합체 60∼99 중량 %, 고밀도 폴리에틸렌 0∼30 중량%, 에틸렌 ·α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0∼20 중량 %, 활석 등의 충전제 0∼40 중량 %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이 조성물에는 다시 희망에 따라 아크릴산이나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하여 변성된 폴리올레핀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탄산칼슘, 마이카, 유리섬유, 탄소섬유와 같은 무기 충전제, 또는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활제, 난연제, 착색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착부에 의하여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가 자동차 본체에 부착을 하게되어 길다란 만곡부 및 부착부에 의하여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된다.
이 때, 만곡부 및 부착부는 각각 중공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즉 수지재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중공부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도 16의 범퍼 빔(90)과 같은 종래의 블로우 성형에 의한 중공구조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와 마찬가지로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충분한 충격완충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 부착부에는 가운데 살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를 자동차 본체에 부착함에 있어서, 도 16의 범퍼 빔(90)과 같이 부착부(92)에 접합용의 볼트(94)를 매립설치할 필요는 없게 된다. 즉, 도 16의 범퍼 빔(90)에서는 부착부(92)가 중공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가령 자동차 앞면쪽으로부터 볼트를 관통시켜 죄어 붙이고자 하면, 볼트가 중공부분을 통과해버리게 되어 안정된 죄어 붙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매립설치를 하지 않을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는 해소된다.
이 때문에, 볼트, 리벳, 코오킹용 돌기부재(자동차 본체로부터 돌기한 부재)등의 접합수단을 부착부에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을 관통시킴으로써 자동차 앞면쪽, 즉, 부착면과는 반대쪽에서의 부착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이 쉬워져서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합수단으로서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착부에 가운데 살부분을 관통하는 볼트구멍을 뚫어두면 볼트를 자동차 앞면쪽으로부터 이 볼트구멍에 삽입하여 죔으로써 부착 가능하게 된다.
또, 접합수단으로서 리벳, 코오킹용 돌기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리벳머리를 뭉개는 작업, 갈라진 리벳의 발을 벌리는 작업, 또는 코오킹용 돌기부재를 굽혀코오킹하는 작업을 자동차 앞면쪽에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6의 범퍼 빔(90)과 같은 볼트(94)의 매립설치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성형공정이 간략화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착부의 가운데 살 부분을 적절한 두께로 함으로써 도 16의 범퍼 빔(90)의 경우에 비하여 접합용의 볼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양단의 각 부착부에 1개씩, 합계 2개의 볼트로써 부착 고정도 가능하게 되어 구조의 간략화. 부품개수의 삭감, 작업의 용이화를 꾀할 수 있어서, 이들에 의하여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또, 부착부를 자동차 본체에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과 가운데 살 부분을 사이에 두고, 이 부착면과는 반대쪽에 형성된 凹부를 설치한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부착후에 볼트의 머리 등의 접합수단의 일부가 凹부에 감추어지게 되어 외관 향상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탄한 부착면이기 때문에 부착부에 대응하는 자동차 본체의 형상이 간략화된다.
또한, 부착부를 가운데 살 부분의 폭방향의 양쪽의 각각에 중공부분을 가진 구조로 한 경우에는 부착부의 위치에 있어서의 충격완충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뛰어난 충격완충기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부착부의 만곡부쪽에 자동차 본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걸리는 걸림부를 설치해두면, 이 걸림부에 의하여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가 충격을 받았을 때에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만곡부가 뻗어서 양단의 부착부끼리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지지되므로, 부착부와 자동차 본체의 접합부분에 대한 충격의 완화를 꾀할 수 있어서, 이에 의하여도 접합용의 볼트의 개수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부착부의 만곡부의 길이방향 연장쪽에 걸림부를 설치하고, 이 걸림부와 만곡부쪽에 설치된 걸림부와의 사이에서 자동차 본체를 끼워지지하는 구조로 하면,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를 자동차 본체에 부착함에 있어서,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부착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걸림부의 형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충격완충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지지되면 좋다. 예를 들면, 걸림용의 돌기라도 좋고, 또는 자동차 차체의 부착부가 삽입되는 凹부의 형태라도 좋다.
또, 가운데 살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폭방향의 양쪽에 각각 세워 설치된 측벽부와, 이들 측벽부를 접속함과 동시에, 부착면과는 반대쪽에 형성된 앞면 부분과 상기 바닥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로 사방이 둘러싸인 공간으로 凹부를 구성하면, 부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착부 자체의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凹부의 크기를, 볼트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를 상기 자동차 본체에 죄어 붙이기에 충분한 크기로 하면, 볼트의 죄어 붙이기 작업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측벽부를 볼트의 머리부가 凹부에 수용하도록 형성하면, 외관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는 블로우 성형을 사용하면 쉽게 제조 가능하다. 즉, 패리슨의 안쪽의 공동부분을 이용함으로써 만곡부의 중공부분 및 부착부의 중공부분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패리슨의 안쪽의 공동부분의 길이방향 양단부분의 일부를 따라 함께 용융하도록 하여 패리슨을 서로 겹치게 중첩함으로써 부착부의 가운데 살 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패리슨을 중첩하여 형성된 부착부의 가운데 살 부분의 두께는 도 16의 범퍼 빔(90)의 부착부(92)의 두께(1 매분의 패리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음)보다도 두꺼워,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접합용의 볼트의 개수저감을 확실히 꾀할 수 있다.
또, 부착부의 자동차 본체에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과, 이 부착면의 가운데 살 부분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형성된 면을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표면에 따라 형성하면, 볼트의 장착에 필요한 평행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각 실시예 중의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도 1에는 제 1 실시예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인 범퍼 빔(10)을 자동차 본체(11)애 부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범퍼 빔(10)은 블로우 성형에 의한 성형품이고, 도 1 중 좌우방향으로 뻗은 길다란 만곡부(20)와, 이 만곡부(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만곡부(20)와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된 자동차 본체(11)에 대한 부착용의 부착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는 만곡부(20)의 도 1 중 A - A 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만곡부(20)는 폭방향(도 2 중 좌우방향)의 양단에 2개의 중공부분(21, 22)을 가지고 있다.
또, 이들 중공부분(21, 22)의 사이에는 가운데 살 부분(solid portion)(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살 부분(23)은 블로우 성형시에 패리슨이 일부(도 2중 아래쪽 부분)를 금형으로 자동차 앞면쪽(도 2 중 윗쪽)에 돌출시킴으로써 패리슨을 밀착시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만곡부(20)는 이러한 도 2의 단면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3에는 부착부(30)의 도 1 중 B - B 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부착부(30)의 근방의 분해사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부착부(30)는 자동차 본체(11)의 부착부(30)를 장착하는 부분을 따라 배치된 바닥부(31)와, 이 바닥부(31)의 폭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자동차 앞면방향(도 3 중 상향)으로 세워진 측벽부(32, 3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바닥부(31)는 블로우 성형시에 패리슨을 중첩하여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으로 되어 있고, 한편, 측벽부(32, 33)는 중공부분(32A, 33A)을 가지고 있다.
또, 도 4에 있어서, 부착부(30)는 범퍼 빔(10)의 앞면부분(13)과 바닥부(31)를 접속하는 접속부(34, 3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접속부(34, 35)는 1매분의 패리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35)보다도 범퍼 빔(10)의 단부에 가까운 쪽 [만곡부(20)와 반대쪽]의 부분은 중공구조로 되어 있다.
바닥부(31)의 도 3 중 아래쪽 표면에는 자동차 본체(11)에 접속하여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3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부(30)의 부착면(36)과는 반대쪽(자동차 앞면쪽)에는 자동차 본체 (11)쪽을 향하여 오목한 凹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凹부(37)는 바닥부(31), 측벽부(32, 33) 및 접속부(34, 35)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31)에는 자동차 앞면쪽으로부터 부착면(36)쪽으로 걸쳐 관통 형성된 볼트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구멍(40)에는 접합용의 볼트(41)가 관통되어 각 부착부(30)에 대하여 1개씩, 합계 2개의 볼트(41)에 의하여 범퍼 빔(10)과 자동차 본체(11)가 고정되어 있다.
측벽부(32, 33)의 높이(S)는 만곡부(20)의 높이와 대략 같은 정도로 되어 있고, 볼트(41)의 머리가 凹부(37) 내에 수용되어, 범퍼 빔(10)의 앞면부분(13)의 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凹부(37)의 폭(L)은 볼트(41)의 죄어 붙이기 작업을 하기에 충분한 폭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돌아가서, 각 부착부(30)의 만곡부(20)쪽에는 도면중 하향으로 돌기한 중공구조의 걸림부로서의 걸림용 돌기(스토퍼)(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용 돌기(50)는 충격시에 범퍼 빔(10)을 자동차 본체(11)에 대하여 범퍼 빔(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5에는 걸림용 돌기(50)의 도 1 중 C - C 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걸림용 돌기(50)는 凹凸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폭방향의 양단에 2개의 돌출부(51, 5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범퍼 빔(10)의 제조 및 자동차 본체(11)에 대한 부착을 한다.
먼저, 범퍼 빔(10)의 외형 형상에 따른 캐비티를 가진 성형용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통형상의 패리슨을 바깥쪽으로부터 끼워넣음과 동시에, 패리슨의 안쪽의 공동부분에 공기를 불어넣어 패리슨을 벌려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범퍼 빔(10)의 블로우 성형에 의한 제조를 한다.
이때, 성형용 금형에 패리슨을 끼워넣음으로써 패리슨을 2중으로 겹쳐 맞추어 만곡부(20)의 가운데 살 부분(23)을 형성함과 동시에, 똑같이 하여 각 부착부(30)의 가운데 살 부분인 바닥부(31)를 형성한다.
또, 성형용 금형을 닫은 상태에서 패리슨의 안쪽의 공동부분에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걸림용 돌기(50), 만곡부(20)의 중공부분(21, 22)을 가진 폭방향 양단부분, 및 부착부(30)의 중공부분(32A, 33A)을 지닌 측벽부(32, 33)를 형성한다.
다음에, 이렇게 하여 성형된 범퍼 빔(10)을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꺼내어 걸림용 돌기(50) 및 부착면(36)이 자동차 본체(11)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오도록 범퍼 빔(10)을 배치한다.
그리고, 접합용의 볼트(41)를 자동차 앞면쪽으로부터 볼트구멍(40)에 삽입하여 자동차 앞면쪽에서 이 볼트(41)를 죄어서 범퍼 빔(10)을 자동차 본체(11)에 부착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부착부(30)에 가운데 살 부분인 바닥부(3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바닥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구멍(40)에 자동차 앞면쪽으로부터 볼트(41)를 삽입하고, 자동차 앞면쪽으로부터 볼트(41)의 죄기작업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자동차 본체(11)쪽에서 부착작업을 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을 쉽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6의 종래의 범퍼 빔(90)과 같은 볼트(94)의 매립설치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성형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서도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가운데 살 부분인 바닥부(31)는 패리슨을 2중으로 겹쳐 맞추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6의 종래의 범퍼 빔(90)의 부착부(92)(1 매분의 패리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에 비하여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비교적 큰 직경의 볼트를 사용하여 볼트의 개수를 저감할 수 있어서, 본 실시예와 같이 각 부착부(30)에 대하여 1개씩, 합계 2개의 볼트(41)에 의하여 부착을 할 수도 있으므로 부품개수의 삭감, 작업의 용이화를 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31)의 양면(부착면(36) 및 凹부(37)의 바닥면)은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표면에 따라 성형되므로, 볼트(41)의 장착에 필요한 평행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착면(36)을 주위의 면보다, 예컨대 1∼2 mm 정도 높게 함(자동차 본체(11) 쪽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더욱 평행도가 뛰어난 부착면(36)을 얻을 수 있다.
또, 부착부(30)에 凹부(3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트(41)의 머리를 凹부(37) 내에 넣을 수 있어서 외관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凹부(37)의 폭(L)은 볼트(41)의 죄어 붙이기 작업을 하기에 충분한 폭으로 되어 있으므로 죄어 붙이기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걸림용 돌기(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범퍼 빔(10)이 충격을 받았을 때에 범퍼 빔(10)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만곡부(20)가 뻗어서 양단부의 부착부(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서도 접합용의 볼트의 개수의 저감을 꾀할 수 있어서, 본 실시예와 같은 합계 2개의 볼트(41)에 의한 부착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만곡부(20)에는 중공부분(21, 22)이 형성되고, 또한 부착부(30)에도 중공부분(32A, 3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범퍼 빔(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중공부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6의 범퍼 빔(90)과 같은 종래의 블로우 성형에 의한 중공구조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와 똑같이 충분한 충격완충기능을 전체 길이에 걸쳐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5 MPH흔들이(pendulum) 시험에 의한 비교실험을 하였다.
제 1 실시예의 실험예로서, 도 5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걸림용 돌기인 스토퍼의 높이(H) 및 스토퍼의 두께(T)를 변화시킨 범퍼 빔(실험예 1∼6)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의 높이(H)를 15 mm로 일정하게 해두고, 스토퍼의 양단의 각 돌기의 폭(L2) 및 스토퍼의 두께(T)를 변화시킨 범퍼 빔(실험예 7∼10)을 준비하였다. 단, 스토퍼의 전체 폭(L1)은 120 mm로 일정하다.
또, 이들 각 실험예 1∼10에 대한 비교예로서, 도 16의 종래의 범퍼 빔(90)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각 실험예 1∼10 및 비교예의 범퍼 빔의 원료수지로는,
(1) 멜트 인덱스 1 g/10 분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의 出光石油화학 주식회사 제 E250G) 65 중량%와,
(2) 멜트 인덱스 0.03 g/10 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일본국의 出光石油화학주식회사제, 750LB) 20 중량%와,
(3) 무니점도 [ML1+4(100℃)] = 77, 에틸렌 함량 73 중량%의 에틸렌 ·프로필렌 엘라스토머(일본국의 日本合成고무 주식회사제, EP07P) 5 중량%와,
(4) 평균 입자지름 1.5 ㎛, 평균 가로세로비(aspect ratio) 15의 활석 10 중량%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또, 성형조긴 및 온도조건은 다음과 같다.
[성형조건]
성형기 : 90mm Φ
스크루우 : 90mm Φ
다이 : 100mm Φ
어큐물레이터 : 25 리터
형(mold) 압력 : 60 ton
스크루우 회전수 : 40 rpm
모우터 부하 : 115 A
[온도조건]
실린더 No. 1 : 230℃
No. 2 : 210℃
No. 3 : 190℃
No. 4 : 190℃
크로스헤드 No. 1 : 190℃
No 2 : 190℃
No. 3 : 190℃
다이스 No. 1 : 190℃
No. 2 : 190℃
성형 사이클 : 200 sec
금형온도 : 28℃
수지온도 : 225℃
이와 같이 하여 성형된 각 실험예 1∼10 및 비교예의 범퍼 빔(부착부 근처의 만곡부의 경사각도(α )는 48° 였다)을 피시험체로 하여 제품중량 3.5 kg, 제품길이 1.4 m, 차량중량 1000 kg, 상온에서 5 MPH 흔들이 시험(충격속도 8 km/Hr = 5 mile/Hr)을 하여, 각 실험예 1∼10 및 비교예에 대하여 각각 최대 변형량, 최대 발생하중, 스토퍼의 죄임상태를 조사하여 종합평가를 하였다.
이 비교실험의 결과를 다음 표 1 및 표 2에 표시하였다. 표 1에는 비교예 및 실험예 1∼6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고, 표 2에는 실험예 7∼10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고 있다.
[표 1]
[표 2]
표 1에 의하면, 스토퍼의 높이(H)가 10∼20 mm인 실험예 3∼5에서는 최대 변형량이 작고, 또한 최대 발생하중이 커서 종합평가도 양호하며, 비교예와 대략 동등이거나 그 이상의 성능이 얻어지고 있다. 특히, 스토퍼의 높이(H)가 15 mm인 실험예 4의 경우가 최적이다. 또, 기타의 실험예 1, 2, 6의 경우에도 비교예에 비하여 종합평가가 나쁘게 되어 있지만, 충분히 실용예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결과에서 스토퍼의 높이(H)를 적절한 높이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성능이뛰어난 범퍼 빔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에 의하면, 스토퍼의 양단의 각 돌기의 폭(L2)이 15∼60 mm인 실험예 8, 9에서는 최대 변형량이 작고, 또한 최대 발생하중이 커서 종합평가도 극히 양호한 것으로 되어 있어, 비교예 보다도 뛰어난 성능이 얻어지고 있다. 또, 기타의 실험예 7, 10의 경우도 비교예에 비하여 종합평가가 나쁘게 되어 있지만, 충분히 실용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결과에서 스토퍼의 단면형상을 적절한 형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성능이 뛰어난 범퍼 빔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비교 실험에 있어서는 1 종류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평가하였음에 불과하고, 수지의 변경, 단면형상의 변경 등에 의하여 조건의 조합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더욱 성능이 뛰어난 범퍼 빔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비교 실험 결과에 의하여, 제 1 실시예에 의한 범퍼 빔이 충분히 실용에 적합한 강도 및 충격완충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나고, 제 1 실시예의 효과가 현저히 나타났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걸림용 돌기 및 범퍼 빔의 단부(端部)의 구조가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르고,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제 2 실시예는 만곡부의 경사각도가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이며, 기타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즉, 제 2 실시예의 범퍼 빔(110)은 블로우 성형에 의한 성형품이고, 도 7 중 좌우방향으로 뻗은 길다란 만곡부(120)와, 이 만곡부(1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만곡부(120)와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된 자동차 본체(11) 부착용의 부착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만곡부(120)는 그 단면형상이 제 1 실시예의 만곡부(20)의 단면형상과 같다. 즉, 만곡부(120)는 폭방향(도 7 중 지면관통 방향)의 양단에 2개의 상기 중공부분 (21, 22)(도 2 참조)을 구비하고, 이들 중공부분(21, 22)의 사이에는 가운데 살 부분(23)(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120)는 그 중심부가 자동차 본체 (11)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어 있고, 그 양단쪽의 부착부(130)와 접하는 부분은 자동차 본체(11)에 대하여 각도(α )의 경사를 가진다. 이 경사각도(α )는 충격시의 최대하중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고, 예컨대 도 7에서는 48° 이며, 도 8에서는 64° 이다.
부착부(130)는 그 단면형상이 제 1 실시예의 부착부(30)의 단면형상과 같고, 상기 바닥부(31)와 이 바닥부(31)의 폭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자동차 앞면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측벽부(32, 33)(도 3 참조)를 구비하고, 바닥부(31)는 가운데 살 부분이며, 측벽부(32, 33)는 상기 중공부분(32A, 33A)을 지니고 있다.
또, 부착부(130)는 범퍼 빔(110)의 앞면부분(13)과 바닥부(31)를 접속하는 접속부(34, 35)를 구비하고, 접속부(35)보다도 범퍼 빔(110)의 단부에 가까운 쪽의 부분은 중공구조로 되어 있다. 범퍼 빔(110)의 길이방향의 양단은 바닥부(31)에 대하여 자동차 본체(1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절곡(折曲)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31)의 도 7 중 아래쪽 표면에는 자동차 본체(11)에 접속하여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36)이 형성되고, 부착부(130)의 부착면(36)과는 반대쪽(자동차앞면쪽)에는 자동차 본체(11)쪽을 향하여 오목한 凹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凹부(37)는 바닥부(31), 측벽부(32, 33) 및 접속부(34, 35)에 의하여 사방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31)에는 상기 볼트구멍(40)이 형성되고, 이 볼트구멍(40)에는 상기 볼트(41)가 삽입되며, 각 부착부(130)에 대하여 1개씩, 합계 2개의 볼트(41)에 의하여 범퍼 빔(110)과 자동차 본체(11)가 고정되어 있다.
각 부착부(130)의 만곡부(120) 쪽에는 도면중 하향으로 돌기한 중공구조의 걸림부로서의 제 1 걸림용 돌기(스토퍼)(1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걸림용 돌기(50)는 충격시에 범퍼 빔(110)을 자동차 본체(11)에 대하여 범퍼 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을 정지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부착부(103)의 만곡부(120)의 길이방향 연장쪽에는 걸림부로서의 제 2 걸림용 돌기(152)가 설치되고, 이 제 2 걸림용 돌기(152)와 만곡부쪽에 설치된 제 1 걸림용 돌기(151) 사이에서 자동차 본체(11)의 부착부를 끼워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똑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외에 다음의 효과를 아울러 나타낼 수 있다. 즉, 만곡부(120)의 양단쪽의 경사각도(α )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격시의 최대하중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뿐만아니라, 부착부(130)의 만곡부(120)의 길이방향 연장쪽에 제 2 걸림용 돌기(152)를 실치하고, 이 제 2 걸림용 돌기(152)와 만곡부쪽에 설치된 제 1 걸림용 돌기(151)와의 사이에서 자동차 본체(11)의 부착부를 끼워지지하는 구조로 하였으므로, 범퍼 빔(110)을 자동차 본체(11)에 부착함에 있어서 범퍼 빔(110)의 위치결정은 할 수있으므로 범퍼 빔(110)의 자동차 본체(11)에 대한 부착작업이 쉬워진다.
제 2 실시예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5 MPH 흔들이 시험 및 5 MPH 장벽(barrier) 시험에 의한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자동차 본체(11)에 대한 부착을 직경 8 mm의 볼트 1개로써 하고, 제품중량을 4 kg으로 하였다. 5 MPH 흔들이 시험의 조건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건에 따랐다. 5 MPH 장벽 시험은 범퍼 빔을 차체에 부착한 차량중량 1000 kg의 차량(충격속도 8 km/Hr = 5 mile/Hr)으로 콘크리트 벽에 격돌시킨 조건하에서 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표 3에 표시하였다.
표 3
이 실험 결과에서 만곡부의 양단부의 경사각도(α )가 크기 때문에 장벽 시험에 있어서의 최대하중을 크게, 더구나 최대 변형량을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충분한 내충격성을 가지며, 범퍼 빔으로서 최적의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도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변형예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만곡부(20, 120)는 도 2와 같은 단면형상을 가진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만곡부(20, 120)의 단면형상은 임의이고, 또 길이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만곡되어 있으면 일부에 평행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예컨데 만곡부(20, 120)는 희망하는 충격완충기능을 얻을 수 있는 중공부분을 가진 구조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 부착부(30, 130)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공부분을 지니고, 또한 적어도 만곡부(20, 120)의 길이방향 연장위치에 가운데 살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면 임의의 구조라도 좋고, 다음과 같은 구조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앞면쪽(도면중 윗쪽) 및 자동차 본체(11)쪽(도면중 아래쪽)에 각각 凹부(61, 62)를 설치하고, 凹부(61) 내에 볼트(41)의 머리를 수납하고, 凹부(62)에 부착면(63)을 형성한 부착부(60)로 하여도 좋다.
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의 중앙에 중공부분(71)을 가지며, 그 양쪽에 가운데 살 부분(72, 73)을 가진 부착부(70)로 하여도 좋고, 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의 한편의 한쪽에 중공부분(76)을 가지며, 다른쪽에 가운데 살 부분(77)을 가진 부착부(75)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각 부착부(30, 130)에는 각각 1개의 凹부(37)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부착부에 복수의 凹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여러개의 凹부(81, 82)를 나란히 설치한부착부(80)로 하여도 좋고, 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여러개의 凹부(84, 85)를 나란히 설치한 부착부(83)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착부(30, 130)에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은 만곡부(20, 120)의 길이방향 연장위치에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바닥부(31)) 뿐이었으나, 본 발명의 부착부에는 기타의 가운데 살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20)의 길이방향 연장위치에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바닥부(31))에 더하여 만곡부(20)의 길이방향 연장위치(만곡부(20)의 폭을 유지하면서 만곡부(20)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위치)로부터 폭방향의 양쪽에 돌출한 가운데 살 부분(87, 88)을 가진 부착부(86)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착부(30, 130)의 접속부(35)(도 4 참조)보다도 범퍼 빔(10)의 단부에 가까운 쪽(만곡부(20)와는 반대쪽)의 부분은 중공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이 부분은 가운데 살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착부(30, 130)에 걸림용 돌기(걸림부)(50, 151, 152)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 걸림용 돌기(50, 151, 152)는 생략하여도 좋다. 그러나, 전술한 비교 실험 결과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걸림용 돌기(50, 151, 152)를 설치해 두는 것이 강도 및 충격완충기능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걸림용 돌기(50, 151, 152)는 부착부(30, 130)의 만곡부(20, 120)쪽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부(30)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설치한 걸림용 돌기(89)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걸림부를 걸림용 돌기(50, 151, 152)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를 자동차 본체쪽 부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凹부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볼트(41)의 개수는 각 부착부(30, 130)에 대하여 1개씩, 합계 2개로 되어 있었으나, 합계 2개 이상의 볼트를 사용하여 부착을 하여도 좋다. 그러나, 작업의 용이화, 부품개수의 삭감이라는 점에서 볼트의 개수는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예의 범퍼 빔(10, 110)은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는 희망하는 형상을 확보할 수 있는 성형방법이라면, 예컨대 가스 사출 성형법(중공 사출 성형법) 등의 다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범퍼 빔(10, 110)에 적용되고 있었으나, 범퍼, 사이드 프로텍터 등의 다른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에 적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범퍼 빔, 범퍼, 사이드 프로텍터 등 자동차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부재 일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중공(中空)부분을 가진 길다란 만곡부와, 이 만곡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만곡부와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중공부분 및 적어도 이 만곡부의 길이방향 연장위치에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을 가진 자동차 본체 부착용의 부착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가운데 살 부분을 관통하는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자동차 본체에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과, 상기 가운데 살 부분을 사이에 두고 이 부착면과는 반대쪽에 형성된 凹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가운데 살 부분의 폭방향의 양쪽의 각각에 중공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만곡부쪽에는 상기 자동차 본체에 대하여길이방향으로 걸리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만곡부의 길이방향 연장쪽에는 걸림부가 설치되고, 이 걸림부와 상기 만곡부쪽에 설치된 걸림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자동차 본체를 끼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凹부는 가운데 살 부분으로 구성되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폭방향의 양쪽에 각각 세워 설치된 측벽부와, 이들 측벽부를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부착면과는 반대쪽에 형성된 앞면부분과, 상기 바닥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凹부는,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를 상기 자동차 본체에 죄어 붙이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볼트의 머리부분이 상기 凹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
  10. 중공부분을 가진 길다란 만곡부와, 이 만곡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만곡부와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중공부분 및 적어도 상기 만곡부의 길이방향 연장위치에 형성된 가운데 살 부분을 가진 자동차 본체 부착용의 부착부를 구비한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제조방법으로서,
    블로우 성형에서 사용하는 패리슨의 안쪽의 공동부분을 이용하여 상기 만곡부의 중공부분 및 상기 부착부의 중공(中空)부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동부분의 길이방향 양단부분의 일부를 용융하여 상기 부착부의 가운데 살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자동차 본체에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과, 이 부착면의 가운데 살 부분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형성된 면을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표면에 따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자동차용 충격완충부재의 제조방법.
KR1019960701875A 1994-08-10 1995-08-10 수지제자동차용충격완충부재및그제조방법 KR100342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88372 1994-08-10
JP18837294 1994-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694A KR960704694A (ko) 1996-10-09
KR100342114B1 true KR100342114B1 (ko) 2003-01-24

Family

ID=1622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875A KR100342114B1 (ko) 1994-08-10 1995-08-10 수지제자동차용충격완충부재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88297A (ko)
EP (1) EP0726135B1 (ko)
JP (1) JP3684238B2 (ko)
KR (1) KR100342114B1 (ko)
CN (1) CN1065477C (ko)
DE (1) DE69528631T2 (ko)
TW (1) TW305808B (ko)
WO (1) WO19960050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66B1 (ko) 2008-09-10 2015-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범퍼용 백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29041C (en) * 1998-04-22 2008-10-07 Coni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 blow molding an automotive component
CA2337022C (en) * 1998-07-29 2006-06-06 Conix Corporation Bumper beam extensions
JP4764072B2 (ja) * 2005-05-31 2011-08-3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製パネルの製造方法
DE102006002871B4 (de) * 2006-01-19 2011-05-26 Ise Automotive Gmbh Stoßfängeranordnung mit Energieaufnahmeeinrichtung
JP2008001204A (ja) * 2006-06-21 2008-01-10 Futaba Industrial Co Ltd 車両用バンパー
DE102007017857A1 (de) * 2007-04-13 2008-10-3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anordnung
US7866716B2 (en) 2008-04-08 2011-01-11 Flex-N-Gate Corporation Energy absorber for vehicle
WO2009126617A1 (en) * 2008-04-10 2009-10-15 Noble Advanced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ing beam with controlled crush characteristics
JP2010078443A (ja) * 2008-09-25 2010-04-08 Denso Corp 超音波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US9815424B2 (en) 2013-03-07 2017-11-14 Toray Carbon Magic Co., Ltd. Bumper device for automobile
JP2015182704A (ja) * 2014-03-26 2015-10-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US10351085B2 (en) 2015-06-05 2019-07-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Energy absorbing assembly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FR3037289B1 (fr) * 2015-06-09 2017-07-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Traverse en aluminium extrude et a zones longitudinales pleines, pour la suspension d'une machine electrique motrice d'un vehicule
FR3038875B1 (fr) * 2015-07-16 2018-07-13 Renault Sas Poutre de pare-chocs munie d'une cavite au moins en partie delimitee par de la matiere plastique de la traverse de poutre de pare-chocs
US10065587B2 (en) 2015-11-23 2018-09-04 Flex|N|Gate Corporation Multi-layer energy absorber
DE102016002635A1 (de) * 2016-03-03 2017-09-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Stoßfängermodu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4710A (en) * 1960-02-08 1961-12-26 Auto Mechanical Dock Board Inc Shock-absorbing bumper
IT1024986B (it) * 1974-12-05 1978-07-20 Stars Spa Papaurti di materiali plastico per autoveicoli
JPS57157553U (ko) * 1981-03-31 1982-10-04
JPS5828045U (ja) * 1981-08-18 1983-02-23 三井化学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ンパ
JPS61169747U (ko) * 1985-04-10 1986-10-21
JPS6318282A (ja) * 1986-07-10 1988-01-26 Nec Corp チヤ−プフイルタ装置
JPS6337368U (ko) * 1986-08-28 1988-03-10
JPS6337367U (ko) * 1986-08-28 1988-03-10
US4904008A (en) * 1986-09-02 1990-02-27 Concept Analysis Corporation Molded one-piece bumper
JPS6433404A (en) * 1987-07-30 1989-02-03 Mitsubishi Heavy Ind Ltd Boiler feedwater pump turbine controller
US4941701C1 (en) * 1987-12-28 2001-06-26 Melea Ltd Vehicle bumper
JP2727201B2 (ja) * 1988-09-03 1998-03-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ンパー構造
DE68907880T2 (de) * 1988-12-24 1993-11-04 Minoru Sangyo Stossstange aus kunststoff.
JPH0349147U (ko) * 1989-09-21 1991-05-13
JP2779852B2 (ja) * 1989-12-06 1998-07-23 スズ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バンパー
JP2510347B2 (ja) * 1990-09-12 1996-06-2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ブロ―成形用樹脂組成物
EP0502648A1 (en) * 1991-03-06 1992-09-09 Idemitsu Petrochemical Company Limited Automobile bumper be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66B1 (ko) 2008-09-10 2015-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범퍼용 백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26135A1 (en) 1996-08-14
US5788297A (en) 1998-08-04
WO1996005044A1 (fr) 1996-02-22
KR960704694A (ko) 1996-10-09
EP0726135B1 (en) 2002-10-23
TW305808B (ko) 1997-05-21
EP0726135A4 (en) 1998-06-24
DE69528631D1 (de) 2002-11-28
CN1135735A (zh) 1996-11-13
DE69528631T2 (de) 2003-08-14
CN1065477C (zh) 2001-05-09
JP3684238B2 (ja)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114B1 (ko) 수지제자동차용충격완충부재및그제조방법
US5806889A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motor vehicle
US7306080B2 (en) Impact absorbing member for vehicle
EP1031467A3 (en) I-section automotive bumper formed from mineral-filled glass mat thermoplastic (gmt) composite
KR20070091320A (ko) 에너지 흡수체를 갖는 범퍼 시스템
KR20120059294A (ko) 차량용 롤로드
JP6582131B2 (ja) 自動車用リアバンパービーム
CA2134943A1 (en) Blow molding bumper beam
JP2775146B2 (ja) 車両用衝撃吸収構造体
JP3561007B2 (ja) 樹脂製自動車用衝撃緩衝部材
JP3318428B2 (ja) ブロー成形バンパービーム
CA2062397A1 (en) Plastic-made automobile bumper beam
KR101860629B1 (ko) 폴리올레핀 수지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후방 범퍼 빔
US10279763B2 (en) Beam for bumper
US10640065B2 (en) Lower stiffener for bumper of vehicle
KR102145485B1 (ko) 프런트범퍼 및 프런트사이드멤버 모듈
JP2000065115A (ja) 衝撃吸収部品、その製法及びその用途
JPH0592744A (ja) プラスチツクバンパービーム
CA2173721C (en) Resin-made shock absorbing member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96828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2474428B1 (ko) 차량의 범퍼 커버 결합 구조
KR102145486B1 (ko) 프런트범퍼 및 프런트사이드멤버 모듈
CN220163667U (zh) 涉水喉的悬置支架、涉水喉总成及车辆
CN219277354U (zh) 前照灯总成及车辆
US10513591B2 (en) Low cost high heat polymer with improved sound deadening properties made with recycled pla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