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483B1 - 가변 저항기 - Google Patents

가변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483B1
KR100340483B1 KR1020000055254A KR20000055254A KR100340483B1 KR 100340483 B1 KR100340483 B1 KR 100340483B1 KR 1020000055254 A KR1020000055254 A KR 1020000055254A KR 20000055254 A KR20000055254 A KR 20000055254A KR 100340483 B1 KR100340483 B1 KR 10034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sliders
resistors
movable memb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0451A (ko
Inventor
다카하시기사부로
구라타니쥰이치
오가와도시오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3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01C10/36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structurally combined with switc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6Adjustable resistors including plural resistive elements
    • H01C10/20Contact structure or movable resistive elements being g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부재(17)에 형성된 저항체(18)와, 가동부재(17)에 대향하여 고정된 고정부재(1)에 부착되고 저항체(18)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더(19)를 구비하고 있는 가변 저항기이다. 저항체(18)는 가동부재 (18)의 왕복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와, 제 1, 제 2 저항체(18a, 18b)의 한쪽 끝부끼리를 접속한 제 1 저항패턴(18d)과, 제 2, 제 3 저항체(18b, 18c)의 다른쪽 끝부끼리를 접속한 제 2 패턴(18e)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19)는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에 각각 슬라이딩접촉하는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19a, 19b, 19c)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부재(17)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고,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함과 더불어, 가동부재(17)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고,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한다.

Description

가변 저항기{VARIABLE RESISTOR}
본 발명은 슬라이더를 고정한 고정부재에 대하여 저항체를 형성한 가동부재를 왕복이동 가능하게 부착하여 슬라이더와 저항체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도록 한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가변 저항기를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가변 저항기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로서의 절연성 하우징(51)과,이 하우징(51)내에 회전자유롭게 수용되어 적어도 한쪽 끝부에 드라이버 등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52a)를 가지는 가동부재로서의 절연성 회전축(52)과, 하우징 (51)내에서 회전축(52)에 권회된 플렉시블 절연시트(53)와, 이 플렉시블 절연시트 (53)에 형성된 저항회로(54)와, 하우징(51)에 부착되어 저항회로(54)에 슬라이딩접촉하는 슬라이더(55)와, 이 슬라이더(55)에 연결되는 결선용 단자(56)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은 플렉시블 절연시트(53)와 이것에 설치된 저항회로(54)의 전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4는 도 13의 14-14 단면도이며, 저항회로(54)는 회전축(52)의 둘레방향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1개의 저항체(54a)와 2개의 전극(54b, 54c)으로 이루어지며 저항체(54a)가 중간에 오도록 이들이 직렬접속되어 이루어져 있다. 슬라이더(55)는 저항체(54a)와 전극(54b, 54c)과 각각 선단부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3개의 슬라이더(55a, 55b, 55c)로 이루어지고, 결선용 단자(56)는 슬라이더(55a, 55b, 55c)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3개의 결선용 단자(56a, 56b, 56c)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 저항기는, 접속용 단자(56b, 56c)를 개재하여 슬라이더(55b, 55c)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회전축(52)을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52)에 권회되어 있는 저항회로(54)가 슬라이더(55a, 55b, 55c)에 대하여 회전이동하여 저항체(54a) 및 전극(54b, 54c)상에 있어서의 슬라이더(55a, 55b, 55c)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변화된다. 이에 의하여 슬라이더(55a, 55b) 사이의 저항치(전압치) 및 슬라이더(55a, 55c) 사이의 저항치(전압치)가 변화되어 회전축(52)의 회전에 따른 전기신호(전압신호)가 슬라이더(55a)를 개재하여 접속용 단자(56a)로부터 인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회로(54)를 플렉시블 절연시트(53)상에 형성함에 있어서는 전극형성공정과 저항체 형성공정의 2개의 공정을 필요로 하고, 먼저 전극 형성공정으로서, 은박이나 구리피복 등의 전극(54b, 54c)을 증착에 의해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고, 이어서 저항체 형성공정으로써, 베릴륨박, 니크롬피복, 텅스텐피복 등의 저항체(54a)를 증착에 의해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등으로 하여 저항회로 (54)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가변 저항기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하우징(51)에 고정된 슬라이더(55a, 55b, 55c)가 회전축(52)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52)에 권회된 저항체 (54a) 및 전극(54b, 54c)상을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극(54b, 54c)을 형성한다는 번잡한 공정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극 형성공정과 저항체 형성공정의 2개의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변 저항기의 제조공정이 전체로서 길어지고, 또 저항체(54a)가 1개뿐이며 그 길이는 최대로도 회전축(52)의 축둘레 1주분 밖에 취할 수 없기 때문에 정격전압을 크게 설정할 수 없고 슬라이더 (55b, 55c) 사이에 큰 전압을 인가하면 저항체(54a)가 타서 손상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항체에 접속되는 전극을 불필요로 하여 정격전압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가변 저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가변 저항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케이스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제 1 저항부의 이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제 2 저항부의 이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제 1 저항부의 이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제 1 저항부의 이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프린트기판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가동부재의 이면도,
도 12는 종래의 가변 저항기의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가변 저항기에 관한 플렉시블 절연시트의 전개도,
도 14는 도 13의 14-14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바닥벽부
3, 4, 5, 6 : 기립벽 3a, 4a, 5a, 6a : 테이퍼면
3b, 4b, 5b, 6b : 걸어멈춤구멍 7a, 7b, 12a, 13a : 통과구멍
8 : 고리형상의 돌기 9, 10 : 단자
9a : 고정접점 10a, 10b : 접점부
11 : 클릭스프링 11a : 플랜지부
12, 13 : 가이드홈 12b, 13b : 칸막이부
14 : 도출구멍 15a, 15b : 훅부
16 : 제 1 저항부 17 : 가동부재
17a : 걸어맞춤구멍 18 : 저항체
18a : 제 1 저항체 18b : 제 2 저항체
18c : 제 3 저항체 18d : 제 1 저항패턴
18e : 제 2 저항패턴 19 : 슬라이더
19a : 제 1 슬라이더 19b : 제 2 슬라이더
19c : 제 3 슬라이더 19d : 단자
19e, 19f : 연결편 20 : 제 2 저항부
21 : 가동부재 21a : 걸어맞춤구멍
22 : 저항체 22a : 제 1 저항체
22b : 제 2 저항체 22c : 제 3 저항체
22d : 제 1 저항패턴 22e : 제 2 저항패턴
23 : 슬라이더 23a : 제 1 슬라이더
23b : 제 2 슬라이더 23c : 제 3 슬라이더
23d, 23e, 23f : 단자 24 : 복귀스프링
25 : 스프링받이 25a : 고리형상 벽부
26 : 제 1 연동부재 27 : 기초부
27a : 구멍부 28, 29 : 부착부
28a, 29a : 테이퍼면 30 : 제 1 작동부
30a : 원형부 31 : 제 2 연동부재
32 : 기초부 32a : 구멍부
32b : 끼워넣는 구멍 33 : 부착부
33a, 34a : 테이퍼면 35 : 제 2 작동부재
35a : 원형부 36 : 레버부재
36a : 축선 37 : 샤프트부
37a : 돌기 38 : 가압부
39 : 저항체 39a : 제 1 저항체
39b : 제 2 저항체 39c : 제 3 저항체
39d : 제 1 저항패턴 39e : 제 2 저항패턴
40 : 저항체 40a : 제 1 저항체
40b : 제 2 저항체 40c : 제 3 저항체
40d : 제 1 저항패턴 40e : 제 2 저항패턴
41 : 프린트기판 41a : 베어링구멍
42 : 슬라이더 42a : 제 1 슬라이더
42b : 제 2 슬라이더 42c : 제 3 슬라이더
42d, 42e, 42f : 단자 43 : 가동부재
43a : 절연기판 43b : 원통축
44 : 저항체 44a : 제 1 저항체
44b : 제 2 저항체 44c : 제 3 저항체
44d : 제 1 저항패턴 44e : 제 2 저항패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변 저항기는 왕복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부재에 형성된 저항체와, 상기 가동부재에 대향하여 고정된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저항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저항체에서 전기신호 생성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체는 상기 가동부재의 왕복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 1, 제 2, 제 3 저항체와, 상기 제 1, 제 2 저항체의 한쪽 끝부끼리를 접속한 제 1 저항패턴과, 상기 제 3 저항체의 한쪽 끝부의 반대측의 다른쪽 끝부를 상기 제 2 저항체의 다른쪽 끝부에 접속한 제 2 저항패턴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에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로 구성되고, 이들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부재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의 한쪽 끝부측으로부터 다른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제 2 슬라이더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고 상기 제 2, 제 3 슬라이더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함과 더불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의 다른쪽 끝부측으로부터 한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제 2 슬라이더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고 상기 제 2, 제 3 슬라이더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변 저항기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저항체의 길이를 종래와 비교하여 길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정격전압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제 2, 제 3 저항체 및 상기 제 1, 제 2 저항패턴은, 스크린인쇄법을 사용하여 동일공정으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변 저항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3 저항체는 상기 가동부재의 왕복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제 2 저항체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의 왕복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저항체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가변 저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3 저항체는 상기 제 2 저항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의 왕복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저항체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더 한층 가변 저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 및 제 1, 제 2 저항패턴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이들을 동일고정으로 1회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변 저항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가변 저항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가변 저항기는 교차형상으로 겹쳐져 서로 겹치는 위치에 구멍부(27a,32a)가 뚫어 설치된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와 이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의 양쪽 끝부를 각각 지지하여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를 회동자유롭게 가설하는 고정부재로서의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경동(傾動)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의 구멍부(27a, 32a)에 삽입된 레버부재(36)와, 이 레버부재 (36)의 경동량에 대응한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제 2 저항부(16, 20)와, 상기 레버부재(36)를 초기위치로 자동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24)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는 레버부재(36)의 경동조작에 의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방형상의 바닥벽부(2)와 이 바닥벽부(2)상에 사방으로 배치하여 설치된 4개의 기립벽 (3, 4, 5, 6)을 가지고, 도 1,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기립벽(3 내지 6)에는 그 내벽면에 자유단측의 선단부로부터 바닥벽부(2)를 향함에 따라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a, 4a, 5a, 6a)과 이 테이퍼면(3a 내지 6a)의 아래쪽으로부터 바닥벽부(2)에 이르는 걸어맞춤구멍(13b, 4b, 5b, 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벽부(2)에는 통과구멍(7a, 7b)이 각각 걸어멈춤구멍(15b, 6b)에 연속하여 뚫어 설치되고 고리형상의 돌기(8)가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도전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단자(9, 10)가 한쪽 끝측을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인서트성형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이 한 쌍의 단자(9, 10)의 다른쪽 끝측은 고리형상의 돌기(8)내에서 바닥벽부(2)상에 노출되어 고정접점(9a) 및 접점부(10a, 10b)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형상의 돌기(8)내에는 가동접점으로서의 도전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돔형상의 클릭스프링(11)이 플랜지부(11a)를 접점부(10a, 10b)에 접촉시킨 상태로 수용유지되어 푸시버튼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 바닥벽부(2)에는 그 일 측부를 따라 기립벽(4)의 고정단을 일부 노치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홈(12)과, 바닥벽부(2)의 한쪽 끝부를 따라 기립벽(3)의 고정단을 일부 노치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홈(13)이 형성되고, 이들 가이드홈(12, 13)내에 통과구멍(12a, 13a)이 각각 걸어멈춤구멍(4b, 3b)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홈(12, 13)이 교차하는 일각(一角)에 정방형상의 도출구멍(14)이 통과구멍 (12a, 13a) 사이에 각각 칸막이부(12b, 13b)를 남기도록 뚫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12, 13)의 가장자리부에는 훅부(15a, 15b)가 각각 기립벽(3, 4)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또한 도 1에 있어서 기립벽(5)은 그 자유단측을 노치하여 나타내었다].
제 1 저항부(16)는 페놀수지 적층판 등의 절연합성수지제로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가동부재(17)와, 가동부재(17)의 이면에 인쇄에 의해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설치된 저항체(18)와 저항체(18)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저항체(18)로서 전기신호 생성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더(19)를 구비하고, 가동부재(17)는 걸어맞춤구멍 (17a)을 가지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부가 훅부(15b)와 기립벽(4)의 고정단으로 걸어멈춰져 케이스(1)에 유지되고, 가이드홈(12)을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A, B)방향으로 왕복이동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다. 저항체(18)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17)의 왕복이동방향[화살표(A, B)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와, 제 1, 제 2저항체(18a, 18b)의 한쪽 끝부끼리를 접속한 제 1 저항패턴(18d)과, 제 2, 제 3 저항체(18b, 18c)의 다른쪽 끝부끼리를 접속한 제 2 저항패턴(18e)을 가지고, 이들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 및 제 1, 제 2 저항패턴(18d, 18e)은 모두 동일한 카본페이스트로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3 저항체(18a, 18c)는 가동부재(17)의 왕복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고, 제 2 저항체(18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제 2 저항체 (18b)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19)는 도 2,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를 통과구멍(12a)내로 돌출시켜 칸막이부(12b)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부착된 도전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19a, 19b, 19c)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19a, 19b, 19c)는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에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고, 가동부재(17)의 왕복이동에 의해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상을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슬라이더(19b)의 뒤쪽 끝부에는 구부러져 도출구멍(1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도출되는 단자(19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제 1, 제 3 슬라이더(19a, 19c)의 뒤쪽 끝부가 각각 연장설치되어 연결편(19e, 19f)으로 되어 있다.
제 2 저항부(20)는 절연합성수지제로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가동부재(21)와, 가동부재(21)의 이면에 인쇄에 의해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설치된 저항체 (22)와, 저항체(22)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저항체(22)로서 전기신호 생성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더(23)를 구비하고, 가동부재(21)는 걸어맞춤구멍(21a)을 가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측부가 훅부(15a)와 기립벽(3)의 고정단으로 걸어멈춰져 케이스(1)에 유지되고, 가이드홈(13)을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C, D)방향으로 왕복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저항체(2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21)의 왕복이동방향[화살표(C, D)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 1, 제 2, 제 3 저항체(22a, 22b, 22c)와, 제 1, 제 2 저항체(22a, 22b)의 한쪽 끝부끼리를 접속한 제 1 저항패턴(22d)과, 제 3 저항체(22c)의 한쪽 끝부의 반대측의 다른쪽 끝부를 제 2 저항체(22b)의 다른쪽 끝부에 접속한 제 2 저항패턴(22e)을 가지고, 이들 제 1, 제 2, 제 3 저항체(22a, 22b, 22c) 및 제 1, 제 2 저항패턴 (22d, 22e)은 모두 동일한 카본페이스트로 동일한 공정으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3 저항체(22a, 22c)는 가동부재(21)의 왕복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고, 제 2 저항체(22b)를 사이에 두고 제 2 저항체 (22b)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23)는 도 3,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를 통과구멍(13a)내로 돌출시켜 칸막이부(13b)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설치된 도전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23a, 23b, 23c)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23a, 23b, 23c)는 제 1, 제 2, 제 3 저항체(22a, 22b, 22c)에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고, 가동부재(21)의 왕복이동에 의해 제 1, 제 2, 제 3 저항체(22a, 22b, 22c)상을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의 뒤쪽 끝부에는 구부러져 도출구멍(1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도출되는 단자(23d 내지 23f)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다시 제 1, 제3 슬라이더(23a, 23c)의 뒤쪽 끝부에는 상기한 제 1, 제 3 슬라이더(19a, 19c)로부터 연장설치된 연결편(19e, 19f)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저항부(16)의 제 1 내지 제 3슬라이더(19a 내지 19c), 제 2 저항부(20)의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 연결편(19e, 19f), 단자(19d) 및 단자(23d 내지 23f) 및 한 쌍의 단자(9, 10)는 공통의 도전박판에 펀칭형성되어 일체로 된 상태에서 후프형상으로 감아 내어져 케이스(1)에 인서트성형한 후에 소정부분으로 절단되어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포밍된다.
복귀스프링(24)은 나선형상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고리형상의 돌기(8)가 끼워맞춰져 케이스(1)에 부착되어 있다. 또 이 복귀스프링(24)의 상단부에는 링형상의 스프링받이(25)가 그 안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리형상 벽부(25a)를 끼워맞추어 지지되어 있다.
제 1 연동부재(26)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부를 위쪽으로 팽출시킨 반원기둥형상의 기초부(27)와, 이 기초부(27)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28, 29)를 가지고, 기초부(27)의 팽출부분에는 기초부(2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27a)가 설치되어 있고, 부착부(28, 29)에는 각각 기립벽(4, 6)의 테이퍼면(4a, 6a)에 대응하는 테이퍼면(28a, 29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부(28)와 구멍부(27a) 사이의 부착부(2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기초부(27)의 하면에는 아암형상의 제 1 작동부(30)가 수직으로 내려오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 작동부(30)의 선단부에 원형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연동부재(26)는 기초부(27)의 하면을 스프링받이(25)에 접촉시켜 양부착부(28, 29)를 걸어맞춤구멍(14b, 6b)의 상단부에 걸어멈춰 대향하는 기립벽 (4, 6)에서 회동자유롭게 가설됨으로써 케이스(1)에 지지되어 있고, 원형부(30a)를 제 1 저항부(16)의 가동부재(17)의 걸어맞춤구멍(17a)에 덜거덕거림없이 삽입하여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제 2 연동부재(31)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부를 위쪽으로 팽출시킨 반원기둥형상의 기초부(32)와, 이 기초부(32)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33, 34)를 가지고, 기초부(32)의 팽출부분에는 기초부(3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32a)와 이 구멍부(32a)에 직교하는 엽전형상의 끼워넣는 구멍(32b)이 각각 뚫어 설치되어 있고, 부착부(33, 34)에는 각각 기립벽(3, 5)의 테이퍼면(3a, 5a)에 대응하는 테이퍼면(33a, 34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부(33)와 구멍부(32a) 사이의 부착부(3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기초부(32)의 하면에는 아암형상의 제 2 작동부(35)가 수직으로 내려오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 작동부(35)의 선단부에 원형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연동부재(31)는 기초부(32)의 하면을 스프링받이(25)에 접촉시켜 양 부착부 (33, 34)를 걸어멈춤구멍(3b, 5b)의 상단부에 걸어멈춰 대향하는 기립벽(3, 5)에서 회동자유롭게 가설됨으로써 제 1 연동부재(26)와 교차형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케이스(1)에 지지되어 있고, 그 겹친부분에서 구멍부(27a, 32a)끼리가 대향하여 원형부(35a)를 제 2 저항부(20)의 가동부재(21)의 걸어맞춤구멍(21a)에 덜거덕거림없이 삽입하여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레버부재(36)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기둥형상의 샤프트부(37)와, 이 샤프트부(37)의 하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가압부(38)를 가지고, 샤프트부(37)의 외벽면에는 한 쌍의 돌기(3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버부재(36)는 샤프트부(37)를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의 구멍부(27a, 32a)에 삽입시켜 한 쌍의 돌기(37a)가 제 2 연동부재(31)의 끼워넣는 구멍(32b)에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됨으로써 제 2 연동부재(31)를 개재하여 케이스(1)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가압부(38)가 케이스(1)의 고리형상의 돌기(8)내에 위치하여 클릭스프링(11)에 접촉하고, 한 쌍의 돌기(37a)가 끼워넣는 구멍(32b)의 상단부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 저항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미리 저항체 (16)의 구불구불한 형상에 대응하는 마스크 및 카본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 및 제 1, 제 2 저항패턴(18d, 18e)을 가동부재 (17)의 이면에 스크린인쇄에 의해 동일공정으로 동시에 형성함과 더불어, 저항체 (22)의 구불구불한 형상에 대응하는 마스크 및 카본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제 1, 제 2, 제 3 저항체(22a, 22b, 22c) 및 제 1, 제 2 저항패턴(22d, 22e)을 가동부재(21)의 이면에 스크린인쇄에 의해 동일공정으로 동시에 형성하여 둔다. 그리고 먼저 제 1 저항부(16)의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와 저항체(18)를 대향시켜 가동부재(17)를 훅부(15b)와 기립벽(4) 사이에 끼워넣어 케이스(1)에 유지시키고, 이어서 제 2 저항부(20)의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2a 내지 22c)와 저항체(22)를 대향시켜 가동부재(21)를 훅부(15a)와 기립벽(3) 사이에 끼워넣어 케이스(1)에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케이스(1)의 고리형상의 돌기(8)내에클릭스프링(11)을 수용유지하고, 이어서 복귀스프링(24)의 상단부에 고리형상 벽부(25a)를 끼워맞추게 하여 스프링받이(25)를 지지한 복귀스프링(24)의 하단부를 고리형상의 돌기(8)에 끼워맞추게 함으로써 복귀스프링(24)을 케이스(1)에 부착한다.
다음으로, 레버부재(36)를 그 상단측으로부터 제 2 연동부재(31)의 구멍부 (32a)에 삽입하고, 한 쌍의 돌기(37a)를 끼워넣는 구멍(32b)에 걸어멈추게 하여 스냅고정시킴으로써, 레버부재(36)와 제 2 연동부재(31)를 맞붙여 유닛화하고, 이 유닛을 기립벽(3, 5)의 자유단측으로부터 제 2 연동부재(31)의 테이퍼면(33a, 34a)과 기립벽(3, 5)의 테이퍼면(3a, 5a)을 대응시켜 기립벽(3, 5)사이에 삽입하면 이 유닛은 제 2 연동부재(31)의 테이퍼면(33a, 34a)을 테이퍼면(3a, 5a)으로 가이드시켜 기립벽(3, 5)을 바깥쪽으로 휘게 하면서 삽입되고, 부착부(33, 34)가 기립벽(3)의 테이퍼면(3a)밑의 내벽면 및 기립벽(5)의 테이퍼면(5a)밑의 내벽면을 각각 통과하였을 때 기립벽(3, 5)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고, 안쪽으로 탄성복귀한 기립벽(3, 5)의 각 걸어멈춤구멍(3b, 5b)에 부착부(33, 34)가 삽입되어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되고, 기립벽(3, 5)으로 회동자유롭게 가설된다.
다음으로, 레버부재(36)의 상단측으로부터 제 1 연동부재(26)의 구멍부(27a)를 샤프트부(37)에 삽입시키고 제 1 연동부재(26)의 테이퍼면(28a, 29a)과 기립벽(4, 6)의 테이퍼면(4a, 6a)을 대응시켜 제 1 연동부재(26)를 자유단측으로부터 기립벽 (4, 6)사이에 삽입하면, 이 제 1 연동부재(26)는 그 테이퍼면(28a, 29a)을 기립벽 (4, 6)의 테이퍼면(4a, 6a)으로 가이드시켜 기립벽(4, 6)을 바깥쪽으로휘게 하면서 삽입되고 부착부(28, 29)가 기립벽(4)의 테이퍼면(4a) 밑의 내벽면 및 기립벽 (6)의 테이퍼면(6a) 밑의 내벽면을 각각 통과하였을 때 기립벽(4, 6)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고, 안쪽으로 탄성복귀한 기립벽(4, 6)의 각 걸어멈춤구멍(4b, 6b)에 부착부 (28, 29)가 삽입되어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되고, 제 2 연동부재(31)에 교차형상으로 겹쳐져 기립벽(4, 6)에서 회동자유롭게 가설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변 저항기의 조립은 완료되나, 조립후에 있어서는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의 기초부(27, 32)의 하면에 스프링받이(25)가 접촉하고, 부착부(28, 29, 33, 34)가 각각 걸어멈춤구멍(4b, 6b, 3b, 5b)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레버부재(36)가 그 축선(36a)을 케이스(1)의 바닥벽부(2)에 직교시켜 가압부(38)를 클릭스프링(11)에 접촉시키는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또 가동부재(17, 21)가 각각 가이드홈(12, 13)내에 위치하여 케이스(1)와 대향하여 제 1, 제 2 작동부(30, 35)의 원형부(30a, 35a)가 각각 가동부재(17, 21)의 걸어맞춤구멍(17a, 21a)에 삽입되어 걸어맞춰지고, 제 1 저항부(16)의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가 저항체(22)에 접촉하고, 단자(23d)와 단자(23f)가 연결편(19e), 제 1 슬라이더 (19a), 저항체(18), 제 3 슬라이더(19c) 및 연결편(19f)을 개재하여 도통하고 있음 과 더불어, 제 2 저항부(20)의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가 저항체 (22)에 접촉하고, 단자(23d)와 단자(23f)가 제 1 슬라이더(23a), 저항체(22) 및 제 3 슬라이더(23c)를 개재하여 도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조립된 다방향 입력장치는 단자(23d, 23f)사이 및 단자(9, 10)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사용되고, 조작자가 레버부재(36)의 샤프트부(37)를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E)방향으로 경동조작하면 샤프트부(37)가 구멍부(27a, 32a)를 헐겁게 움직이면서 제 1, 제 2 연동부재 (26, 31)가 회동되어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의 기초부(27, 32)의 하면에 스프링받이(5)가 가압되고, 복귀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제 1 작동부(30)가 제 1연동부재(26)의 기초부(27)와 일체로 회동하여 제 2 작동부(35)가 제 2 연동부재 (32)의 기초부(32)와 일체로 회동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재(36)의 샤프트부(37)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경동하였을 때 제 1 작동부재(30)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회동하고, 이 제 1 작동부재(30)의 회동에 의해 원형부 (30a)에 걸어맞춰진 가동부재(17)가 가이드홈(12)을 따라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의 한쪽 끝부측으로부터 다른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A)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에 저항체(18)의 제 1 내지 제 3 저항체(18a 내지 18c)를 각각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이동한다.
이 가동부재(17)의 이동에 따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18)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의 선단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초기위치(P0)로부터 이동한 위치(P1)가 되고,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여 제 1 저항부(16)가 제 1 작동부재(30)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와 저항체(18)로 형성된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19a) 또는 제 3 슬라이더(19c)와 제 2 슬라이더(19b)를 개재하여 단자(23d) 또는 단자(23f)와 단자(19d)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의 감소분만큼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 1, 제 3 슬라이더(19a, 19c) 사이의 저항치는 일정하게 되며, 가동부재(17)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19d)와 단자(23d) 또는 단자(23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레버부재(36)의 화살표(E)방향으로의 경동에 따르는 제 2 작동부 (31)의 회동에 의해 원형부(35a)에 걸어맞춰진 작동부재(21)가 제 1, 제 2, 제 3 저항체(22a, 22b, 22c)의 한쪽 끝부측으로부터 다른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C)방향]으로 가이드홈(13)을 따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에 저항체(22)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이동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 (22)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의 선단과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초기위치(S0)로부터 이동한 위치(S1)가 되어 제 1, 제 2 슬라이더(23a, 23b)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23b, 23c)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여 제 2 저항부(20)가 제 2 작동부재(35)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와 저항체(22)로 형성된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 (23a) 또는 제 3 슬라이더(23c)와 제 2 슬라이더(23b)를 개재하여 단자(23d) 또는 단자(23f)와 단자(23e)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이때도 저항체(18)와 마찬가지로 작동부재(21)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23e)와 단자(23d) 또는 단자(23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또 레버부재(36)의 경동조작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받이(25)가 위쪽에 되밀려 제 1, 제 2 연동부재(26, 31)가 회동되고, 이 회동에 의해 레버부재(36)가 구멍부(27a, 32a)를 헐겁게 움직이면서 일어서 초기위치로 복귀함과 더불어, 제 1, 제 2 작동부(30, 35)가 각각 가동부재(17, 21)를 따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가동부재(17)는 제 1, 제 2, 제 3 저항체(18a, 18b, 18c)의 다른쪽 끝부측으로부터 한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B)방향]으로, 가이드홈(12)을 따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에 저항체(18)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이동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18)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8a 내지 18c)의 선단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이동위치(P1)로부터 초기위치(P0)가 되어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여 제 1 저항부(16)가 제 1 작동부재(16)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와 저항체(18)로 형성된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19a) 또는 제 3 슬라이더(19c)와 제 2 슬라이더 (19b)를 개재하여 단자(23d) 또는 단자(23f)와 단자(19d) 사이에서 인출된다. 또한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의 증가분만큼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제 1, 제 3 슬라이더(19a, 19c) 사이의 저항치는 일정하게 되며, 가동부재(17)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 (19d)와 단자(23d) 또는 단자(23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제 2 작동부재(31)의 회동에 의해 가동부재 (21)는 제 1, 제 2, 제 3 저항체(22a, 22b, 22c)의 다른쪽 끝부측으로부터 한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D)방향]으로, 가이드홈(13)을 따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에 저항체(22)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이동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22)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23a 내지 23c)의 선단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이동위치(S1)로부터 초기위치(S0)가 되고, 제 1, 제 2 슬라이더(23a, 23b)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23b, 23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여 제 2 저항부(20)가 제 2 작동부재(35)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 (23a 내지 23c)와 저항체(22)로 형성된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23a) 또는 제 3 슬라이더(23c)와 제 2 슬라이더(23b)를 개재하여 단자(23d) 또는 단자(23f)와 단자(23e)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이때도 저항체 (18)와 마찬가지로 작동부재(21)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23e)와 단자(23d) 또는 단자(23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한편, 조작자가 레버부재(36)의 샤프트부(37)를 아래쪽으로 가압조작하면 한 쌍의 돌기(37a)가 끼워넣는 구멍(32b)으로 안내되어 축선(36a)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레버부재(36)가 강하하여 클릭스프링(11)을 가압부(38)가 가압하여 클릭스프링(11)을 반전시켜 고정접점(9a)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클릭감이 생겨 고정접점(9a)과 접점부(10a) 사이 및 고정접점(9a)과 접점부(10b)의 사이가 클릭스프링 (11)에 의해 도통되어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가 온상태가 되어 단자(9) 또는 단자 (10)로부터 스위치 온신호가 출력된다.
또 이 상태에서 레버부재(36)에 대한 가압조작력을 해제하면 클릭스프링(11)은 스스로의 반전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돔형상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이 클릭스프링(11)에 가압부(38)가 밀어 올려져 레버부재(36)가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따라서 클릭스프링(11)이 고정접점(9a)으로부터 이간되어 고정접점(9a)과 접점부(10a)의 사이 및 고정접점(9a)과 접점부(10b) 사이의 도통이 해제된 스위치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레버부재(36)의 경동조작에 의한 전기신호의 출력에 더하여 레버부재 (36)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스위치 온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변 저항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제 1 저항부(16)의 저항체 (18)의 형상을 변경하여 저항체(39)로 한 점과, 이 변경에 맞추어 제 1 저항부(16)의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의 배치를 변경한 점이 다를 뿐이며 그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도 8에 나타내는 저항체(39)는 가동부재(17)의 이면에 동일한 카본페이스트에 의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제 1, 제 2, 제 3 저항체(39a, 39b, 39c) 및 제 1,제 2 저항패턴(39d, 39e)으로 구성되고, 제 1, 제 3 저항체(39a, 39c)는 가동부재 (17)의 왕복이동방향[화살표(A, B)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어 제2 저항체(39b)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 3 저항체(39c)는 제 1, 제 2 저항체(39a, 39b)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낸 제 3 저항체(18c)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저항체(39c)는 제 1 저항패턴(39d)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제 1 저항패턴(39d)의 사이에 간극(t1)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항체(39)는 제 1 실시형태의 저항체(18)와 비교하여 가동부재(17)의 왕복 이동방향의 길이가 간극(t1)분만큼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자가 레버부재(36)의 샤프트부(37)를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E)방향으로 경동조작하면 원형부(30a)에 걸어맞춰진 작동부재(17)가 제 1, 제 2, 제 3 저항체(39a, 39b, 39c)의 한쪽 끝부측으로부터 다른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A)방향]으로 가이드홈(12)을 따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에 저항체(39)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이동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 (39)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의 선단과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초기위치(P0)로부터 이동한 위치(P1)가 되어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여 제 1 저항부(16)가 제 1 작동부재(30)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와 저항체(39)로 형성된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19a) 또는 제 3 슬라이더(19c)와 제 2 슬라이더(19b)를 개재하여 단자(23d) 또는 단자 (23f)와 단자(19d)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의 감소분만큼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 1, 제 3 슬라이더(19a, 19c) 사이의 저항치는 일정하게 되며, 가동부재(17)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19d)와 단자(23d) 또는 단자(23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또 레버부재(36)의 경동조작력을 해제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부재(17)는 제 1, 제 2, 제 3 저항체(39a, 39b, 39c)의 다른쪽 끝부측으로부터 한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B)방향]으로 가이드홈(12)을 따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에 저항체(39)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이동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39)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의 선단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이동위치(P1)로부터 초기위치(P0)가 되어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고, 제 1 저항부(16)가 제 1 작동부재(30)의 회동을 검출하여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와 저항체(39)로 형성된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19a) 또는 제 3 슬라이더(19c)와 제 2 슬라이더(19b)를 개재하여 단자(23d) 또는 단자(23f)와 단자(19d)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제 1,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의 증가분만큼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제 1, 제 3 슬라이더(19a, 19c) 사이의 저항치는 일정하게 되며, 가동부재(17)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 (19d)와 단자(23d) 또는 단자(23f)사이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저항부(16)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었으나, 마찬가지로 제 2 저항부(20)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제 1, 제 2 저항부(16, 20)의 양쪽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변 저항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제 3 실시형태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제 1 저항부의 저항체(18)의 형상을 변경하여 저항체(40)로 한 점과, 이 변경에 맞추어 제 1 저항부(16)의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의 배치를 변경한 점이 다를 뿐이며, 그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도 9에 나타내는 저항체(40)는 가동부재(17)의 이면에 동일한 카본페이스트에 의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제 1, 제 2, 제 3 저항체(40a, 40b, 40c) 및 제 1,제 2 저항패턴(40d, 40e)로 구성되고, 제 1, 제 3 저항체(40a, 40c)는 가동부재 (17)의 왕복 이동방향[화살표(A, B)방향]으로 일직선상에 간극(t1)을 두고 병설되고, 제 2 저항체(40b)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저항체(40)는 제 1, 제 2 실시형태의 저항체(18, 39)와 비교하여 가동부재(17)의 왕복 이동방향의 길이가 제 3 저항체(40c)를 제 1 저항체(40a)에 간극(t1)을 두고 병설한 분만큼 긴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자가 레버부재(36)의 샤프트부(37)를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E)방향으로 경동조작하면 원형부(30a)에 걸어맞춰진 작동부재(17)가 제 1, 제 2, 제 3저항체(40a, 40b, 40c)의 한쪽 끝부측으로부터 다른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A)방향]으로 가이드홈(12)을 따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에 저항체(40)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이동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 (40)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의 선단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초기위치(P0)로부터 이동한 위치(P11)가 되고,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여 제 1 저항부(16)가 제 1 작동부재(30)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와 저항체(40)로 형성된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19a) 또는 제 3 슬라이더(19c)와 제 2 슬라이더(19b)를 개재하여 단자(23d) 또는 단자 (23f)와 단자(19d)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의 감소분만큼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 1, 제 3 슬라이더(19a, 19c) 사이의 저항치는 일정하게 되며, 가동부재 (17)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19d)와 단자(23d) 또는 단자(23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또 레버부재(36)의 경동조작력을 해제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부재(17)는 제 1, 제 2, 제 3 저항체(40a, 40b, 40c)의 다른쪽 끝부측으로부터 한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B)방향]으로 가이드홈(12)을 따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에 저항체(40)를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이동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40)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의 선단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이동위치(P1)로부터 초기위치(P0)로 되고, 제 1, 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여 제 1 저항부(16)가 제 1 작동부재(30)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19a 내지 19c)와 저항체(40)로 형성된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19a) 또는 제 3 슬라이더(19c)와 제 2 슬라이더(19b)를 개재하여 단자(23d) 또는 단자(23f)와 단자(19d)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제 1,제 2 슬라이더(19a, 19b) 사이의 저항치의 증가분만큼 제 2, 제 3 슬라이더(19b, 19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제 1, 제 3 슬라이더(19a, 19c) 사이의 저항치는 일정하게 되며, 가동부재(17)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 (19d)와 단자(23d) 또는 단자(23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는 제 1 저항부(16)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었으나, 마찬가지로 제 2 저항부(20)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제 1, 제 2 저항부(16, 20)의 양쪽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변 저항기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10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어링구멍(41a)이 형성된 프린트기판(41)에는 슬라이더(42)가 고착되고, 이 슬라이더(42)는 도전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42a, 42b, 42c)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42a, 42b, 42c)의 뒤쪽 끝부로부터는 각각 단자(42d, 42e, 42f)가 도출되어 있다.
도 11은 프린트기판(41)에 대향하여 접촉하는 가동부재(43)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가동부재(43)는 원판형상의 절연기판(43a)과, 이 절연기판(43a)의 중앙부에 세워 설치된 원통축(43b)을 구비하고, 원통축(43b)을 베어링구멍(41a)에 끼워넣게 하여 프린트기판(41)에 회전자유롭게 부착되고, 시계 회전방향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왕복이동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다. 절연기판(43a)의 이면에는 저항체(44)가 형성되며, 이 저항체(44)는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42a, 42b, 42c)의 선단부가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동부재(43)의 왕복이동방향[화살표(F, G)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 1, 제 2, 제 3 저항체(44a, 44b, 44c)와, 제 1, 제 2 저항체(44a, 44b)의 한쪽 끝부끼리를 접속한 제 1 저항패턴 (44d)과, 제 3 저항체(44c)의 한쪽 끝부의 반대측의 다른쪽 끝부를 제 2 저항체 (44b)의 다른쪽 끝부에 접속한 제 2 저항패턴(44e)을 일련으로 가지며, 이들 제 1, 제 2, 제 3 저항체(44a, 44b, 44c) 및 제 1, 제 2 저항패턴(44d, 44e)은 모두 동일한 카본페이스트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3 저항체(44a, 44c)는 가동부재(43)의 왕복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반경방향)으로 병설되어 제 2 저항체(44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제 2 저항체(44b)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자(42d, 42f)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조작자가 가동부재(43)를 제 1, 제 2, 제 3 저항체(44a, 44b, 44c)의 한쪽 끝부측로부터 다른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F)방향]으로회동하면, 제 1 내지 제 3 저항체(44a 내지 44c)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42a 내지 42c)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초기위치(P0)로부터 이동한 위치(P1)가 되고, 제 1, 제 2 슬라이더(42a, 42b)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42b, 42c)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42a 내지 42c)와 저항체(44)로 형성된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42a) 또는 제 3 슬라이더 (42c)와 제 2 슬라이더(42b)를 개재하여 단자(42d) 또는 단자(42f)와 단자(42e)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제 1, 제 2 슬라이더(42a, 42b) 사이의 저항치의 감소분만큼 제 2, 제 3 슬라이더(42b, 42c) 사이의 저항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 1, 제 3 슬라이더(42a, 42c) 사이의 저항치는 일정하게 되며, 가동부재(43)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42e)와 단자(42d) 또는 단자(42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또 조작자가 가동부재(43)를 제 1, 제 2, 제 3 저항체(44a, 44b, 44c)의 다른쪽 끝부측으로부터 한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화살표(G)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1 내지 제 3 저항체(44a 내지 44c)와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42a 내지 42c)의 슬라이딩 접촉위치가 이동위치(P1)로부터 원래의 초기위치(P0)로 되어 제 1, 제 2 슬라이더(42a, 42b)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함과 더불어 제 2, 제 3 슬라이더(42b, 42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전기신호(전압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슬라이더(42a 내지 42c)와 저항체(44)로 형성된 상기 전기신호 생성부가 생성되고, 이 전기신호는 제 1 슬라이더(42a) 또는 제 3 슬라이더(42c)와제 2 슬라이더(42b)를 개재하여 단자(42d) 또는 단자(42f)와 단자(42e)로부터 인출된다. 한편 제 1, 제 2 슬라이더(42a, 42b) 사이의 저항치의 증가분만큼 제 2, 제 3 슬라이더(42b, 42c)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기 때문에 제 1, 제 3 슬라이더(42a, 42c) 사이의 저항치는 일정하게 되고, 가동부재(43)의 이동량에 비례한 리니어한 출력이 단자(42e)와 단자(42d), 또는 단자(42f) 사이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낸 저항체(39)는 제 1, 제 3 저항체(39a, 39c)를 가동부재(17)의 왕복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시키고, 제 2 저항체(39b)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동부재(17)의 왕복 이동방향의 길이가 제 3 실시형태의 저항체(40)와 비교하여 짧은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만큼 가동부재(17)의 왕복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가변 저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낸 저항체(18)는 제 1, 제 3 저항체(18a, 18c)를 제 2 저항체(18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시켰기 때문에 가동부재(17)의 왕복 이동방향의 길이가 제 2 실시형태의 저항체(39)와 비교하여 간극(t1)만큼 짧은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만큼 가동부재(17)의 왕복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더 한층 가변 저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제 4 실시형태에 나타낸 저항체(4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또 제 1, 제 2,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기립벽(3 내지 6) 안쪽의 4개의 기립벽(3 내지 6)으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있어서, 제 1 연동부재(26)의 양 부착부(28, 29)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26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작동부 (30)를 돌출시키고, 제 2 연동부재(31)의 양 부착부(33, 34)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31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2 작동부(35)를 돌출시켜 제 1, 제 2 저항부 (16, 20)를 배치하고, 제 1, 제 2 작동부(30, 35)의 회동을 제 1, 제 2 저항부 (16, 20)에서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직선(26a)이 연장되는 방향 및 직선(31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변 저항기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왕복 이동자유롭게 설치된 가동부재에 형성된 저항체와,
    상기 가동부재에 대향하여 고정된 고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저항체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저항체에서 전기신호 생성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저항체는 상기 가동부재의 왕복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전기적으로 독립된 제 1, 제 2, 제 3 저항체와, 상기 제 1, 제 2 저항체의 한쪽 끝부끼리를 접속한 제 1 저항패턴과, 상기 제 3 저항체의 한쪽 끝부의 반대측의 다른쪽 끝부를 상기 제 2 저항체의 다른쪽 끝부에 접속한 제 2 저항패턴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에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로 구성되고, 이들 제 1, 제 2, 제 3 슬라이더는, 상기 가동부재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의 한쪽 끝부측으로부터 다른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1, 제 2 슬라이더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고 상기 제 2, 제 3 슬라이더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됨과 더불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의 다른쪽 끝부측으로부터 한쪽 끝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1, 제 2 슬라이더 사이의 저항치가 감소하고 상기 제 2, 제 3 슬라이더 사이의 저항치가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3 저항체는 상기 가동부재의 왕복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제 2 저항체에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3 저항체는 상기 제 2 저항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저항체 및 제 1, 제 2 저항패턴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기.
KR1020000055254A 1999-09-21 2000-09-20 가변 저항기 KR100340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671799A JP3597421B2 (ja) 1999-09-21 1999-09-21 可変抵抗器
JP11-266717 1999-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51A KR20010030451A (ko) 2001-04-16
KR100340483B1 true KR100340483B1 (ko) 2002-06-12

Family

ID=1743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254A KR100340483B1 (ko) 1999-09-21 2000-09-20 가변 저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39688B1 (ko)
JP (1) JP3597421B2 (ko)
KR (1) KR100340483B1 (ko)
CN (1) CN1152392C (ko)
HK (1) HK1033198A1 (ko)
TW (1) TW5149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5657A1 (en) * 2002-12-30 2004-07-07 STMicroelectronics S.r.l. Non-volatile memory cell and manufacturing process
CN104916380A (zh) * 2015-05-11 2015-09-16 岳文智 一种低压可变电阻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4476A (en) * 1969-07-30 1971-02-16 Cts Corp Electrical component including intrinsically equalized resistances
US3576510A (en) * 1970-04-06 1971-04-27 Bowins Inc Simple high-performance single-turn potentiometer
US3750078A (en) * 1972-01-10 1973-07-31 Bourns Inc Radio-frequency attenuator
JPS59106105A (ja) * 1982-12-10 1984-06-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摺動子の形成方法
JPS6342101A (ja) 1986-08-08 1988-02-23 ニベツクス株式会社 摺動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392C (zh) 2004-06-02
CN1289132A (zh) 2001-03-28
TW514937B (en) 2002-12-21
JP2001093708A (ja) 2001-04-06
HK1033198A1 (en) 2001-08-17
KR20010030451A (ko) 2001-04-16
JP3597421B2 (ja) 2004-12-08
US6239688B1 (en) 200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US6794982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it
US5010214A (en) Rotary switch
JP3831590B2 (ja) 複合型スイッチ装置
US6340801B1 (en) Rotary encoder and multi-operational electronic component using the same
JPH11260201A (ja) レバースイッチとその操作方法
JP2001325859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KR100279397B1 (ko) 다방향 스위치
KR100340483B1 (ko) 가변 저항기
JP2002278695A (ja) 多方向入力装置
US4675486A (en) Push button switch with sliding contact member
JP2008152966A (ja) 回転体復帰機構
KR840001268Y1 (ko) 가변저항기 부설용 스위치
JP2001345031A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4429144B2 (ja) スイッチ機構及び多方向揺動型スイッチ機構
JP2005078864A (ja) 入力装置
JP4312041B2 (ja) 二段押圧型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01325860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00348576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JP200318767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4619196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JP3721251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2000149720A (ja) 押釦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4272025B2 (ja) 入力装置
JP2005302348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