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300B1 - 합성수지제병성형방법및2축연신취입성형용프리폼지지치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병성형방법및2축연신취입성형용프리폼지지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300B1
KR100340300B1 KR1019950705900A KR19950705900A KR100340300B1 KR 100340300 B1 KR100340300 B1 KR 100340300B1 KR 1019950705900 A KR1019950705900 A KR 1019950705900A KR 19950705900 A KR19950705900 A KR 19950705900A KR 100340300 B1 KR100340300 B1 KR 10034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inlet
jig
cylindric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이찌 세끼
마사노리 끼무라
요시유끼 이찌자와
유끼오 꼬시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6Neck cal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9/4294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29C2049/5827Blowing means not touching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604Thermal conditioning of the blown article
    • B29C2049/6606Cooling the article
    • B29C2049/6607Flushing blown articles
    • B29C2049/6615Flushing blown articles and exhausting through the 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78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blowing pressure
    • B29C2049/7832Blowing with two or more pressure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축연신 블로성형시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에 대해 블로압력이 구경확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입구 원통부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2축연신 블로성형시에 블로압력의 실을 프리폼(P)의 입구 원통부(P2)의 외주면 하부의 둘레에 설치된 네크 링(P1)부분으로 달성함으로써 입구 원통부(P2) 전역에 걸쳐 블로압력을 균일하게 작용시키고, 따라서 압력의 불균일 작용에 의한 입구 원통부(P2)의 부정한 변형발생이 없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2축연신 블로성형방법과 프리폼 지지치구
합성수지제 2축연신 블로성형 병체,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의 2축연신 블로성형 병체는 수많은 우수한 특성을 발휘한다. 이 때문에 병 용기로서 다방면에서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합성수지제 2축연신 블로성형 병체는 일반적으로 유저 원통형상의 프리폼을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하고, 이 프리폼을 연신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축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연신변형시켜서 성형한다. 프리폼(P)은 시험관과 같은 유저 원통형상으로 입구 원통부를 갖는다. 그 입구 원통부의 주위에 통상은 캡을 부착시키기 위한 나선돌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구 원통부 하부의 주위에 테형상의 네크 링(neck ring)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리폼(P)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지치구(5)의 가이드 원통부(10)에 역립자세로 완만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은 지지상태에서 프리폼(P)은연신효과가 발현하는 온도로 가열한다. 가열된 프리폼(P)은 지지치구(5)와 함께 블로금형(1)에 삽입한다.
블로금형은 성형할 병의 형상과 동일 형상의 캐비티와, 이 캐비티내에 프리폼의 본체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구성하는 지지치구의 조립 오목부와, 이 조립 오목부내에 있으며, 프리폼(P)의 네크 링(P1)에 접촉해서 지지치구(5)와 프리폼(P)을 금형에 고정하는 네크지지테부(3)를 갖는다.
지지치구(5)의 중앙에는 지지치구를 관통하는 연신봉 삽입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에 프리폼이 세트된 상태에서 지지치구(5)의 연신봉 삽입구멍(11)에 연신봉(16)이 삽입되어, 가열에 의해 소성변형 가능한 상태가 된 프리폼의 저부를 연신봉(16)의 선단으로 눌러서 프리폼을 축방향으로 연신한다. 동시에 연신봉 삽입구멍(11), 또는 연신봉(16)에 형성한 에어 공급구멍을 통하여 블로 에어가 압입된다. 이 블로 에어에 의해 프리폼이 지름방향으로 연신되어 병체 (P')가 성형된다.
이 프리폼(P)을 병체 (P')로 2축연신 블로성형할 때, 프리폼(P)내에 압입되는 블로 에어가 금형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seal)이 필요해진다. 이 실은 이하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지지치구(5)의 가이드 원통부(10)의 기단부에 실링(15)을 장착한다. 지지치구(5)로 지지한 프리폼을 금형의 캐비티에 삽입하여, 지지치구(5)를 블로금형(1)의 조립 오목부(4)에 조립한다. 네크지지 테부(3)로부터 네크 링(P1)에 작용하는 아래로 누르는 힘으로 프리폼(P)의 입구 원통부(2)의 개구단면이 실링(15)에 밀착되어 실이 완료된다.
이 프리폼(P)을 병체(P')로 2축연신 블로성형하는 데 필요한 블로압력은 프리폼(P) 자체의 치수 또는 성형되는 병체(P')으로의 연신배율등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는 20kgf/㎠ 이상이다. 프리폼(P)으로부터 병체(P')로 블로성형하는 데는 2단계로 나누어서 한다. 소위 더블 블로성형의 경우에는 블로압력은 더욱 강력한 30∼40kgf/㎠이 된다.
이와 같이 프리폼을 병체로 2축연신 블로성형할 때에는 강력한 블로압력이 프리폼에 가해진다. 이 점에 관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프리폼(P)의 입구 원통부(2)의 개구 단면을 실 링에 밀착시켜서 블로압력의 실을 달성하고 있으므로 이 강력한 블로압력이 프리폼의 동체부뿐만 아니라 입구 원통부에도 가해진다. 이 때문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가 강력한 블로압력에 의해 구경확대 변형하는 중대한 문제가 생기고 있다
가령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를 미리 결정화시키는 소위 백화처리를 실시하여 입구 원통부의 강도를 높이고, 입구 원통부를 변형하기 어렵도록 해두어도, 블로성형시에는 입구 원통부도 어느 정도의 온도로 가열되므로 입구 원통부는 아직 변형하기 쉬운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내부로부터의 입구 원통부에 작용하는 강력한 블로압력에 의해 입구 원통부는 그 구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한다.
특히 외주면에 나선돌조를 갖는 입구 원통부는 이 나선돌조의 존재에 의해 국부적으로 살이 얇은 부분이 있으므로, 이 국부적인 살의 얇은 부분이 블로압력으로 변형하기 쉬어진다. 이 때문에 입구 원통부의 구경확대 변형이 발생하기 쉬어진다.
그리고 프리폼의 살 두께를 충분히 크게 하면 블로압력에 대한 대항력을 높일 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비록 입구 원통부의 살 두께를 크게 하드라도 입구 원통부가 가열되는 데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블로압력이 입구 원통부에 가해지는 이상, 입구 원통부의 변형을 완전이 없게 할 수는 없다. 또 입구 원통부의 살 두께를 두껍게 하면 1개의 병체를 성형하는 데 요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총량이 증대하여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에 의해 미리 예비성형된 유저 통상의, 소위 프리폼을 가열하에서 연신봉이나 공기에 의한 종축방향과 횡축방향으로 연신하여 합성수지제 병체를 제조하는 2축연신, 블로방법, 및 이 성형방법에 사용하는 프리폼 지지치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블로금형에 지지장치와 프리폼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좌반부 종단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요부 확대도이다.
제3도는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도는 종래 예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제5도는 종래 방법에 의한 성형방법으로 성형된 병체의 입구 원통부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유저 원통형상이며, 그 입구 원통부 하부의 주위에 네크 링(P1)을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합성수지제 프리폼을 병체로 2축연신 블로성형할 때, 블로압력에 의한 입구 원통부의 구경확대 변형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우수한 성형 정밀도의 병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프리폼을 병체로 2축연신 불로성형할 때에, 강력한 블로압력이 입구 원통부에 대해서 구경확대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프리폼을 병체에 2축연신 블로성형할 때, 블로압력이 적어도 입구 원통부의 내측과 외측의 쌍방으로부터 입구 원통부에 가해지도록 하였다.
블로압력이 입구 원통부의 내측과 외측의 쌍방으로부터 입구 원통부에 가하도록 하는 방법의 일례로서는 블로압력의 실이라는 관점에서 달성하는 방법으로서, 프리폼에 가하는 블로압력의 실을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 외주면 하부 둘레에 일체로 설치한 네크 링부분으로 달성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입구 원통부 내외의 블로압력을 균등하게 하는 것에 있으며, 실부분은 반드시 네크 링부분이 아니어도 된다. 현실상의 문제로서, 네크 링부분이 최적이 된다.
또 블로압력을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 외측에 인도하는 통로를 지지치구에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방법을 달성하는 데 최적한 지지치구는 연신봉을 상하로 삽입하기 위한 연신봉 삽입구멍을 중앙부에 관통 형성한 치구본체와,
이 치구본체의 주위에 입설되어, 내부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를 역립자세로 완만하게 삽입 가능하고, 입구 원통부의 삽입시에 프리폼의 네크 링에 접촉 ·재치 하는 실부를 가지며, 또 입구 원통부의 삽입시에 입구 원통부 내외의 공간이 연통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한 누름 원통체를 갖춘다.
누름 원통체는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 외경보다 크고 네크 링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네크 링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네크 링을 접촉 ·재치하는 실 링부를 돌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누름 원통체에서 치구본체상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 내에 삽입 가능한 가이드 원통부를 입설하는 것이 지지치구에 프리폼을 장착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가이드 원통부는 연신봉 삽입구멍을 상방으로 연장시키는 형태로서,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누름 원통체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치구에 대한 프리폼 장착을 확실하게 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누름 원통체는 치구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여도 좋으나, 치구본체와 별체로 형성하고, 치구본체에 외측에서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치구본체와 누름 원통체의 삽입 조립부분을 실 링에 의해 기밀하게 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압력은 누름 원통체와 네크 링간의 접촉에 의해 실된다.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는 누름 원통체의 내부에 완만하게 삽입되어 입구 원통부 내외의 공간이 연통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입구 원통부는 그 전체가 블로압력 분위기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 때문에 입구 원통부의 전 표면에는 블로압력이 균등하게 작용한다.
이 때문에 프리폼을 병체로 2축연신 블로성형할 때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에 압력이 불균등하게 작용하는 데 따른 입구 원통부의 구경확대 변형등의 부정한 변형이 발생하는 우려는 없게 된다.
블로금형은 성형하고자 하는 병의 형상과 동일 형상의 캐비티와, 프리폼을지지한 지지치구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이 캐비티내에 프리폼의 본체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겸하는 지지치구의 조립 오목부와, 이 조립 오목부내에 있으며, 프리폼의 네크 링에 접촉하여 지지치구와 더불어 프리폼을 금형에 고정하는 네크 지지테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금형에 프리폼을 장착하기 전에, 프리폼은 역립자세로 그 입구 원통부를 치구본체의 상부에 설치한 누름 원통체내에 완만할게 삽입시킨 상태에서 지지치구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프리폼의 네크 링은 누름 원통체의 실부에 밀착 가능하게 재치된다.
그리고 프리폼을 장착한 채로 지지치구를 블로금형의 조립 오목부에 삽입하면 지지치구의 블로금형에 대한 조립력에 의하여 블로금형의 네크 지지테부와 지지치구의 누름 원통체의 실부 사이에 프리폼의 네크 링이 끼워지고, 이에 따라 실 테두리와 네크 링 사이에 블로압력의 실이 달성된다. 이 때의 실력은 블로압력에 이기는 힘이다.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는 누름 원통체에 완만하게 삽입되므로 입구 원통부와 누름 원통체 사이에는 블로압력유체(블로 에어)의 통과를 자유롭게 하는 데 충분한 틈새가 형성하게 된다.
생산라인에서 지지치구는, 예를 들어 블로성형기를 경유하는 엔드리스(endless)의 컨베이어에 복수개 실리어 반송된다. 그 반송도중에 프리폼이 장착되고, 그 후에는 지지치구와 프리폼이 함께 반송된다. 그 반송도중에는 가열장치가 있으며, 프리폼이 가열장치로 가열된다. 이어서 블로성형기의 금형에 지지치구와 더불어 프리폼이 세트되어, 프리폼이 병으로 연신 블로성형된다.
프리폼의 가열처리시에는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를 삽입시킨 누름 원통체가 복사가열로부터 입구 원통부를 차단하기 때문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는 주체부분인 동체부에 비해서 그 가열정도가 훨씬 낮아지고, 이에 따라 입구 원통부는 보다 변형하기 어려운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프리폼의 재질은 블로성형 가능한 합성수지이면 어떠한 종류의 합성수지라도 좋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치구(5)는 원통형상을 한 치구본체(6)와 누름 원통체(12)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금형(1)은 성형하여야 할 용기와 동일 형상의 캐비티(2)를 갖는 분할형이며, 지지치구(5)를 조립시키는 조립 오목부(4)를 저부에 갖는다. 조립 오목부(4)는 저부가 상기 캐비티와 연통함과 동시에, 그 저부 주위에 네크 지지테부(3)를 갖는다. 지지치구(5)는 조립 오목부(4)에 흔들걸이는 일이 없이 삽입 조립된다.
치구본체(6)는 도시하지 않은 반송수단등에 대한 조립 부분을 형성한다. 비교적 큰 외경을 갖는 몸체부(7)를 하방으로 연장해서 갖는다. 이 몸체부(7)의 상단에 외경이 몸체부(7)보다 약간 축경된 삽입 원통부(9)가 연속설치되고, 이 삽입 원통부(9)에 누름 원통체(12)가 조립되는 구조이다.
이 삽입 원통부(9)와 몸체부(7)간의 경계부분의 외주면에 몸체부(7)보다 지름이 크고, 금형의 조립 오목부(4)의 내경과 동등한 외경을 갖는 외부 테편(8)이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외부 테편(8)은 삽입 원통부(9)에 누름 원통체(12)가 삽입되었을 때, 누름 원통체(12)에 접촉하여 치구본체(6)에 대한 누름 원통체(12)의 외측에서 삽입하는 조립한도를 설정한다. 삽입 원통부(9)의 상단면에는 프리폼(P)의 입구 원통부(P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가이드 원통부(10)가 입설되어 있다. 이 가이드 원통부(10), 삽입 원통부(9), 몸체부(7)의 중앙에는 연신봉(16)이 삽입되는 연신봉삽입구멍(11)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치구본체(6)의 가이드 원통부(10)는 프리폼(P)의 입구 원통부(P2)를 안내하여 외측으로 알맞게 삽입함으로써 프리폼(P)을 지지치구(5)에 조립 지지한다.
프리폼(P)을 지지치구(5)에 확실하고 원활하게 자동조립하기 위해서, 이 가이드 원통부(10)의 상단부(누름 원통체(1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상단부분)는 그 외주면을 상방으로 구경을 축소한 테이퍼면이 되어 있다.
누름 원통체(12)는 치구본체(6)의 주위에 입설되고,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 외경보다 크고, 네크 링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또 내부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를 역립자세로 완만하게 삽입 가능하고, 그 삽입시에 프리폼의 네크 링을 접촉 ·재치하는 실 테두리(13)를 가지며, 또 그 삽입시에 입구 원통부 내외의 공간이 연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누름 원통체(12)는 직선 원통형상을 한 본체부분의 외주면 상하 양단의 주위에 블로금형(1)의 조립 오목부(4)내의 둘레에 거의 흔들걸이지 않고 삽입하는 치수의 가이드 테편(14)을 설치하고 있다. 그 결과, 누름 원통체(12)의 외주에 환상 오목부가 형성된 형태가 된다.
또 상기 실 테두리(13)는 누름 원통체(12)의 상단 개구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프리폼의 네크 링을 받아들이는 단부형상이 되어 있다.
누름 원통체(12)의 실 테두리(13)가 단부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지지치구(5)를 블로금형(1)에 조립할 때, 블로금형(1)의 네크 지지테부(3)와 지지치구(5)의 실 테두리(13) 사이에 프리폼(P)의 네크 링(P1)을 끼우나, 단부의 깊이에 의해 이 끼우는 힘을 조정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끼우는 힘을 필요 이상으로 너무 강력하게 하여 네크 링(P1)에 부당하게 눌러 찌부러뜨리는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네크 지지테부(3)와 실 테두리(13) 사이에 네크 링(P1)을 끼우는 힘은 네크 링(P1)에 실 테두리(13)를 밀착시켜, 블로압력을 실할 수 있을 정도이면 좋다. 지지치구(5)를 블로금형(1)에 조립하면 실 테두리(13)가 네크 링(P1)에 밀착하나, 이 때 합성수지재료의 탄성변형 범위내 또는 허용변형 범위내에서 실 테두리(13)가 네크 링(P1)을 눌러 변형시킨 시점에서 누름 원통체(12)의 상단면을 네크 지지테부(3)의 하면에 접촉시키고, 이 이상의 누르는 힘을 네크 링에 가하지 않도록 하여, 그 이상의 지지치구(5)의 블로금형(1)에 대한 조립력을 네크 지지테부(3)로 대항하도록 하고 있다.
누름 원통체(12)는 그 하단면을 치구본체(6)의 외부 테편(8)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하단부를 치구본체(6)의 삽입 원통부(9)에 흔들걸임이 없이 외측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치구본체(6)에 조립한다. 이 치구본체(6)의 삽입 원통부(9)와 누름 원통체(12) 사이는 실 링(1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실 링(15)은 치구본체(6)와 누름 원통체(12) 사이를 기밀하게 실한다. 또 누름 원통체(12)는 치구본체(6)에 조립된 상태에서 삽입 원통부(9)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실 테두리(13)까지의 높이가 프리폼(P)의 입구 원통부(P2)의 높이보다 크게 되도록, 그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지지치구(5)에 프리폼(P)이 조립되었을 때, 입구 원통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의 공간이 연통하여 지지치구(5)와 입구 원통부(P2) 사이에 블로압력의 통로로서의 틈새가 확실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치구(5)는 치구본체(6)와 누름 원통체(12)의 2개의 부재에 의한 조합구조이다. 지지치구(5)는 가이드 원통부(10)와 누름 원통체(12) 사이에 프리폼(P)의 입구 원통부(P2)가 삽입되는 주변 홈부분을 갖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지치구(5)를 치구본체(6) 및 누름 원통체(12)의 2개의 부재로 나눔으로써 치구본체(6) 자체, 및 누름 원통체(12) 자체의 구조를 단순한 것으로 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지지치구(5)의 기계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제2실시예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가이드 원통부(10)를 제1실시예에서 삭제하고, 또 치구본체(6)와 누름 원통체(12)를 일체구조로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실 링을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시의 가공도 보다 용이하게 되었다.
또한 이 실시예2에서 가이드 원통부(10)에 의한 프리폼의 지지는 없어졌으나, 이 실시예2에서는 누름 원통체의 내주면으로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 외주를 완만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비교예>
입구 원통부의 내경이 21.74mm, 나선돌조를 형성한 입구 원통부의 최소 살 두께부분 (s)(제4도 참조)의 살 두께가 1.59mm의 프리폼을 가열하여 입구 원통부가 60도가 되었을 때, 35kgf/㎠의 블로압력으로 종래 방법에 의한 2축연신 블로성형법으로 병체를 성형해서 입구 원통부의 변형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체로 성형한 후, 입구 원통부(P2)에 반경으로 변형량 d=0.2mm의 구경확대 변형이 발생하였다. 이 입구 원통부의 구경확대 변형도는 입구 원통부(P2)의 나사부의 허용치수 범위를 일탈하고 있기 때문에, 이 병체는 불량품으로 취급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강력한 블로압력이 작용하는 블로성형 조작시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에 작용하는 압력이 이 입구 원통부에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불균일한 압력의 작용에 의해 입구 원통부에 부정한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입구 원통부의 부정한 구경확대 변형이 없는 병체를 2축연신 블로성형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높은 치수정밀도를 유지한 병체를 성형할 수 있는 2축연신 블로성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로압력의 실을 프리폼의 외주면에 돌설되어 블로금형의 네크 지지테부로 지지되는 네크 링부분으로 달성할 수 있으므로, 그 실이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강력하고 안정하게 달성되며, 따라서 확실하고 안정한 블로압력의 실을 얻을 수가 있다.
블로성형시에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입구 원통부의 전역에 걸쳐 균일하게 되도록 하였으므로 부정한 변형을 발생시키는 외력이 입구 원통부에 작용하는 것을 없앨 수가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부정한 변형을 발생시키는 외력에 대한 대항력을 입구 원통부에 주기 위하여 두껍게 하고 있었던 입구 원통부의 살 두께를 가능한 한 삭감할 수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삭제할 수 있는 살 두께만큼, 병체를 성형하는 데 요하는 합성수지재료의 총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를 지지치구의 누름 원통체내에 완만하게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이 누름 원통체가 프리폼에 대한 가열처리시의 입구 원통부에 대한 복사열을 차단하므로 종래에 비해서 입구 원통부는 가열온도를 보다 낮게 억제 할 수가 있어,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여러가지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산업상의 이용가치는 높다.

Claims (9)

  1. 저부, 네크부 및 입구 원통부를 갖는 합성 수지제 프리폼을 금형의 개구에 삽입하는 공정과,
    누름 원통체를 금형내의 프리폼을 접촉하는 상기 금형의 개구에 삽입하는 공정과,
    원통형상의 치구 본체를 상기 누름 원통체 내의 개구부에 상기 프리폼의 네크부를 연재하도록 삽입하는 공정과,
    프리폼에 블로 압력을 가하여, 프리폼을 2축 연신 블로 성형하여 병을 형성하는 공정과,
    블로 압력을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의 적어도 내측과 외측의 쌍방에 균등하게 가하는 공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병 성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은 입구 원통부 하부의 둘레에 네크 링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프리폼을 금형에 장착한 후 블로 성형하는 동안, 상기 프리폼에 작용시키는 블로 압력은 네크 링으로 실(seal)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병 성형 방법.
  3. 저부, 입구 원통부 및 입구 원통부의 하부 주위의 네크 링으로 된 합성 수지제 프리폼을 지지하여,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금형에 장착하기 위한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프리폼 지지 치구는,
    연신봉이 상하로 삽입 가능한 연신봉 삽입구멍을 중앙에 관통 형성한 원통형상의 치구 본체와,
    금형 내의 치구 본체의 주위에 수직하게 입설되어 상기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를 역립 자세로 느슨하게 삽입할 수 있고, 프리폼의 네크 링에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실부를 갖고, 또 입구 원통부 내외의 공간이 연통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한 누름 원통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프리폼 지지 치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원통체의 실부는 상단 개구 테두리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프리폼 지지 치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가 네크 링을 받아 들이는 단부(段部)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프리폼 지지 치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치구 상에 연신봉 삽입구멍을 상방으로 연장시키는 상태로 입설된가이드 원통부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프리폼 지지치구.
  7. 제6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원통부는 상기 프리폼의 입구 원통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누름 원통체 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프리폼 지지 치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원통체를 상기 치구 본체와 별도로 형성하여, 그 외측에 치구 본제를 부착하고, 지그 본체와 누름 원통제 사이의 갭을 실 링에 의해 기밀하게 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프리폼 지지 치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본체와 상기 누름 원통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블로 성형용 프리폼 지지 치구.
KR1019950705900A 1994-04-28 1995-04-28 합성수지제병성형방법및2축연신취입성형용프리폼지지치구 KR100340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92358 1994-04-28
JP09235894A JP3336477B2 (ja) 1994-04-28 1994-04-28 プリフォーム保持治具
PCT/JP1995/000853 WO1995029804A1 (fr) 1994-04-28 1995-04-28 Procede de moulage par soufflage a orientation biaxiale et gabarit de maintien de prefor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300B1 true KR100340300B1 (ko) 2002-11-08

Family

ID=1405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900A KR100340300B1 (ko) 1994-04-28 1995-04-28 합성수지제병성형방법및2축연신취입성형용프리폼지지치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11913A (ko)
EP (2) EP0734836B1 (ko)
JP (1) JP3336477B2 (ko)
KR (1) KR100340300B1 (ko)
CN (1) CN1081121C (ko)
AU (1) AU682961B2 (ko)
CA (1) CA2166202C (ko)
DE (2) DE69532732T2 (ko)
WO (1) WO19950298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36B1 (ko) * 2008-07-23 2011-08-26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성형장치, 수지 성형방법 및 수지 용기
KR101700665B1 (ko) 2015-03-17 2017-02-01 영 현 강 열변형 방지 가능한 주스용 pet병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9750A1 (de) * 1996-11-30 1998-06-04 Krupp Corpoplast 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tützung
FR2764544B1 (fr) * 1997-06-16 1999-09-24 Sidel Sa Tuyere de soufflage de recipients en matiere plastique et installation pourvue d'une telle tuyere
WO1999050047A1 (en) * 1998-03-30 1999-10-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receptacles of plastic material
JP3588549B2 (ja) * 1998-05-20 2004-11-10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装置およびブロー成形方法
DE10063553B4 (de) * 2000-12-20 2005-02-24 Krones Ag Vorrichtung zum Formblasen von Behältern, insbesondere von Kunststoffflaschen
US7083407B2 (en) 2001-12-28 2006-08-01 Yoshino Kogyosho Co., Ltd. Preform holding jig for biaxial orientation blow molding
JP2009500192A (ja) * 2005-07-04 2009-01-08 ピス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ペットボトルのプリフォーム用支持装置
DE202007002873U1 (de) 2007-02-27 2007-04-26 Krones Ag Blasform
DE102008036103A1 (de) * 2008-08-04 2010-02-11 Krones Ag Vorrichtung zum Expandieren von Behältnissen
EP2393718B1 (de) * 2009-02-06 2013-08-14 KHS GmbH Handhabungseinrichtung und handhabungsverfahren für behälter sowie vorformlinge
JP5829566B2 (ja) * 2012-03-30 2015-12-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装置
KR101681292B1 (ko) * 2012-08-09 2016-12-01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블로우 노즐 및 블로우 성형기
JP6122762B2 (ja) * 2013-10-31 2017-04-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装置
CN104552890B (zh) * 2014-12-22 2017-02-01 韦业忠 塑料杯的成型工艺
CN104626522A (zh) * 2015-01-22 2015-05-20 江苏新美星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吹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573A (en) * 1973-11-14 1977-07-19 Monsanto Company Stretch blow molding apparatus
SE7601488L (sv) * 1975-03-03 1976-09-06 Emhart Corp Sett att sprut- blasforma biaxiellt orienterade ihaliga plastbehallare
US3977822A (en) * 1975-03-17 1976-08-31 Monsanto Company Apparatus for continuous stretch-blow molding
JPS5884734A (ja) * 1981-11-17 1983-05-20 Yoshino Kogyosho Co Ltd 2軸延伸ブロ−成形方法
JPH042035Y2 (ko) * 1984-11-19 1992-01-2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36B1 (ko) * 2008-07-23 2011-08-26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성형장치, 수지 성형방법 및 수지 용기
US8551385B2 (en) 2008-07-23 2013-10-08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Resin molding apparatus, resin molding method, and resin container
KR101700665B1 (ko) 2015-03-17 2017-02-01 영 현 강 열변형 방지 가능한 주스용 pet병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34836A4 (en) 1998-05-06
JPH07290562A (ja) 1995-11-07
DE69532732D1 (de) 2004-04-22
DE69532732T2 (de) 2005-04-28
DE69528038D1 (de) 2002-10-10
WO1995029804A1 (fr) 1995-11-09
EP0734836B1 (en) 2002-09-04
EP1188543A2 (en) 2002-03-20
EP1188543B1 (en) 2004-03-17
CA2166202C (en) 2003-04-08
CN1128004A (zh) 1996-07-31
CA2166202A1 (en) 1995-11-09
AU2353195A (en) 1995-11-29
DE69528038T2 (de) 2003-02-27
CN1081121C (zh) 2002-03-20
EP0734836A1 (en) 1996-10-02
JP3336477B2 (ja) 2002-10-21
EP1188543A3 (en) 2002-06-12
US5711913A (en) 1998-01-27
AU682961B2 (en) 199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300B1 (ko) 합성수지제병성형방법및2축연신취입성형용프리폼지지치구
JP3787165B2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ブロー成形ノズルと、このようなノズルを備えた設備
KR960000713A (ko) 용기용 밀봉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기계
KR101681292B1 (ko) 블로우 노즐 및 블로우 성형기
US5792491A (en) Device for sealing a plastic container preform to a blow moulding nozzle
EP0870593B1 (en) Method for injection and stretch blow molding articles
US4397629A (en) Apparatus for drawing mouth-neck portions of synthetic resin bottles
CA2484198A1 (en) Manufacture of bottle with push-on closure
EP3292983A1 (en) Liquid blow molding apparatus and liquid blow molding method
JPH046889Y2 (ko)
JP3950787B2 (ja) 2軸延伸ブロー成形用プリフォーム保持治具
US5385466A (en) Thermoplastic container injection blow molding apparatus
JP4041359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のブロー成形装置
JPH0733056B2 (ja) 熱可塑性合成樹脂から中空成形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EP3778185B1 (en) Blow molding die and blow molding device
JP3513673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並びに口栓部保持用のマンドレル
JPH08150656A (ja) ブーツのブロー成形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284751B2 (ja) ブロー成形用プリフォームキャリアおよびブロー成形型
JPH07148830A (ja) 吊具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910003322B1 (ko)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16901404A (zh) 用于容器成型的拉伸棒
JP2003225940A (ja) 2軸延伸ブロー成形用プリフォーム保持治具
JP2010000669A (ja) 延伸ブロー成形用プリフォーム
JPH11157524A (ja) 広口容器のプリフォーム
JPH0733057B2 (ja) 熱可塑性合成樹脂の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