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815B1 -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815B1
KR100339815B1 KR1019990037077A KR19990037077A KR100339815B1 KR 100339815 B1 KR100339815 B1 KR 100339815B1 KR 1019990037077 A KR1019990037077 A KR 1019990037077A KR 19990037077 A KR19990037077 A KR 19990037077A KR 100339815 B1 KR100339815 B1 KR 10033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lis
weight
candy
sugar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969A (ko
Inventor
김희성
Original Assignee
김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성 filed Critical 김희성
Priority to KR1019990037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8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천연 항생 물질 및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생리 활성 물질로서 여러 다양한 효능, 특히 충치, 치육염 및 구강염 등과 같은 세균성 치과적 질환에 대한 치유 및 예방능이 보고되어 있으며 식품 공전 13-25에 규정된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으로서의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0.1 중량%∼20 중량%, 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주성분인 폴리페놀류를 포함하는 추출물 0.1 중량%∼20 중량%, 당류 45∼85 중량%, 정제수 8∼15 중량%로 구성되며, 기타 미량 성분으로서 향료나 유화제, 또는 구연산 나트륨 등이 첨가될 수 있고,
이 프로폴리스 캔디는 구강내에서 프로폴리스를 서방출(徐放出)시킴으로써 프로폴리스가 미소량씩 지속적으로 소장내를 통과토록 하여 소화흡수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이로 인한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작용의 최적 발현을 기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충치 및 구강염 등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프로폴리스가 치아 및 구강 내부에 지속적으로 도포되게 되므로 충치의 예방과 치료, 구취의 제거 및, 구강 내부의 세균 증식의 억제 내지 사멸을 통한 구강염의 예방 및 치료를 도모할 수가 있고, 더욱이 통상의 상태로는 섭식하기 곤란한 프로폴리스를 가벼운 기분으로 섭식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PROPOLIS CANDY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Propolis)를 함유하는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표피, 특히 싹이나 꽃 봉오리 등을 외부의 유해한 미생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식물이 분비하는 수액과 벌의 타액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폴리스란 소나무, 전나무, 버드나무, 미류 나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목 및 초본이 외부의 유해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표피, 꽃, 봉오리, 새순 등으로부터 분비하는 수액을 벌들이 체모에 붙여 모은 후 자신들의 타액과 혼합하여 타액속의 효소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고분자 중합체들의 복합물에 대한 총칭으로서, 그 주성분은 플라보노이드이다. 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본, 플라보논, 플라보놀, 플라바놀, 플라바논, 플라바놀 및 아이소플라본 등과 같은 안소잔신류 및 당과 결합된 그 배당체, 수백종의 안소샤이아닌 및 당과 결합된 그 배당체, 탄닌류로서의 캬테킨 및 류우코잔신을 포함한다.
양봉을 포함하는 자연계에서, 벌들은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벌집을 냉기나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음과 아울러, 세균류, 진균류 및 바이러스 등과 같은 각종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최적한 습도 및 온도(대략 32∼35℃)하에서 수 만 마리가 밀집 생활을 하면서도 병원성 미생물로 인한 집단 발병에 의해 밀집 사회가 사멸하는 일 없이 강한 생명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다양한 스펙트럼의 미생물군에 대하여 작용할 수 있는 프로폴리스라고 하는 벌 특유의 천연 항생 및 생리 활성 물질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벌들은 프로폴리스를 외부와 연결되는 출입구, 빈틈 및 벌집의 내벽 등에 코팅하고 있으나, 특히 여왕벌의 산란 장소 및 유충이 기거하는 장소에 코팅함으로써 알과 유충을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이나 주거 환경을 열악하게 만들 수 있는 미생물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다.
프로폴리스는 B.C. 300년 훨씬 이전부터 고대 이집트인들에 의하여 방부제로서 미이라의 방부 처리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방부제로서의 효능은 벌집에 나방이나 작은 들쥐 또는 뱀 등이 들어가 벌들의 공격에 의해 죽은 후, 이들을 벌집 밖으로 운반치 못할 경우 벌들에 의해 코팅 처리된 프로폴리스에 의해 수년간 부패하지 않고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자연적인 관찰 사실로 부터도 확인될 수 있다. 프로폴리스에 대한 상기한 바와 같은 방부제로서의 효능 외에, 현대 의학에 의한 다양한 논문 및 임상 보고서에서는 프로폴리스의 항암성, 화상 치유능,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및 무좀 등과 같은 진균류에 의한 피부병 치유능, 탈모 억제능, 생리통 완화 내지 제거 효과, 변비, 피부 미용 및 주름 제거 등과 미용효과, 충치, 치육염 및 구강염 등과 같은 세균성 치과적 질환에 대한 치유 및 예방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에서도 최근 식품공전 13-25에 건강보조식품으로 규정해 놓고 있다.
또한, 프로폴리스의 주성분인 플라보노이드에 대해서는, 1969년 러시아 카바르키나 박사의 5.6 배에 달하는 면역력 상승 효과, 1973년 러시아 알렉산드로플의 페니실린 보다 더 강한 살균력 실험 입증 발표, 1991년 일본생화학회의 진통 작용과 항염 효과, 1994년 일본공업전문대학에서의 제암 효능 임상실험결과, 기타 전신 세포의 활성화, 호르몬 자극 활동, 비타민 P의 작용에 의한 괴혈병 치료, 고혈압 환자의 혈압강하작용, 생체 호르몬의 균형 유지 등의 효과에 대한 세계 여러 나라의 연구 결과 및 임상시험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프로폴리스는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 중합체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소장에서의 소화흡수율이 평균 5% 미만으로서, 정제, 환제, 드링크제, 산제, 캡슐제, 분말제 등과 같은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경우 흡수 기관인 소장벽을 비교적 단시간내에 벌크(bulk)량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흡수율이 매우 낮아서 투여량에 비해 기대치 이하의 프로폴리스 투여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프로폴리스는 원제 그대로 섭식하기에는 부적당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제, 환제, 드링크제, 산제, 캡슐제, 분말제 등과 같은 경구 투여용 의약 제제 형태로 제조됨이 통상적이었으므로 가벼운 기분으로 섭식하기에는 다소 부담감이 있었다.
한편, 많은 현대인들이 선호하고 그 수요가 점증하고 있는 설탕, 과자, 쵸콜릿, 아이스크림, 콜라 등과 식품류에는 자연식과는 달리 포도당이나 과당과 같은 단당류, 및/또는 설탕 및 엿당과 같은 이당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관계로, 정기적인 치아 관리를 한다 하더라도 충치나 구강염의 발생 자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프로폴리스가 구강내에서 서방출(徐放出)됨으로써 상기한 프로폴리스가 미소량씩 지속적으로 소장내를 통과토록 하여 소화흡수율을 높이고, 이로 인하여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작용을 최적하게 발현시킬 수 있는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프로폴리스가 구강내에서 서방출(徐放出)됨으로써 상기한 프로폴리스가 치아 및 구강 내부에 지속적으로 도포되어 충치의 예방과 치료, 구취의 제거 및, 구강 내부의 세균 증식의 억제 내지 사멸을 통한 구강염의 예방 및 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프로폴리스를 가벼운 기분으로 섭식할 수 있게 하는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에 따른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천연 항생 물질 및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생리 활성 물질로서 여러 다양한 효능, 특히 충치, 치육염 및 구강염 등과 같은 세균성 치과적 질환에 대한 치유 및 예방능이 보고되어 있으며 식품 공전 13-25에 규정된 프로폴리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으로서의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캔디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0.1 중량%∼20 중량%, 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주성분인 폴리페놀류를 포함하는 추출물 0.1 중량%∼20 중량%, 당류 45∼85 중량%, 정제수 8∼15 중량%로 구성되며, 기타 미량 성분으로서 향료나 유화제, 또는 구연산 나트륨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의 함량은 캔디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2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중량%이며, 0.1 중량% 미만에서는 프로폴리스 첨가 효과가 지나치게 낮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캔디의 감미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함량 범위는 엄격히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한편, 녹차, 우롱차 및 홍차 추출물은 주성분이 폴리페놀류 및 아미노산이며 소량의 휘발성 방향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한 추출물은 건조 분말 상태로 사용되며, 그 함량은 캔디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1 중량%∼2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9 중량%이며, 0.1 중량% 미만에서는 서방출 효과가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캔디 성형성이 열등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 추출물은 프로폴리스와 혼합되는 경우 프로폴리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고분자 중합체들의 표면을 코팅 내지 캡슐화하게 되어 서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발명의 캔디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당류로서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포도당(글루코오스), 설탕(수크로오스), 엿당(말토오스), 젖당(락토오스), 말토 덱스트린 또는 과당(프락토오스) 등이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45∼85 중량%이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사과, 배, 바나나 또는 딸기 등과 같은 과일 퓨레(puree)나 과일 농축액 또는 커피액 10 중량%∼15 중량%를 첨가할 수도 있다.
기타 첨가될 수 있는 미량 성분으로서는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들인 휘발성인 딸기향, 사과향, 바나나향, 수박향, 오렌지향, 포도향 또는 바닐라향 0.1 중량%∼0.2 중량%, 및/또는 유화제 0.25 중량%∼0.35 중량%, 및/또는 산미료로서의 구연산 나트륨 0.1 중량%∼0.3 중량%, 및/또는 정제가공유지 2 중량%∼5중량%, 및/또는 젤화제로서의 펙틴 1 중량%∼2 중량%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캔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프로폴리스 원괴(原塊) 분말에 과잉량의 고순도(99.8% 이상) 에탄올을 가하고 냉암소에서 1 내지 3일간 정치하여 프로폴리스를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시켜 흑갈색 분말로서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얻는 프로폴리스 추출 단계를 수행한다. 필요하다면 추출물을 교반하는 것에 의하여 추출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한편, 위와는 별도로 녹차, 우롱차 및 홍차 잎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미세절편 벌크량에 70∼100℃의 과잉량의 물을 부어 1 내지 6 시간 정치하여 차 추출액을 얻은 다음,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시켜 녹색 또는 갈색 분말의 폴리페놀류 및 아미노산류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얻는 차 추출 단계를 수행한다. 필요하다면 추출물을 교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한 프로폴리스 분말과 차 추출물 분말을 중량비로 200:1∼1:200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10:1∼1:10의 비율로 혼합하고, 정제수를 상기한 혼합물에 대하여 2:1∼1:5의 비율로 가한 후, 60∼70℃의 온도에서 충분히 교반하고, 정제수를 증발시켜 프로폴리스를 차 추출물로 코팅 내지 캡슐화시키는 프로폴리스 캡슐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의 프로폴리스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8∼30 중량%이다. 여기서, 상기한 프로폴리스에 대한 차 추출물의 중량비가 200: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서방출성이 열등해지며, 반면에 1:2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로폴리스 자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지게 되어 건강보조식품으로서의 프로폴리스 첨가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프로폴리스 혼합물의 수분 함량이 8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과립화가 충분치 못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로폴리스를 구성하는 고분자 중합체 성분들의 표면에서 플라보노이드 성분과 차 추출물중의 폴리페놀류 및 아미노산류가 이동하여 국부적인 프로폴리스 농도의 편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못하다.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프로폴리스 혼합물에 포도당, 설탕, 엿당, 젖당, 말토 덱스트린 또는 과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대사 과정 기본 출발 물질인 포도당을 적당량, 바람직하게는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환산하여 5∼30 중량% 정도를 첨가하고 철저히 혼합하는 1차 당 혼합 단계를 수행한다. 필요하다면,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화시키는 과립화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밀봉 포장 또는 건조후 진공 포장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정제 배합수 20∼30 중량%에 포도당, 설탕, 엿당, 젖당, 말토 덱스트린 또는 과당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점진적으로 소량씩 첨가하되 최종적으로 그 함량이 1차 당 혼합 단계에서 첨가된 당을 포함하여 45∼85 중량%에 이르도록 배합 온도 70∼90℃에서 혼합시키는 당 용해 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필요하다면 비휘발성 성분들인 유화제 0.25 중량%∼0.35 중량%, 및/또는 산미료로서의 구연산 나트륨 0.1 중량%∼0.3 중량%, 및/또는 정제가공유지 2 중량%∼5중량%, 및/또는 젤화제로서의 펙틴 1 중량%∼2 중량% 등을 함께 혼합하여 당 용해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한 당 용해 단계가 완료된 후, 온도를 60∼70℃로 감온하고, 상기한 1차 당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차 추출물로 코팅 내지 캡슐화된 프로폴리스 및 당의 1차 혼합물을 첨가하고 온화하게 교반하는 배합 단계를 10∼30 분간 수행한다. 상기한 프로폴리스 및 차 추출물의 혼합량은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각각, 0.1 중량%∼20 중량%의 범위이며, 상기한 당의 1차 혼합물 중의 당의 함유량과 당 용해 단계에서 첨가된 당의 함유량의 합계가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45∼85 중량%에 이르도록 한다.
이어서, 휘발성 성분인 딸기향, 사과향, 바나나향, 수박향, 오렌지향, 포도향 또는 바닐라향 중 어느 하나를 0.1 중량%∼0.2 중량% 가하고 서서히 조려서 배합액 중의 수분 함량이 최종적으로 8∼15 중량%가 되도록 하는 농축 단계를 수행한다.
그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최종 조성액을 호터로부터 분출시켜 성형 온도 10∼25℃로 유지된 성형기에서 캔디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당 용해 단계에서 과일 퓨레나 과일즙 또는 커피액 등의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원료를 10 중량%∼15 중량%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수의 첨가량을 10∼20 중량% 정도 사용하는 것이 농축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나일론 망사를 양봉 벌통의 측벽에 평면상으로 붙여 두고 수 주일 경과후, 프로폴리스 함유액이 도포되어 경화된 나일론 망사를 꺼내 세게 털어서 얻어진 프로폴리스 원괴(原塊) 300g에 1ℓ의 HPLC(액체 크로마토 그라피)용 고순도(99.9%) 에탄올을 가하고 5℃의 암소(暗所)에서 2 일간 정치하여 프로폴리스를 추출하였다.
이어서, 와트만 페이퍼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로타리 배큠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 후, 잔여 수분을 데시케이터중에서 하룻밤 동안 증발시키는 것에 의하여 흑갈색 분말로서의 수용성 프로폴리스 27.8g을 얻었다.
한편, 위와는 별도로 미세 절편화된 녹차 잎 500g에 90℃의 과잉량의 물을붓고 3시간 정치하여 차 추출액을 얻은 다음, 상청액을 모으고, 여액을 증발시켜 녹색 분말의 폴리페놀류 및 아미노산류를 포함하는 녹차 추출물 34.6g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한 프로폴리스 분말 10g과 녹차 추출물 분말 10g을 혼합하고, 정제수 40g을 가한 후, 60∼70℃의 온도로 가온한 다음, 테플론 마그네틱 스터러를 이용하여 30 분간 교반한 후 교반을 멈추고, 상기한 온도하 정치 상태에서 가끔씩 유리 막대로 저어주면서 정제수를 증발시켰으며, 이 혼합물의 수분 함량은 13.5%였다.
상기한 프로폴리스 혼합물에 포도당 10g을 혼합하고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하였다.
위와는 별도로, 정제 배합수 25g에 설탕 15g, 엿당 38g, 말토 덱스트린 5g을 넣고 배합 온도 70∼90℃에서 교반하 혼합시켰다.
상기한 당 용해 단계가 완료된 후, 온도를 65℃로 감온하고, 과립화된 프로폴리스 혼합물을 상기한 당 용해액중에 첨가하고 온화하게 10∼30 분간 교반하여 배합시켰다.
이어서, 상기한 온도에서 수분을 증발 농축시켜서 상기한 최종 배합액 중의 수분 함량이 최종적으로 12 중량%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에는 상기한 최종 배합액을 호터로부터 분출시켜 성형 온도 15℃로 유지된 성형기에서 무게 2g, 직경 1.2cm의 구체 형상의 캔디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실시예 2
녹차 추출물 대신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홍차 추출물 10g, 프로폴리스 10g및, 포도당 10g을 이용하여 과립화하였으며, 정제 배합수 25g에 설탕 40g, 말토오스 13g, 정제가공유지 3.9g 및 펙틴 1g을 첨가한 배합물에 상기한 과립화된 프로폴리스와 바닐라향 0.1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정제 배합수 10g에 설탕 38g, 젖당 6g, 딸기 퓨레 12g, 정제가공유지 2.5g 및 펙틴 1.5g을 첨가한 것 및 최종 수분 함량을 전 조성물 기준으로 10 중량%(10g)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녹차 추출물 10g, 프로폴리스 10g 및 포도당 10g을 이용하여 과립화하는 대신에, 우롱차 추출물 5g, 프로폴리스 5g 및 포도당 10g을 이용하여 과립화하였으며, 설탕 55g, 말토오스 9g, 펙틴 1.5g 및 정제가공유지 2.5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녹차 추출물 5g, 프로폴리스 1g 및 포도당 4g을 이용하여 과립화하고, 설탕 60g, 말토오스 15g, 펙틴 1g, 정제가공유지 3.8g 및 구연산 나트륨 0.2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프로폴리스 30g 및 엿당 18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프로폴리스 20g 및 포도당 10g을 사용하여 과립화하였으며 차 추출물은 전혀 사용치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한 성분 및 절차에 의하여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를 제조하였다.
관능 시험예
20 대에서 60 대에 이르는 연령층의 시식인 10명(각 연령대마다 2 인씩 무작위로 선발: 단, 시식인은 비흡연자임)에게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를 사용하여 패널 테스트하였다.
제조된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의 풍미에 대한 시험 항목및 시험 결과는 다음 표1과 같으며, 8 인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 6 인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 4 인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 2 인 이하가 양호한 것으로 판정시는 ×로 표시하였다.
표 1 (풍미에 대한 관능 시험 결과) :
항 목 외 관 단 맛 전체적 풍미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관능 시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5 에서 제조한 프로폴리스 캔디는 그 외관, 단맛 및 전체적 풍미에 있어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설탕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프로폴리스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실시예 4 및 5에 있어서는 전 연령층에 걸쳐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실시예 4 및 5 와는 상대적으로 반대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실시예 1 내지 3에 있어서는 연령이 상대적으로 많은 장년 및 노년층에서 더욱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는 첨가 설탕량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나, 전반적으로는 무난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프로폴리스의 함량을 30 중량%로 다량 첨가하고, 말토오스의 함량을 18 중량%로 대폭 감소시킨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단맛 및 전체적인 풍미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등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프로폴리스의 함량을 20 중량%로 비교적 다량 첨가하고 차 추출물은 전혀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에도 다소 열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서방출(徐放出) 효과 시험예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한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의 서방출성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서 37℃로 가온된 물 200cc가 들어 있는 비이커에 캔디를 넣고 임펠러를 용액 상부에서 500rpm으로 회전 교반시키는 것에 의하여 캔디가 비이커의 벽면과는 충돌하나 임펠러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캔디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용해 소요시간(분)
실시예 1 14.8
실시예 2 10.4
실시예 3 9.6
실시예 4 8.2
실시예 5 8.5
비교예 1 7.7
비교예 2 7.1
위의 표 2로부터, 실시예 1의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의 경우 서방출성(용해시간의 지연)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프로폴리스의 상대적 고함량 및 차 추출물에 의한 캡슐 효과, 그리고 덱스트린의 상대적 난용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실시예 2의 경우는 정제 가공 유지의 첨가에 의한 층간 쇼트닝 효과와 단당류 및 이당류의 상대적 고함량에 따라 용해 시간이 다소 감소된 것으로 믿어지고, 실시예 3의 경우는 퓨레의 사용에 의하여, 그리고 실시예 4 및 5의 경우는 설탕 함량의 증가에 따라 용해 시간도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 물에 상대적으로 난용성인 프로폴리스의 함량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차 추출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2의 경우에 있어서 용해 시간이 상당히 단축된 것으로 나타난 에상치 못했던 결과는 차 추출물중에 용해되어 있는 풀리페놀류에 의한 프로폴리스 코팅 또는 캡슐화 효과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폴리스 함유 캔디 조성물은 프로폴리스를 구강내에서 서방출(徐放出)시킴으로써 프로폴리스가 미소량씩 지속적으로 소장내를 통과토록 하여 소화흡수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이로 인한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작용의 최적 발현을 기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충치 및 구강염 등의 예방 및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프로폴리스가 치아 및 구강 내부에 지속적으로 도포되게 되므로 충치의 예방과 치료, 구취의 제거 및, 구강 내부의 세균 증식의 억제 내지 사멸을 통한 구강염의 예방 및 치료를 도모할 수가 있고, 더욱이통상의 상태로는 섭식하기 곤란한 프로폴리스를 가벼운 기분으로 어린이도 용이하게 섭식할 수가 있는 신규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영역 및 정신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예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내임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Claims (11)

  1. (정정) 프로폴리스 0.7 중량%∼20 중량%;
    녹차, 우롱차 및 홍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 추출물 0.6 중량%∼20 중량%;
    설탕, 엿당, 젖당, 말토 덱스트린 및 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당 45∼85 중량%; 및
    정제수 8∼1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한 당이 상기한 차 추출물로 코팅 또는 캡슐화되어 있는
    프로폴리스(Propolis) 캔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딸기향, 사과향, 바나나향, 수박향, 오렌지향, 포도향 및 바닐라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0.1 중량%∼0.2 중량%, 유화제 0.25 중량%∼0.35 중량%, 구연산 나트륨 0.1 중량%∼0.3 중량%, 정제가공유지 2 중량%∼5중량%, 펙틴 1 중량%∼2 중량%로 또한 포함하는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과일 퓨레(puree), 과일 농축액 및 커피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10 중량%∼15 중량% 또한 포함하는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4. (정정)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프로폴리스(Propolis) 캔디의 제조 방법:
    (A) 프로폴리스 0.7 중량%∼20 중량%와 녹차, 우롱차 및 홍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차 추출물 0.6 중량%∼20 중량%와 정제수를 혼합하고 증발시키는 상기한 차 추출물에 의한 프로폴리스 코팅 또는 캡슐화 단계;
    (B) 상기한 (A) 단계와는 별도로 정제수에 설탕, 엿당, 젖당, 말토 덱스트린 및 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당을 용해시키는 당 용해 단계;
    (C) 상기한 (A) 단계의 프로폴리스 혼합물 및 상기한 (B) 단계의 당 용해액을 배합시키며, 당의 함량 및 수분 함량이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각각, 45∼85 중량% 및 8∼15 중량%가 되도록 하는 배합 단계; 및
    (D) 상기한 (C) 단계의 배합액을 성형기에서 캔디로 성형하는 캔디 성형 단계.
  5. (정정)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A) 단계가 프로폴리스 원괴를 냉암소에서 에탄올로 추출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시키는 프로폴리스 추출 단계;
    차의 미세 절편에 70∼100℃의 물을 가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시키는 차 추출물 추출 단계; 및
    추출된 프로폴리스 분말에 대하여 추출된 차 추출물 분말을 중량비로 200:1∼1:200의 비율로 혼합하고, 정제수를 상기한 혼합물에 대하여 2:1∼1:5의 비율로 가한 후 60∼70℃의 온도에서 교반후 정제수를 증발시키는 코팅 또는 캡슐화 단계로 구성되는
    프로폴리스 캔디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팅 또는 캡슐화 단계에 후속하여, 설탕, 엿당, 젖당, 말토 덱스트린 및 과당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당을 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5∼30 중량% 첨가하여 과립화하는 과립화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프로폴리스 캔디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한 코팅 또는 캡슐화 단계후의 수분 함량이 8∼30 중량%인 프로폴리스 캔디의 제조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B)의 당 용해 단계에서의 용해가 70∼9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며, 상기한 (C)의 배합 단계에서의 배합이 60∼7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프로폴리스 캔디의 제조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B)의 당 용해 단계에서 유화제 0.25 중량%∼0.35 중량%, 구연산 나트륨 0.1 중량%∼0.3 중량%, 정제가공유지 2 중량%∼5중량%, 펙틴 1 중량%∼2 중량%를 또한 첨가하는 프로폴리스 캔디의 제조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C)의 배합 단계에서 딸기향, 사과향, 바나나향, 수박향, 오렌지향, 포도향 및 바닐라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0.1 중량%∼0.2 중량% 더욱 첨가하는 프로폴리스 캔디의 제조 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B)의 당 용해 단계에서 과일 퓨레(puree), 과일 농축액 및 커피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10 중량%∼15 중량% 더욱 첨가하는 프로폴리스 캔디의 제조 방법.
KR1019990037077A 1999-09-02 1999-09-02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33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077A KR100339815B1 (ko) 1999-09-02 1999-09-02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077A KR100339815B1 (ko) 1999-09-02 1999-09-02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969A KR20010025969A (ko) 2001-04-06
KR100339815B1 true KR100339815B1 (ko) 2002-06-07

Family

ID=1960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077A KR100339815B1 (ko) 1999-09-02 1999-09-02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567B1 (ko) * 2001-03-14 2004-01-07 손옥태 녹차 분말 함유 캔디의 제조방법
KR100488513B1 (ko) * 2002-05-10 2005-05-11 에스티케이제약 주식회사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조성물
KR101163832B1 (ko) * 2009-08-20 2012-07-09 박명자 달고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810A (ko) * 2002-07-30 2004-02-11 조아제약주식회사 목초액 함유 캔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567B1 (ko) * 2001-03-14 2004-01-07 손옥태 녹차 분말 함유 캔디의 제조방법
KR100488513B1 (ko) * 2002-05-10 2005-05-11 에스티케이제약 주식회사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조성물
KR101163832B1 (ko) * 2009-08-20 2012-07-09 박명자 달고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969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9517B1 (en) Extracts of cynara cardunculus and citrus aurantium bergamia, combinations thereof, and formulations containing them
ES2381851T3 (e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 extracto de pulpa de arándanos para uso en la prevención y el tratamiento de afecciones tales como caries, gingivitis e infecciones leves de garganta
CN101278994A (zh) 青刺果口腔护理软胶囊
KR100240046B1 (ko) 프로폴리스 성분 함유 고형물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US20060093559A1 (en) Chewing gum composition with vegetal additives
KR100339815B1 (ko) 프로폴리스 캔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20060083915A (ko)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CN105920210A (zh) 一种用于肿瘤化疗病人口腔护理的漱口液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101988102B1 (ko) 백삼 및 짚신나물, 단삼, 미역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604237B1 (ko)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강화용 조성물
KR20200071360A (ko) 로즈힙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610894B1 (ko) 맛이 차폐된 비타민 c 과립
WO201310077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herbal based active ingredients for application in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KR102176983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U2321418C1 (ru) Средство общеукрепляющего и тонизирующего действия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4982648B2 (ja) 金属沈着抑制剤
KR101814065B1 (ko) 멜라닌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20220099175A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030093891A (ko) 프로폴리스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1868B1 (ko)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매생이 추출물의 보관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
KR102405587B1 (ko) 매스틱 및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 건강 개선 및 헬리코박터균 억제용 조성물
KR100818091B1 (ko) 자동 미셀화 약물송달시스템을 이용한 경구용플라보노리그난의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