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224B1 -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224B1
KR100339224B1 KR1020000044347A KR20000044347A KR100339224B1 KR 100339224 B1 KR100339224 B1 KR 100339224B1 KR 1020000044347 A KR1020000044347 A KR 1020000044347A KR 20000044347 A KR20000044347 A KR 20000044347A KR 100339224 B1 KR100339224 B1 KR 10033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spring bracket
side frame
vehicle bod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979A (ko
Inventor
서은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4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224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 B60G2800/246Understeer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프레임(51)의 측면과 스프링브라켓트(52)사이에는 횡방향 변위를 흡수하도록 된 제1부시(54)가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51)의 밑면과 스프링브라켓트(52)사이에는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된 제2부시(55)가 설치되어져, 자동차의 언더스티어의 특성향상과 주행의 안정성 및 좋은 승차감이 유지되면서 측변위장치(50)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므로, 상기 측변위장치(50)의 개발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조립시간이 단축되면서 차체가 경량화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SIDE DISPLACEMENT DEVICE OF VEHICLE SUSPENSION}
본 발명은 대형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측변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절감하여 개발원가 및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차체의 경량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변위장치(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2)의 저면에 접합된 제1브라켓트(3)에는 제1링크(4)가 볼트(5) 및 너트의 결합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2)의 측면 소정부위에 접합된 제2브라켓트(6)의 하부에는 부시(7)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링브라켓트(8)가 설치되며, 이 스프링브라켓트(8)에는 판스프링(9)의 일단이 정렬장치(30)에 의해 거취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브라켓트(8)의 측면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판(11)에는 제2링트(12)가 볼트(13) 및 너트의 결합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4)와 제2링크(13)는 제1로드(1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2)의 측면 소정부위에 접합된 제3브라켓트(15)에는 볼트(16) 및 너트(17)에 의해 제3링크(18)가 설치되고, 상기 제2링크(12)와 제3링크(18)는 제2로드(1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제2,제3링크(4,12,18)는 고무재질의 부시(21)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정렬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하우징부재(31)와, 이 하우징부재(31)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2)와, 이 탄성부재(32)에 의해 탄지되는 마개부재(33)와, 이 마개부재(33)와 일단이 결합되면서 타단이 판스프링(9)을 관통하여 횡력이 발생되면 상기 마개부재(33)를 가압하도록 된 피스톤부재(34)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주행중 자동차가 선회를 하게 되면 차체에 횡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횡력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9)은 좌우로 측변위를 일으키게 되며, 이 측변위는 정렬장치(30)의 피스톤부재(34)가 하우징부재(31)로 탄성이동되면서 흡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브라켓트(8)에 연결된 제1,제2,제3링크(4,12,18)도 판스프링(9)을 지지하면서 횡방향 변위를 흡수하게 된다.
에에따라, 자동차는 측변위장치(1)에 의해 언더스티어(understeer)의 특성이 향상되어 주행의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승차감이 좋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변위장치(1)에 의하면, 상기 측변위장치(1)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품이 시용됨으로써, 개발원가의 상승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 및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차체의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측변위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의 개수를 절감시켜, 자동차의 선회시 언더스티어의 특성향상과 주행의 안정성 및 좋은 승차감을 유지하면서, 개발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며 차체의 경량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변위장치는, 사이드프레임의 측면 소정부위와 스프링브라켓트사이에 위치되어 다수개의 결합부재에 의해 설치되면서 횡방향 변위를 흡수하도록 된 제1부시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밑면과 이 밑면쪽으로 연장형성된 스프링브라켓트사이에 위치되어 다수개의 결합부재에 의해 설치되면서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된 제2부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측변위창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선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I-II선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측변위장치 51 - 사이드프레임
52 - 스프링브라켓트 53 - 판스프링
54 - 제1부시 55 - 제2부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대형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측변위장치(5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51)과, 스프링브라켓트(52)와, 이 스프링브라켓트(52)에 결합되는 판스프링(53)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51)과 스프링브라켓트(52)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부시부재(54,55)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스프링브라켓트(52)는 종단면이 개략적인 L자모양으로 형성되며, 이 스프링브라켓트(52)의 좌하부에는 복수겹으로 된 판스프링(53)의 일단이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61)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브라켓트(52)의 상단부위는 소정크기의 제1부시(54)를 사이에 두고 사이드프레임(51)의 측면 소정부위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62,63)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사이드프레임(51)의 측면 및 스프링브라켓트(52)의 상단 안쪽면과 결합되는 제1부시(54)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결합브라켓트(54a,54b)가 각각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시(54)를 사이드프레임(51)과 스프링브라켓트(52)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프레임(51)과 제1부시(54)의 일측면에 접합된 결합브라켓트(54a)를 결합부재(62)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스프링브라켓트(52)와 제1부시(54)의 타측면에 접합된 결합브라켓트(54b)를 결합부재(63)에 의해 서로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사이드프레임(51)의 측면과 스프링브라켓트(52)의 상단부위가 제1부시(54)를 매개체로 하여 서로 결합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브라켓트(52)중 사이드프레임(51)의 밑면쪽으로 평행되게 일체로 연장형성된 소정부위는 소정크기의 제2부시(55)를 사이에 두고 사이드프레임(51)의 밑면 소정부위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64,65)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사이드프레임(51)의 밑면 및 이 밑면쪽으로 연장형성된 스프링브라켓트(52)와 결합되는 제2부시(55)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결합브라켓트(55a,55b)가 각각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부시(55)를 사이드프레임(51)과 스프링브라켓트(52)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프레임(51)과 제2부시(55)의 일측면에 접합된 결합브라켓트(55a)를 결합부재(64)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스프링브라켓트(52)와 제2부시(55)의 타측면에 접합된 결합브라켓트(55b)를 결합부재(65)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사이드프레임(51)의 밑면과 이 밑면쪽으로 연장형성된 스프링브라켓트(52)의 소정부위가 제2부시(55)를 매개체로 하여 서로 결합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제2부시(54,55)는 고무부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중에 선회를 하게 되면 차체에는 선회하는 방향쪽으로 횡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횡력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53)은 좌우방향으로 측변위를 일으키게 된다.
이때, 상기 차체의 좌우방향 측변위는 사이드프레임(51)과스프링브라켓트(52)사이에 설치된 제1부시(54)의 완충력에 의해 모두 흡수되므로, 스프링브라켓트(52)사이에 설치된 제1부시(54)에 의해 완충력에 의해 모두 흡수되므로,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측변위장치(1)의 장점인 언더스티어의 특성향상과 주행의 안정성 및 좋은 승차감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측변위장치(50)가 종래의 측변위장치(1)보다 구성부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개발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이로인해 조립시간이 단축되면서 차체의 경량화도 이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행중 차체의 상하방향 유동은 상기 사이드프레임(51)과 스프링브라켓트(52)사이에 설치된 제2부시(55)에 의해 효과적으로 완충되게 되며, 이로인해 탑승자는 좋은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좌우방향 측변위는 사이드프레임과 스프링브라켓트사이에 설치된 제1부시에 의해 흡수되고, 차체의 상하방향 유동은 사이드프레임과 스프링브라켓트사이에 설치된 제2부시에 의해 흡수되어져, 자동차의 언더스티어의 특성향상과 주행의 안정성 및 좋은 승차감이 유지되면서 측변위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므로, 상기 측변위장치의 개발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조립시간이 단축되면서 차체의 중량이 경량화되어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이드프레임의 측면 소정부위와 스프링브라켓트사이에 위치되어 다수개의 결합부재에 의해 설치되면서 횡방향 변위를 흡수하도록 된 제1부시와,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밑면과 이 밑면쪽으로 연장형성된 스프링브라켓트사이에 위치되어 다수개의 결합부재에 의해 설치되면서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된 제2부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KR1020000044347A 2000-07-31 2000-07-31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KR10033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347A KR100339224B1 (ko) 2000-07-31 2000-07-31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347A KR100339224B1 (ko) 2000-07-31 2000-07-31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979A KR20020010979A (ko) 2002-02-07
KR100339224B1 true KR100339224B1 (ko) 2002-06-03

Family

ID=1968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347A KR100339224B1 (ko) 2000-07-31 2000-07-31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2112B1 (en) * 2011-07-08 2012-09-11 Hendrickson Usa, L.L.C. Vehicle suspension and improved method of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979A (ko)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397B1 (en) Suspension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90116818A (ko)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차륜용 서스펜션 장치 및 방법
KR100980877B1 (ko) 현가장치용 트레일링 암 어셈블리
KR100320499B1 (ko) 자동차의전륜현가장치
KR20200009685A (ko)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KR100339224B1 (ko) 자동차 현가의 측변위장치
KR100911406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JPH0129127Y2 (ko)
KR20100018872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JPS6310009B2 (ko)
KR20000050328A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395121B1 (ko) 차량의 리어 현가장치 장착구조
KR100365276B1 (ko) 대형차량의 변속기 장착구조
KR20020086085A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KR100295846B1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100423308B1 (ko) 자동차의 현가아암 장착구조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00471753B1 (ko)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100410847B1 (ko) 자동차용 트레일링 아암 고정 브래킷의 고정구조
KR100500296B1 (ko) 듀얼링크 타입 현가장치
KR100793902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9980061196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KR19980052266U (ko)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의 가변구조
KR19980028794A (ko) 크로스멤버 내장형 와이어 스테빌라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