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872A -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872A
KR20100018872A KR1020080077584A KR20080077584A KR20100018872A KR 20100018872 A KR20100018872 A KR 20100018872A KR 1020080077584 A KR1020080077584 A KR 1020080077584A KR 20080077584 A KR20080077584 A KR 20080077584A KR 20100018872 A KR20100018872 A KR 2010001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bush
mount bush
mount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715B1 (ko
Inventor
이용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7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5Mounting of sub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1Joining by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는, 스태빌라이저 바를 서브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스태빌라이저 바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홀을 지닌 마운트 부시와, ⅱ)상기 마운트 부시의 하부면을 지지하며 상기 서브 프레임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마운트 부시와 상호 결합되는 받침부재와, ⅲ)상기 마운트 부시의 상부면을 감싸면서 상기 받침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시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트 부시, 받침부재, 부시 브라켓

Description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MOUNTING UNIT FOR STABILIZER BAR OF SUSPENS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태빌라이저 바를 서브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스태빌라이저 바는 선회 또는 거친 노면의 주행시 차체의 롤링 모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휠이 동시에 상하 운동을 할 때에는 작용하지 않으나, 좌우 휠이 서로 다르게 상하 운동을 할 때에는 스태빌라이저 바 양단의 역 위상으로 인하여 비틀림이 생기고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으로 차체의 롤링 모션을 억제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는 마운트 장치를 통하여 서스펜션의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바(110)가 끼워지며 서브 프레임(101)의 상면으로 지지되는 마운트 부시(140)와, 마운트 부시(140)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서브 프레임(101)에 체결되는 부시 브라켓(1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마운트 부시(140)에 스태빌라이저 바(110)를 끼운 상태로, 그 마운트 부시(140)를 서브 프레임(101)의 마운팅면에 안착시키고, 부시 브라켓(160)을 통해 마운트 부시(140)를 감싼 다음, 볼트(B)를 이용하여 부시 브라켓(160)의 양측부를 서브 프레임(101)으로 체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서브 프레임(101)에 대한 스태빌라이저 바(110)의 장착이 완료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110)의 롤링 제어시 그 스태빌라이저 바(110)와 마운트 부시(140) 간의 상대 운동으로 소음이 발생하고, 마운트 부시(140)가 스태빌라이저 바(110)의 길이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등 이로 인해 스태빌라이저 바(110)의 롤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마운트 부시와 서브 프레임(10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마운트 부시(140)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태빌라이저 바와 마운트 부시 간의 상대 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는, 스태빌라이저 바를 서브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스태빌라이저 바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홀을 지닌 마운트 부시와, ⅱ)상기 마운트 부시의 하부면을 지지하며 상기 서브 프레임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마운트 부시와 상호 결합되는 받침부재와, ⅲ)상기 마운트 부시의 상부면을 감싸면서 상기 받침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시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시는 상기 결합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마운트 부시의 절개선을 중심으로 상기 마운트 부시의 하부면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받침 블록과, 상기 절개선을 중심으로 상기 마운트 부시의 하부면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받침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받침 블록은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시는 상기 각 슬롯홀과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접착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의하면, 마운트 부시가 받침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부시 브라켓을 통해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므로, 스태빌라이저 바와 마운트 부시 간의 상대 운동을 억제하고, 마운트 부시의 강성을 증대시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트 부시가 스태빌라이저 바의 길이 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의 롤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를 통해 마운트 부시와 서브 프레임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마운트 부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100)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및 외력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에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서스펜션은 차량에 채용되는 공지 기술의 현가장치로서 이루어지므로 도면에서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또한 그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100)는 스태빌라이저 바(1: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스탭 바" 라고도 한다)를 서스펜션의 서브 프레임(3)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장치(100)는 스태빌라이저 바(1)에 대하여 한 쌍의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루어지는 바, 그러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장치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마운트 부시(10)와, 받침부재(30)와, 부시 브라켓(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트 부시(10)는 스태빌라이저 바(1)의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특성을 지닌 고무 부시로서 구비되며, 그 스태빌라이저 바(1)가 끼워 질 수 있는 결합홀(1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마운트 부시(10)는 원형의 단면을 지니며, 상부면 둘레를 따라 한 쌍의 볼록 돌기(13)가 형성된 구조(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중철 부시"라고도 한다)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운트 부시(10)는 상기 결합홀(1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이에 그 마운트 부시(10)에는 절개선(15)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 부시(10)는 절개선(15)을 중심에 두고 이의 하부면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스태빌라이저 바(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 돌기(17)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재(30)는 마운트 부시(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서브 프레임(3) 상으로 배치되고, 마운트 부시(10)와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받침부재(30)는 마운트 부시(10)의 절개선(15)을 중심으로 그 마운트 부시(10)의 하부면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받침 블록(31)과, 마운트 부시(10)의 하부면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받침 블록(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받침 블록(31, 32)은 마운트 부시(10)의 하부면 일측 및 다른 일측을 각각 지지하는 라운드 형태(마운트 부시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형태)의 안착면(33, 34)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받침 블록(31, 32)은 마운트 부시(10)의 결합 돌기(17)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의 슬롯홀(35, 36)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마운트 부시(10)는 이의 결합 돌기(17)가 각 받침 블록(31, 32)의 슬롯홀(35, 36)에 끼워지고, 그 결합 돌기(17)가 슬롯홀(35, 36)의 내벽면에 가류 접착됨으로써 각각의 받침 블록(31, 3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시 브라켓(50)은 마운트 부시(10)의 상부면을 감싸면서 받침부재(30)를 사이에 두고 서브 프레임(3)에 결합된다.
이러한 부시 브라켓(50)은 마운트 부시(10)의 상부면을 감싼 상태로 이의 양측부가 볼트(B)를 통해 서브 프레임(3)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100)에 의하면, 마운트 부시(10)의 결합 돌기(17)가 각 받침 블록(31, 32)의 슬롯홀(35, 36)에 끼워지며 그 슬롯홀(35, 36)의 내벽면에 가류 접착된 상태로, 마운트 부시(10)의 결합홀(11)에는 스태빌라이저 바(1)가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부시 브라켓(50)을 통해 마운트 부시(10)를 감싼 다음, 볼트(B)를 이용하여 부시 브라켓(50)의 양측부를 서브 프레임(3)으로 체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서브 프레임(3)에 대한 스태빌라이저 바(1)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트 부시(10)가 받침부재(30)에 결합된 상태로 부시 브라켓(50)을 통해 서브 프레임(3)에 장착되므로, 스태빌라이저 바(1)와 마운트 부시(10) 간의 상대 운동을 억제하여 소음 및 마운트 부시(10)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트 부시(10), 받침부재(30) 및 부시 브라켓(50) 전 체의 회전 강성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므로 소음, 및 마운트 부시(10)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트 부시(10)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스태빌라이저 바(1)의 롤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30)를 통해 마운트 부시(10)와 서브 프레임(3)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그 마운트 부시(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

  1. 스태빌라이저 바를 서브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홀을 지니며, 상기 결합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마운트 부시;
    상기 마운트 부시의 하부면을 지지하며 상기 서브 프레임 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마운트 부시와 상호 결합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마운트 부시의 상부면을 감싸면서 상기 받침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시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마운트 부시의 절개선을 중심으로 상기 마운트 부시의 하부면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받침 블록과, 상기 절개선을 중심으로 상기 마운트 부시의 하부면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받침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받침 블록은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마운트 부시는 상기 각 슬롯홀과 형태의 결합을 이루며 접착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1020080077584A 2008-08-07 2008-08-07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10132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84A KR101328715B1 (ko) 2008-08-07 2008-08-07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84A KR101328715B1 (ko) 2008-08-07 2008-08-07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872A true KR20100018872A (ko) 2010-02-18
KR101328715B1 KR101328715B1 (ko) 2013-11-11

Family

ID=4208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584A KR101328715B1 (ko) 2008-08-07 2008-08-07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7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759A (ja) * 2017-02-28 2018-09-13 住友理工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EP3530500A1 (en) * 2018-02-26 2019-08-28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Stabilizer bushing for adhesive use and stabilizer bar equipped with stabilizer bushing
CN114454684A (zh) * 2022-02-23 2022-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横向稳定杆组件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4431A (ja) * 1995-03-09 1996-09-24 Tokai Rubber Ind Ltd スタビライザバー用ブッシュ
KR19980056566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고정장치
JP4124114B2 (ja) 2002-12-19 2008-07-2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バーの弾性支持装置の組付方法
KR100872292B1 (ko) * 2006-06-27 2008-12-05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팅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759A (ja) * 2017-02-28 2018-09-13 住友理工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EP3530500A1 (en) * 2018-02-26 2019-08-28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Stabilizer bushing for adhesive use and stabilizer bar equipped with stabilizer bushing
CN110195754A (zh) * 2018-02-26 2019-09-03 住友理工株式会社 粘接用稳定器衬套以及带稳定器衬套的稳定器杆
US10994583B2 (en) 2018-02-26 2021-05-04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Stabilizer bushing for adhesive use and stabilizer bar equipped with stabilizer bushing
CN114454684A (zh) * 2022-02-23 2022-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横向稳定杆组件及汽车
CN114454684B (zh) * 2022-02-23 2024-04-1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横向稳定杆组件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715B1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778B1 (en) Cab suspension
JP2004099017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KR100980877B1 (ko) 현가장치용 트레일링 암 어셈블리
KR10132871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KR100911406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0992815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20110057667A (ko)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150062287A (ko) 트레일링암의 마운팅브라켓
KR101637261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유닛
KR20170068835A (ko) 서브프레임 부시
KR101916050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101316445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200269001Y1 (ko) 차량용 리어 트레일링 암의 부싱부 장착구조
KR20100048160A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101509682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KR100456885B1 (ko) 후륜 현가 장치의 트레일링 아암의 장착 구조
KR20040110800A (ko) 자동차의 u자형상 스트럿
KR19980038907A (ko) 현가장치의 로어 암 장착구조
JP2008030676A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構造
KR20050029502A (ko) 현가장치의 차체 마운팅 구조
KR19980026374U (ko) 현가장치의 로어 암 부시
KR20030075845A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