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208B1 -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208B1
KR100339208B1 KR1019990039227A KR19990039227A KR100339208B1 KR 100339208 B1 KR100339208 B1 KR 100339208B1 KR 1019990039227 A KR1019990039227 A KR 1019990039227A KR 19990039227 A KR19990039227 A KR 19990039227A KR 100339208 B1 KR100339208 B1 KR 10033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oller
counter
driven roller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462A (ko
Inventor
김주식
Original Assignee
김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식 filed Critical 김주식
Priority to KR101999003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208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을 투입하여 터널을 통과하면서 구워진 김이 계수기로 복귀되도록 방향을 절환하는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급 콘베이어의 후측을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하고 공급 콘베이어의 근접 위치에는 외주연에 수개의 날개편이 형성된 방향절환 로울러에 의해 김의 방향이 절환(뒤집기)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본체의 전측상부에 공급부와 하부에 계수기를 구비하고, 내부의 상부에는 원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에 외삽되는 공급 콘베이어의 상, 하부에는 히터를 장착하고 하부에는 구워진 김을 계수기로 공급하기 의한 복귀 콘베이어로 구성된 통상의 자동 김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후측상부에 로울러와 종동로울러의 각도를 대략 10도 하향 경사지도록 배설하여 외측에 공급 콘베이어를 장착하고, 상기 종동로울러의 근접위치에 외주연에 수 개의 날개편이 형성된 방향절환로울러와 덮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차단부재에 의해 김을 차단 및 유도하여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귀 콘베이어에 의해 계수기로 복귀되도록 하고, 복귀 콘메이어의 하부에는 김부스러기를 받을 수 있는 재치판이 안내 레일에 삽입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Change of direction apparatus of automatic laver roaster}
본 발명은 김을 투입하여 일정 길이의 터널을 통과하면서 구워진 김이 계수기로 복귀되도록 방향을 절환하는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급 콘베이어의 후측을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하고 공급 콘베이어의 근접위치에는 외주연에 수 개의 날개편이 형성된 방향절환로울러와 덮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차단부재에 의해 김의 방향이 안정적으로 절환(뒤집기)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구이기는 상호 역회전하는 공급로울러에 투입하여 이송 콘베이어의 상면에 올려진 김의 상면에 기름과 소금을 뿌려서 상, 하부에 히터가 장착된 이송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면서 김이 구워지게 되고, 이와 같이 구워진 김은 후측에 장착된 방향절환부재에 의해 방향이 절환되어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복귀 콘베이어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계수기로 계수하여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김구이기의 방향절환부재는 이송 콘베이어의 후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원활하게 김의 방향을 바꾸지 못하므로 인하여 종종 김이 걸리게 되어 뒤따라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김이 통과하지 못하고 적체되어 화재가 발생 기기의 전체를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공급 콘베이어에 올려져 터널을 통과하면서 구워지는 김을 부서지거나 걸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방향을 절환하는 구조를 갖는 김구이기용방향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환과정에서 발생되는 김부스러기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판을 구비하여 기기 내부를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김구이기용 방향절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본체의 전측상부에 공급부와 하부에 계수기를 구비하고, 내부의 상부에는 원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에 외삽되는 공급 콘베이어의 상, 하부에는 히터를 장착하고 하부에는 구워진 김을 계수기로 공급하기 의한 복귀 콘베이어로 구성된 통상의 자동 김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후측상부에 로울러와 종동로울러의 각도를 대략 10도 하향 경사지도록 배설하여 외측에 공급 콘베이어을 장착하고, 상기 종동로울러의 근접위치에 외주연에 수 개의 날개편이 형성된 방향절환로울러와 덮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차단부재에 의해 김을 차단 및 유도하여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귀 콘베이어에 의해 계수기로 복귀되도록 하고. 복귀 콘메이어의 하부에는 김부스러기를 받을 수 있는 재치판이 안내레일에 삽입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로부터 얻게 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송콘베이어 3…원동로울러 5…종동로울러 6…방향절환로울러
7…원동로울러 8…복귀콘베이어 9…종동로울러 10…브러쉬 로울러
11…재치판 13…안내레일 15…히터 21…양념통 23…공급로울러
25…콘베이어 30…본체 40…측면덮개 40a…차단부재
도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공급구로 투입된 김을 구으면서 이동시키는 이송 콘베이어(1)와, 상기 이송 콘베이어(1)의 후측에 고정 장착되어 김을 차단하거나 유도하는 차단부재(40a)를 포함하는 방향절환 로울러(6)와, 방향절환된 김(A)을 계수기로 안내하는 복귀 콘베이어(8)와 김의 방향절환과정에서 복귀 콘베이어(8)에 끼게되는 부스러기를 탈거하기 위한 브러쉬 로울러(10) 및 이송과정에서 발생되는 김부스러기를 상면에 적층시키는 포집판(11)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이송 콘베이어(1)의 전체적인 구성은 본체(30)의 내측 상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원동로울러(3)와 종동로울러(5)를 횡설하고, 상기 종동로울러(5)의 전측의 상,하부에 보조 로울러(2)를 횡설하여 외측에 김을 이송하게 되는 이송 콘베이어(1)를 외삽 한 것으로서, 이송 콘베이어(5)의 후측을 하향으로 10도 정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여 후술하는 방향절환로울러(6)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송 콘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는 김(A)의 방향을 절환/뒤집기을 행하는 방향절환로울러(6)의 구성은 원통형의 외주연에 '+'자 형상으로 외주면으로 돌출된 날개편(6a)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서, 날개편(6a)의 단부에는 김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둥그스름하게 라운딩 되어 있다.
또한 방향절환 로울러(6)에 의해 방향이 절환된 김(A)은 하부에 배설되어 있는 복귀 콘베이어(8)의 상면으로 낙하하여 본체(30)의 전측에 별도로 장착된 계수기를 구성하고 있는 콘베이어(25)로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전측의 원동로울러(7)와 후측의 종동로울러(9)에 권취되어 구동수단(M)에 의해 반복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귀 콘베이어(8)의 후측에는 외주면과 당접되어 복귀 콘베이어(8)에 묻어있는 김부스러기를 탈거하는 브러쉬 로울러(10)의 외표면에 다수의 철브러쉬(10a)를 식설하고 양단부를 본체(30)의 측판에 결합하여 구동수단(M)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복귀 콘베이어(8)에 묻어 있는 김부스러기는 자연낙하 또는 브러쉬 로울러(10)에 의해 탈거되어 저면의 안내레일(13)에 내삽되어 삽탈 가능한 포집판(11)상에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체(30)의 전측상부에 배설되어 상호 역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23)에 김(A)을 투입하면 구동수단(M)에 의해 반복 회전하는 이송 콘베이어(1)의 상면에 낙하하게 되면, 상부에 위치하는 기름과 소금통(21)에서 이에 적합한 기름과 소금이 김(A)의 상면에 뿌려주게 되는 것이다.
김(A)은 계속해서 전측으로 이동하면서 이송콘베이어(1)의 상,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히터(15)에 의해서 적당히 구워지면서 후측에 대략 10도정도 하향으로 경사진 이송 콘베이어(1)의 안내를 받아 후측에서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방향절환로울러(6)의 외표면에 형성된 날개편(6a)에 의해 유도되어 하부의 복귀 콘베이어(8)상으로 낙하되어 공급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계수기를 구성하고있는 콘베이어(25)에 공급되어 포장되는 것이다.
또한 날개편(6a)에 의해서 김의 방향이 절환되면서 발생되는 김부스러기는 복귀 콘베이어(8)의 틈새에 끼거나 아니면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 것으로, 복귀 콘베이어(8)에 낀 부스러기는 후측에 배설되어 있는 브러쉬 로울러(10)에 의해 탈거되어 하부에 위치한 삽탈 가능한 포집판(11)으로 낙하하여 적층되며, 일정량 적층되면 안내레일(13)에서 포집판(11)을 취출하여 폐기처분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송 콘베이어의 후측을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고 단부에는 날개편이 일체로 형성된 방향절환로울러에 의해 안정적으로 방향을 절환시키므로 적당히 구워진 김에 손상을 주지 않아 그 만큼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 방향절환 과정에서 발생되어 하부의 복귀 콘베이어에 끼게 되는 부스러기는 브러쉬 로울러에 의해 탈거하여 하부에 위치한 재치판상으로 낙하되도록 함으로서 항시 본체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본체의 전측상부에 공급부와 하부에 계수기를 구비하고, 내부의 상부에는 원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에 외삽되는 공급 콘베이어의 상, 하부에는 히터를 장착하고 하부에는 구워진 김을 계수기로 공급하기 위한 복귀 콘베이어로 구성된 통상의 자동 김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 콘베이어의 후측상부에 로울러와 종동로울러의 각도를 대략 10도 하향 경사지도록 배설하여 외측에 공급 콘베이어을 장착하고, 상기 종동로울러의 근접 위치에 외주연에 수 개의 날개편이 형성된 방향절환로울러와 덮개의 내주면에 고정된 차단부재에 의해 김을 차단 및 유도하여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귀 콘베이어에 의해 계수기로 복귀되도록 하고, 복귀 콘베이어의 하부에는 김부스러기를 받을 수 있는 재치판이 안내레일에 삽입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절환장치.
KR1019990039227A 1999-09-14 1999-09-14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KR100339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227A KR100339208B1 (ko) 1999-09-14 1999-09-14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227A KR100339208B1 (ko) 1999-09-14 1999-09-14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462A KR20010027462A (ko) 2001-04-06
KR100339208B1 true KR100339208B1 (ko) 2002-05-31

Family

ID=1961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227A KR100339208B1 (ko) 1999-09-14 1999-09-14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2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800A (ko) * 2002-11-20 2004-05-27 우석수 김 제조기의 발장전환장치
KR101062857B1 (ko) 2011-04-12 2011-09-07 백성춘 어묵 냉각장치
CN106733789A (zh) * 2016-11-30 2017-05-31 江苏恒顺醋业股份有限公司 一种翻醅机自动清理机构及清理方法
KR20200132061A (ko) 2019-05-15 2020-11-25 김주식 김 구이기
KR20220107759A (ko) 2021-01-26 2022-08-02 가부시키가이샤 카와시마 세이사쿠쇼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704B1 (ko) * 2010-04-01 2013-06-10 김주식 김 구이기
CN112617143B (zh) * 2020-12-15 2023-02-28 山东大学 一种紫菜卷菜装置、自动卷卷装置及紫菜卷加工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800A (ko) * 2002-11-20 2004-05-27 우석수 김 제조기의 발장전환장치
KR101062857B1 (ko) 2011-04-12 2011-09-07 백성춘 어묵 냉각장치
CN106733789A (zh) * 2016-11-30 2017-05-31 江苏恒顺醋业股份有限公司 一种翻醅机自动清理机构及清理方法
KR20200132061A (ko) 2019-05-15 2020-11-25 김주식 김 구이기
KR20220107759A (ko) 2021-01-26 2022-08-02 가부시키가이샤 카와시마 세이사쿠쇼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462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208B1 (ko)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NL9101694A (nl) Inrichting voor het bewerken van spiermagen van gevogelte.
KR102143204B1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US2714257A (en) Egg drying machine
US2784447A (en) Crab cleaning machine
KR20120013077A (ko) 야채류 가공장치
WO2000013516A1 (en) Shrimp peeling apparatus
JPH07300221A (ja) 鋲螺供給装置
US457029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gizzards from the entrails of poultry and for further processing the gizzards
KR102084069B1 (ko) 아몬드 가공방법 및 아몬드 내피 탈피장치
EP1632141B1 (en) Vorrichtung zum Säubern von Sprossen
JPH1190360A (ja) 果菜洗浄装置
US2824318A (en) Egg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367173B1 (ko) 오징어 가공장치
EP0424323B1 (en) An automatic skinner for non-scaly fish
CN111134268A (zh) 一种方便上下料的虾加工用蒸煮装置
KR200239362Y1 (ko) 고추 이물질 제거장치
KR0128261Y1 (ko) 세척장치를 구비하는 과일 선별기용 컨베이어
EP0838162B1 (en) Apparatus for treating the surface of bulbous or tuberous crops
WO1990003115A1 (en) Apparatus for the cleaning of fish
JP3098302B2 (ja) 送帯蒸機への生茶葉供給装置
SU1049033A1 (ru) Машина дл мойки и сушки корнеплодов и овощей
KR960008338Y1 (ko) 오징어 즉석구이기의 투입장치
BE1003720A6 (nl)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randen aan visfi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