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759A -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759A
KR20220107759A KR1020210010813A KR20210010813A KR20220107759A KR 20220107759 A KR20220107759 A KR 20220107759A KR 1020210010813 A KR1020210010813 A KR 1020210010813A KR 20210010813 A KR20210010813 A KR 20210010813A KR 20220107759 A KR20220107759 A KR 20220107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transfer
unit
she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미 카와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카와시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카와시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카와시마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21001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759A/ko
Publication of KR2022010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풍차방식에서 승강식으로 구조적 변경을 통해, 상기 김 계수기의 전체적인 길이를 단축시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성과 김의 중첩 또는 탈락을 방지시켜 김 계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종래의 에어실린더 및 솔레노이드의 전자식에 의한 정전기 및 수분 발생에 의한 김 불량을 발생하였지만 모터구동에 의한 기구적 구성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김 불량을 원척적으로 해소하는 등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낱장의 김을 제공받아 이를 원하는 개수에 맞춰 적층시킨 적층 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김 계수기에 있어서, 낱장의 김을 순차적으로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해 제공되는 낱장 김을 적층구간으로 위치시키도록 유도하는 밀착이송롤과; 상기 밀착이송롤의 일방에 구성되어, 상기 밀착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이 적층구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층유도판과; 상기 밀착이송롤의 하방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적층유도판을 통해 안정적으로 적층구간으로 적층되는 낱장 김을 카운팅함과 함께 일면이 정렬되도록 지지하는 계수정렬판과; 상기 계수정렬판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적층구간으로 적층되는 낱장 김을 받침하여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적층이 완료된 적층 김을 일방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이송회전판과; 상기 이송회전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회전판을 통해 이송된 적층 김을 제공받아 이를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제2이송부와 이송회전판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A laver counting machine}
본 발명은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풍차방식에서 승강식으로 구조적 변경을 통해, 상기 김 계수기의 전체적인 길이를 단축시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성과 김의 중첩 또는 탈락을 방지시켜 김 계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종래의 에어실린더 및 솔레노이드의 전자식에 의한 정전기 및 수분 발생에 의한 김 불량을 발생하였지만 모터구동에 의한 기구적 구성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김 불량을 원척적으로 해소하는 등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른 원초 김은 해태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를 잘게 세절하여 물에 희석시키고, 희석된 해태를 김발에 펼쳐 부착시킨 후 이를 건조하여 마른 원초 김을 생산한다.
상기 원초 김 생산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시키고, 원초 김의 생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원초 김의 성형과 건조를 자동으로 하는 원초 김 제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원초 김은 포장을 통해 유통되게 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수량씩 예컨대, 대략 100장씩 포장하여 유통되게 된다.
즉, 제조된 원초 김은 계수장치를 통해 일정 수량씩 계수 및 정렬되고, 그 계수된 원초 김은 종이 등의 띠를 이용하여 결속 처리하여 묶음 구성하며 다시 최종 건조를 거쳐 포장되게 된다.
종래의 김 계수장치의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0-2162014호의 김 계수 및 정렬 건조장치는, 생산된 김이 공급되며, 후단에는 계수센서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김의 계수가 가능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연속 형성되어 소단위로 계수센서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배출되는 김을 설정 계수에 맞게 소단위로 정렬하는 계수정렬부와, 상기 계수정렬부와 연속 형성되어 소단위로 정렬된 김을 간지를 사이에 두고 복수층으로 적층시켜 대단위를 이루게 하는 한편, 대단위의 김을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간지 삽입부와, 대단위의 김을 공급받아 묶음 및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의 후방에서 연속 형성되어 묶음된 대단위 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후방에서 연속 형성되어 이송된 대단위 김을 열풍 건조하는 건조기(600)를 포함한다.
이 중, 상기 계수 정렬부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김을 인계받아 계수 및 정렬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공급부의 2열의 롤러 콘베이어와 연속되게 2열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예수 정렬부는 먼저, 폭방향 양측에는 공급되는 김의 양측 가이드가 가능한 양측 한 쌍의 측면 정렬판이 구성된다.
또한, 양측 측면 정렬판의 사이에는 공급된 김의 정렬 및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체인 콘베이어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인 콘베이어는 상기 계수센서의 신호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계수모터로 작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체인 콘베이어에는 공급되는 김을 일정 수량씩 정렬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계수분리개가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계수분리대는 먼저 각각은 폭 방향 길이를 이루며 체인 콘베이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공급되는 김의 지지가 가능한 김 지지판이 구성된다.
상기 김 지지판에는 체인 콘베이어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김의 분리가 가능한 김 분리핀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인 콘베이어의 상부로 이격되는 위치에는 체인 콘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김의 상부를 눌러 정렬하는 상부 정렬판이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정렬판은 실린더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하면서 이동하는 김을 반복하여 눌러주어 정렬되게 한다.
즉, 계수 정렬부는 상기 공급부로부터 김을 공급받되, 가장 선단에 형성된 계수분리대에 계수되는 김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체인 콘베이어는 계수모터 구동에 의해 시간차를 두고 작동하되, 상기 계수센서 신호에 따라 일정 수량(소단위)이 계수되면 계수모터의 회전 작동에 의해 체인 콘베이어가 구동 및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시간차를 두고 연속하여 각각의 계수 분리대 사이에 소단위로 김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용된 소단위 김은 체인 콘베이어의 상부로 이동 및 상부에서 수평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측 측면 정렬판에 의해 양측 정렬과 상부 정렬판에 의해 상부 정렬되며 이동 및 후단으로 이동시 간지 삽입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계수 정렬부는 체인 콘베이어가 선회작용으로 무한 반복적으로 일정길이를 이동하면서 소단위로 김을 계수하는 일명 '풍차방식'을 채택함으로서, 풍차방식을 실현시키기 위한 길이가 길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과 함께, 길이에 의한 공간 활용성이 저하시키는 2차적인 문제점까지 있다.
즉, 풍차방식의 체인 콘베이어는 대략 1,500(mm)의 길이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풍차방식의 체인 콘베이어의 경우, 소단위 예컨대, 10장씩 이송시킨다고 할 경우, 10장이 채워지면 체인 콘베이어가 일정각도 회전시간동안 잠시 정지상태를 이루어져야 하는 정지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계수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계수시간 지연을 극복하고자 연속작업을 수행할 경우, 소단위로 분리된 김 들에 다음 차순의 김이 중첩 또는 탈락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김 계수의 신뢰성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10장씩 소단위로 계수된다 할 경우, 10번째 장의 김이 수용되어, 체인 콘베이어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11번재의 김이 회동하는 체인 콘베이어의 일측에 실려져 중첩될 수 있다.
또는, 김은 얇은 박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회동하는 체인 콘베이어의 사이공간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는 탈락의 위험성으로 계수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307477호 대한민국 특허 제10-1103380호 대한민국 특허 제10-33920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풍차방식에서 승강식으로 구조적 변경을 통해, 상기 김 계수기의 전체적인 길이를 단축시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성과 김의 중첩 또는 탈락을 방지시켜 김 계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종래의 에어실린더 및 솔레노이드의 전자식에 의한 정전기 및 수분 발생에 의한 김 불량을 발생하였지만 모터구동에 의한 기구적 구성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김 불량을 원척적으로 해소하는 등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낱장의 김을 제공받아 이를 원하는 개수에 맞춰 적층시킨 적층 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김 계수기에 있어서, 낱장의 김을 순차적으로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해 제공되는 낱장 김을 적층구간으로 위치시키도록 유도하는 밀착이송롤과; 상기 밀착이송롤의 일방에 구성되어, 상기 밀착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이 적층구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층유도판과; 상기 밀착이송롤의 하방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적층유도판을 통해 안정적으로 적층구간으로 적층되는 낱장 김을 카운팅함과 함께 일면이 정렬되도록 지지하는 계수정렬판과; 상기 계수정렬판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적층구간으로 적층되는 낱장 김을 받침하여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적층이 완료된 적층 김을 일방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이송회전판과; 상기 이송회전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회전판을 통해 이송된 적층 김을 제공받아 이를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제2이송부와 이송회전판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이송부에는,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의 측면이 정렬되도록 지지하는 정렬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이송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롤과, 상기 복수의 롤 사이를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능동적으로 낱장 김에 대한 측면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밀착이송롤의 하방에는,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의 상방에 밀착이송롤이 밀착되고, 상기 낱장 김의 하방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낱장 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밀착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밀착이송롤은, 상기 제1이송부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보다 상기 밀착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이 신속하게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밀착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과 제1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의 사이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김 계수기에는, 상기 적층유도판을 통해 유도되면서 적층구간으로 적층되는 낱장 김 또는 적층 김의 양측면이 정렬되도록 지지하는 측면정렬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이송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적층 김을 제공받아, 이를 일방에 구성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이송부는, 이송회전판을 통해 제공되는 적층 김을 제공받아 이를 받침,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방에 구성되고, 수평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수평이송봉; 및 상기 수평이송봉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수평이송봉의 안내에 따라 왕복 이송하면서 상기 받침판 상에 적층된 적층 김을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수평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승강부는, 수직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수직봉; 및 상기 수직봉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수직봉의 안내에 따라 왕복 승강하여,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적층 김을 받침함과 함께 상기 적층김을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수직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승강부에는, 상기 수직봉의 일측에 수평으로 일정길이로 구성되는 제2수평봉; 및 상기 제2수평봉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제2수평봉의 안내에 따라 왕복 이송하여, 승강된 수직받침판 상에 적층된 적층 김을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2수평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수정렬판은, 낙하하는 김을 정렬시키도록 하는 판상, 원형벨트 또는 평벨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풍차방식에서 승강식으로 구조적 변경을 통해, 상기 김 계수기의 전체적인 길이를 단축시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성과 김의 중첩 또는 탈락을 방지시켜 김 계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종래의 에어실린더 및 솔레노이드의 전자식에 의한 정전기 및 수분 발생에 의한 김 불량을 발생하였지만 모터구동에 의한 기구적 구성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김 불량을 원척적으로 해소하는 등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의 작용상태 공정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는, 종래의 풍차방식에서 승강식으로 구조적 변경을 통해, 상기 김 계수기의 전체적인 길이를 단축시킴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활용성과 김의 중첩 또는 탈락을 방지시켜 김 계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종래의 에어실린더 및 솔레노이드의 전자식에 의한 정전기 및 수분 발생에 의한 김 불량을 발생하였지만 모터구동에 의한 기구적 구성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김 불량을 원척적으로 해소하는 등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본 발명의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 대칭으로 구성됨에 따라 김 계수 생산량을 증폭시켰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김 계수기는 단열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에선, 상기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의 일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는 제1이송부(10)와,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와, 적층유도판(40)과, 계수정렬판(50)과, 측면정렬판(60)과, 이송회전판(70)과, 제2이송부(80)와, 승강부(90), 및 구동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송부(10)는 공급부를 통해 제공되는 낱장의 김을 일측방에 구성되는 적층구간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이송부(10)는 다수의 롤을 통해 이송이 이루어진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콘베이어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이송부(10)는 낱장의 김이 일렬로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이송부(10)에는 공급부를 통해 불규칙적으로 이송되는 김들의 일측면을 지지함으로서, 정렬된 상태로 적층구간으로 위치되도록 유도하는 정렬이송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이송부재(110)는 상기 제1이송부(10)의 측방 즉, 상기 제1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되는 김의 일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김의 측면이 정렬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정렬이송부재(110)는 롤과 벨트방식을 채택한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판상으로 구성함에 따라 김의 측면 정렬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정렬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상기 정렬이송부재(110)는 벨트가 선회작용으로 이송하면서 김의 측면이 정렬되도록 하는 능동적 구동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김의 측면 정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정렬이송부재(110)는 상기 제1이송부(10)의 전체 길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이송부(10)의 전방에서 일정길이에 구성됨으로써, 상기 김이 적층구간에 들어서기 전에 측면 정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길이이면 충분하다.
상기 밀착이송롤(20)는 상기 제1이송부(10)의 전방 즉, 적층구간이 위치된 방향에 구성되어, 상기 제1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되는 김의 상단면이 밀착되어, 상기 김이 신속하게 적층구간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밀착이송롤(20)의 외주연에는 상기 김을 상단이 밀착되어 신속하게 이송될 때, 부서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쿠션부재가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밀착이송롤(20)은 별도의 큐션부재를 형성하지 않고, 김을 손상시키기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밀착이송롤(20)은 상기 제1이송부(10)의 이송속도보다 20 ~ 100% 증가된 이송속도를 가짐에 따라, 상기 제1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되는 김과 상기 밀착이송롤(20)을 통해 이송되는 김의 사이를 벌려줌에 따라 적층구간에서 김의 적층 시 중첩 등의 적층불량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밀착이송롤(20)과 제1이송부(10)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밀착이송벨트(30)는 상기 밀착이송롤(20)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밀착이송롤(20)이 김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밀착이송벨트(30)가 김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김의 이송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밀착이송벨트(30)는 복수의 이송롤과 상기 복수의 이송롤을 선회하는 벨트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벨트는 상술한 상기 밀착이송롤(20)의 쿠션부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이송 중 김이 손상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이송벨트(30)는 이송롤과 벨트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밀착이송롤(20)과 같이 하나의 롤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김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밀착이송벨트(30)는 제1롤과 상기 제1롤의 일정간격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제2롤과, 상기 제2롤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는 제3롤로 구성되되, 상기 제1롤보다 상기 제2롤이 하방으로 낮은 위치에 구성됨으로써, 상기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 사이를 통과하는 김이 하향되게 이송되도록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층유도판(40)은 상기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의 전방에 구성되어, 상기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를 통과한 김이 하방으로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적층유도판(40)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전진되는 김이 적층구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적층유도판(40)은 일단에 라운딩처리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서 전방으로 하향되는 기울기를 가지는 기울기면과, 상기 기울기면의 전방에 구성되되, 유선형으로 하향되는 유선면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적층유도판(40)은 상기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의 전방에 구성되어, 김이 적층구간에서 낱장의 김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상기 계수정렬판(50)은 상기 적층유도판(40)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적층유도판(40)을 통해 하방으로 유도되면서 낙하하는 낱장의 김을 카운팅함과 함께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계수정렬판(50)은 일단에 힌지가 구성되어, 상기 힌지를 통해 일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에는 엔코더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계수정렬판(50)이 일정각도 회동함에 따라 김의 계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힌지에 엔코더를 구성하는 방식이 아니라, 적층구간의 일측에 리미트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등을 구성하여, 상기 적층유도판(40)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는 낱장의 김을 카운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낱장의 김을 카운팅하는 구성은 상기 제1이송부(10) 또는 밀착이송롤(20), 밀착이송벨트(30)의 일측에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적층구간에 적층되는 낱장의 김을 안정적으로 카운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또는 종래와 동일한 방식의 김 카운팅 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계수정렬판(50)은 박판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계수정렬판(50)은 일단이 힌지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에서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끝단에서 후방으로 일정각도 절곡되는 후방절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계수정렬판(50)은 상방에서 낙하되는 김의 일측면을 정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적층구간에 적층된 김들의 수직면을 정렬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계수정렬판(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판 상으로 구성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벨트, 평벨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낙하는 김의 정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상기 측면정렬판(60)은 적층구간의 양측면 각각에 구성됨으로써, 상기 적층구간으로 적층되는 김의 양측면이 정렬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측면정렬판(60)은 상기 계수정렬판(50)과 다른 측면에 대한 김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계수정렬판(50)에 의해 김의 측면을 정렬시킴에 따라 측면정렬판(60)을 생략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정렬판(60)은 고정식으로 구성되어, 김의 양측면이 정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측면정렬판(60)은 복수로 구성되어, 김의 양측면 각각에 대응되도록 하고, 이 경우, 상기 김의 양측면과 다소의 여유를 가지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하방으로 김의 낙하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송회전판(70)은 적층구간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적층구간에서 제공되는 김들을 받침지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송회전판(70)은 일정개수 김의 적층이 완료되면, 일측방에 구성된 제2이송부(80)로 이송시킨다.
이 경우, 상기 이송회전판(70)은 90°씩 간헐적 회전을 통해 상방에 적층된 김을 하방으로 이송시키는 풍차식이 적목된다.
또한, 상기 이송회전판(70)은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김들의 적층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김은 100장 묶음인 한속을 기준으로, 50장인 반속, 20장 또는 10장 등으로 구분하여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제2이송부(80)는 상기 이송회전판(70)의 하방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회전판(70)을 통해 이송되는 적층 김을 제공받아, 이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이송부(80)는 받침판(82)과, 수평이송봉(84), 및 수평밀대(86)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판(82)은 상기 이송회전판(70)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회전판(70)을 통해 제공되는 적층 김을 안정적으로 받침하여, 김의 적층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받침판(82)은 고정된 구조를 채택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받침판(82)은 상기 수평밀대(86)와 연동하여 수평으로 왕복이송할 수 있도록 이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송봉(84)은 상기 받침판(82)의 하방에 수평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밀대(86)의 왕복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평밀대(86)는 상기 수평이송봉(84)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이송봉(84)의 안내에 따라 수평 즉, 좌, 우로 왕복 이송하면서 상기 받침판(82)에 적층된 적층 김을 승강부(90)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승강부(90)는 상기 제2이송부(80)의 전방에 구성되어, 상기 제2이송부(80)를 통해 제공되는 적층 김을 일정높이에 위치시켜 다음 포장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적층 김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승강부(90)는 수직봉(92)과 수직받침판(94)과, 제2수평봉(96), 및 제2수평밀대(98)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봉(92)은 일측에 수직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받침판(94)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직받침판(94)은 상기 수직봉(92)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2이송부(80)를 통해 제공받은 적층 김을 받침지지하면서, 상기 수직봉(92)의 안내에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적층 김을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받침판(94)은 상기 적층 김이 상기 제2수평밀대(98)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높이로 승강된다.
상기 제2수평봉(96)은 상기 제2이송부(80)의 상방 일정높이 수평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수평밀대(98)의 왕복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수평밀대(98)는 상기 제2수평봉(96)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2수평봉(96)의 안내에 따라 적층 김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제2수평밀대(98)는 상기 수직받침판(94)을 통해 일정높이로 상승된 적층 김을 일측에 구성된 포장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시킨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층 김의 후순 공정에 따라 상기 제2수평봉(96) 및 제2수평밀대(98)를 생략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수평밀대(98)는 적층 김을 하방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는 적층 김의 후순 공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동부(100)는 제2이송부(80)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제2이송부(80)의 받침판(82)을 90°정, 역회전시켜 상기 받침판(82)에 한속의 김 중 반속 또는 20장, 10장 등으로 지그재그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100)에는 정, 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구성되어, 정, 역회전력을 연결 또는 해제시켜 간헐적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예컨대, 통상적으로 김 한속은 낱장의 김이 100장 묶음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속은 50장 등으로 구분되고, 이는 판매자 등의 요구에 따라 한속인지, 반속인지를 구분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조미김 등의 경우에 10장 또는 20장 소포장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구동부(100)는 제1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되는 김들을 카운팅하되, 판매자 등이 요구되는 묶음단위 예컨대, 한속, 반속, 20장, 10장별로 이송회전판(70)에서 적층이 이루어지면, 상기 이송회전판(70)에서 묶음단위별로 제2이송부(80)로 이송된다.
좀 더 살펴보면, 한속 즉, 100장을 기본단위로 하여, 한속이 이송회전판(70)에 적층이 이루어지면 제2이송부(80)로 이송되도록 하고, 만약 반속 즉, 50장씩 구분하여 적층하고자 할 경우 이송회전판(70)에 50장이 적층되면 상기 이송회전판(70)에서 90°회전되어 50장의 적층김이 하방으로 이송되어, 제2이송부(80)의 받침판(82)에 적층되고, 이때 상기 받침판(82)의 하방에 구성된 구동부(100)에 의해 상기 받침판(82)이 90°역회전되며, 또한 상기 이송회전판(70)에서 재차 50장이 적층되면 제2이송부(80)로 적층김이 이송됨으로써, 상기 받침판(82)에는 100장의 김이 적층되되, 50장씩 지그재그로 적층이 이루어진다.
또한, 위와 같은 방식으로 20장씩 구분하고자할 경우 상기 구동부(100)를 통해 90°정, 역회전을 5회 이루어져 받침판(82)에서 최종 100장의 김이 적층되면 제2이송부(80)를 통해 승강부(90)로 이송되며, 10장씩은 구동부(100)를 통해 90°정, 역회전을 10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판(82)에 원하는 묶음단위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적층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손쉽게 묶음단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김 계수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식으로 낱장 김의 적층 및 적층 김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순 공정인 공급부 등을 통해 낱장의 김이 제1이송부(10)를 통해 일방 즉,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부(10)의 측면에 구성된 정렬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낱장의 김의 일측면에 정렬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10)를 통해 이송되는 낱장의 김은 상기 제1이송부(10)의 전방에 구성된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 사이로 진입된다.
이때, 상기 밀착이송롤(20)은 상기 제1이송부(10)의 이송력보다 신속한 이송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를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과 상기 제1이송부(10)를 통해 제공되는 후순의 낱장 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김 들의 상호 중첩 등의 문제점을 원천봉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 사이를 통과한 김은 상기 밀착이송롤(20)과 밀착이송벨트(30)의 전방에 구성된 적층유도판(40)에 의해 하방으로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유도된다.
또한, 상기 적층유도판(40)의 안내에 따라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하방으로 이송되는 낱장 김은 일측에 구성된 계수정렬판(50)에 일면이 정렬됨과 함께 카운팅이 이루어진다.
또한, 적층구간에 구성된 측면정렬판(60)에 의해 적층되는 김의 양측면을 정렬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김의 정렬된 상태로 적층구간에 적층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적층구간에 적층되는 김 들은 상기 적층구간에 구성된 이송회전판(70) 상에 적층상태를 이룬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회전판(70)에 적층된 적층 김은 상기 이송회전판(70)의 일정각도 회전에 의해 상기 적층 김이 제2이송부(80)의 받침판(82)으로 이송된다.
즉, 상기 이송회전판(70)에서는 묶음단위별 예컨대 한속, 반속, 20장,10장 등으로 김의 적층이 완료되면, 90°회전에 의해 제2이송부(80)의 받침판(82)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80)는 받침판(82)의 하단에 구성된 구동부(100)에서 제공되는 90°정, 역회전에 의해 90°정, 역회전이 이루어져 지그재그로 묶음단위의 김 적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82)에 적층된 적층 김은 상기 받침판(82)의 하방에 구성된 수평이송봉(84)의 일측에 수평밀대(86)가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수평밀대(86)가 일측 예컨대, 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받침판(82) 상에 적층된 적층 김이 상기 수평밀대(86)의 이송에 의한 밀림력으로 밀림되어 이송된다.
이후, 상기 수평밀대(86)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음 공정을 수행하도록 대기 상태를 이룬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밀대(86)의 밀림력에 의해 적층 김이 승강부(90)로 이송되면, 상기 승강부(90)의 승강작용에 의해 상기 적층 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즉, 상기 승강부(90)의 수직받침판(94)으로 적층 김이 안착되면, 상기 수직받침판(94)은 수직봉(92)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받침판(94)이 상승되면, 상기 상승된 수직받침판(94)의 일측에 구성된 제2수평밀대(98)가 제2수평봉(96)의 안내를 받으면서 일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적층 김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는 풍차방식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계수만큼 김을 묶음단위별로 이송함과 묶음단위별로 지그재그로 적층이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이송부 110: 정렬이송부재
20: 밀착이송롤 30: 밀착이송벨트
40: 적층유도판 50: 계수정렬판
60: 측면정렬판 70: 이송회전판
80: 제2이송부 82: 받침판
84: 수평이송봉 86: 수평밀대
90: 승강부 92: 수직봉
94: 수직받침판 96: 제2수평봉
98: 제2수평밀대 100: 구동부

Claims (10)

  1. 낱장의 김을 제공받아 이를 원하는 개수에 맞춰 적층시킨 적층 김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에 있어서,
    낱장의 김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해 제공되는 낱장 김을 적층구간으로 위치시키도록 유도하는 밀착이송롤과;
    상기 밀착이송롤의 일방에 구성되어, 상기 밀착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이 적층구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적층유도판과;
    상기 밀착이송롤의 하방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적층유도판을 통해 안정적으로 적층구간에 적층되는 낱장 김을 카운팅함과 함께 일면이 정렬되도록 지지하는 계수정렬판과;
    상기 계수정렬판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적층구간으로 적층되는 낱장 김을 받침하여 적층상태를 유지하고 적층이 완료된 적층 김을 일방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이송회전판과;
    상기 이송회전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송회전판을 통해 이송된 적층 김을 제공받아 이를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2이송부; 및
    상기 제2이송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에는,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의 측면이 정렬되도록 지지하는 정렬이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이송부재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롤과, 상기 복수의 롤 사이를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능동적으로 낱장 김에 대한 측면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이송롤의 하방에는,
    상기 제1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의 상방에 밀착이송롤이 밀착되고, 상기 낱장 김의 하방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낱장 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밀착이송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착이송롤은,
    상기 제1이송부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보다 상기 밀착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이 신속하게 이송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밀착이송롤을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과 제1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낱장 김의 사이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에는,
    상기 적층유도판을 통해 유도되면서 적층구간으로 적층되는 낱장 김 또는 적층 김의 양측면이 정렬되도록 지지하는 측면정렬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적층 김을 제공받아, 이를 일방에 구성된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이송회전판을 통해 제공되는 적층 김을 제공받아 이를 받침, 지지하고, 구동부에서 제공되는 90° 정,역회전에 의해 90°정, 역회전함에 따라 지그재그방식으로 김이 묶음단위로 적층되도록 구성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방에 구성되고, 수평으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수평이송봉; 및
    상기 수평이송봉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수평이송봉의 안내에 따라 왕복 이송하면서 상기 받침판 상에 적층된 적층 김을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수평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수직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수직봉; 및
    상기 수직봉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수직봉의 안내에 따라 왕복 승강하여, 상기 제2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적층 김을 받침함과 함께 상기 적층김을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수직받침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수직봉의 일측에 수평으로 일정길이로 구성되는 제2수평봉; 및
    상기 제2수평봉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제2수평봉의 안내에 따라 왕복 이송하여, 승강된 수직받침판 상에 적층된 적층 김을 일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2수평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수정렬판은,
    낙하하는 김을 정렬시키도록 하는 판상, 원형벨트 또는 평벨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KR1020210010813A 2021-01-26 2021-01-26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KR20220107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13A KR20220107759A (ko) 2021-01-26 2021-01-26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13A KR20220107759A (ko) 2021-01-26 2021-01-26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59A true KR20220107759A (ko) 2022-08-02

Family

ID=8284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813A KR20220107759A (ko) 2021-01-26 2021-01-26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75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208B1 (ko) 1999-09-14 2002-05-31 김주식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KR101103380B1 (ko) 2011-03-07 2012-01-06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307477B1 (ko) 2011-12-27 2013-09-11 주식회사 정철 김 계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208B1 (ko) 1999-09-14 2002-05-31 김주식 자동 김구이기의 방향 절환장치
KR101103380B1 (ko) 2011-03-07 2012-01-06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307477B1 (ko) 2011-12-27 2013-09-11 주식회사 정철 김 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51223A (ja) 包装機械に用紙を送る搬送装置
US20070107385A1 (en) Unit and method for forming packs of products for a packaging machine
CN210140314U (zh) 一种垂直收纸码垛设备
US4042234A (en) Blank feeding machine
EP2780265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orming stacks of timber, and stack obtained through said method
EP2432717B1 (en) A palletizer and a method of palletizing items
JP2007276988A (ja) 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
FI86285B (fi) Anordning foer stapling saerskilt av tryckalster som tillfoers oeverlappsvis samt foerfarande foer anordningens drift.
US3488693A (en) Bag-making machine
KR102005852B1 (ko) 골판지 시트의 와프방지를 위한 적재장치
KR20220107759A (ko) 김 계수 집적 배출장치
CN212125687U (zh) 一种面膜数片机
KR20130085390A (ko) 완전 정렬이 가능한 공간 활용형 용지 반전 적재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골판지 합지장치
CN209257156U (zh) 一种蜂窝纸板模切生产线
CN105644849A (zh) 一种馒头整理装置
CN109552928B (zh) 一种瓦楞纸板堆码机
KR200414727Y1 (ko) 제품 자동정렬장치
CN111169705A (zh) 一种面膜数片机
JPS5931217A (ja) 魚皿集積体自動形成装置
JP2008156075A (ja) 給紙装置
JP4136159B2 (ja) 積み重ねシートの段積装置
JP2936061B2 (ja) 折り畳まれた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8839902U (zh) 一种木皮分级打包机
CN217398027U (zh) 纸垛出料堆叠输送设备
WO2003066909A1 (en) Method of forming packs of skins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