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094B1 - 연질폴리우레탄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질폴리우레탄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094B1
KR100339094B1 KR1019940032474A KR19940032474A KR100339094B1 KR 100339094 B1 KR100339094 B1 KR 100339094B1 KR 1019940032474 A KR1019940032474 A KR 1019940032474A KR 19940032474 A KR19940032474 A KR 19940032474A KR 100339094 B1 KR100339094 B1 KR 10033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polyol
glycerin
weight
glycerin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163A (ko
Inventor
카쿠모토나오
오오타히데후미
키타나니후토시
나가타코오자부로오
Original Assignee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16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mixtures of two or more polyether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72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63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50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the low-molecular compounds being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511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the low-molecular compounds being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08G18/6517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the low-molecular compounds being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552Compounds of group C08G18/63
    • C08G18/6558Compounds of group C08G18/63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564Compounds of group C08G18/63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5Water, e.g. hydrated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활성수소당량이 800∼10000의 폴리올, (1)식으로 표시되는 제1글리세린유도체,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물을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연질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이다.
(n과 m은 n+m=1∼8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의 정수)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함께, 글리세린 2위 수산기에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된 (2)식으로 표시되는 트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P와 r은 0 또는 양의 정수, q는 양의 정수, p + q + r =1∼8을 만족한다)
플론11이나 플론123 등의 오존충을 파괴하는 휘발성 플루오로카본을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폼의 경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반발탄성률이 크며, 습열잔류변형률이 작으며, 또 밀도 45kg/㎥이하의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론화합물 등의 발포조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반발탄성률이 크고, 밀도와 습열잔류변형률이 작은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질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데에, 종래는 플론11, 플론123 등의 비점(沸点)이 낮은 플론화합물을 발포조제로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플론화합물은 지구를 둘러싸는 오존층을 파괴하므로, 플론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고, 발포제로서 물만을 사용하여 연질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밀도 45kg/㎥을 넘지 않는 연질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데는, 발포배율을 유지하기 위해서 물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물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면 얻어진 연질폴리우레탄폼은, 반발탄성률이 작고, 습열잔류변형률이 커지는 결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키타(kita)등은 일본특허공개 소63-75021에, 말단에 활성수소를 보유하는 비아민계 4관능 화합물인 에틸렌옥시드부가물을 사용하여 고탄성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로버트 던 화이트맨 등은 일본특허공개 평2-173028에, 반응개시제로서 작용하는 2관능성 또는 3관능성 화합물인 에틸렌옥시드부가물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키타 등이 제안한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우레탄폼은, 신도(伸度)의 관점에서, 로버트 던 화이트맨 등이 제안한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우레탄폼은, 습열잔류변형률 및 신도는 양호하지만, 경도(硬度)의 관점에서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습연잔류변형, 경도, 반발탄성 또는 신도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완성에 의해서, 습열잔류변형, 경도, 반발탄성 및 신도가 개선된, 자동차나 가구의 시이트 또는 쿠션으로 적당한 연질폴리우레틴폼을 제조할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밀도가 45kg/㎥을 초과하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15∼45kg/㎥ 범위의 연질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시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의 구조나 수산기수와 에틸렌옥시드 부가몰수의 관계 등을 예의 연구하였다.
상기 연구결과, 본 발명자는 다음 사항을 발견하였다.
(1) 수산기수가 4이상의 개시제화합물에 부가한 에틸렌옥시드부가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폼은 신도가 낮아진다.
(2) 수산기수가 2이하의 개시제화합물에 부가한 에틸렌옥시드부가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폼은 경도가 낮아진다.
(3) 트리메티롤프로판의 에틸렌옥시드부가물 또는 2급 수산기를 지니지 않은 글리세린의 에티렌옥시드부가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폼은, 기포가 독립구조로 되기 쉽고, 습열잔류변형률은 커진다. 그 이유는 화합물의 수산기자 모두 1급이므로,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증합반응이 급속도로 진행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물을 단독으로 발포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폴리올로서 특정한 활성수소당량을 보유하는 고분자량 폴리올과, 2급 수산기를 보유하는 글리세린의 에틸렌옥시드부가물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폼은 습열잔류변형률이나 신도가 저하하는 일 없이, 경도와 반발탄성률이 크다.
그래서, 본 발명은 활성수소당량이 800∼10000의 폴리올, 다음의 (1)식으로 표시되는 제1의 글리세린유도체,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물을 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연질폴리우레탄폼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단, n과 m은 n+m=1∼8을 만족시키는 0 또는 양의 정수)
또 본 발명은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함께, 글리세린의 2위 수산기에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된 제2글리세린유도체, 즉 (2)식으로 표시되는 트리올을 사용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단 p와 r은 0 또는 양의 정수, q는 양의 정수, p + q + r = 1∼8)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플론11이나 플론123 등의오존층을 파괴하는 휘발성 플루오로카본을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폼의 경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반발탄성률이 크며, 습열잔류변형률이 작으며, 또 밀도 45kg/㎥이하의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은, 활성수소당량이 800∼10000이라면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므로 좋다.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이들의 폴리올 중에서, 비닐모노머를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중합체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 중,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 알코올류, 아민류 또는 암모니아 등의 블럭 또는 랜덤 알킬렌옥사시드부가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제조에 사용되는 알코올류로는, 예를 들어 2가 알코올류(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6-헥산디올 등) : 3가 알코올류(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등) ; 4가 알코올류(펜타에리쓰리톨, 메틸글리코시드 등) : 8가 알코올류(스크로오스 등)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민류로는, 모노아민류(메틸아민, 에틸아민, 아닐린 등) ; 알칸올아민(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등) ; 디아민류(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옥시드로는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1,2-, 1,4- 또는 2,3-부틸렌옥시드 및 이들 2종 이상을 병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및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폴리에테르폴리올과함께 소량의 1가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부탄을 등) 및/또는 1가의 2급 아민류(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등)의 알킬렌옥시드부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는, 상기 2∼3가 알코올류와 폴리카르복실산류(아디프산, 말레인산,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등)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축합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락톤류(ε -카프로락탐 등)의 개화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락톤폴리올 및 폴리에스테르 성형품을 글리콜분해하여 얻어지는 회수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들 수 있다.
중합체폴리올로는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 중에서, 라디칼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염화비닐리덴 등의 비닐모노머를 중합하고, 분산, 안정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중합체폴리올 중 비닐모노머의 중합체함량은 통상 20∼50중량%이다.
폴리올 중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테르폴리올, 중합체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에틸렌옥시드칩형 폴리에테르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폴리올의 활성수소당량은 800∼1000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3000이다. 활성수소당량이 800미만의 폴리올을 사용하면, 얻어진 폴리우레탄폼이 강직하고, 반발탄성률이나 신도가 감소된다. 활성수소당량이 10000을 초과하는 폴리올은 점도가 높기 때문에, 밀도 45kg/㎥이하의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제조가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폴리올의 평균활성수소수는, 통상 2.5∼5, 바람직하게는 3∼4의 범위이다. 평균활성수소수가 2.5미만에서는 압축잔류변형률 및 습열잔류변형률이 커지고, 5를 초과하면 반발탄성률 및 신도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1글리세린유도체는 상기 (1)식으로 표시된다. 제1글리세린유도체는, 예를 들어, 에드가 휘셔 등이 개시한 미국특허 제3457228호와 영국특허 제1171107호에, 폴리아세탈수지의 코모노머성분으로서 개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히드록시에톡시프로필렌글리콜, 3-(히드록시디에톡시)-프로필렌글리콜, 3-(히드록시트리에톡시)-프로필렌글리콜, 3-(히드록시테트라에톡시)프로필렌글리콜, 1,3-비스-(히드록시에톡시)이소프로판올, 1,3-비스-(히드록시디에톡시)이소프로판올, 1,3-비스-(히드록시트리에톡시)이소프로판올, 1,3-비스-(히드록시테트라에톡시)이소프로판올, 1-히드록시에톡시-3-히드록시디에톡시이소프로판올 및 1-히드록시에톡시-3-히드록시트리에톡시이소프로판올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글리세린유도체는, 예를 들어 유화학 26권 179∼181페이지(일본:1976년 발행)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합성할 수 있다. 또 1,2-디아세틴에, 에틸렌옥시드를 부가 또는 α-할로게노-ω-히드록시드 폴리옥시드에틸렌에테르를 반응시켜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글리세린 1몰에 대한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미만인 글리세린유도체 혼합물을 사용하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폼은 반발탄성률이 낮아지고, (평균)부가몰수가 8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면, 지나치게 연질이 된다.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함께 글리세린의 2위 수산기에 에틸렌옥시드가 부가된 제2글리세린유도체, 즉 상기 (2)식으로 표시되는 트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제2글리세린유도체를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양 글리세린유도체의 혼합물의 전체 수산기에 대한 2급수산기수의 비율(이하, 2급OH화율로 칭함)은, 적어도 6%,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이다. 2급OH화율이 6%미만, 즉 전체 수산기에 대한 1급수산기수의 비율이 94%를 초과하면, 글리세린유도체혼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반응이 급속하게 진행하기 때문에 기포가 독립기포가 되기 쉽다. 글리세린의 저에틸렌옥시드부가물을 사용할 때, 특히 이 경향이 생기기 쉽다. 한편, 글리세린의 고에틸렌옥시드부가물을 사용할 때는 경도가 낮아진다. 2급OH화율이 적어도 6%의 양글리콜유도체혼합물을 사용하면, 경제성이 양호하고, 중합반응속도가 적절하게 되며, 연통하는 기포를 보유하고, 경도가 크며, 또 습열잔류변형률이 작은 연질폴리우레탄폼을 얻을 수 있다. 2급OH화율은1H핵자기공명분광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소수(NCO기증, 탄소수를 제외한 것)가 6∼20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2,4- 또는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조제(粗製) TDI, 2,4'-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조제 MDI, 폴리아릴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 탄소수가 2∼18(NCO기중 탄소수를 제외한 것)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등) ; 탄소수가 4∼15(NCO기중 탄소수를 제외한 것)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등) ; 이들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변성물(우레탄기, 카르보디이미드기, 알로파네이트기, 우레아기, 우레토디온기, 뷰렛기, 우레톤이민기, 이소시아누레이트기, 옥사졸리돈기 함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변성물 등) : 특허공개 소61-76517호에 개시되어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또 이들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2종 이상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TDI 또는 TDI함량이 70중량%이상의 TD1와 변성 MDI 및/또는 조제 MDI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TDI이다. 압축잔류변형률, 습열잔류변형률, 반발탄성률 또는 신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촉매는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질산나트륨, 옥틸산납, 옥틸산아연, 나프텐산코발트, 스타나스옥토에이트 등) ;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류금속의 알콕시드 또는 페녹시드(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페녹시드 등) ; 3급 아민류(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디아민, N-메틸몰포린, 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피리딘 등) ; 4급 암모늄염(테트라에틸히드록실암모늄 등) ; 이미다졸류(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등) ; 주석, 안티몬 등의 금속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테트라페닐주석, 트리부틸안티몬옥사이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것은 3급 아민류, 카르복실산금속염 및 주석 또는 안티몬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연질폴리우레탄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각 원료성분의 배합비나 촉매의 사용량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글리세린유도체는 폴리올 100증량부에 대해서, 통상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4중량부를 배합한다.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제2글리세린유도체의 혼랍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1.5∼7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이다. 제1글리세린유도체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 또는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제2글리세린유도체의 혼합물의 사용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제조된 폴리우레탄폼의 압축잔류변형률 및 습열잔류변형률이 커진다. 제1글리세린유도체의 사용량이 5중량부 또는 상기 글리세린유도체의 혼합물의 사용량이 7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된 폴리우레탄폼의 반발탄성률이 작게 되거나, 기포구조가 붕괴되거나 한다. 물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2.5∼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이다. 2.5중량부 미만에서는 발포배율이 작게 되어 폴리우레탄폼의 밀도가 45kg/㎥이하로 되지 않고, 또 8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우레탄폼이 부서지기 쉽게 되어 실용상 적합하지 않다.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NCO지수가 바람직하게는 70∼130, 더 바람직하게는 85∼115가 되는 양이다. NCO지수가 70 미만에서는 폴리우레탄폼의 압축잔류변형률 및 습열잔류변형률이 커지고, 또한 경화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NCO지수가 130을 초과하면 폴리우레탄폼이 부서지기 쉽게 되어 실용상 적합하지 않다. 촉매의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3중량부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배합비율의 폴리올, 제1글리세린유도체 또는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제2글리세린유도체의 혼합물, 촉매 및 물, 필요에 따라 쇄신장제(鎖伸長劑)(가교제) 및 정포제(整泡劑)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예비혼합물(preblends)과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고, 반응시켜, 목적의연질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종 폴리우레탄폼 제조프로세스, 예를 들어 슬라브프로세스, 열경화프로세스, 냉각경화프로세스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는 쇄연장제(가교제)나 정포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폴리우레탄폼의 제조에 통상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쇄연장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및 D-소르비트를 들 수 있다. 쇄연장제의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5중량부이다. 정포제에는 예를 들어 SZ-1306, L-520, L-540, L-5309 및 L-5366(일본유니카(주)제) ; SH-190, SH-193 및 SRX-274C(토레실리콘(주)제) 등의 디메틸실록산계 정포제를 들 수 있다. 그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호의 의미를 설명한다.
A : 고분자량폴리올
A-1 : 에틸렌옥시드칩형 글리세린의 폴리올에텔렌옥시드부가물(에틸렌옥시드의 말단함유량: 19중량%, 활성수소당량: 1600)
A-2 : 중합체폴리올(비닐중합체함유량:40중량%, 모노머중량비(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1/1). 에틸렌옥시드칩형 글리세린의 폴리올오티렌옥시드부가물(에틸렌옥시드의 말단함유량:14중량%, 활성수소당량:1600)중에서,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을 중합하여 얻었다.
A-3 : 중합체폴리올(비닐중합체함유량:40중량%, 모노머중량비(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염화비닐리덴):38/50/12). 에틸렌옥시드칩형 펜타에리쓰리톨의 폴리올오티렌옥시드부가물(에틸렌옥시드의 말단함유량:12중량%, 활성수소당량:1800)중에서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염화비닐리덴을 중합하여 얻었다.
B : 글리세린유도체
B-1 : 글리세린 1몰에 에틸렌옥시드가 2몰 부가하여 제조된 화합물(글리세린 2급 수산기를 지니는 글리세린유도체의 함유량:50몰%, 2급OH화율:14.6%(실측치, 단, 글리세린의 각 수산기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반응에 대한 반응속도가 모두 같다고 판정된 경우의 이론치는 16.7%이다)
B-2 : 글리세린 1몰에 에틸렌옥시드가 3몰 부가하여 제조된 화합물(글리세린 2급 수산기를 지니는 글리세린유도체의 함유량:40몰%, 2급OH화율:13.3%(실측치, 단 상기와 같은 판정에 의거하여 이론치는 12.9%이다)
B-3 : 3-히드로시에톡시에톡시-1,2-프로판디올
C : 그외의 폴리올
C-1 : 글리세린의 폴리올옥티렌옥시드부가물, 오티렌옥시드의 말단함유량:12중량%, 활성수소당량: 500
C-2 : 글리세린(2급OH화율=33%)
C-3 : 글리세린 1몰에 에틸렌옥시드를 10몰 부가하여 제조된 화합물(글리세린 2급 수산기를 지니는 글리세린유도체의 함유량 17몰%, 2급OH화율 4%(실측치, 단 상기와 같은 판정에 의거하여 이론치는 5.6%이다)
C-4 : 글리세린 1몰에 에틸렌옥시드를 20몰 부가하여 제조된 화합물(글리세린 2급 수산기를 지니는 글리세린유도체의 함유량:9몰%, 2급OH화율:2%(실측치, 단 상기와 같은 판정에 의거하여 이론치는 3.0%이다)
C-5 : 트리메티롤프로판 1몰에 에틸렌옥시드를 2몰 부가하여 제조된 화합물(2급OH화율:0%)
C-6 : 펜타에리쓰리톨 1몰에 에틸렌옥시드를 6몰 부가하여 제조된 화합물(2급OH화율: 0%)
C-7 : 2-히드록시에톡시에톡시-1,3-프로판디올
D :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
D-1 : TDI(NCO:48.3%, 코로네이트T-80:일본폴리우레탄공업(주)제)
D-2 : TDI/조제 MDI의 혼합물(중량기준혼합비 80/20, NCO:44.7%, 일본폴리우레탄공업(주)제)
D-3 : TDI/조제 MDI/우레탄기 함유 변성 MDI의 혼합물(증량기준혼합비 75/15/10, NCO: 43.3%)
E:촉매
E-1 : 트리에틸렌디아민의 33% 디프로필렌글리콜용액(미니콜L-1020:일본유화제(주)제)
E-2 : 비스-N,N-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의 70%디프로필렌글리콜용액(TOYOCATET: 토오소(주)제)
F : 쇄연장제(가교제)
F-1 : 디에탄올아민
G : 정포제
G-1 : 디메틸실록산계 정포제(L-5309:일본유니카(주)제)
G-2 : 디메틸실록산계 정포제(Y-10515:일본유니카(주)제)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폴리우레탄폼 제조조건에 관해서 설명한다. 고분자량 폴리올(상기 A그룹, 이하 동일), 글리세린유도체(B), 물, 다른 폴리올(C), 촉매(E), 쇄신장제(F), 정포제(G)의 각 성분을 예비혼합하고, 25±1℃로 조정했다. 얻어진 예비혼합물에 미리 25±1℃로 조정한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D)를 가하고, 6초간 교반날개회전수 50000회전/분으로 핸드믹싱하고, 미리 62±2℃의 온도로 조정한 금형(알루미늄제, 형상:400mm×400mm×1000mm)에 주입했다. 금형내에서 폴리우레탄폼을 형성하고, 금형으로부터 취출하였다. 취출한 폴리우레탄폼을 하루낮밤을 방치한 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14 및 비교예1~9
각 실시예 및 비교예는 표1∼3에 표시한 성분(표 중, 각 성분란의 수치는 중량부를 나타낸다)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우레탄폼 제조조건에 따라서 실시하였다. 제조한 각 폴리우레탄폼 물성의 측정결과를 표4∼6에 표시한다. 또 표4∼6중 물성란의 각 기호가 의미하는 물성은 다음과 같다. ①∼⑤의 물성은 JIS K6401에 준해서, ⑥의 물성은 JIS K6301에 준해서 측정하였다.
① : 폴리우레탄폼의 외관밀도[kg/㎥]
② : 폴리우레탄폼의 폼경도[kgf/314㎠]
③ : 폴리우레탄폼의 반발탄성률[%]
④ : 폴리우레탄폼의 압축잔류변형률[%]
⑤ : 폴리우레탄폼의 습열잔류변형률[%]
⑥ : 폴리우레탄폼의 신도[%]

Claims (9)

  1. 활성수소당량이 800∼10000의 폴리올, (1)식으로 표시되는 제1글리세린유도체,
    (단, n과 m은, n+m=1∼8을 만족하는 0또는 양의 정수)
    유기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물을, 폴리우레탄 제조촉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글리세린유도체가 (2)식으로 표시되는 제2글리세린유도체
    (식중, p와 r은 0 또는 양의 정수, q는 양의 정수, p + q + r=1∼8을 만족한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제2글리세린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의 전체 수산기수에 대하여, 글리세린 2위 수산기의 비율이 적어도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글리세린 2위 수산기의 비율이 적어도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제1글리세린유도체와 제2글리세린유도체 혼합물의 사용량이,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1.5∼7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1500∼3000의 활성수소당량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7. 제1항 내자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평균 2.5∼5개의 활성수소기를 보유하는 폴리올 또는 폴리올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글리세린유도체의 사용량이,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1∼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 사용량이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2.5∼8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폼 제조방법.
KR1019940032474A 1993-12-15 1994-12-01 연질폴리우레탄폼의제조방법 KR100339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43661 1993-12-15
JP5343661A JP2597300B2 (ja) 1993-12-15 1993-12-15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63A KR950018163A (ko) 1995-07-22
KR100339094B1 true KR100339094B1 (ko) 2002-10-18

Family

ID=1836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474A KR100339094B1 (ko) 1993-12-15 1994-12-01 연질폴리우레탄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59172A (ko)
JP (1) JP2597300B2 (ko)
KR (1) KR100339094B1 (ko)
CN (1) CN104033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7132A1 (fr) 1997-02-19 1998-08-27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Mousse reticulee a l'aide de sel metalliqu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DE19741257A1 (de) * 1997-09-19 1999-03-2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aumstoffen
TWI262930B (en) 1999-02-10 2006-10-01 Mitsui Chemicals Inc High-durability flexible polyurethane cold molded foa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1602839B (zh) * 2008-06-10 2011-04-13 上海合达聚合物科技有限公司 一种自结皮聚氨酯脲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JP5837771B2 (ja) * 2011-07-27 2015-12-2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体、および、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方法
CN111808548A (zh) * 2020-07-24 2020-10-23 万华化学(北京)有限公司 一种双组份无溶剂型聚氨酯复膜胶及制备方法
CN113527616B (zh) * 2021-06-21 2023-01-06 佳化化学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一种聚氨酯普通软泡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74049A (en) * 1974-11-13 1980-03-18 Russell Van Cleve Polymer/polyols and polyurethane derivatives thereof
JPS6136315A (ja) * 1984-07-30 1986-02-21 Nisshinbo Ind Inc 防振材料
JPH0686514B2 (ja) * 1986-09-17 1994-11-02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軟質高弾性フオ−ム
BR8905605A (pt) * 1988-11-04 1990-05-29 Union Carbide Chem Plastic Composicao para ser usada na preparacao de espuma de poliuretano de elasticidade elevada;processo para sua preparacao;e artigo de espuma de poliuretano moldado de elasticidade eleva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861A (zh) 1995-09-06
CN1040335C (zh) 1998-10-21
US5459172A (en) 1995-10-17
JP2597300B2 (ja) 1997-04-02
KR950018163A (ko) 1995-07-22
JPH07165862A (ja) 199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6355B2 (en) Silanol-functionalized compounds for the preparation of polyurethane foams
KR20000010859A (ko) 조밀한 표면 및 발포 코어를 갖는 탄성 폴리우레탄 성형품의제조 방법
CZ7699A3 (cs) Způsob výroby kompaktních nebo pěnových polyuretanových elastomerů a k tomuto účelu vhodných isokyanátových prepolymerů
EP2085412B1 (en) Method for producing hard polyurethane foam and hard polyurethane foam
KR20100131974A (ko)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
CN101039977A (zh) 由含羟甲基的脂肪酸或这种脂肪酸的烷基酯制成的聚氨酯
JP2006316286A (ja) ポリウレタン軟質成形フォ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シリコーン界面活性剤
CN1079805C (zh) 具有改进湿变定性能的泡沫的制造方法
US5114988A (en) Polyether polyols having reduced unsaturation and polyurethane foams prepared therefrom
KR100339094B1 (ko) 연질폴리우레탄폼의제조방법
JP2018522129A (ja) 強化された圧縮硬度を有する軟質ポリエステル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6849666B2 (en) Polyurethanes containing dispersed crystalline polyesters
KR102211997B1 (ko)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JP6218306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5286758A (en) Use of formate salts as auxiliary agents for low density rigid foams
JP5269445B2 (ja) 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5151461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4182733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69590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S6346768B2 (ko)
JP2007321119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95167A (ja) ポリオール組成物、ポリウレタン組成物、ウレタンフォーム
JP2001106789A (ja) シリコーンポリエーテル共重合体及びそれらのポリウレタン軟質成形フォームにおける使用
JPH0662797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および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法
JPH0718055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