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974A -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 - Google Patents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974A
KR20100131974A KR1020107017501A KR20107017501A KR20100131974A KR 20100131974 A KR20100131974 A KR 20100131974A KR 1020107017501 A KR1020107017501 A KR 1020107017501A KR 20107017501 A KR20107017501 A KR 20107017501A KR 20100131974 A KR20100131974 A KR 20100131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amed
mol
polyurethane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하스
한스-데틀레프 아른츠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3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34Polyamines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71Hydroxyamines
    • C08G18/3296Hydroxyamines being in latent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2Mixtures of 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one polyether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5024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primary and/or secondary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81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C08G18/3271 and/or polyamine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the reacting monomers or modifying agents during the preparation or modification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66≥ 1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 {FOAMED, COLOUR-FAST POLYURETHANE MOULDED PARTS}
본 발명은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결합된 NCO기가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재 폴리우레탄 (PUR)은 빛의 작용하에 변색되는 경향이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이는 외부 적용 또는 빛의 작용을 받는 내부 부품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내광성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 적절한 특성을 가지는 표면이 요구된다.
내광성이 높은 폴리우레탄 (PUR)을 제조하기 위해, 지방족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가 보통 이용된다. 내광성 PUR의 제조를 위한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용도는 EP 0379246 B1호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계기판에 사용하기 위한 내광성 덮개 외피가 제조된다. 고형의 발포된 지방족 외피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포제로서 물의 사용은 발포체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비교적 높은 경도를 유발하며, 낮은 밀도 범위의 고형 외피보다 매우 높은 경도 값을 나타낸다. 또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발포 및 가교 반응의 촉매 작용을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문제가 된다. 이 경우, 특정 금속 촉매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더구나, 내부 영역의 표면은 또한, 응력하에 유연하지만 비교적 짧은 기간 후에 다시 그의 원래 윤곽을 회복하는 표면 마감을 나타내어 특정 보호 기능을 나타내어야 한다.
EP-A 0 652 250호에는, 디페닐메탄 계열의 이소시아네이트 및 카르바메이트 발포제로부터 제조된 다공형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포체는 지나치게 높은 수축 값을 나타낸다. 성형물의 치수 안정성의 이러한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열 팽창도 또한 가능한 한 낮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수축 거동을 추가로 나타내는, 예를 들어 대시보드, 도어 트림 패널(door trim panel), 팔걸이 및 콘솔의 적용 분야를 위한, 넓은 밀도 범위에서 연질 탄성 표면 거동 (촉각기술)을 가지는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상기 목적은 발포제로서 특별한 암모늄 카르바메이트를 사용하면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인 단쇄 및 장쇄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하기 화학식 1의 암모늄 카르바메이트 염을 발포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A) 임의로 개질될 수 있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
B)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 g/mol이고 관능도가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인 폴리올,
C) 사슬 연장제/가교제서의 분자량이 62 내지 500 g/mol이고 관능도가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인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
D) 임의로는 기타 보조 물질 및 첨가제,
E) 발포제
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암모늄 카르바메이트의 제조는 EP-A 0 652 25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A)로서, (시클로)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가 특히 적합하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순수한 화합물의 형태로 또는 개질된 형태로, 예를 들어 우레트디온,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로파네이트 또는 뷰렛의 형태로, 또는 우레탄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함유 반응 생성물, 소위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 및/또는 카르보디이미드-개질된 이소시아네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A)는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35 내지 15 중량%이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단량체 비율이 95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55 중량%인, IPDI 기재 저점도 생성물이다.
성분 B)는 평균 히드록실 관능도가 2 내지 8이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13,000 g/mol인 1종 이상의 폴리히드록시 폴리에테르, 및/또는 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1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 g/mol인 1종 이상의 폴리히드록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적합한 폴리히드록시 폴리에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화학으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된 2- 또는 3관능성 출발 분자 또는 상기 출발 분자들의 혼합물의 알콕시화 생성물이다. 적합한 출발 분자는 예를 들어 물,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 소르비톨이다. 알콕시화를 위해 사용되는 알킬렌 옥사이드는 특히 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에틸렌 옥사이드이며,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를 임의의 순서로 및/또는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2가 알코올,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과, 화학량론적 양 이하의 바람직하게는 2관능성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석신산, 아디프산, 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또는 이러한 산의 혼합물의, 그 자체로 공지된 히드록실기 함유 에스테르화 생성물이다.
성분 C)는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62 내지 500 g/mol, 바람직하게는 62 내지 400 g/mol인 2관능성 사슬 연장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사슬 연장제 C)는 2가 알코올,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또는 이러한 디올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성분 C)로서 또는 성분 C)의 일부로서, 예로서 상기 이미 언급한 유형의 2가 출발 분자의 프로폭시화 및/또는 에톡시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분자량이 400 g/mol 미만인 에테르기 함유 디올이 또한 적합하다. 사슬 연장제 C)로서 아릴알킬 위치에 아미노기가 있는 디아민, 예를 들어 1,3-크실릴렌디아민이 또한 적합하다. 예로서 언급한 사슬 연장제의 임의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사슬 연장제 C)는 성분 B)의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필수인 카르바메이트는 상기 이미 언급한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상기 카르바메이트는 40 내지 130℃의 온도에서 기체 또는 고체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이들이 기재로 하는 알칸올아민의 간단한 포화에 의해 제조된다.
카르바메이트의 제조에 특히 바람직한 알칸올아민은 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3-아미노-1-프로판올, N-메틸에탄올아민,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N-(2-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또는 이러한 알칸올아민의 혼합물이다.
폴리우레탄 (PUR)의 제조에서, 발포제로 사용되는 카르바메이트는 성분 B)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6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보조 물질 및 첨가제 D)로서 그 자체로 공지된 유형의 화합물이 사용된다.
임의로 혼입될 수 있는 보조 물질 및 첨가제 D)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 통상적인 화합물, 예를 들어 활성화제, 안정화제 또는 기타 할로겐 무함유 발포제, 예컨대 특히 물이며, 이는 성분 B)의 중량을 기준으로 0.3 중량% 이하의 양으로 임의로 혼입된다. 그러나, PUR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첨가된 물 없이 실시한다.
또한, 출발 성분은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의 이소시아네이트가가 얻어지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PUR의 제조를 위해, 성분 B) 내지 E)를 일반적으로 합하여 "폴리올 성분"을 형성한 후, 이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A)와 혼합하고 폐쇄 금형에서 반응시킨다. 상기 작업 동안, 통상적인 측정 및 계량 장비를 이용한다.
상기 성형물은 예를 들어 자동차 내부의 스티어링 휠 또는 도어 트림 패널 및 계기판 덮개로서 또는 일반적으로 보호용 패딩(padding)으로서 사용된다.
지방족 발포체는 자동차 분야에서 대시보드용 외장재(cladding), 콘솔, 도어용 외장재 또는 사물함(glove compartment)으로서 적합하다.
반응 성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A) 또는 폴리올 성분)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60℃의 온도 범위 내이다. 금형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90℃이다.
금형에 도입되는 발포성 물질의 양은 성형물의 밀도가 200 내지 700 kg/m3가 되도록 하는 양이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표 1의 백분율 데이터는 중량에 대한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
NCO 함량이 30.5 중량%이고 25℃에서의 점도가 200 mPas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IPDI 함량이 70 중량%이고 IPDI 이소시아누레이트 함량이 30 중량%임).
폴리올 I:
OH가가 27이고 주로 일차 OH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과 78:22 중량비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PO/EO)의 알콕시화에 의해 제조됨.
폴리올 II:
OH가가 37이고 주로 일차 OH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글리세롤과 28:72 중량비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에틸렌 옥사이드 (PO/EO)의 알콕시화에 의해 제조됨.
폴리올 III:
OH가가 640이고 이차 OH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에틸렌디아민으로의 부가에 의해 제조됨.
카르바메이트 I:
포화에 도달할 때까지 5 몰의 CO2를 610 g의 아미노에탄올 및 830 g의 에틸렌 글리콜의 용액에 도입하였다.
카르바메이트의 50 중량% 용액이 형성되었다.
산가: 166 mg KOH/g 계산치: 168.9 mg KOH/g
아민가: 335 mg KOH/g 계산치: 337.9 mg KOH/g
카르바메이트 II:
포화에 도달할 때까지 1 몰의 CO2를 210 g의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및 254 g의 에틸렌 글리콜의 용액에 도입하였다.
카르바메이트의 50 중량% 용액이 형성되었다.
산가: 107 mg KOH/g 계산치: 110 mg KOH/g
아민가: 219 mg KOH/g 계산치: 220 mg KOH/g
하기 표 1에 PUR의 제조를 위한 성분을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성분들의 반응비는 표 1에 주어진 이소시아네이트의 양에 대하여 100 중량부의 폴리올 제형물이다.
금형 온도는 80℃였고 금형 크기는 200 x 200 x 5 mm였다.
사용된 성분의 온도는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실온 (25℃)이고 폴리올 제형물의 경우 50℃였다.
RIM 공정에 의한 통상적인 기계 가공 동안의 작용 압력은 이소시아네이트쪽 및 폴리올쪽에 대해 각 경우 200 bar였다.
금형에 도입되는 양은 명시된 밀도를 생성하도록 계산하였다.
지방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무결점 표면을 나타내었고, 로딩 후 이는 약간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다시 본래의 표면 구조를 생성하는 회복 거동을 나타내었다. 낙하 볼 반발 탄성의 측정 동안 볼의 충격 지점은 완전히 사라졌다.
로딩 후 지연된 표면 탄성에 더하여, EP-A 0 379 246호의 실시예 18 내지 21로부터의 폴리우레탄과 비교하여 PUR 발포체의 실질적으로 보다 낮은 경도가 또한 유리하였다. EP-A 0 652 250호의 실시예로부터의 PUR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놀랍게도 실질적으로 보다 낮은 수축률을 나타낸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발포된 외피에서 유리하게 치수 안정성이 높다.

Claims (2)

  1.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하기 화학식 1의 암모늄 카르바메이트 염을 발포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A) 임의로 개질될 수 있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
    B)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 g/mol이고 관능도가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인 폴리올,
    C) 사슬 연장제/가교제로서의 분자량이 62 내지 500 g/mol이고 관능도가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인 폴리올 또는 폴리아민,
    D) 임의로는 기타 보조 물질 및 첨가제,
    E) 발포제
    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2. 자동차 분야에서 대시보드용 외장재(cladding), 콘솔, 도어용 외장재 또는 사물함(glove compartment)으로서의 제1항에 따른 폴리우레탄 성형물의 용도.
KR1020107017501A 2008-02-09 2009-01-29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 KR201001319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8391A DE102008008391A1 (de) 2008-02-09 2008-02-09 Geschäumte, lichtechte Polyurethanformteile
DE102008008391.7 2008-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974A true KR20100131974A (ko) 2010-12-16

Family

ID=4067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501A KR20100131974A (ko) 2008-02-09 2009-01-29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03810A1 (ko)
JP (1) JP2011511141A (ko)
KR (1) KR20100131974A (ko)
CN (1) CN101939350B (ko)
DE (2) DE102008008391A1 (ko)
WO (1) WO2009097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4367A1 (en) 2010-09-07 2013-07-18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Foamed lightfast polyurethane mouldings
ES2633477T3 (es) * 2013-07-23 2017-09-21 Covestro Deutschland Ag La invención se refiere a piezas moldeadas, espumadas, hechas de elastómero de poliuretano-urea y equipadas con materiales de refuerzo, así como al uso de las mismas
CN107089910B (zh) * 2016-06-02 2017-11-14 山东理工大学 碳酸有机胺盐类化合物及其作为发泡剂的用途
CN107089921B (zh) * 2016-06-02 2019-01-04 新泰补天新材料技术有限公司 原甲酸有机胺盐类化合物及其作为发泡剂的用途
CN107522892B (zh) * 2016-06-02 2020-08-18 山东理工大学 碳酸氢有机胺盐类化合物及其作为发泡剂的用途
JP6827673B2 (ja) * 2016-12-26 2021-02-1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用内装表皮材
CN107312192B (zh) * 2017-05-11 2020-08-18 山东理工大学 有机醇胺盐类化合物及其作为发泡剂的用途
CN107253919B (zh) * 2017-05-11 2020-03-10 山东理工大学 肼基醇胺盐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9422901B (zh) * 2017-08-24 2021-05-25 山东理工大学 碱性醇胺发泡剂和用于制备聚氨酯喷涂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910B (zh) * 2017-08-24 2021-04-13 补天新材料技术有限公司 包含原甲酸醇胺盐和碳酸醇胺盐的发泡剂及用于聚氨酯连续板泡沫体材料中的用途
CN109422903B (zh) * 2017-08-24 2021-04-13 山东理工大学 包含仲胺盐和丙醇胺盐的发泡剂及用于聚氨酯冰箱冰柜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906B (zh) * 2017-08-24 2021-03-19 山东理工大学 乙醇胺碱性发泡剂和用于制备聚氨酯太阳能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915B (zh) * 2017-08-24 2021-02-09 补天新材料技术有限公司 包含原甲酸醇胺盐和乙醇胺盐的发泡剂及用于聚氨酯间歇板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912B (zh) * 2017-08-24 2021-04-09 补天新材料技术有限公司 碱性多胺醇胺发泡剂和用于制备聚氨酯喷涂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913B (zh) * 2017-08-24 2021-03-12 补天新材料技术有限公司 包含多胺盐和丙醇胺盐的发泡剂及用于聚氨酯冰箱冰柜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914B (zh) * 2017-08-24 2021-02-09 补天新材料技术有限公司 多胺乙醇胺碱性发泡剂和用于制备聚氨酯太阳能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916B (zh) * 2017-08-24 2021-02-19 山东理工大学 包含仲胺盐和乙醇胺盐的发泡剂及用于聚氨酯间歇板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859B (zh) * 2017-08-24 2021-01-22 补天新材料技术有限公司 原甲酸醇胺盐和碳酸乙醇胺碱性发泡剂和用于制备聚氨酯太阳能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422898B (zh) * 2017-08-24 2021-03-19 山东理工大学 包含叔胺盐和乙醇胺盐的发泡剂及用于聚氨酯间歇板泡沫体材料的用途
CN109679130B (zh) * 2017-10-19 2021-09-07 山东理工大学 包含六氟丁烯和有机醇胺盐化合物的复合发泡剂
CN110964223A (zh) * 2019-12-13 2020-04-07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二氧化碳可逆保护的胺类化合物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7964A1 (de) * 1986-03-11 1987-09-1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elligen polyurethans
BE1002762A7 (nl) 1989-01-20 1991-05-28 Recticel Werkwijze voor het bereiden en toepassen van verspuitbaar lichtstabiel polyurethaan.
US5006569A (en) * 1989-08-16 1991-04-09 Pmc, Inc. Density reduction i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CZ287435B6 (en) * 1993-11-04 2000-11-15 Bayer Ag Process for preparing foam polyurethane shaped parts without use of fluorochlorinated hydrocarbons
JPH0959409A (ja) * 1995-06-16 1997-03-04 Sumitomo Bayer Urethane Kk ポリウレタン発泡体の製造法
US5789451A (en) * 1996-07-29 1998-08-04 The Dow Chemcial Company Alkanolamine/carbon dioxide adduct and polyurethane foam therewith
IN1997CH00157A (ko) * 1996-10-01 2006-06-09 Recticel
JP3618188B2 (ja) * 1997-01-21 2005-02-09 住化バイエルウレタン株式会社 低発煙性の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DE19852681A1 (de) * 1998-11-16 2000-05-18 Basf Ag Carbamatlösungen
CA2558634C (en) * 2004-03-11 2013-02-2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ttached, high reactivity rigid polyurethane foams
JP2009508979A (ja) * 2005-09-15 2009-03-0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キサゾリドン基を含む付着、高反応性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03810A1 (en) 2009-08-13
CN101939350A (zh) 2011-01-05
JP2011511141A (ja) 2011-04-07
DE112009000083A5 (de) 2010-10-21
WO2009097990A1 (de) 2009-08-13
CN101939350B (zh) 2014-07-09
DE102008008391A1 (de)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1974A (ko) 발포된 비변색성 폴리우레탄 성형 부품
KR101327721B1 (ko) 이산화탄소 발포 저밀도, 신축성 마이크로셀형 폴리우레탄엘라스토머
CA2367077C (en) Carbon dioxide blown low density, flexible microcellular elastomers suitable for preparing shoe components
JP3605154B2 (ja) 気泡ポリウレタン成形品のcfcを用いない製造方法
KR100598749B1 (ko) 카르바메이트 용액
KR100285787B1 (ko) 미공질 엘라스토머 제조용 반응 물질계
US3746665A (en) Polyurethane based on blends of poly (oxycaproyl) diols and poly(oxytetraurethylene) diols
ES2135401T5 (es) Espuma de poliuretano rigida, expandida con agua, que absorbe energia.
US5308882A (en) Preparation of polyurethane foam without a tertiary amine catalyst
KR20010051399A (ko) 폴리우레탄 발포제품의 제조방법
US6107359A (en) Polyether polyols, polyol formulation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in the production of hard polyurethane foams
US6326412B1 (en) Polyurethane foam and process for production
JPH02124918A (ja) 自動車内外装材用硬質ウレタンフオームの製造方法
CA1092297A (e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JPH08231670A (ja) Nco基末端プレポリマー及び該プレポリマーを用いた水発泡自己スキン形成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01278938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667828B2 (ja) 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4495296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H07207051A (ja) 半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KR100293163B1 (ko) 1액형폴리우레탄폼조성물의제조방법
JP2516526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ムの製造方法
JP2845972B2 (ja) 断熱材の製造法
JP2023044020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10280839A (ja) 硬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組成物、硬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合成木材
JP2004196875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モールド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