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620B1 - 용지 적재 장치 및 용지 적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적재 장치 및 용지 적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620B1
KR100338620B1 KR1020000050602A KR20000050602A KR100338620B1 KR 100338620 B1 KR100338620 B1 KR 100338620B1 KR 1020000050602 A KR1020000050602 A KR 1020000050602A KR 20000050602 A KR20000050602 A KR 20000050602A KR 100338620 B1 KR100338620 B1 KR 100338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ray
document
image forming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127A (ko
Inventor
사와다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1006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1Ejecting or stacking
    • H04N1/00633Ejecting or stacking selectively to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1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5Manual handling of handled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용지 적재 장치 또는 용지 적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는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는 사실상 수직 방향으로 쌓이도록 배치된다.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중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는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중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의 관찰성은 이런 배열에 의해 개선된다.

Description

용지 적재 장치 및 용지 적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 장치와, 복사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와,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 기능의 복수개의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과 같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용지 배출 트레이,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원고 배출 트레이 등이 화상 형성 장치의 프레임 본체의 측부 또는 부분들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저감시키기 위해, 용지 배출 트레이,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원고 배출 트레이가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원고 판독부 모두를 갖는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기능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능을 갖는 MFP(다기능주연부, Multi-Function Peripheral)로 지칭되는 폭넓은 복합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MFP에는 복수개의 용지 배출 포트 및 복수개의 용지 적재 트레이가 마련되고, 복사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의 목적에 따라 용지 배출 포트의 사용을 일 포트로부터 다른 포트로 절환시킴으로써 가용 트레이 상에 용지를 선택적으로 적재하는 선택적 적재(분류) 기능을 갖는 것이 조작성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보아 모든 기본 조작을 MFP의 전방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요구된다.
이런 MFP와 같이 배열된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에 대해 도5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MFP로서 배열된 팩시밀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팩시밀리 장치는 프레임 본체부(1)와, 원고(D)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원고 판독부(2)와, 전자 사진 시스템의 레이저 비임 프린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부(3)와, 복수개의 원고 용지(D)가 장전되도록 배열된 원고 장전 트레이(4)와, 원고 장전 트레이(4) 상에 장전된 원고(D)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원고(D)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슬라이더(18)와, 원고(D)의 화상 정보가 원고 판독부(2)에 의해 판독된 후 원고(D)가 배출될 때 원고(D)가 적재되도록 하는 원고 배출 트레이(5)를 갖는다.
팩시밀리 장치에서, 화살표(A)는 프레임 본체부(1)의 전방측 방향, 즉 장치의 전방 방향을 지시한다. 장치의 사용자는 장치의 전방 방향으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원고 장전 트레이(4) 상에 원고(D)를 설치한 후, 조작 버튼 (도시 안됨) 등으로 된 조작부를 작동시킨다. 원고(D)가 원고 판독부(2)로부터 원고 배출 트레이(5) 상으로 배출될 때, 사용자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원고(D)를 취출한다.
또한, 팩시밀리 장치에는 화상 형성부(3)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갖는 용지가 배출되어 적재된 용지 배출 트레이(6)도 마련된다. 형성된 화상을 갖는 용지는 용지 배출 루트(R1)을 통해서 용지 배출 트레이(6) 상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용지는 원고(D)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장치의 전방 방향으로 손을 뻗어서 화살표 E 방향으로 취출된다. 이런 종류의 종래 팩시밀리 장치는 사용자가 프레임 본체부(1)의 전방측, 즉 장치의 전방 방향으로부터 모든 기본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원고(D)의 삽입시, 원고(D) 취출시 그리고 용지 취출시, 사용자는 장치의 전방 방향으로 장치의 전방측 상에 서서 조작을 수행해야 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J) (가시선 J로 지칭) 방향으로부터 개별 트레이 및 각 트레이 상의 화상 형성 용지 또는 원고 용지를 봐야 한다.
그러나,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원고 장전 트레이, 원고 배출 트레이 및 용지 배출 트레이는 서로 근접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5의 화살표 H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이의 최전방부에서 하향으로 보는 자세로 조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다음 문제가 발생한다.
한 목적을 위한 용지를 다른 목적을 위한 용지로부터 구별하는 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용지 배출 트레이(6)와 원고 배출 트레이(5) 사이에 다른 용지 배출 트레이(이하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렇게 제공된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에 의해 장치의 전체 높이는 증가한다. 장치의 전체 높이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각 트레이 간의 간격 거리는 짧도록 정렬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각 트레이 사이의 간격 거리가 짧아지면, 사용자가 원고 장전 트레이(4)와 원고 배출 트레이(5)와 용지 배출 트레이(6)를 구별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런 배열은 트레이 상의 오작동을 발생시킨다.
특히, 최근에, 팩시밀리 기능에 더해서 복사 기능 및 프린터 기능을 갖는 복합 장치에서는, 복사 모드, 팩시밀리 모드 및 프린터 모드와 같은 다른 모드로 배출된 용지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분류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용지가 다른 모드중 각각의 모드에서 배출되는 용지 배출 트레이가 미리 선택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는 제안이 있다.
그러나, 이런 제안의 경우에는, 트레이가 장치의 전체 높이를 억제하기 위해 근접 이격되면, 가용 모드의 용지가 다른 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트레이를 구별하기가 여전히 어렵기 때문에, 오조작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팩시밀리 장치의 경우, 각 트레이의 전방 단부는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면 상에 대략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시선 J의 위치로부터 트레이를 보게 될 때, 트레이는 최상위 트레이에 의해 숨겨져서 사용자가 가용 트레이를 더듬어 찾아야만 한다. 이런 더듬거림은 오조작을 야기한다. 이런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용지를 가용 트레이에 집어 넣거나 빼낼 때 사용자는 화살표 H(이하, 가시선 H)의 방향으로 가시선 J를 변경시키기 위해 아래로 구부리면서 각 트레이의 위치를 보아야만 한다. 따라서, 장치의 조작성은 부적절하다.
또한, 각각의 트레이로부터 용지 또는 용지들을 취출할 때, 사용자는 용지의 전방 단부를 잡는다. 그러나, 가용 트레이의 바로 위에 위치된 다른 트레이의 전방 단부가 취출될 용지의 전방 단부 바로 위에 위치되면, 용지는 상부 트레이가 방해되기 때문에 쉽게 취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팩시밀리 또는 프린터의 경우, 트레이로부터 일단 취출된 용지는 때때로 트레이로 넣어진다. 이런 경우, 트레이가 트레이 바로 위에 위치된 다른 트레이에 의해 숨겨지게 되면, 용지를 가용 트레이의 뒤로 넣는 조작은 쉽지 않으며, 따라서 장치의 조작성을 떨어뜨린다.
상술한 문제는 사용자의 손이 미리 삽입될 수 있도록 트레이 사이의 수직 간격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해법은 각 트레이부의 조작면의 놓이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용지를 트레이로부터 취출하고 트레이에 삽입하는 트레이에 대해 관찰성 관점에서 뛰어난 조작성을 갖도록 배열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사용자가 장치의 프레임 본체부의 전방 위치, 즉 장치의 전방측 상의 위치에 서서 조작 수단 상에 설정 조작을 수행할 때 조작 수단이 뛰어난 관찰성 및 조작성을 갖도록 배열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실상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중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 방향 단부는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중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적재 장치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을 갖는 프레임 본체와,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프레임 본체 위에 배치된 원고 판독 수단과, 원고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 정보가 판독되는 원고를 장전하도록 배열된 원고 장전 트레이와, 원고 장전 트레이와 적층되고 원고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 정보가 판독된 원고를 배출하도록 배열된 원고 배출 트레이와, 원고 배출 트레이와 적층되도록 프레임 본체 위와 원고 배출 트레이 아래에 배치되고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도록 배열된 용지 배출 트레이를 포함하며,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원고 배출 트레이의 폭 방향 단부는 폭 방향으로 양측 상에서 사실상 동일한 위치에 있고,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가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원고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다음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팩시밀리 장치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팩시밀리 장치의 외양을 전방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4는 팩시밀리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아그램.
도5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프레임 본체부
102, 106, 121, 126 : 트레이
103 : 원고 판독부
104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05 : 조작부
106 : 원고 배출 트레이
111 : 화상 형성부
112 : 카세트 종이 공급부
114 : 열정착 장치
115 : 배출 플래퍼
116 : 제어부
120 : 상부 용지 배출부
125 : 하부 용지 배출부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 작용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팩시밀리 장치의 외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팩시밀리 장치의 외양을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수행되는 측면으로부터) 전방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팩시밀리 장치는 프레임 본체부(101)를 갖는다. 도2 및 도3에서, 화살표 A는 장치의 전방 방향으 지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부(101) 내측에는, 프레임 본체부(101)의 바닥부 상에 배치되고 용지 카세트(112a)를 갖는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와, 용지(P1)를 공급하기 위한 픽업 롤러(112b)와, 다른 용지 등으로부터 하나의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한쌍의 분리 롤러(112c)와,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 위에 배치된 화상 형성부(111)와, 화상 형성부(111) 위에 배치되고 프레임 본체부(101)의 내부에 있는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용지 배출부(120, 125)와, 용지 배출부(120, 125) 위에 배치되고 프레임 본체부(101)의 내부에 있는 원고 판독부(103)가 수용된다.
팩시밀리 장치에는,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 화상광 방출을 위한 레이저 스캐너(110)와 레이저 스캐너(110)로부터 들어오는 화상광에 기초해서 용지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111)와 화상 형성부(111)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을 갖는 용지에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열정착 장치(114)를 갖는 전자 사진 기록 시스템이 채택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4)는 화상 형성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에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와,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도록 배열된 용지 배출부(120, 125)에 의해 결합 형성된다.
또한, 배출 플래퍼(115)는 상부 용지 배출부(120)와 하부 용지 배출부(125) 사이에서 용지 반송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해 프래임 본체부(101) 내측에 열정착 장치(114) 위에 배열된다.
또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시밀리 장치에는, 디스플레이부, 입력 키이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105)가 프레임 본체부(101)의 전방측에서 볼 때 장치의 우측 상의 상면부에 배치된다.
또한, 전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6)가 프레임 본체부(101) 내측에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의 위에 배치된다.
또한, 팩시밀리 장치에서, 용지 또는 원고를 적재하기 위해 마련된 네 개의 트레이(102, 106, 121, 126)가 프레임 본체부(101)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서로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용지 배출 방향으로 각 트레이(102, 106, 121, 126)의 후방 단부는 프레임 본체부(101)에 연결되며, 그 전방 단부는 상부 경사 상태에서 프레임 본체부의 전방측으로 연장된다.
트레이(102)는 원고 판독부(103)의 원고 삽입 포트로 공급되는 복수개의 원고 용지(이하 원고(S))를 그 위에 적재할 수 있도록 배열된 원고 장전 트레이이다.
트레이(106)는 원고 판독부(103)의 원고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된 원고(S)를그 위에 적재하도록 배열된 원고 배출 트레이이다.
트레이(121)는 그 위에 위치될 상부 용지 배출부(120)의 용지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그 위에 적재하도록 배열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이다.
트레이(126)는 하부 용지 배출부(125)의 용지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적재하도록 배열된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이다.
이하에서는 팩시밀리 장치의 각 부분의 구조 및 조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원고 판독부(103)는 화상 형성 장치(104)의 위에 배치되며 원고(5)의 팩시밀리 전송 또는 복사 중에 원고(S)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도록 배열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 판독부(103)는 프레임 본체부(101)의 내측에 형성된 대략 U-형상의 원고 반송 경로를 갖는다. 원고 반송 경로는, 용지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의 순서대로, 서로 압접된 한 쌍의 분리 롤러(103a)와, 서로 압접된 두 쌍의 반송 롤러(103b)와, 화상 판독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밀접식 화상 센서(103c)와, 밀접식 화상 센서(103c)에 원고(S)를 밀도록 배열된 원고 가압부(103d)와, 서로 압접된 한 쌍의 원고 배출 롤러(103e)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원고 장전 트레이(102)는 원고 반송 경로의 최상류부에 위치된 원고 삽입 포트에 배치된다. 원고 배출 트레이(106)는 원고 반송 경로의 최하류부에 위치된 원고 배치 포트에 배치된다.
원고 장전 트레이(102)에는 원고를 반송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원고(S)의 폭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도록 배열된 슬라이더(102a)가 마련된다. 슬라이더(102a)는 원고 장전 트레이(102) 상에 장전된 원고(S)의 양 측을 조정하는 데 사용 가능하다.
원고 장전 트레이(102)에는 원고(S)의 반송 방향에 역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원고 트레이(102b)도 마련된다. 원고(S)가 긴 크기의 원고일 때, 연장 원고 트레이(102b)는 원고(S)의 후방 단부가 원고 장전 트레이(102)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다.
밀접 접촉식 화상 센서(103c)는 광원으로서 사용되고 화상 정보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이 렌즈를 거쳐 화상 픽업 소자에 맺히도록 하는 LED 어레이의 광으로 원고(S)의 화상 정보면을 조사함으로써 원고(S)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도록 배열된다.
원고 판독부(103)가 상술한 방식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원고 장전 트레이(102) 상에 적재된 각각의 원고(S) 용지는 분리 롤러쌍(103a)를 사용해서 서로로부터 하나씩 분리되어 반송 롤러쌍(103b)을 거쳐 밀접식 화상 센서(103c)로 반송된다.
밀접식 화상 센서(103c)에 도달하면, 원고(S)는 원고 압박부(103d)에 의해 밀접식 화상 센서(103c)에 의해 밀접식 화상 센서(103c)에 가압되어 화상 정보가 이 상태로 밀접식 화상 센서(103c)에 의해 판독되도록 한다. 화상 정보 판독후, 원고(S)는 상술한 원고 배출 롤러 쌍(103e)을 거쳐 원고 배출 트레이(106) 상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원고 판독부(103)에서, 원고 장전 트레이(102) 상에 적재된 원고(S)는 프레임 본체부(101)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그 종방향으로 반송되기 시작한다. 그 후, 원고(S)는 종방향으로 프레임 본체부(101)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원고 배출 트레이(106) 상으로 배출될 거의 U-형상의 원고 반송 경로에 의해 절첩된다. 따라서, 원고(S)의 용지는 원고 배출 트레이(106) 상에 적재된다.
프레임 본체부(101)의 바닥부에 배치된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는 종이 용지를 적재하고 채울 수 있도록 배열된 종이 공급 카세트(112a)와 종이 공급 카세트(112a) 위에 배치된 픽업 롤러(112b)와 픽업 롤러(112)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분리하고 반송하도록 배열된 한 쌍의 분리 롤러(112c)와 용지의 경사 반송을 보정하도록 배열된 한 쌍의 정합 롤러(112d)와 용지의 전방 단부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배열된 TOP 센서(112e)를 포함한다.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에서, 종이 공급 카세트(112a) 상에 적재된 용지(P1)는 픽업 롤러(112b) 및 분리 롤러쌍(112c)에 의해 하나씩 결합식으로 분리되어서 반송된다.
분리 용지(P1)의 경사 반송은 정합 롤러 쌍(112D)에 의해 정정된다. 그 후, 용지(P1)의 전방 단부는 TOP 센서(112D)에 의해 검출되며, 용지(P1)는 화상 형성부(111)로 반송된다.
화상 형성부(111)는 감광 부재 드럼(111a)과, 전기 대전 수단(111b)과, 현상 수단(111c)과, 감광 부재 드럼(111a)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수단(111d)과, 감광 부재 드럼(111a) 아래에 배치된 전사 대전기(111f)를 포함한다. 전사 대전기(111f)를 제외하고는, 모든 이들 부분은 프레임 본체부(104)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프로세스 카트리지(111e) 내측에 일체식으로 조립된다.
그 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4)에서, 화상광이 제어부(116)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에 기초해서 레이저 스캐너(110)로부터 방출된다. 화상 형성부(111)의 감광 부재 드럼(111a)은 화상 광으로 조사되어 감광 부재 드럼(111a)의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111c)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절환된다. 토너 화상은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로부터 화상 형성부(111)로 반송된 용지(P1)로 전사된다.
화상 형성부(111)에서, 종이 공급 타이밍과 화상 출력 타이밍은 감광 부재 드럼(111a)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전방 단부가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로부터 반송된 용지(P1)의 전방 단부와 일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타이밍 조절후, 용지(P1)는 전사 대전기(111f) 및 감광 부재 드럼(111a) 사이의 니프부(nip part)로 반송된다.
감광 부재 드럼(111a)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 대전기(111f)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 후, 용지(P1)는 토너 화상이 열정착 장치(114)에 의해 용지(P1)에 정착되도록 기록 용지 반송부(113)을 따라 반송된다.
또한, 용지(P1)의 반송 경로는 열정착 장치(114)의 하류측 상에 배치된 배출 플래퍼(115)의 절환 작용에 의해 상부 용지 배출부(120)로 향하는 용지 반송 경로 또는 하부 용지 배출부(125)로 향하는 다른 용지 반송 경로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절환된다.
용지(P1)는 배출 플래퍼(115)의 절환 작용에 의해 상부 용지 배출부(120)를거쳐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상으로 배출될 경로 또는 하부 용지 배출부(125)를 거쳐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 상으로 배출될 경로중 어느 하나를 취하도록 된다. 배출 플래퍼(115)의 절환 작용은 제어부(116)로부터 신호 제어를 받으며 수행된다.
팩시밀리 장치는 원고 판독부(103)에 의해 판독된 화상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4)에 의해 용지 상에 형성되는 복사 모드와, 팩시밀리에 의해 수신된 화상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4)에 의해 용지 상에 형성되는 팩시밀리 수신 모드와, 화상 데이터가 외부 인터페이스를 거쳐 입력되고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4)에 의해 용지 상에 형성되는 프린터 모드와, 장치의 현재 설정값에 대한 정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출력되는 기록 출력 모드와 같은 다른 조작 모드중 어느 것으로도 설정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이들 모드중 하나를 선택할 때,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해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 또는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에 대한 선택이 조작부(105)를 조작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미리 수행될 수 있다.
조작부(105) 상에 수행된 설정 조작에 따라 제어부(116)에 의해 배출 플래퍼(115)의 절환 동작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된 상태에서, 화상이 가용 모드에서 형성된 용지는 가용 배출 트레이 상으로 배출되어서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팩시밀리 장치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프레임 본체부(101)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종방향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출된 용지는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또는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중 어느 하나 상에 적재된다.
다음으로, 팩시밀리 장치의 각 트레이의 구조적 배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팩시밀리 장치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는 원고 장전 트레이(102)와 원고 배출 트레이(106) 각각의 폭 방향으로 중심 위치 SL1이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하부 배출 트레이(126) 각각의 폭 방향으로 중심 위치(SL2)와 다르도록 배열된다.
팩시밀리 장치에서와 같이, 많은 트레이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원고 또는 용지가 배출된 트레이를 다른 트레이로부터 정밀하게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고를 장전하거나 배출하도록 배열된 트레이의 중심 위치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도록 배열된 트레이의 중심 위치를 서로에 대해 횡방향(트레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나의 트레이의 위치는 다른 트레이의 위치로부터 구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시밀리 장치에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는 W1으로 표시된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고, 원고 장전 트레이(102)와 원고 배출 트레이(106)가 W2로 표시된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 것으로 가정할 때, 폭 W1과 폭 W2의 크기는 서로 다르도록 배열된다.
즉, 원고가 위치될 트레이가 거의 동일한 폭 W1을 갖도록 배열되고 용지가 위치될 트레이가 거의 동일한 폭 W2를 갖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화상이 형성된 원고와 용지는 각각의 그룹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런 배열은 사용자가 원고가 위치될 트레이와 화상 형성된 용지가 위치될 트레이 사이를 순간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트레이 상에 위치된 용지의 가시성 또는 관찰성 및 (취출하기 위한) 조작성은 개선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고(S)와 용지(P) 사이를 어려움없이 눈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팩시밀리 장치는 소위 중심 기준법에 의해 용지를 반송하도록 배열되며, 이로써 용지폭의 중심은 용지의 크기에 관계없이 용지 반송 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어떤 크기의 용지도 용지 반송 방향의 폭의 중심이 반송 경로의 고정 라인 상에 항상 위치된 상태로 반송될 수 있다. 그러나, 용지의 모서리가 통과하는 위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각 트레이의 중심선은 대체로 용지 반송 방향으로 용지의 폭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는 팩시밀리 장치에서, 각 원고 장전 트레이(102)와 원고 배출 트레이(106)에 위치된 원고(S)의 용지 폭 방향에서의 중심 위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크기에 관계없이 항상 트레이의 중심선 SL1 상에 배열된다.
또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또는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 상에 위치되도록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로부터 반송되는 용지(P1)도 그 중심이 용지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트레이의 중심선 SL2 상에 있도록 배열된다.
이런 배열은 원고(S)의 중심과 용지(P1)의 중심이 서로에 대해 이동될 때 트레이 사이의 위치와 함께 용지가 보다 가시적으로 분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고용 트레이의 중심선과 용지 배출을 위한 트레이의 중심선이 서로에 대해 이동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즉 원고용 트레이의 폭방향으로의 길이를 용지의 배출을 위한 트레이의 길이와 구별함으로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시밀리 장치의 상면 위의 용지 배출 트레이의 측부에서 큰 공간이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팩시밀리 장치에서, 다양한 조작을 허용하고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배열된 조작부(105)는 위 공간의 측면 상에서 장치의 상면부에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05)가 위치된 측면 상의) 장치의 전방에서 보이는 우측면 상의 트레이의 단부(102t, 106t, 121t, 126t)의 위치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의 우측 단부(121t, 126t)는 원고 장전 트레이(102)와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우측 단부(102t, 106t)보다 조작부(105)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팩시밀리 장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배열된 상태에서, 조작부(105)의 가시성 및 조작성은 사용자가 조작부(105)를 조작할 때 개선된다. 그 후, 사용자는 손으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 및 이들 트레이 상에 위치된 용지를 접촉하거나 방해하지 않고도 조작부(105)를 조작시킬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는 팩시밀리 장치에서, 조작부(105)는 장치의 우측 상에 배치된다. 이것은 오른손잡이인 사람의 수가 일반적으로 완손잡이인 사람의 수보다 많고, 따라서 팩시밀리 장치는 오른손잡이인 사람에 의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동일한 유리한 효과는 장치의 좌측 상에 조작부(105)를 배열하고 원고용 트레이의 중심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를 이동시킴으로써 당연히 얻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팩시밀리 장치에서, 조작부(105)가 배치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위치된 트레이의 단부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런 배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측면 상의 단부는 정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이 원고용 트레이의 폭보다 짧을 필요는 없으며, 그 단부도 정렬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용지 배출 트레이의 단부와, 조작부(105)가 배치된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 상의 원고용 트레이의 단부가 정렬되지 않은 장치에서, 용지 배출 트레이는 이들 단부가 정렬되지 않은 장치에서 보다 장치의 폭이 증가되도록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양호하게는 상술한 측면 상의 트레이의 단부가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팩시밀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기준 방법에 의해 용지를 반송하도록 정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런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지 반송 방법은 용지의 임의의 일측면이 용지의 크기에 관계없이 항상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상태로 용지가 반송될 수 있는 일측면 기준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측면 기준법에서, 원고용 트레이의 폭방향으로의 길이와 용지 배출 트레이의 길이는 거의 동일하며 그들의 단부의 위치가 서로에 대해 이동되지 않는 경우, 판독될 원고의 최대 크기가 화상 형성될 용지의 최대 크기와 동일하다면, 원고의 중심 위치는 용지의 중심 위치와 동일하게 됨으로써, 원고와 용지가 서로 거의 구분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고용 트레이의 단부의 위치는 용지 배출 트레이의 위치와 다르기 때문에, 원고용 트레이는 용지 반송 방법에 관계없이 용지 배출 트레이와 가시적으로 구분 가능하다.
다음으로, 용지의 종방향으로 트레이의 전방 단부의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 장전 트레이(102)는 전방 단부(102s)를 갖는다(이하, 원고 장전 트레이 전방 단부로 지칭). 원고 배출 트레이(106)는 전방 단부(106s)(이하 원고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를 갖는다.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는 전방 단부(121s)(이하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를 갖는다.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는 전방 단부(126s)(이하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를 갖는다.
이들 트레이의 형상은 트레이의 위치가 낮아짐에 따라 트레이의 전방 단부가 프레임 본체부(101)의 전방측, 즉 장치의 전방에 가깝도록 배열된다. 즉, 트레이의 전방 단부는 트레이의 위치가 높아짐에 따라 프레임 본체부(101) 내에서 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고 장전 트레이(102)가 최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고 장전 트레이(102) 아래에 배치된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원고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106s)는 원고 장전 트레이(102)의 원고 장전 트레이 전방 단부(102s)로부터거리 L1 만큼 장치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아래에 배치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의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121s)는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원고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106s)로부터 거리 L2 만큼 장치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의 아래에 배치된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의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126s)는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의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121s)로부터 거리 L3만큼 장치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4는 사용자가 프레임 본체부(101)의 전방측 상에 서서 데스크(도시 안됨) 상에 위치된 팩시밀리 장치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각 트레이에 적용된 사용자의 가시선이 화살표 J1, J2 및 J3에 의해 표시된 것으로 가정할 때, 이들 트레이의 각 전방 단부는 거리 L1, L2 및 L3만큼 서로로부터 이동되기 때문에, 이들 트레이의 각 전방 단부는 가시선 J1, J2 및 J3를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전방 단부에 의해 결코 숨겨지지 않는다.
즉, 팩시밀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모든 트레이를 갖도록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트레이를 볼 수 있도록 배열된 각 이동량(L1, L2 및 L3)은 10 내지 60 mm의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되며, 이것은 결코 장치의 크기를 과도하게 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 반송 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조작부(105)의 측면 상의 용지 배출 트레이(121, 126)의 단부(121t, 126t)는 조작부(105)의 측면 상의 원고용 트레이(102, 106)의 단부(102t, 106t)보다 조작부(105)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된다.
도2 및 도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원고 배출 트레이(106)와 원고 장전 트레이(102)의 전방 단부는 용지 배출 트레이(121, 126)의 전방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비록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의 전방 단부가 장치의 전방측에 가깝게 위치되지만, 용지 배출 트레이(121, 126)는 폭방향으로 조작부(105)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되어서, 큰 공간이 조작부(105) 위에 얻어질 수 있다. 그 후, 큰 공간은 조작부(105)의 관찰성 및 조작성을 개선한다.
원고 장전 트레이(102)의 원고 장전 트레이 전방 단부(102s)로부터 원고 배출 트레이(106) 상에 배출되고 적재된 원고(S1)의 전방 단부의 이동량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이라 가정할 때, 원고 장전 트레이(102)의 원고 장전 트레이 전방 단부(102s)는 원고 배출 트레이(106) 상에 배출되고 적재된 원고(S1)의 전방 단부로부터의 이동량 T1만큼 프레임 본체부(101) 내에서 내향으로, 즉 원고 판독부(103)에 가깝게 이동된다.
팩시밀리 장치가 이런 방식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원고 배출 트레이(106) 상에 배출되고 적재된 원고(S1)의 전방 단부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J(가시선 J2)의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원고 장전 트레이(102)는 원고(S)를 취하는 노선에서 벗어나서 위치되기 때문에, 원고(S1)는 매끄럽게 취출될 수 있다.
또한,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원고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106s)로부터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상에 배출되고 적재된 용지(P2)의 전방 단부의 이동량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라고 가정할 때,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원고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106s)는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상에 배출되고 적재된 용지(P2)의 전방 단부로부터의 이동량 T2만큼 프레임 본체부(101) 내에서 내향으로, 즉 원고 판독부(103)에 가깝게 이동된다.
팩시밀리 장치가 이런 방식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상에 배출되고 적재된 용지(P2)의 전방 단부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J2의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원고 배출 트레이(106)는 용지(P2)를 취출하는 노선에서 벗어나서 위치되기 때문에, 용지(P2)는 매끄럽게 취출될 수 있다.
트레이에 대한 각 용지의 위치 관계는 사용된 용지의 크기에 다라 달라진다. 실시예의 경우, 정상적으로 사용된 용지의 크기(이하 정상 사용 크기)는 A4 크기 또는 소위 편지 용지로 가정된다. 도1 및 도4는 정상 사용 크기인 용지(P1, P2)와 원고(S1)의 단면도에 대한 도면이다.
또한, 원고 또는 용지의 길이가 정상 사용 크기보다 짧은 경우(이하, 소형 크기 종이 용지), 주어진 트레이 상으로 배출되는 소형 크기 종이 용지는 주어진 트레이 위에 배치된 트레이에 의해 숨겨지도록 될 수 있다.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에서, U 형상 절결부(120c)는 원고 장전 트레이(102)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U 형상 절결부(106a)는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U 형상 절결부(121a)는 상부 용지배출 트레이(121)의 중간부에 형성된다. 이들 절결부에 의해, 각 트레이의 아래에 위치된 트레이 상으로 배출된 소형 크기 종이 용지가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 상으로 배출된 용지(P3)의 전방 단부는 프레임 본체부(101) 내에서 내향으로, 즉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의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 전방 단부(121s)로부터 판독부(103)에 가깝게 이동된다. 따라서, 용지(P3)의 전방 단부는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아래에 위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 사이에는 큰 수직 간격 거리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는 100 용지까지 적재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반면,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는 200 용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원고 장전 트레이(102)의 전방 단부(102s)와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전방 단부(106s) 사이의 마련된 수직 간격 거리를 H1이라 가정하고, 원고 배출 트레이(106)의 전방 단부(106s)와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의 전방 단부(121s) 사이의 수직 간격 거리를 H2라 가정하고,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의 전방 단부(121s)와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의 전방 단부(126s) 사이의 수직 간격 거리를 H3라 가정할 때, 수직 간격 거리 H3는 간격 거리 H1과 H2보다 아주 크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 상으로 배출되는 용지(P3)의 전방 단부가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의 전방 단부(121s)로부터 프레임 본체부(101) 내에서 내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용지(P3)는 팩시밀리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상술한 배열의 팩시밀리 장치는, 사용자가 장치 전방측 바로 앞에 있는 또는 경사진 트레이를 관찰하는 상태에 있더라도, 프레임 본체부(101)의 전방측, 즉 장치의 전방측으로부터 원고 또는 용지를 취출할 때 트레이의 관찰성을 개선한다. 따라서, 이런 배열은 가용 트레이 위에 배치된 트레이와 사용자의 손이 충돌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고 또는 용지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하고, 원고와 용지가 위 장치로부터 보여지더라도 장치의 조작성도 개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팩시밀리 장치에서, 트레이의 전방 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렬되어서, 사용자가 용지를 어려움없이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로부터 이동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원고 배출 트레이(106) 사이의 수직 간격 거리 H2와 원고 배출 트레이(106)와 원고 장전 트레이(102) 사이의 수직 간격 거리 H1은 용지를 취출할 때의 용이성 또는 어려움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따라서, 각각의 거리 H1과 H2는 필요한 높이만큼 원고 또는 화상 형성된 용지를 적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거리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팩시밀리 장치에서, 팩시밀리 또는 프린터의 기능이 사용되면, 트레이로부터 일단 취출된 원고 또는 용지는 때로 트레이로 다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경우, 원고 또는 용지는 트레이의 전방 단부 위에 충돌 부재가 없기 때문에 트레이의 전방 단부와 상면을 따라 용이하게 재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르는 팩시밀리 장치에서, 트레이의 기능을 나타내는 라벨(102L, 106L, 121L, 126L)은 각각 트레이(102,106, 121, 126)의 전방 단부에 붙어 있다.
라벨(102L, 106L, 121L, 126L)은 도3에서 2점 쇄선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02, 106, 121, 126) 상에 위치 가능한 최대 폭의 용지에 대해 용지 배치 위치의 외측 상에 위치된 라벨 부착 리세스부(도시 안됨)에 부착된다.
각각의 라벨(102L, 106L, 121L, 126L)은 접착제가 배면에 도포된 시일 부재이다. 가용 트레이의 기능의 명칭이 이들 라벨의 표면 상에 기록된다. 예컨대, "원고 입력"이라 판독되는 낱말이 원고 장전 트레이(102)에 부착된 라벨(102L)의 표면 상에 기록된다. "원고 배출"로 판독되는 낱말은 원고 배출 트레이(106)에 부착된 라벨(106L) 상에 기록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4)의 측면 상에 있는 라벨(121L, 126L)에 있어서, 조작부(105)를 사전에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모드) 또는 트레이 번호가 그들 위에 기록된다. 예컨대, 트레이 번호를 지시하는 낱말인 "배출 2"는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에 부착된 라벨(121L) 상에 기록되며, 다른 트레이 번호를 지시하는 낱말인 "배출 1"은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에 부착된 라벨(121L) 상에 기록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또한 "복사", "프린터", "팩시밀리" 등으로 판독되는 기능(또는 모드)를 지시하는 라벨을 선택해서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 또는 하부 용지 배출 트레이(126)에 부착할 수 잇다.
본 실시예에서 라벨(102L, 106L, 121L, 126L)은 트레이의 좌측 단부에서 트레이(102, 106, 121, 126)에 각각 부착되도록 배열되는 반면, 배열은 우측 단부 또는 좌우측 단부 모두에서 라벨을 이들 트레이에 부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팩시밀리 장치의 상술한 트레이 라벨 부착(labeling) 배열은 사용자가 트레이의 기능을 정확하게 인식하도록 해서, 사용자가 용지 배출 트레이 상에 원고를 넣는 것과 같은 조작 오류 가능성이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의 전방 단부 위치는 서로로부터 이동되어서 낮은 트레이의 전방 단부가 높은 트레이에 의해 숨겨질 가능성을 제거한다. 따라서, 트레이 상에 마련된 각 라벨은 결코 다른 트레이에 의해 숨겨지지 않음으로써 라벨의 양호한 관찰성을 보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라벨(102L, 106L, 121L, 126L)은 원고(S) 및 용지(P1)의 최대폭 범위의 외측 상에 있는 위치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들 라벨은 결코 원고와 용지 아래에 숨겨지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트레이의 좌측단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라벨(102L, 106L, 121L, 126L)이 좌측 단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들은 용이하게 보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4)의 측면 상의 용지 배출 트레이는 두 계단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 배출 트레이의 계단수는 세 개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예컨대, 팩시밀리 장치는 소터(sorter) 등과 같은 다른 용지 배출 포트를 포함하고 상부 용지 배출 트레이(121)와 원고 배출 트레이(106) 사이에 삽입된 다른 용지 배출 트레이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런 개조에서, 각 트레이의 전방 단부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향인, 가용 트레이 아래에 배치된 트레이의 전방 단부로부터 장치의 후방쪽으로, 그리고 외향인, 가용 트레이 위에 배치된 트레이의전방 단부로부터 장치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개조는 각 트레이의 전방 단부의 위치가 가용 트레이 아래에 있는 트레이 상에 위치된 용지의 전방 단부로부터 내향으로 이동되고, 트레이의 기능을 나타내는 라벨이 용지의 최대 허용 폭 외측에 있는 위치에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이런 방식으로 배열된 개조에서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개조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지를 적재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트레이가 수직 방향으로 쌓이도록 배치된 팩시밀리 또는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용지의 폭방향과 용지의 전방 단부의 방향으로 트레이의 위치 및 길이는 사용자가 트레이 상에 배출된 원고와 용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05)는 용지 배출 방향으로의 원고용 트레이의 중심을 용지 배출 방향으로의 용지 배출 트레이의 중심으로부터 이동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얻어진 공간에 배치된다. 이런 배열은 조작부(105) 둘레의 공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조작부(105)의 관찰성과 조작부(105) 상으로의 접근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장치로부터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를 인출하는 방향은 장치의 조작 방향이다. 즉, 카세트(카세트 종이 공급부(112))는 용지가 용지 배출 트레이 상으로 배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원고를 적재하고, 용지를 취하고, 카세트를 취하는 등과 같은 모든 조작은 하나의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되도록 배열된다. 이런 배열은 장치에 의해 차지되는 영역을 사실상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사용성을 개선한다.
카세트 종이 공급부(112)에 포함된 기록 용지가 반송되는 방향은 카세트를 인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도 배열된다. 이것은 픽업 롤러(112b)와 종이 공급부(112)의 분리 롤러 쌍(112c) 둘레에서 엉킴(jamming) 발생 가능성이 높고 이들 부재들은 다른 부분보다 자주 보수 서비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들 부재는 엉켜진 상태를 정정하거나 몇몇 보수 조작을 위해 사용자 또는 수리공이 이들 부재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조작측 상에 배치된다. 이런 배열은 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은 장치의 상부에 판독 수단이 배치된 팩시밀리 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판독 수단을 갖지 않는 프린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프린터가 프린터의 하우징 위에 다양한 사용자를 위해 배열된 복수개의 빈(bin) 트레이를 갖는 방식이면, 예컨대 이들 트레이는 그 단부들을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이동되도록 배열함으로써 가시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Claims (22)

  1. 용지를 그 위에 적재하기 위한 사실상 수직 방향으로 쌓이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중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는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중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단부가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적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단부가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하나의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적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단부가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고, 짧은 길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일 측면 상의 단부는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타 측면 상의 단부들이 서로로부터 이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긴 길이를 갖는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일 측면 상의 단부와 정렬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적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 각각의 용지 반송 방향으로의 길이는 적층되도록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 사이에서 상부 용지 트레이로부터 하부 용지 트레이로 나아감에 따라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적재 장치.
  6.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을 갖는 프레임 본체와,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본체 위에 배치된 원고 판독 수단과,
    화상 정보가 상기 원고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될 원고를 적재하도록 배열된 원고 장전 트레이와,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와 겹쳐지고 화상 정보가 상기 원고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원고를 배출하도록 배열된 원고 배출 트레이와,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와 쌓이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 위에 그리고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 아래에 배치되고 화상이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도록 배열된 용지 배출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와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가 폭방향으로 양측면 상에서 사실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는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와 원고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 각각의 폭방향 중심은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서로로 부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 각각의 폭방향 중심은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 방향으로 하나의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와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 각각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고,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일 측면 상의 단부는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타 측면 상의 단부가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의 타 측면 상의 단부로부터 이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와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의 각각의 일 측면 상의 단부와 정렬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될 용지를 내부에 내장하도록 배열된 용지 카세트가 상기 프레임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용지 카세트를 인출하는 방향이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 및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의 각각에 적재될 배출 용지의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와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와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가 배치된 위치의 일 측면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 상에 배열되어 상기 용지 카세트를 인출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상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는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 상의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의 단부가 상기 조작부의 일 측면 상의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 및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의 각각의 단부보다 상기 조작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카세트에 수용된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으로 공급하는 방향은 상기 용지 카세트를 인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의 용지 반송 방향에서의 일 측면 상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에 의해 유지되지 않는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 및 상기 원고 배출 트레이의 용지 반송 방향에서의 타 측면 상의 단부는 상기 원고 장전 트레이로부터 최하부에 배치된 상기 용지 배출 트레이로 나아감에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에 의해 유지된 단부로부터 긴 거리를 갖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용지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을 갖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 위에 적층되게 배치되고 화상이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용지를 그 위에 적재시키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중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의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단부가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단부가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과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중심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하나의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단부가 이동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고, 짧은 길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일 측면 상의 단부는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타 측면 상의 단부들이 서로로부터 이동되게 하는 방식으로 긴 길이를 갖는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일 측면 상의 단부와 정렬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용지 카세트가 상기 프레임 본체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용지 카세트의 배출 방향은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 상에 적재될 용지를 배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가 배치된 위치의 일 측면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 상에 배열되어 상기 용지 카세트를 인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상의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 사이에서 그 단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는 최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이며, 상기 조작부의 측면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트레이의 단부는 상기 조작부의 타 단부 상에서 상기 다른 용지 트레이의 단부보다 상기 조작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카세트 내에 수용된 용지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으로 공급하는 방향은 상기 용지 카세트를 인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를 상기 용지 카세트 인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의 우측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의 일 측면 상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의 타 측면 상의 단부는 적층 배치될 상기 복수개의 용지 트레이 사이에서 상부 용지 트레이로부터 하부 용지 트레이로 나아감에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에 의해 유지되는 단부로부터 긴 거리를 갖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00050602A 1999-08-31 2000-08-30 용지 적재 장치 및 용지 적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KR100338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650499 1999-08-31
JP99-246504 1999-08-31
JP2000228867A JP3624139B2 (ja) 1999-08-31 2000-07-28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28867 2000-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127A KR20010067127A (ko) 2001-07-12
KR100338620B1 true KR100338620B1 (ko) 2002-05-30

Family

ID=2653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602A KR100338620B1 (ko) 1999-08-31 2000-08-30 용지 적재 장치 및 용지 적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85433B1 (ko)
JP (1) JP3624139B2 (ko)
KR (1) KR100338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156A (ja) * 2001-09-07 2003-05-27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11310B2 (en) * 2004-03-15 2010-05-04 Fuji Xerox Co., Ltd. Image-forming apparatus and multiple sheet curl correcting sheet-receiving units
JP6143537B2 (ja) * 2012-05-07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38491B2 (ja) 2016-03-15 2020-01-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0468A (en) 1991-03-20 1995-07-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JP3297495B2 (ja) 1993-05-27 2002-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2000238952A (ja) * 1999-02-22 2000-09-05 Konica Corp 原稿自動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127A (ko) 2001-07-12
JP2001139208A (ja) 2001-05-22
JP3624139B2 (ja) 2005-03-02
US6385433B1 (en) 200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0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reverse discharging portion
KR100241798B1 (ko) 거의 수직인 용지이송통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873053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auto document feeder
JP3515021B2 (ja) 画像記録システム
JP3160178B2 (ja) タブ紙挿入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388805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排出シート積載装置
US73950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5023177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47357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heet feeding device having sheet supporting portion
KR100435014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338620B1 (ko) 용지 적재 장치 및 용지 적재 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US6055410A (en) Bypass/stack sheet-feeding configuration for miniaturizing electrostatographic apparatus
JP2004010188A (ja) 排出シート積載台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309906B2 (ja) 画像形成装置
JP3748382B2 (ja) 画像形成装置の排紙処理装置
JP518170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63902A (ja) シートトレイ及び該シートトレイ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JP3728139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67011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34503A (ja) 画像形成装置
JPH0948556A (ja) シ−ト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0318900A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16586B2 (ja) 画像形成装置
JP3397728B2 (ja) 画像形成装置
JP3088760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