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243B1 -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243B1
KR100338243B1 KR1020000012026A KR20000012026A KR100338243B1 KR 100338243 B1 KR100338243 B1 KR 100338243B1 KR 1020000012026 A KR1020000012026 A KR 1020000012026A KR 20000012026 A KR20000012026 A KR 20000012026A KR 100338243 B1 KR100338243 B1 KR 10033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hook
locking device
lo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4564A (ko
Inventor
사카모토유타카
Original Assignee
후지타 히토시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307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23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506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0763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타 히토시,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filed Critical 후지타 히토시
Publication of KR20010014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75Securing stretchers, e.g. fastening means
    • A61G3/0883Securing stretchers, e.g. fastening means by preventing lateral movement, e.g.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218Loading or unloading stretchers
    • A61G3/0254Loading or unloading stretchers by moving the stretcher on a horizontal path, e.g. sliding 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33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using othe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16Accommodating or securing stretchers
    • A61G3/0875Securing stretchers, e.g. fastening means
    • A61G3/0891Securing stretchers, e.g. fastening means by preventing longitudinal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1Lever operator, flu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48Swinging
    • Y10T292/0849Operating means
    • Y10T292/0853Link an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08Emergency op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 Y10T292/0913Sliding and swinging
    • Y10T292/0914Operating means
    • Y10T292/0917Le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잠금장치는 트럭의 베드위나 또는 구급차안에 설치되어 구급차 내에서 베드나 들것에 대상물을 잠그거나 고정시킨다. 본 잠금장치는 프레임, 프레임 상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조작핸들, 조작핸들에 연결되어 그 안에 한정된 홈을 가진 연결기구, 연결기구에 의하여 조작핸들에 연결된 훅, 및 조작핸들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잠금핀. 훅은 잠금핀을 홈안으로 안내함으로서 잠그어지고 잠금핀을 홈으로부터 떨어지게 함으로서 잠금이 풀린다.

Description

잠금장치{LOCKING DEVICE}
본 발명은 환자 또는 부상자를 운반하는 트럭이나 구급차(ambulance) 내에 설치하여, 구급차 내의 침대나 들것(stretcher)에 대상물을 잠그거나 고정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들것은 일반적으로 환자나 부상자를 구급차안으로 이송하는데 사용한다. 들 것은, 구급차 내로 이송된 후에, 일반적으로 방진장치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위에 놓인 다음, 잠금장치에 의하여 거기에 잠그어지거나 고정(fasten)된다.
들것의 종래 잠금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래치트기구(ratchet mechanism)가 사용된다. 들것이 잠그어지려면, 훅이 우선 들려서 앞으로 나간 다음, 래치트기구에 의하여 잠그어진다. 반대로 들것이 잠그어진 것을 풀으려면, 우선 멈춤세(pawl)가 풀리며 그 다음 훅이 후진된다. 따라서, 양손의 사용이 불가피하게 필요하며, 조작이 곤란할 뿐 아니라 잠금 및 풀림을 신속히 할 수가 없다.
더욱이, 대상물을 트럭의 베드위에 잠그는 다양한 잠금장치가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융통성이나 또는 유연성이 적어서, 들것이나 또는 기타 기계나 장치를 잠그기 위하여 사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불편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할 만한 일반 목적의 잠금장치를 제공하여 잠금(locking) 및 풀림(unlocking)을 한 손만을 사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잠금장치는 프레임(frame), 회전가능하게 프레임에 설치된 조작핸들, 조작핸들에 연결되고 그 안에 일정한 홈을 가진 연결기구, 링크기구를 거쳐 조작핸들에 연결된 훅와, 조작핸들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잠금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로, 훅은 잠금핀을 홈에 안내함으로서 잠가지며, 잠금핀을 홈으로부터 이동시킴으로서 풀려서,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풀음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도, 잠금장치는 또한 조작핸들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잠금풀림핸들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잠금핀이 잠금풀림핸들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잠금과 잠금풀림을 한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편리하게도, 조작핸들과 잠금풀림핸들은 인접하여 위치한 각각의 손잡이를 가지고 있으며 거의 서로 병렬로 뻗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잠금은 다만 양 손잡이를 잡음으로서 신속히 풀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잠금장치는 또한 잠금풀림핸들을 경사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훅은 잠금풀림핸들의 손잡이가 조작핸들의 손잡이로부터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잠그어지고, 한편, 훅은 잠금풀림핸들의 손잡이를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으로서 잠금이 풀린다. 이렇게 함으로서, 잠금은 다만 양 손잡이들을 잡음으로서 신속히 풀릴뿐만 아니라, 훅은 사용자가 손잡이에서 손을 뗄 때에 탄성부재의 경사하중에 의하여 쉽게 잠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잠금장치는, 예컨대 들것의 방진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잠금장치위치는 방진장치의 종방향에 따라서 조정이 가능하며 방진장치에서 변화를 흡수하여 신뢰가 큰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잠금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조작핸들, 조작핸들에 연결된 연결기구, 연결기구를 거쳐서 조작핸들에 연결되어 잠금위치와 잠금풀림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훅, 및 연결기구에 연결된 편심캠을 포함하며, 잠금위치에서의 훅 회전중심은 연결기구를 거쳐서 편심캠을 회전시킴으로서 잠금풀림위치에서 훅의 회전중심 밑에서 이동하며, 그것으로 하여금 잠금을 완벽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도, 잠금장치는 또한 연결기구를 거쳐 조작핸들에 연결된 진동축을 포함하며, 여기서 훅는 그 안에 한정된 연장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 진동축이 이완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훅은 신속히 잠금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장치는 또한 조작핸들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는 잠금핀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연결기구는 그 안에 한정된 홈을 가지는 아암(arm)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훅은 잠금핀을 홈안으로 안내함으로서 잠기며 홈으로부터 잠금핀을 이동함으로서 잠금이 풀려서,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과 풀림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잠금장치는 또한 훅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훅이 잠금위치에 있을 때, 1차방향으로 훅에 작용하는 한편,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훅이 잠금풀림 위치에 있을 때, 1차방향과 반대의 2차방향으로 훅에 작용한다. 그렇게 함으로서, 잠금 및 풀림은 신속히 될 뿐 아니라 훅이 잠금위치나 또는 잠금풀림 위치에서 확실히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들것에 대한 방진장치의 사시도로 이에 본 발명에 따르는 잠금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잠금풀림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이나 잠금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3은 잠금풀림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르는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잠금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잠금상태의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잠금장치에 대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잠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잠금풀림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대한 제2실시형태에 따르는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잠금장치의 부분절취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잠금장치의 다른 부분절취 사시도이다.
도 11은 잠금상태의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잠금장치의 부분절취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잠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잠금장치에 관한 조작설명을 위한 부분절취 측면도이다.
도 15는 잠금장치에 관한 조작설명을 위한 다른 부분절취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프레임 4 : 마운트
6 : 조작핸들 8 : 훅
10 : 브래킷 12 : 로터리축
14 : 진동축 16 : 조정볼트
18 : 잠금부재 20 : 너트
24 : 아암 24a : 홈
26 : 판 28 : 잠금풀림핸들
30 : 잠금핀 36 : 코일스프링
L : 잠금장치
본 출원은 1999. 3. 10일과 1999. 11. 5일자로 각각 일본국에서 출원번호, 헤이세이 11-63071 및 헤이세이 11-315067에 의하여 출원한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그의 내용은 참조문헌에 의하여 여기에 결합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여러 잠금장치는 다음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논의하기로 하되, 각 잠금장치는 환자나 부상자를 운반하는 들것을 잠그기 위하여 구급차 내에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들어본다.
도 1 및 2는 들것의 방진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본 방진장치는 환자나 부상자가 놓이는 들것을 그 위에 위치시켜서, 들것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며, 이로써 들것 위에 누워있는 환자나 부상자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켜준다.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진장치는 앞잠금장치(FL)와 뒤잠금장치(RL)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이 풀린 상태에서 환자나 부상자는 들것과 함께 방진장치에 얹히며, 들것은 이 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잠금장치(FL)와 뒤잠금장치(RL)에 의하여 방진장치에 잠그어지거나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잠금장치는 예컨대 상기의 뒤잠금장치(RL)로 사용된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1실시형태에 따르는 잠금장치(L)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것은 방진장치상에 설치된 프레임(2), 프레임(2)의 해당 측면에 위치한 한 쌍의 마운트(mount)(4)(4), 마운트(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보통 U-형의 조작핸들(6) 및 들것을 잠그기 위한 훅(8)을 포함한다.
훅(8)은 프레임(2)위에 설치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한 브래킷(10)에 로터리축(12)을 경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위의 중간부에서 이를 통하여 뻗어 있는 진동축(14)을 가지고 있다. 브래킷(10)은 조정볼트(16)의 단 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타단은 너트(20)에 의하여 방진장치에 끼워진 잠금부재(18)에 고정되어 있다.
진동축(14)은 2개 아암(24)(24)의 단부상에서 그의 반대 단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의 타단부는 각 핀(26)(26)에 의하여 조작핸들(6)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아암(24)(24)은 잠금핀(후에 설명)이 잠그는 중에 홈(24a) 내에 수용이 될 수 있도록 결합된 핀(26)에 근접한 그의 외곽에서 그 안에 한정된 홈(24a)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U-형 잠금풀림핸들(28)은 조작핸들(6) 내에 위치하며, 그 안에 한정된 2개의 연장구멍(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가지며, 그 안에 핀(26)(26)이 각각 이완되어 삽입되어 있다. 잠금풀림핸들(28) 역시 2개의 핀(30)(30)을 가지며 그로부터 종방향에 따라서 내부로 돌출되도록 연장구멍들에 근접한 위치에서 그에 고정되어 있다. 잠금풀림핸들(28)은 또한 그 안에 한정된 2개의 연장구멍(32)(32)을 가지며, 그 안에 핀(34)(34)이 이완이 되도록 각각 삽입되어서 조작핸들(6)에 대하여 잠금풀림핸들의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잠금풀림핸들(28)의 손잡이(28a)는 조작핸들(6)의 손잡이(6a)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대체로 그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잠금풀림핸들(28)의 반대단부(저단부)는 코일스프링(36)(36)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타단부는 핀(38)(38)에 연결되어서 각기 조작핸들(6)의 저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잠금장치(L)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들것의 잠금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풀리면, 전체 잠금장치(L)(RL)는 들것의 로딩(loading), 언로딩(unloading)을 방해하지 않도록 방진장치의 상면 아래에 위치한다.
잠금풀림 상태에서, 조작핸들(6)은 잠금풀림핸들(28)과 함께 눌리며, 잠금풀림핸들(28)의 손잡이(28a)는 도 3과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핸들(6)의 손잡이(6a)에 가장 근접한 지점에 위치한다. 이 때에, 훅(8)은 아암(24)(24)을 포함하는 연결기구에 의하여 대체로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아암(24)(24)은 잠금핀(30)(30)과 각각 그의 측부에 접해 있다.
들것이 환자 또는 부상자와 함께 구급차에 안내되어 방진장치상에 자리잡은 후에 잠그어질 때, 조작핸들(6)의 손잡이(6a)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들린다. 이 때에, 잠금풀림핸들(28)은 조작핸들(6)과 함께 들리며, 아암(24)(24)은 결합된 잠금핀들(30)(30)에 의하여 밀린다. 그 결과 진동축(14)은 그의 중간부에서 훅(8)을 통하여 뻗어 있어서 앞으로 움직이며, 이에 따라서 훅(8)은 잠금위치(기립위치)를 향하여 회전축(12)에 대하여 회전된다.
훅(8)이 잠금위치에 이르면, 잠금핀(30)(30)은 핀(26)(26)에 각각 근접된 그의 단부들에서 아암(24)(24)에 형성되어 있는 홈(24a)(24a) 내에 수용된다. 이 때에, 잠금풀림핸들(28)은 코일스프링(36)(36)의 경사하중에 의하여 조작핸들(6)의 손잡이(6a)로부터 이동하며, 조작핸들(6)의 손잡이(6a)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잠금위치에서, 들것은 훅(8)에 의하여 잠겨지거나 고정되며, 아암(24)(24)의 결합된 홈(24a)(24a) 내에 수용된 잠금핀(30)(30)은 외부진동이 가해져도 잠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들것의 잠금이 풀리면, 조작핸들(6)의 손잡이(6a)와 잠금풀림핸들(28)의 손잡이(28a)는 둘 다 코일스프링(36)(36)의 경사하중에 대항하여 손잡이(6a) 근처에손잡이(28a)를 가져오도록 잡혀짐으로서, 잠금핀(30)(30) 아암(24)(24)의 결합 홈(24a)(24a)으로부터 떨어진다. 그 다음 조작핸들이 잠금풀림핸들(28)과 함께 하향이동될 때, 훅(8)은 도 3 및 4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풀림 위치에 이를 때까지 연결기구에 의하여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잠금장치(L)는 프레임(2) 내 연장구멍(2a)(2a)을 통하여 뻗어 있는 볼트로 방진장치에 나사로 잠금되어 있으며, 잠금부재(18)에 의하여 너트(20) 및 너트(20)에 낀 조정볼트(16)와 함께 위치하고 있으므로, 방진장치에 대한 잠금장치(L)의 종방향위치는 조정볼트(16)를 돌려서 적절히 조정이 가능하여, 방진장치의 변화를 흡수하고 적절히 들것을 잠글 수 있도록 한다.
유의해야 할 사항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잠금풀림핸들(28)이 텐숀스프링 (36)(36)에 의하여 잠금위치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으며, 압축스프링이 조작핸들(6)의 손잡이(28a)와 잠금풀림핸들(28)의 손잡이(28) 사이에서 텐숀스프링(36)(3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8 내지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르는 잠금장치(L)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방진장치상에 설치된 프레임(102), 그의 중앙부에서 프레임(102)에 잠금된 주로 병렬의 마운트(104)(104) 대우, 회전축(105)에 의하여 마운트(104)(104)에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한 대체로 U-형의 조작핸들(106) 및 들것을 잠금하기 위한 훅(108)을 포함한다.
훅(108)은 마운트(104)(104)에 나사로 잠금된 브래킷(110)에 편심캠(112)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잠금되어 있으며, 그의 중간부에서 그 안에 한정된 연장구멍(108a)을 가지고 있다. 진동축(114)은 연장구멍(108a)에 이완되어 삽입되어 있으며, 제1아암(116)(116)의 단부들에 그의 반대단부에 축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아암(116)(116)의 타단부는 제2아암(118)(118) 단부들과 함께 마운팅볼트(119)(119) 각각에 의하여 조작핸들(106)에 축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아암(118)(118)의 타단부들은 제3아암(120)(120)의 단부들에 축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타단부는 편심캠(112)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축(122)에 고정되어 있다.
제1아암(116)(116)의 각각은 연관 마운팅 볼트(119)에 근접하여 그의 외주에서 그 안에 한정된 홈(116a)을 가지고 있어서, 잠금핀(후에 설명)이 잠금중에 홈(116)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훅(108)은 편심캠(112)에 근접한 위치에서 그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홀더(124)를 가지고 있다. 토오션스프링(torsion spring)(126)은 스프링홀더(124)에 그의 한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타단부에서는 프레임(102)에 연결되어 있다. 토오션스프링(126)은 화살표 A방향으로 잠금풀림위치에서 훅(108)을 기울여 주며, 또한 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잠금위치에서 훅(108)을 기울여 준다.
대체로 U-형인 잠금풀림핸들(132)은 조작핸들(106) 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 안에 한정된 2개의 연장구멍(도시되어 있이 않음)이 있으며 그 안에는 마운팅볼트(119)(119)가 각각 이완되게 삽입되어 있다. 잠금풀림핸들(132)은 또한 2개의 잠금핀(134)(134)을 가지고 있어서 그로부터 옆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연장구멍들에 근접한 위치에서 그에 고정되어 있다. 잠금풀림핸들(132)은 또한 그 안에 한정된 2개의 연장구멍(132a)(132a)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 핀(136)(136)이 각각 이완이 되도록 삽입되어 있어서, 조작핸들(106)에 대하여 잠금풀림핸들(132)이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제1아암(116)(116)은 스페이샤(spacer)(128)(128)에 의하여 잠금풀림핸들 (132)과 스페이샤(130)(130)에 의하여 훅(108)에서부터 적당히 떨어져 있다.
잠금풀림핸들(132)의 손잡이(132b)는 조작핸들(106)의 손잡이(106a)에 근접하여 자리잡고 있어서 대체로 그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잠금풀림핸들(132)의 반대 단부들(저단부들)(132c)(132c)은 코일스프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단부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타단부들은 핀(138)(138)에 연결되어 있어서 각각 조작핸들(106)의 저단부들에 잠금되어 있다.
2개의 조정볼트(140)(140)는 그의 각 측면에서 프레임(102)에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연장구멍(102a)(102a)은 대체로 그에 평행하게 뻗도록 조정볼트 (140)(140) 안쪽의 프레임(102)에 형성되어 있다. 각 연장구멍(102a)(102a) 내에 이완되게 끼워져 있는 잠금볼트(142)는 마운팅탭(mounting tab)(4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이에 연결되어 조정볼트(140)(140)의 어느 하나가 끼여 있다.
상기 구조의 잠금장치(L)의 조작을 이하 설명한다.
잠금풀림상태하에서 조작핸들(106)은 잠금풀림핸들(132)과 함께 눌리며 잠금풀림핸들(132)의 손잡이(132a)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핸들(106)의 손잡이(106a)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이 때에, 훅(108)은제1아암(116)(116)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연결기구에 의하여 대체로 수평방향에 따라 지지되며, 제1아암(116)(116)은 잠금핀(134)(134)으로 그의 측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편심캠(112)의 회전중심[(연결축(122)의 중심(도 15의 a)]은 훅(108)의 회전중심밑에 자리잡고 있다[편심캠(112)이 이완되어 삽입되어 있다(도 15의 b)]. 진동축(114)이 훅(108)의 연장구멍(108a)의 상부측에 자리잡고 있는 상태 하에서, 훅(108)은 탄성부재로서 이용된 토오션스프링(126)의 굽힘력에 의하여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들것이 환자 또는 부상자와 함께 구급차에 인도되어 방진장치에 자리잡게 되면 조작핸들(106)의 손잡이(106a)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린다. 이 때에, 잠금풀림핸들(132)은 조작핸들(106)과 함께 들리며 그의 중간부에서 훅(108)에 이완되게 삽입된 진동축(114)은 화살표 B의 방향에 따라 이러하여 잠금위치(기립위치)를 향하여 훅(108)을 회전시킨다.
도 14는 훅(108)이 전환점전 바로 앞에 위치하여 있는 상태를 설명한다. 토오션스프링(126)의 탄성력은 전환점에서 훅(108)의 회전중심에 작용한다. 훅(108)이 전환점에 대하여 잠금풀림위치측에 위치할 때 토오션스프링(126)의 탄력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훅(108)이 전환점에 대하여 잠금위치측에 위치할 때 토오션스프링(126)의 탄력은 화살표 A의 방향과 반대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훅(108)이 전환점을 통과했을 때 조작핸들(106)을 더 들어올리면 토오션스프링(126)의 탄력은 상기와 같이 화살표 B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진동축(114)은 훅(108) 내 연장구멍(108a)에 이완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훅(108)은 화살표 B방향으로 급속히 회전하며, 그의 말단부(잠금부)는 들것의 한부분과 접촉한다. 이 때에 진동축(114)은 손잡이(106a)에 보다 접근한 연장구멍(108a) 내 측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핸들(106)이 더 들어올려지면 진동축(114)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위치에서 연장구멍(108)에 따라서 이동되며 잠금핀(134)(134)은 마운팅볼트(119)(119)에 근접한 제1아암(116)(116)의 홈(116a)(116)에 수용된다. 이 때에, 잠금풀림핸들(132)은 그의 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의 굽힘력에 의하여 조작핸들(106)의 손잡이(106a)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조작핸들(106)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잠금풀림위치(도 8 내지 10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잠금위치(도 11 내지 13 또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이동될 때 편심캠(112)은 제2 및 제3아암(118)(118)(120)(120)에 의하여 거의 반 회전한다. 따라서, 잠금풀림위치에서 훅(108)의 회전중심 아래에 위치한 편심캠(112)의 회전중심은 잠금위치에서 훅(108)의 회전중심위에 위치하며 잠그는 중에 훅(108)은 들것부분을 적절히 잠그기 위하여 편심캠의 작동에 따라서 점차 아래로 움직인다. 동시에 잠금핀(134)(134)은 제1아암(116)(116) 각각의 홈(116a)(116a)에 수용되어 있음으로 예컨대 외부에서 유입한 진동에 의하여 잠김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들것의 잠김이 풀릴 때 조작핸들(106)의 손잡이(106a)와 잠금풀림핸들(132)의 손잡이(132a)는 둘 다 꽉 잡혀져서 코일스프링의 굽힘력에 대항하여 손잡이(106a) 근처에 손잡이(132a)를 가져옴으로서 제1아암(116)(116)의 연관 홈(116a)(116a)으로부터 잠금핀(134)(134)을 떼 놓는다. 그 다음 조작핸들(106)이 잠금풀림핸들(132)과 함께 아래로 움직일 때, 훅(108)은 그것이 잠금풀림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연결기구에 의하여 편심캠(112) 주위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잠금장치(L)는 프레임(102)의 연장구멍(102a)(102a)에 이완되게 삽입되어 있는 고정볼트(142)(142)에 의하여 방진장치에 나사로 잠금되어 있기 때문에 방진장치에 대한 잠금장치(L)의 종방향 위치는 조정볼트(140)(140)를 회전시킴으로서 적절히 조정이 가능하며 방진장치의 변화를 흡수하여 들것을 확실히 잠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잠금(locking) 및 풀림(unlocking)을 한 손만을 사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프레임(frame), 회전가능하게 프레임에 설치된 조작핸들, 조작핸들에 연결되고 그 안에 일정한 홈을 가진 연결기구, 링크기구를 거쳐 조작핸들에 연결된 훅와 조작핸들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잠금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로, 훅은 잠금핀을 홈에 안내함으로서 잠가지며, 잠금핀을 홈으로부터 이동시킴으로서 풀려서,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풀음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또한 잠금풀림핸들을 경사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훅은 잠금풀림핸들의 손잡이가 조작핸들의 손잡이로부터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잠그어지고, 한편, 훅은 잠금풀림핸들의 손잡이를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서 잠금이 풀린다. 이렇게 함으로서, 잠금은 다만 양 손잡이들을 잡음으로서 신속히 풀릴뿐만 아니라 훅은 사용자가 손잡이에서 손을 뗄 때에 탄성부재의 경사하중에 의하여 쉽게 잠기게 되며 들것의 방진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위치는 방진장치의 종방향에 따라서 조정이 가능하며 방진장치에서 변화를 흡수하여 신뢰가 큰 잠금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조작핸들, 조작핸들에 연결된 연결기구, 연결기구를 거쳐서 조작핸들에 연결되어 잠금위치와 잠금풀림위치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훅, 및 연결기구에 연결된 편심캠을 포함하며, 잠금위치에서의 훅 회전중심은 연결기구를 거쳐서 편심캠을 회전시킴으로서 잠금풀림위치에서 훅의 회전중심 밑에서 이동하며, 그것으로 하여금 잠금을 완벽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여기에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이해된 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과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달리 이탈되지 않는 다면 이들은 그 안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잠금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핸들과 상기 조작핸들에 연결되고 그 안에 한정된 홈을 가진 연결기구와, 상기 연결기구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에 연결된 훅과 상기 조작핸들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잠금핀과 여기에서 상기 훅은 상기 잠금핀을 상기 홈에 안내함으로서 잠가지며 상기 잠금핀을 상기 홈으로부터 떨어지게 함으로서 풀려 이루어지는 잠금과 풀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잠금풀림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핀은 상기 잠금풀림핸들에 고정되어 있는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과 상기 잠금풀림핸들은 이웃하여 위치한 각 손잡이를 가지며,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풀림핸들을 기울이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훅은 상기 잠금풀림장치의 상기 손잡이가 상기 조작핸들의 상기 손잡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잠금풀림핸들을 기울이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잠그어지며, 한편 상기 훅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핸들의 상기 손잡이를 향하여 상기 잠금풀림핸들의 상기 손잡이를 움직임으로서 잠금이 풀리는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잠금장치는 들것의 방진장치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잠금장치의 위치는 상기 방진장치의 종방향에 따라서 조정이 가능한 잠금장치.
  6. 잠금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조작핸들과 상기 조작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기구와 상기 연결기구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중심을 가지고 잠금위치와 잠금풀림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훅과 상기 연결기구에 연결되어 있으며 잠금위치에서 상기 훅의 회전중심은 상기 연결기구에 의하여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킴으로서 잠금풀림위치에서 상기 훅의 회전중심 아래로 이동하는 편심캠으로 이루어진 잠금과 풀림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진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훅은 그 안에 한정된 연장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서 상기 진동축은 이완되게 삽입되어 있는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잠금핀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기구는 그 안에 한정된 홈을 가진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훅은 상기 잠금핀을 상기 홈으로 안내함으로서 잠금되며,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잠금핀을떨어지게 함으로서 잠금이 풀리는 잠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에 대하여 슬라이딩이 가능한 잠금풀림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핀은 상기 잠금풀림핸들에 고정되어 있는 잠금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훅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훅이 잠금위치에 있을 때, 1차 방향으로 상기 훅에 작용하며, 한편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상기 훅이 잠금풀림위치에 있을 때, 1차방향과 반대되는 2차방향에 따라 상기 훅에 작용하는 잠금장치.
KR1020000012026A 1999-03-10 2000-03-10 잠금장치 KR100338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63071 1999-03-10
JP06307199A JP4262351B2 (ja) 1999-03-10 1999-03-10 ストレッチャのロック機構
JP31506799A JP4430763B2 (ja) 1999-11-05 1999-11-05 ロック装置
JP99-315067 1999-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564A KR20010014564A (ko) 2001-02-26
KR100338243B1 true KR100338243B1 (ko) 2002-05-27

Family

ID=2640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026A KR100338243B1 (ko) 1999-03-10 2000-03-10 잠금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11105B1 (ko)
EP (1) EP1034763B1 (ko)
KR (1) KR100338243B1 (ko)
CN (1) CN1212108C (ko)
AT (1) ATE300269T1 (ko)
DE (1) DE60021452T2 (ko)
TW (1) TW4480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0801B2 (en) * 2001-06-19 2008-04-22 U-Haul International, Inc. Door latching system
US6805710B2 (en) 2001-11-13 2004-10-19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itral valve annuloplasty ring for molding left ventricle geometry
DE102005009682B4 (de) * 2004-12-23 2007-01-04 Detlev Fricke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Befestigung für rollbare Krankenhausbetten mit Liegendpatienten i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WO2006067889A1 (ja) * 2004-12-24 2006-06-29 Matunaga Manufactory Co., Ltd. 車載用ストレッチャーと担架
GB2431360A (en) * 2005-10-24 2007-04-25 Vw Company Ltd Stretcher/trolley ambulance parking station arrangement
ITBO20050770A1 (it) * 2005-12-16 2007-06-17 Ferno Washington Italia Srl Dispositivo di caricamento assistito per una barella
ITRE20080040A1 (it) * 2008-05-08 2009-11-09 Stem Srl '' barella e sistema per il trasporto di pazienti ''
US8348311B2 (en) * 2008-10-03 2013-01-08 Ibis Tek, Llc Lever mechanism for an emergency escape hatch
DE202011001237U1 (de) * 2011-01-07 2011-03-10 Gebr. Kemmerich Gmbh Verzurröse
CN104188768B (zh) * 2014-09-23 2016-06-22 宁波Gqy视讯股份有限公司 一种担架锁紧装置
CN104586584B (zh) * 2014-12-28 2017-06-16 中国人民解放军海军医学研究所 一种担架快速锁紧连接装置
CN104814838B (zh) * 2015-05-04 2017-02-22 江苏日新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急救运输工具的固定装置
JP6698244B2 (ja) * 2016-12-27 2020-05-27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椅子固定装置
CN107702319B (zh) * 2017-09-29 2018-11-23 泉州市天文通网络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设备的嵌入式安装方法
CN108836646B (zh) * 2018-04-24 2020-06-09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通用担架的快速锁紧与释放机构
CN109172165B (zh) * 2018-08-18 2023-08-0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箱体式便携生命支持系统的快速锁紧机构及使用方法
CN109674590B (zh) * 2018-12-17 2024-04-09 航宇救生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飞行器的担架固定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662A (en) * 1911-11-07 1913-01-07 John F Brown Safety-valve.
GB749367A (en) * 1953-02-03 1956-05-23 Speed Tool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amps, presses and like devices
US3519298A (en) * 1967-02-24 1970-07-07 Rex Chainbelt Inc Positive lock for toggle latch
US3647251A (en) * 1970-07-13 1972-03-07 Union Tank Car Co Latching mechanism
FR2148776A5 (ko) * 1971-08-03 1973-03-23 Aerospatiale
US4077601A (en) * 1976-12-13 1978-03-07 Dick George M Adjustable pinch clamp
GB2082515A (en) * 1980-08-07 1982-03-10 Unwin C N Ltd Ambulance stretcher support
US4671713A (en) * 1985-05-06 1987-06-09 Harold Lietz Enterprise, Inc. Wheelchair lockdown device
US4736959A (en) * 1986-02-05 1988-04-12 Amatech Corporation Convertible carriage
US4909275A (en) * 1987-11-02 1990-03-20 Parker And Harper Manufacturing Company, Inc. Latching handle
US4886403A (en) * 1988-03-09 1989-12-12 Gresham Gerald L Tie down apparatus for wheelchair
US5052655A (en) * 1990-07-18 1991-10-01 Watts Regulator Company Ball valve lock plate
US5186588A (en) * 1991-05-03 1993-02-16 Sutton Charles W Ladder rack ladder latch
US5586604A (en) * 1994-06-02 1996-12-24 Postema; Leonard F. Aerator
US5501283A (en) * 1994-07-25 1996-03-26 Nordquist; H. Dean Hole cutting device for recovering targets located with a metal detector
US5553882A (en) * 1994-08-26 1996-09-10 Unruh; Stephen N. Snowmobile securement system
US5628595A (en) * 1995-03-22 1997-05-13 Associated Partnership Ltd. Inc. Wheelchair lock-down device
US5806111A (en) * 1996-04-12 1998-09-15 Hill-Rom, Inc. Stretcher controls
US5785362A (en) * 1997-02-04 1998-07-28 Ireco, Inc. Cam-operated hatch cover lock
US6125485A (en) * 1998-06-22 2000-10-03 Stryker Corporation Ambulance c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0269T1 (de) 2005-08-15
EP1034763A3 (en) 2003-05-14
CN1212108C (zh) 2005-07-27
KR20010014564A (ko) 2001-02-26
TW448043B (en) 2001-08-01
CN1266673A (zh) 2000-09-20
EP1034763B1 (en) 2005-07-27
EP1034763A2 (en) 2000-09-13
US6511105B1 (en) 2003-01-28
DE60021452T2 (de) 2006-05-18
DE60021452D1 (de)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243B1 (ko) 잠금장치
US4763643A (en) Arc changing apparatus for a therapeutic oscillating bed
US6311992B1 (en) Lift dolly with pedal latch mechanism
JP4430763B2 (ja) ロック装置
US6402242B1 (en) Locking assembly for a rocking chair
US5622408A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4809685A (en) Chiropractic table lever-locking mechanism
JP4262350B2 (ja) ストレッチャ除振台のロック機構
US5242257A (en) Vehicle loading system
JP3673444B2 (ja) メモリ機構付きチルトテレスコ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010250A (ja) 車載用ストレッチャー
JP3561369B2 (ja) 折り畳み式テーブル
JP2000254177A (ja) ストレッチャのロック機構
JPH04818Y2 (ko)
JPH0347616Y2 (ko)
JP2599179Y2 (ja) スライド式ルーフキャリア
JP2735726B2 (ja) 車輌シートの反転支持構造
JP2000042057A (ja) ベッド等における格納型側柵
AU744144B3 (en) Improved seat arrangement
JPH0712179Y2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795179B2 (ja) テーブル天板昇降装置
JPH0365979B2 (ko)
JPH0344182Y2 (ko)
JP3205692B2 (ja) 車椅子固定装置
JP2512199Y2 (ja) 移動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