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930B1 -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930B1
KR100337930B1 KR1019990066966A KR19990066966A KR100337930B1 KR 100337930 B1 KR100337930 B1 KR 100337930B1 KR 1019990066966 A KR1019990066966 A KR 1019990066966A KR 19990066966 A KR19990066966 A KR 19990066966A KR 100337930 B1 KR100337930 B1 KR 10033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forming
ono layer
reac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9461A (ko
Inventor
신승우
백동원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6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93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a laminate, i.e. composed of sublayers, e.g. stacks of alternating high-k metal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3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비내에서 제 2, 제 3 ONO(Oxide-Nitride-Oxide)층을 형성한 후 열처리하여 정전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패스트 템퍼러쳐 램프 업/다운(Fast Temperature Ramp Up/Down) 엘피-시브이디(Low Pressure-CVD:LP-CVD)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제 2 ONO층과 제 3 ONO층을 하나의 장비내에서 형성하므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후속 공정으로 N2 어닐(Anneal) 공정을 추가하므로 정전 용량이 증가하고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며 배선과 접촉되는 콘택 저항이 저하되는 등 캐패시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apacitor}
본 발명은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장비내에서 제 2, 제 3 ONO층을 형성하여 캐패시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를 구성하는 단위 중 캐패시터는 하부 전극, 유전막 및 상부 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전막으로 현재 제 1 산화막인 제 1 ONO층, 질화막인 제 2 ONO층 및 제 2 산화막인 제 3 ONO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ONO(Oxide-Nitride-Oxide)층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캐패시터 중 ONO층의 형성 방법은 도 1a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전극(11)상에 제 1 ONO층(12)을 열 산화 공정 또는 화학 처리에 의해 성장시킨다.
그리고,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ONO층(12)상에 제 2 ONO층(13)을 엘피-시브이디(Low Pressure-CVD:LP-CVD)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어,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ONO층(13)상에 제 3 ONO층(14)을 열 산화 공정에 의해 성장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유전막으로 ONO층을 형성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소자의 집적화에 따라 유전막의 유효 두께가 얇아지므로 캐피시터의 정전 용량이 감소한다.
둘째, 상기 ONO층의 형성 공정이 제 1, 제 2, 제 3 ONO층을 형성하는 3번의 공정을 요하고 또한 상기 3번의 공정이 모두 다른 종류의 장비에서 형성하며 박막의 특성을 보존하기 위해 각 공정간에는 시간 지연 없이 진행해야 하므로 사전에 상기 3번의 공정 장비가 모두 어사인(Assign) 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장비내에서제 2, 제 3 ONO층을 형성한 후 열처리하여 정전 용량을 향상시키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캐패시터 중 ONO층의 형성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패시터 중 ONO층의 형성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3 ONO층 형성 후 N2 어닐 공정 시 실험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하부 전극 32: 제 1 ONO층
33: 제 2 ONO층 34: 제 3 ONO층
본 발명의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하부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상에 제 1 산화막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산화막상에 하나의 장비내에서 질화막층과 제 2 산화막을 형성하여 ONO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면을 N2 어닐 공정을 하는 단계 및 상기 ONO층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패시터 중 ONO층의 형성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3 ONO층 형성 후 N2 어닐 공정 시 실험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패시터 중 ONO층의 형성 방법은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전극(31)상에 제 1 ONO층(3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ONO층(32)의 형성 공정은 웨이퍼를 상기 제 2 ONO층 형성 공정을 위한 반응로로 장입하기 전에 화학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웨이퍼 표면에 흡착된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ONO층(32)을 성장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ONO층(32) 형성 공정에 사용하는 클리닝(Cleaning) 절차는 탈이온수에 희석시킨 HF나 BOE(Buffered Oxide Etchant:NH4F + HF)로 웨이퍼 표면의 불순 산화막을 제거한 후 SC1(NH4OH + H2O2 + DIW) 클리닝 또는 피란하(Piranha:H2SO4 + H2O2 + DIW) 클리닝을 하여 기타 이물질 제거 및 상기 제 1 ONO층(32)을 성장시킨다.
그리고,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ONO층(32)상에 제 2 ONO층(33)을 패스트 템퍼러쳐 램프 업/다운(Fast Temperature Ramp Up/Down) LP-CVD 방식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ONO층(33)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 1 ONO층(32)이 형성된 웨이퍼를 반응로내로 장입하여 패스트 템퍼러쳐 램프 업/다운(Fast Temperature Ramp Up/Down) LP-CVD 방식으로 제 2 ONO층을 형성한다.
이어,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ONO층(33)상에 제 3 ONO층(34)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ONO층(34)의 형성 방법은 상기 제 2 ONO층(33)의 형성 후 상기 반응로 내부로 질소(N2)와 아르곤(Ar)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시키면서 상기 반응로 내부의 압력을 0.5 Torr 이상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초당 10℃ 이상의 상승 속도로 800 ∼ 900℃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방응로 내부의 압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시킨 이유는 온도 상승 시 열전도를 원활히 하여 최대한 짧은 시간내에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서 이다.
그리고, 상기 반응로 내부로 불활성 가스 주입을 중단하고 잔존 가스를 배기 시킨 후 SiHCl 가스와 NO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제 2 산화막(34)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3 ONO층(34)을 형성한 후 N2 가스를 주입하면서 반응로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850℃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킨다. 이때, 온도상승률은 20℃/초 이상으로 유지시킨다.
상기 850℃ 이상의 온도에서 N2 어닐(Anneal) 공정을 5초 이상 실시하여 상기 하부 전극(31)과 유전막인 ONO층 내부로 N2 가스가 주입되어 상기 ONO층의 유전률을 상승시켜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이 증가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전극(31)과 제 1 ONO층(32) 계면과 상부 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제 3 ONO층(34) 계면에 존재하는 트랩 사이트(Trap Site)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2 ONO층(33) 박막 내부에 존재하는 핀 홀(Pin Hole)을 감소시켜 ONO층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며 N 또는 P 형의 얇은 불순물 영역 계면을 활성화 시켜 배선과 불순물 영역 사이의 콘택 저항을 저하시킨다.
상기 N2 어닐 공정 후 초당 20℃ 이상의 하강속도로 600℃ 이하의 온도까지 낮추어서 공정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은 패스트 템퍼러쳐 램프 업/다운 LP-CVD 방식의 장비를 사용하여 제 2 ONO층과 제 3 ONO층을 하나의 장비내에서 형성하므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후속 공정으로 N2 어닐 공정을 추가하므로 정전 용량이 증가하고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며 배선과 접촉되는 콘택 저항이 저하되는 등 캐패시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하부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상에 제 1 산화막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산화막상에 하나의 장비내에서 질화막층과 제 2 산화막을 형성하여 ONO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면을 N2 어닐 공정을 하는 단계;
    상기 ONO층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화막은, 웨이퍼를 상기 질화막과 제 2 산화막 형성 공정을 위한 반응로로 장입하기 전에 화학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웨이퍼 표면에 흡착된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성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화막을 DIW에 희석시킨 HF나 BOE로 웨이퍼 표면의 불순 산화막을 제거한 후 SC1(NH4OH + H2O2 + DIW) 클리닝 또는 피라냐(H2SO4 + H2O2 + DIW) 클리닝을 하여 기타 이물질 제거함과 동시에 성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막을 상기 제 1 산화막이 형성된 웨이퍼를 반응로내로 장입하여 패스트 템퍼러쳐 램프 업/다운 LP-CVD 방식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산화막을 상기 질화막의 형성 후 상기 반응로 내부로 질소(N2)와 아르곤(Ar)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시키면서 상기 반응로 내부의 압력을 0.5 Torr 이상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초당 10℃ 이상의 상승 속도로 800 ∼ 900℃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다음, 상기 반응로 내부로 불활성 가스 주입을 중단하고 잔존 가스를 배기 시킨 후 SiHCl 가스와 NO 가스를 주입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2 어닐 공정을 N2 가스를 주입하면서 온도상승률은 20℃/초 이상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반응로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면서 850℃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킨 다음, 5초 이상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19990066966A 1999-12-30 1999-12-30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33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966A KR100337930B1 (ko) 1999-12-30 1999-12-30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966A KR100337930B1 (ko) 1999-12-30 1999-12-30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461A KR20010059461A (ko) 2001-07-06
KR100337930B1 true KR100337930B1 (ko) 2002-05-24

Family

ID=1963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966A KR100337930B1 (ko) 1999-12-30 1999-12-30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272B1 (ko) * 2002-06-29 2005-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272B1 (ko) * 2002-06-29 2005-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461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432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JP275778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526017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37930B1 (ko)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US6261976B1 (en) Method of forming low pressure silicon oxynitride dielectrics having high reliability
KR10068740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1147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JPS614606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74538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 방법
KR100414947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방법
KR100567875B1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유전체 및 그 형성 방법
US200600301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field isolation regions consisting of grooves filled with isolation material
KR100511919B1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19461A1 (en) Methods of forming capacitors
JP200528580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713323B1 (ko) 실리사이드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KR101068150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플러그 형성방법
KR100359783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255166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JPH1117695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23419A (ko)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KR10037950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414002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52311B1 (ko) 반도체소자의층간절연막및그의제조방법
JP200525999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